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84B1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0584B1 KR102520584B1 KR1020200132793A KR20200132793A KR102520584B1 KR 102520584 B1 KR102520584 B1 KR 102520584B1 KR 1020200132793 A KR1020200132793 A KR 1020200132793A KR 20200132793 A KR20200132793 A KR 20200132793A KR 102520584 B1 KR102520584 B1 KR 102520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temperature
- compensation
- difference
- heating z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7 thin-fil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작업시간이 줄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정 계측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 계측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르다. A process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on by reducing working time are provided.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es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determines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a first heating zone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and determin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wherei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the first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the second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정 계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cess instru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s.
반도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사진, 식각, 애싱, 이온주입, 박막증착, 세정 등 다양한 공정이 실시된다. 공정 환경 및 조건을 측정하기 위해서 웨이퍼형 온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웨이퍼 형태의 바디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공정 장비에 인입하고 공정 장비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실제 웨이퍼에 인가되는 온도 분포를 측정/예측할 수 있다. When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or a display device, various processes such as photography, etching, ashing, ion implantation, thin film deposition, and cleaning are performed. A wafer type temperature sensor may be used to measure the process environment and conditions.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a wafer-type body. By inserting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to the process equipment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the process equipmen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ctually applied to the wafer can be measured/predicted.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이용한 종래의 공정 계측 방법은 다음과 같다.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베이크 유닛(bake unit)에 인입하고, 베이크 유닛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측정한다.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베이크 유닛에서 전용 데이터 출력 장치로 이동시켜, 데이터(즉, 측정된 온도분포)를 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베이크 유닛의 오프셋(offset)을 결정한다. 결정된 오프셋을 반영시키고,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베이크 유닛에 다시 인입하고, 베이크 유닛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다시 측정한다. 작업자는 베이크 유닛 내에서의 온도분포가 원하는 분포에 부합할 때까지, 위 작업들을 반복한다. 특히, 오프셋을 작업자가 임의로 계산하거나 경험을 기초로 결정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A conventional process measurement method using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as follows.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introduced into a bake unit, and a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the bake unit is measured.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moved from the bake unit to a dedicated data output device to output data (i.e.,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operator checks the output data and determines the offset of the bake unit. The determined offset is reflected,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drawn into the bake unit again,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bake unit is measured again. The operator repeats the above operations until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the bake unit meets the desired distribution. In particular, since the offset is arbitrarily calculated by the operator or determined based on experience, a difference in working time inevitably occur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시간이 줄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정 계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on by reducing working ti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정 계측 방법의 일 면(aