[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0875B1 -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75B1
KR102520875B1 KR1020210042209A KR20210042209A KR102520875B1 KR 102520875 B1 KR102520875 B1 KR 102520875B1 KR 1020210042209 A KR1020210042209 A KR 1020210042209A KR 20210042209 A KR20210042209 A KR 20210042209A KR 102520875 B1 KR102520875 B1 KR 10252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istic
signal
blood pressure
user
armc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912A (ko
Inventor
손량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4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75B1/ko
Priority to US17/706,267 priority patent/US20220313167A1/en
Publication of KR2022013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2Ballistocard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ue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61B5/7267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involving training the classificat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z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는 받침부 및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받침부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안락 의자에 착좌한 경우에 제 1 심탄도를 센싱하는 제 1 BCG 센서부;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락 의자에 착좌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기대어 있는 경우 제 2 심탄도를 센싱하는 제 2 BCG 센서부; 및 상기 제 1 BCG 센서부 및 상기 제 2 BCG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상기 제 1 심탄도 신호 및 상기 제 2 심탄도 신호에 대해 각각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상기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을 복수 횟수로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시간 차 값을 소정의 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에 입력값으로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RECLINER HAVING HEALTH CARE PERFORMANCE}
본 발명은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가능한 안락 의자(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생체신호에는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신호로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건강상태를 알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생체신호는 혈압이다.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팔뚝에 감아서 측정하는 커프(Cuff) 기반 방법이 있다. 또한 최근 Cuff를 사용하지 않고 혈압을 측정하는 Cuffless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Cuffless 방법의 혈압계는 혈압과 상관성이 높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혈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그러나 커프 기반 혈압 측정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휴대하여야 하거나 착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사용자들의 이용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편 커프를 사용하지 않고 혈압을 측정하는 Cuffless 방법은 생체정보를 이용하는데 실제 사용자의 혈압 측정 값과의 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혈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혈압 측정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는 제안된 바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별도의 기기를 착용 및 휴대하지 않고도 혈압을 측정할 수 있고, 혈압값의 정확도도 높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공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가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안락 의자에서 휴식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의 혈압을 산출하여 알려줌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도 사용자의 헬스케어를 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한 사용자의 혈압 측정/산출 방식은 다른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실제 혈압 값과 오차가 적어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확도를 매우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인공신경망의 계층 구조(layer structure)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심층 신경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ECG, PPG, BCG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Feature인 PTT(Pulse Transit Time)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BCG 파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로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안락 의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안락 의자이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체부(110)에서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의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락 의자(100)에서 센싱 및 측정한 심탄도(BCG) 신호에 대한 파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혈압을 산출하기 위한 머신러닝 수행 방법 및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얻은 생체 신호를 머신 러닝(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인공 지능(AI), 머신 러닝, 딥러닝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세 가지 개념의 관계를 가장 쉽게 파악하는 방법은 세 개의 동심원을 가상하면 된다. 인공 지능이 가장 큰 원이고, 그 다음이 머신 러닝이며, 현재의 인공지능 붐을 주도하는 딥 러닝이 가장 작은 원이라 할 수 있다.
인공 지능이라는 개념은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에 있던 존 매카시 교수가 개최한 다트머스 회의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최근 몇 년 사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2015년 이후 신속하고 강력한 병렬 처리 성능을 제공하는 GPU의 도입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죠. 갈수록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저장 용량과 이미지, 텍스트, 매핑 데이터 등 모든 영역의 데이터가 범람하게 된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도 이러한 성장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공 지능 - 인간의 지능을 기계로 구현
1956년 당시 인공 지능의 선구자들이 꿈꾼 것은 최종적으로 인간의 지능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복잡한 컴퓨터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인간의 감각, 사고력을 지닌 채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 지능을 ‘일반 AI(General AI)’라고 하지만, 현재의 기술 발전 수준에서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은 ‘좁은 AI(Narrow AI)’의 개념에 포함된다. 좁은 AI는 소셜 미디어의 이미지 분류 서비스나 얼굴 인식 기능 등과 같이 특정 작업을 인간 이상의 능력으로 해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신 러닝 - 인공 지능을 구현하는 구체적 접근 방식
머신 러닝은 메일함의 스팸을 자동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편, 머신 러닝은 기본적으로 알고리즘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을 통해 학습하며,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판단이나 예측을 수행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의사 결정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소프트웨어에 직접 코딩해 넣는 것이 아닌, 대량의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통해 컴퓨터 그 자체를 ‘학습’시켜 작업 수행 방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머신 러닝은 초기 인공 지능 연구자들이 직접 제창한 개념에서 나온 것이며, 알고리즘 방식에는 의사 결정 트리 학습, 귀납 논리 프로그래밍, 클러스터링, 강화 학습, 베이지안(Bayesian) 네트워크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 중 어느 것도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는 일반 AI를 달성하진 못했으며, 초기의 머신 러닝 접근 방식으로는 좁은 AI 조차 완성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머신 러닝은 컴퓨터 비전 등의 분야에서 큰 성과를 이뤄내고 있으나, 구체적인 지침이 아니더라도 인공 지능을 구현하는 과정 전반에 일정량의 코딩 작업이 수반된다는 한계점에 봉착하였다. 가령 머신 러닝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지 표지판의 이미지를 인식할 경우, 개발자는 물체의 시작과 끝 부분을 프로그램으로 식별하는 경계 감지 필터, 물체의 면을 확인하는 형상 감지, ‘S-T-O-P’와 같은 문자를 인식하는 분류기 등을 직접 코딩으로 제작해야 한다. 이처럼 머신 러닝은 ‘코딩’된 분류기로부터 이미지를 인식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정지 표지판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머신 러닝의 이미지 인식률은 상용화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구현하지만, 안개가 끼거나 나무에 가려서 표지판이 잘 보이지 않는 특정 상황에서는 이미지 인식률이 떨어지기도 한다. 최근까지 컴퓨터 비전과 이미지 인식이 인간의 수준으로 올라오지 못한 이유는 이 같은 인식률 문제와 잦은 오류 때문이다.
딥러닝 - 완전한 머신 러닝을 실현하는 기술
초기 머신 러닝 연구자들이 만들어 낸 또 다른 알고리즘인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에 영감을 준 것은 인간의 뇌가 지닌 생물학적 특성, 특히 뉴런의 연결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근접한 어떤 뉴런이든 상호 연결이 가능한 뇌와는 달리, 인공 신경망은 레이어 연결 및 데이터 전파 방향이 일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수많은 타일(tile)로 잘라 신경망의 첫 번째 레이어에 입력하면, 그 뉴런들은 데이터를 다음 레이어로 전달하는 과정을 마지막 레이어에서 최종 출력이 생성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그리고 각 뉴런에는 수행하는 작업을 기준으로 입력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가 할당되며, 그 후 가중치를 모두 합산해 최종 출력이 결정됩니다. 정지 표지판의 경우, 팔각형 모양, 붉은 색상, 표시 문자, 크기, 움직임 여부 등 그 이미지의 특성이 잘게 잘려 뉴런에서 ‘검사’되며, 신경망의 임무는 이것이 정지 표지판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충분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중치에 따라 결과를 예측하는 ‘확률 벡터(probability vector)’가 활용된다.
딥 러닝은 인공신경망에서 발전한 형태의 인공 지능으로, 뇌의 뉴런과 유사한 정보 입출력 계층을 활용해 데이터를 학습합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신경망조차 굉장한 양의 연산을 필요로 하는 탓에 딥 러닝의 상용화는 초기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의 연구는 지속됐고,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딥 러닝 개념을 증명하는 알고리즘을 병렬화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병렬 연산에 최적화된 GPU의 등장은 신경망의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가속하며 진정한 딥 러닝 기반 인공 지능의 등장을 불러왔다.
신경망 네트워크는 ‘학습’ 과정에서 수많은 오답을 낼 가능성이 크다. 정지 표지판의 예로 돌아가서, 기상 상태, 밤낮의 변화에 관계 없이 항상 정답을 낼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게 뉴런 입력의 가중치를 조정하려면 수백, 수천, 어쩌면 수백만 개의 이미지를 학습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 정도 수준의 정확도에 이르러서야 신경망이 정지 표지판을 제대로 학습했다고 볼 수 있다. 2012년, 구글과 스탠퍼드대 앤드류 응(Andrew NG) 교수는 1만6,000개의 컴퓨터로 약 10억 개 이상의 신경망으로 이뤄진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유튜브에서 이미지 1,000만 개를 뽑아 분석한 뒤, 컴퓨터가 사람과 고양이 사진을 분류하도록 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컴퓨터가 영상에 나온 고양이의 형태와 생김새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스스로 학습하게 한 것이다.
딥 러닝으로 훈련된 시스템의 이미지 인식 능력은 이미 인간을 앞서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딥 러닝의 영역에는 혈액의 암세포, MRI 스캔에서의 종양 식별 능력 등이 포함된다. 구글의 알파고는 바둑의 기초를 배우고, 자신과 같은 AI를 상대로 반복적으로 대국을 벌이는 과정에서 그 신경망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 딥 러닝의 등장으로 인해 머신 러닝의 실용성은 강화됐고, 인공 지능의 영역은 확장됐다. 딥 러닝은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지원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작업을 세분화한다. 운전자 없는 자동차, 더 나은 예방 의학, 더 정확한 영화 추천 등 딥 러닝 기반의 기술들은 우리 일상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거나,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딥 러닝은 공상 과학에서 등장했던 일반 AI를 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인공 지능의 현재이자, 미래로 평가 받고 있다.
이하 딥러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딥러닝이란 인간의 신경망(Neural Network) 이론을 이용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일종으로, 계층 구조(Layer Structure)로 구성하면서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하나 이상의 숨겨진 층(Hidden layer)(이하, 중간층이라 지칭함)을 갖고 있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지칭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 또는 알고리즘의 집합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딥러닝(Deep Learning)은 심층 계층을 가진 인공신경망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의 뇌는 250억 개의 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됩니다. 뇌는 신경세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신경세포(뉴런, Neuron)는 신경망을 구성하는 신경세포 1개를 지칭한다. 신경세포는 1개의 세포체(cell body)와 세포체의 돌기인 1개의 축삭(Axon or nurite) 및 보통 여러 개의 수상돌기(dendrite or protoplasmic process)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신경세포들 간의 정보 교환은 시냅스라고 부르는 신경세포 간의 접합부를 통하여 전달됩니다. 신경세포 하나만 떼어 놓고 보면 매우 단순하지만, 이러한 신경세포들이 모이면 인간의 지능을 지닐 수 있다. 수상돌기에서 다른 신경세포들이 보내는 신호를 전달받는 부분(Input)이고 축색돌기는 세포체로부터 아주 길게 뻗어가는 부분으로 다른 신경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Output)이다. 신경세포들 사이의 신호를 전달해주는 축색돌기와 수상돌기 간을 연결해주는 시냅스라는 연결부가 있는데, 신경세포의 신호를 무조건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 강도가 일정한 값(임계치, Threshold) 이상이 되어야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즉, 각 시냅스마다 연결강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신호를 전달할지 말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인공신경망(ANN)은 생물학(통상 인간)의 뇌 구조(신경망)를 모방하여 모델링한 수학적 모델이다. 즉, 인공신경망은 이러한 생물학적 신경세포의 정보처리 및 전달 과정을 모방하여 구현한 것이다. 인간의 뇌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구현한 것으로서 신경망은 각 신경세포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하기 때문에 병렬성이 뛰어나다. 또한 많은 연결선에 정보가 분산되어 있어서 몇몇 신경세포에 문제가 발생해도 전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일정 수준의 오류에 강하고 주어진 환경에 대한 학습 능력을 갖고 있다.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는 인공신경망의 후손이라 볼 수 있으며,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어서 과거에 수많은 인공 지능 기술이 실패를 겪었던 영역에 성공 사례를 거두고 인공신경망의 최신 버전이다. 생물학적 신경망을 모방하여 인공신경망을 모델링한 내용을 살펴보면 처리 단위(Processing unit) 측면에서는 생물적인 뉴런(neurons)이 노드(nodes)로, 연결성(Connections)은 시냅스(Synapse)가 가중치(weights)로 다음 표 1과 같이 모델링 되었다.
생물학적 신경망 인공신경망
세포체 노드(node)
수상돌기 입력(input)
축삭(Axon) 출력(output)
시냅스 가중치(weight)
도 1은 인공신경망의 계층 구조(layer structure)를 예시한 도면이다.
인간의 생물학적 신경세포가 하나가 아닌 다수가 연결되어 의미 있는 작업을 하듯, 인공신경망의 경우도 개별 뉴런들을 서로 시냅스를 통해 서로 연결시켜서 복수개의 계층(layer)이 서로 연결되어 각 층간의 연결 강도는 가중치로 수정(update)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와 연결강도로 학습과 인지를 위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각 노드들은 가중치가 있는 링크들로 연결되어 있고, 전체 모델은 가중치를 반복적으로 조정하면서 학습을 한다. 가중치는 장기 기억을 위한 기본 수단으로서 각 노드들의 중요도를 표현한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인공신경망은 이들 가중치를 초기하고 훈련시킬 데이터 세트로 가중치를 갱신하여 조정하여 전체 모델을 훈련시키는 것입니다. 훈련이 완료된 후에 새로운 입력값이 들어오면 적절한 출력값을 추론해 내게 된다. 인공신경망의 학습원리는 경험의 일반화로부터 지능이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되고 bottom-up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에서 중간층이 2개 이상(즉 5~10개)일 경우를 층이 깊어진다고 보고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owkr)이라 하며, 이러한 심층신경망을 통해서 이루어진 학습과 추론 모델을 딥러닝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입력과 출력을 제외하고 하나의 중간계층(통상적으로 은닉계층, 'hidden layer'라 지칭함)을 가지고 있어도 어느 정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문제의 복잡도가 커지면 노드의 수 또는 계층의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 중에서 계층의 수를 증가시켜 다층구조 모델을 가져가는 것이 효과적인데, 효율적인 학습이 불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학습하기 위한 계산량이 많다는 한계로 인해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기존의 한계점이 극복됨으로써, 인공신경망은 깊은 구조(Deep Structure)를 가져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복잡하고 표현력 높은 모델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음성인식, 얼굴인식, 물체인식, 문자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도 2는 심층 신경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은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여러 개의 은닉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이다.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은닉계층(Hidden layer)을 갖고 있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지칭하는 머신 러닝(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 또는 알고리즘의 집합이다. 신경망의 연결은 입력층에서 은닉계층으로,은닉계층에서 출력층으로 이루어진다.
심층 신경망은 일반적인 인공신경망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비선형 관계(non-linear relationship)들을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 식별 모델을 위한 심층 신경망 구조에서는 각 물체가 영상의 기본적 요소들의 계층적 구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추가 계층들은 점진적으로 모인 하위 계층들의 특징들을 규합시킬 수 있다. 심층 신경망의 이러한 특징은, 비슷하게 수행된 인공신경망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유닛(unit, node)들 만으로도 복잡한 데이터를 모델링할 수 있게 해준다.
이전의 심층 신경망들은 보통 앞먹임 신경망으로 설계되어 왔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심층 학습 구조들을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일례로 언어 모델링(language modeling) 분야에 심층 신경망 구조를 적용한 사례 등이 있다.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의 경우에는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에서 잘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성공적인 적용 사례에 대한 문서화 또한 잘 되어 있다. 더욱 최근에는 합성곱 신경망이 자동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을 위한 음향 모델링(acoustic modeling) 분야에 적용되었으며, 기존의 모델들 보다 더욱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층 신경망은 표준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될 수 있다. 이때, 가중치(weight)들은 아래의 등식을 이용한 확률적 경사 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을 통하여 갱신될 수 있다.
혈압과 상관성이 높은 생체정보로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맥파 (Photoplethysmogram, PPG), 심탄도(Ballistocardiogram, BCG) 신호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 ECG 센서부, PPG 센서부, BCG 센서부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신호 정의
ECG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
PPG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혈관의 용적 변화를 기록
BCG 심장이 수축할 때 발생되는 물리적 진동을 기록
심전도란 심장이 수축함에 따라 심박동과 함께 발생하는 전위차를 곡선으로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자동적, 율동적인 수축을 한다는 점에서 생체내의 다른 부분의 근육에 비해 특이하다. 심장근육의 수축은 생명체의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와 같다. 즉 수축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심방의 동방결절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전류 인 것이다. 이 미약한 전류가 심장근육을 통하면서 신체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를 신체의 표면에서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기록하는 장치를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센서(ECG 센서)라 하고, 이 기록을 심전도(Electrocardiogram : ECG) 이라 한다.
심박수(Photoplethysmograph, PPG)
다음으로, 심박수 센서의 일 예로서 PPG(Photoplethysmograph) 센서를 설명한다. PPG 센서는 광용 적맥파 센서라고 한다. 광용 적맥파 측정법 (Photoplethysmograph, PPG)은 생체 조직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혈관에 흐르는 혈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심박 활동 상태 혹은 심박수를 알 수 있는 맥파 측정 방법이다. 맥파는 혈액이 심장에서 파상하며 나타내는 맥동성 파형으로, 심장의 이완 수축 작용에 따라 나타나는 혈류량의 변화, 즉 혈관의 용적 변화를 통하여 측정 가능하다. 광용 적맥파 측정법은 빛을 이용하여 맥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용적 변화시 나타나는 생체조직의 반사, 흡수 투과비 등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광 센서에서 감지하여 측정하며, 이를 통해 맥박 측정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비침습적인 맥박 측정이 가능하고 소형화, 사용편의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웨어러블 (wearable) 디바이스에서 생체 신호 감지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심탄도(Ballistocardiogram, BCG)
심장주기 동안 심실로부터 배출된 혈액이 대동맥을 통과하는 순간 우리 몸에 반동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심장 및 혈관에서의 혈류변화에 따른 진동(탄도)을 계측한 신호를 심탄도(Ballistocardiogram, BCG)라고 한다. 심탄도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심장과 혈관에서의 혈류변화에 따른 탄도를 계측한 신호를 의미하며, 심전도와 유사하게 심장의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심탄도는 심전도와 유사하게 심장의 활동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심박출량, 심근기능 손상에 따른 역류 및 이상혈류 현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생체신호는 심장기능 평가, 심장병(심근장애 등) 진단, 치료효과 확인 및 회복 정도 관찰 등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심탄도 신호는 가속도 센서, 로드셀 센서, PVDF필름 센서, EMFi 센서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면 신체에 전극을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무구속/무자각 상태에서 신호를 계측할 수 있으며, 장시간 또는 일상생활 중 건강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ECG와 PPG, BCG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Feature인 PTT(Pulse Transit Time)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ECG와 PPG, BCG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Feature인 PTT(Pulse Transit Time)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 기반으로 혈압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PTT는 동맥의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시간에 따른 혈관 탄성 변화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교정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 시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잡음이 생겨 특징(Feature)를 구하기 어려워, 혈압 추정 알고리즘의 추정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특징(Feature)을 구하여 추정하는 방식이 아닌 심층신경망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방법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일 수 있다.
도 4는 BCG 파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심방 수축하면 BCG 맥파가 시작되고 이어서 심실이 수축한다. 맥파 최대 값과 최소값은 H에서 N까지 문자로 표시한다. 심실 수축기에 해당하는 H-K 파와 심장의 이완에 해당하는 확장기 동안 L-N 파가 발생한다. BCG 맥파의 파형은 심장과 혈액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힘의 조합이다. 이로 인해 파형을 특정 생리적 현상과 관련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개별적으로 인체의 물리적 특성은 다른 BCG 펄스를 나타낸다. I 파는 심실 수축기 직후에 발생한다. 주로 대동맥으로의 혈액 가속으로 인한 반동 효과에 의해 발생한다. 머리방향으로의 혈액 흐름은 다리 방향으로 반동력을 유발한다. 대동맥궁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면 혈액 흐름의 방향이 바뀐다. 이때, 머리 방향으로 반동력을 생성하며, 심탄도는 강한 J 파를 나타낸다. K-파는 체순환 혈류 감속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추정한다. 이완기 L-, M- 및 N- 파의 해석은 불확실하다. 이 파형들은 주로 말초 순환의 혈류 방향 변화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심장으로 순환되어 심방이 채워지는 이완기 혈액 흐름은 이완기 파형에 작은 영향을 미친다[31]. 호흡 효과로 인해, I 및 J 파는 일반적으로 흡기 동안 진폭이 증가하고 호기 동안 진폭이 감소한다. 모든 파형의 합은 상대적인 심박출량을 나타낸다. 심탄도(ballistocardiogram)는 일반적으로 머리로 향한 힘이 상승파로 나타나고 다리로 향한 힘이 감소파로 나타나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하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심탄도 (신호)를 학습된 머신러닝 모델 (혹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로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안락 의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안락 의자이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안락 의자(100)는 본체부(110), 프로세서(120),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된 제 1 BCG 센서부(130), 제 2 BCG 센서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무선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착석하였을 때 지지하는 받침부(113), 착석 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116), 팔걸이부(119), 지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안락 의자(100)의 본체부(110)는 특정 재질로 커버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재질로는 가죽 등 의자의 커버면으로 쓰이는 재질일 수 있다.
받침부(113)는 일 예로서 가죽 재질로 덮여 있을 수 있는데 이 가죽 재질 안쪽에 제 1 BCG 센서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BCG 센서부(130)는 가족 재질 안쪽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BCG 센서부(130)는 받침부(113)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 엉덩이 등 하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로부터 심탄도(신호)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BCG 센서부(130)가 엉덩이 부위의 생체신호로부터 심탄도(신호)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등받이부(116)도 사용자의 등판 등의 상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서 가죽 재질로 덮여 있을 수 있고 이 가죽 재질 안쪽에 제 2 BCG 센서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부(116)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게 구비되는데, 125도 내외로 기본 각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등받이부(140)의 각도가 125도 정도인 경우 가장 사용자의 등판 등의 상체로부터 심탄도 신호를 센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BCG 센서부(140)는 등받이부(116)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 후 등받이부(116)에 등을 기대는 경우 사용자의 등판 등의 상체로부터 심탄도 (신호)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BCG 센서부(130)의 받침부(130)에서의 배치, 제 2 BCG 센서부(140)의 등받이부(116)에서의 배치 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체부(110)에서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의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BCG 센서부(130)는 받침부(113)의 표면인 가죽 바로 밑의 레이어에 가로 방향으로 받침부(113)의 중앙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받침부(113)를 정면 위에서 바라본 경우 PVDF 센서(134)가 ‘알파벳 제트(Z)’ 자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이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하게 되면 정면 위에서 바라본 경우 PDVF 센서(134)가 제트 자 모양이 아니라 ‘알파벳 엔(N)’ 자 모양이 될 것이다. 제 1 BCG 센서부(130)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면 엉덩이로부터 신호가 잘 관측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BCG 센서부(130)가 가죽 내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제 1 BCG 센서부(130)가 가죽 표면 사이에 스폰지 등의 중간 물질이 있게 된다면 이 역시 엉덩이로부터 신호가 잘 관측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BCG 센서부(140)는 등받이부(113)의 표면인 가죽 바로 밑의 레이어에 가로 방향으로 등받이부(113)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등받이부(113)를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PVDF 센서(134)가 알파벳 제트(Z) 자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이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하게 되면 정면 위에서 바라본 경우 PDVF 센서(134)가 제트 자 모양이 아니라 알파벳 N 자 모양이 될 것이다. 제 2 BCG 센서부(140)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면 등판으로부터 신호가 잘 관측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BCG 센서부(140)가 가죽 내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제 1 BCG 센서부(140)가 가죽 표면 사이에 스폰지 등의 중간 물질이 있게 된다면 이 역시 엉덩이로부터 신호가 잘 관측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는 각각 박막형 압력 센서(예를 들어, PVDF 재질 혹은 PZT, BST, PN, PT 등의 세라믹스 박막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센서)(132), 박막형 압력 센서(134)를 양면으로 덮고 있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134), 열선(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막형 압력 센서(132)를 PVDF 센서라고 칭하여 이하 설명한다.
PVDF 센서(134)를 앙면으로 덮는 재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실리콘 재질로 할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하체 신호와 등판 등의 상체 신호를 센싱하는데 실리콘 재질의 패드에서 응답 특성이 가장 좋게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실리콘 재질의 패드(136)는 실리콘 0.3mm, 0.6mm, 1.0mm, 2.0mm 등이 될 수 있으나 두께 별로 응답 특성의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으나 안락 의자(리클라이너) 제품에 적용 시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0.3mm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는 각각 열선(13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열선(135)으로 온열을 작동하였을 때, 심탄도 신호 측정에 대한 영향은 실험단계에서는 발견되지 않아서 장시간 온열이 아니라면 열선(135)이 동작하더라도 무방하다.
제 1 BCG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부위로부터 심탄도 신호를 센싱하고, 제 2 BCG 센서부(140) 사용자의 등판 등으로부터 심탄도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부위로부터 센싱된 심탄도 신호를 제 1 심탄도 신호, 사용자의 등판 부위 등으로부터 센싱된 심탄도 신호를 제 2 심탄도 신호로 구별하여 호칭하기로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 1 아날로그 필터부(121), 제 2 아날로그 필터부(122), 제 1 아날로그 증폭기(123), 제 2 아날로그 증폭기(124), MCD ADC(125), 디지털 필터부(126) 및 혈압 산출부(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아날로그 필터부(121), 제 2 아날로그 필터부(122)는 각각 제 1 BCG 센서부(130), 제 2 BCG 센서부(140)로부터 센싱된 제 1 심탄도 신호(BCG_Seat_raw 데이터에 해당), 제 2 심탄도 신호(BCG_seat_raw 데이터에 해당)를 전달받은 후, 아날로그 필터링을 수행한다. 제 1 아날로그 증폭기(123), 제 2 아날로그 증폭기(124)는 제 1 아날로그 필터부(121), 제 2 아날로그 필터부(122)로부터 각각 필터링된 제 1 심탄도 신호, 제 2 심탄도 신호를 전달받은 후 증폭시킨다. MCD ADC(125)는 제 1 아날로그 증폭기(123), 제 2 아날로그 증폭기(124)로부터 각각 증폭된 제 1 심탄도 신호, 제 2 심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필터부(126)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1 심탄도 신호, 제 2 심탄도 신호에 대해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20) 내에서의 일련의 과정을 전처리(pre-processing, pre-filtering)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20)에서는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로부터 센싱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에 대해 각각 전처리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락 의자(100)에서 센싱 및 측정한 심탄도(BCG) 신호에 대한 파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BCG_seat_raw 가 가리키는 파형은 도 5에서 제 1 BCG 센서부(130)가 센싱하여 제 1 아날로그 필터부(121)로 전달해 주는 파형이고, BCG_back_raw 가 가리키는 파형은 제 2 아날로그 필터부(122)로 전달해 주는 파형이다. 그리고, BCG_seat가 가리키는 파형과 BCG_back가 가리키는 파형은 도 5에서 혈압산출부(127)로 입력되는 신호의 정보이다.
도 5에서는 혈압산출부(127)가 프로세서(120) 내에 포함된 모듈로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프로세서에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혈압산출부(127)는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시간 차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차 값이라 함은 일 예로서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락 의자(100)에 착석해 있는 경우 제 1 BCG 센서부(130) 및 제 2 BCG 센서부(140)은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5분) 동안 제 1 심탄도 신호와 제 2 심탄도 신호를 센싱하고, 프로세서(120)는 센싱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를 전처리한다. 혈압산출부(127)는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되어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을 산출하는데, 상기 15분 동안 복수 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15분동안 9회 시간 차 값을 산출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혈압산출부(127)는 이후 머신러닝(예,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압 값(수축기 혈압값 및/또는 이완기 혈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머신러닝의 수행 방법 및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혈압을 산출하기 위한 머신러닝 수행 방법 및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로서 실험자 40명을 각각 15분 동안 예를 들어 1 분 단위로 제 1 BCG 센서부(130)는 제 1 심탄도 신호(BCG 1)를, 제 2 BCG 센서부(140)는 제 2 심탄도 신호(BCG 2)를 추출 혹은 센싱한다. 프로세서(120)에서 전처리후, 혈압산출부(127)는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IPD)를 산출한다. 도 10에서는 9회 산출하므로 IPD 1에서 IPD 9까지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혈압산출부(127)는 복수의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IPD)들을 입력값으로 학습된 딥러닝 모델(알고리즘)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는 9개의 시간 차 값을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입력시켰다. 이후, 혈압 산출부(127)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으로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 값 (SBP) 및 이완기 혈압 값(DBP)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로는 CNN 등 다양한 모델을 연구하여 좋은 성능을 가진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중에서도 BOHB를 사용한 모델 fine-tuning을 통해 ME를 9까지 줄일 수 있었다. BOHB은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와 Hyperband를 조합한 기법인데 베이지안 최적화에 Tree Parzen Estimate를 사용하여 간결성과 계산 효율을 증가시킨 모델이다.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fold, epoch 값을 적용하였다.
상기 딥러닝 모델은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와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 간의 J-피크 신호의 시간 차 값(IPD)을 복수 회 산출하고 산출된 값들 입력하여 학습시킨다. 동시에, 사용자는 기존의 상완식 혈압계 등으로 혈압값(수축기값 및 이완기값)을 측정하여 출력값으로 설정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수행 과정을 통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킨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혈압산출부(127)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그 위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무선통신부(160)는 혈압산출부(127)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서버 (서버 PC)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스마트폰, 스마트폰의 앱 등)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안락 의자에서 휴식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의 혈압을 산출하여 알려줌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도 사용자의 헬스케어를 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한 사용자의 혈압 측정/산출 방식은 다른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실제 혈압 값과 오차가 적어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확도를 매우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로세서(12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에 있어서,
    받침부 및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받침부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안락 의자에 착석한 경우에 제 1 심탄도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심탄도 센서부;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락 의자에 착석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기대어 있는 경우 제 2 심탄도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심탄도 센서부; 및
    상기 받침부 내부에 구비된 제 1 심탄도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상기 제 1 심탄도 신호와 상기 등받이부 내부에 구비된 제 2 심탄도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상기 제 2 심탄도 신호에 대해 각각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 1 심탄도 신호에 대한 파형에서의 제이(J)-피크 신호와 상기 전처리된 제 2 심탄도 신호에 대한 파형에서의 제이(J)-피크 신호 간의 시간 차 값을 복수 횟수로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시간 차 값을 소정의 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에 입력값으로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탄도 센서부 또는 상기 제 2 심탄도 센서부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를 양면으로 덮기 위한 복수의 실리콘 재질의 패드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재질의 센서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안락 의자를 정면 측 위에서 바라본 경우 상기 복수의 실리콘 패드 내에서 ‘제트(Z)’ 자 형태로 구비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표면은 가죽으로 커버되어 있고,
    상기 제 1 심탄도 센서부는 상기 받침부를 커버하는 가죽 내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심탄도 센서부는 상기 등받이부를 커버하는 가죽 내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전처리는,
    센싱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1 심탄도 신호 및 제 2 심탄도 신호를 디지털 필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사용자의 수축기 혈압값 및 이완기 혈압값을 서버 혹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42209A 2021-03-31 2021-03-31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Active KR10252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09A KR102520875B1 (ko) 2021-03-31 2021-03-31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US17/706,267 US20220313167A1 (en) 2021-03-31 2022-03-28 Recliner having healthcar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09A KR102520875B1 (ko) 2021-03-31 2021-03-31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12A KR20220135912A (ko) 2022-10-07
KR102520875B1 true KR102520875B1 (ko) 2023-04-12

Family

ID=8345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09A Active KR102520875B1 (ko) 2021-03-31 2021-03-31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13167A1 (ko)
KR (1) KR102520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33297A2 (en) * 2023-05-05 2024-11-14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Contactless continuous blood pressure estimation
CN116369911B (zh) * 2023-06-05 2023-08-29 华南师范大学 基于生理信号的心脏信息检测方法、装置以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11B1 (ko) * 2005-10-27 2007-03-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구속 맥파도달시간 측정을 이용한 혈압측정시스템 및방법
KR101316497B1 (ko) * 2012-08-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객의 심박수 관찰시스템 및 관찰방법
JP2019126540A (ja) * 2018-01-24 2019-08-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生体情報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8156A1 (en) * 2003-06-20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leeping device and sleeper 's in-bed state detection method
KR101576665B1 (ko) * 2014-01-23 2015-12-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필름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한 혈압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259285B1 (ko) * 2019-04-25 2021-06-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11B1 (ko) * 2005-10-27 2007-03-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구속 맥파도달시간 측정을 이용한 혈압측정시스템 및방법
KR101316497B1 (ko) * 2012-08-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객의 심박수 관찰시스템 및 관찰방법
JP2019126540A (ja) * 2018-01-24 2019-08-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生体情報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3167A1 (en) 2022-10-06
KR20220135912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5867A (ko) 사용자의 혈압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7261811B2 (ja) 訓練された予測モデルに基づく血圧降下の非侵襲的決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Maqsood et al. A benchmark study of machine learning for analysis of signal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for blood pressure estimation using photoplethysmography (PPG)
Jayalakshmi et al. Statistical normalization and back propagation for classification
Tjahjadi et al. Noninvasive classification of blood pressure based on photoplethysmography signals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and time-frequency analysis
KR101910576B1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입력 패턴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6878B1 (ko) 심박수 측정을 위한 헬스케어 장치
KR102435808B1 (ko) 스트레스 지수 측정을 위한 헬스케어 장치
KR102520875B1 (ko) 헬스케어 기능을 구비한 안락 의자
US20230210423A1 (en) Healthcare apparatus for calculating stress index
KR20200063337A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의도를 학습하는 방법 및 장치
Abbod et al. Survey on the use of smart and adaptive engineering systems in medicine
Graurock et al. Automatic pairing of inertial sensors to lower limb segments–a plug-and-play approach
Ji et al. Noninvasive cuffless blood pressure estimation with dendritic neural regression
Tigges et al.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 changes in 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s
KR102394615B1 (ko)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혈압 측정 장치
Li et al. Tactile display on the remaining hand for unilateral hand amputees
EP4458253A1 (en) Digital healthcare device for measuring heart rate using remote ppg
KR102676918B1 (ko) 얼굴 이미지로부터 생체신호를 추정하는 장치
KR102761442B1 (ko) 누워 지내는 환자를 헬스케어하기 위한 장치
Kölle et al. Bionic forceps for the handling of sensitive tissue
Reich et al. Classification of cardiac excitation patterns during atrial fibrillation
KR20240098407A (ko) 재보정을 이용한 혈압 측정 장치
Forouzanfar A modeling approach for coefficient-free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estimation
KR20250076311A (ko) 비접촉 방식의 혈압 추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3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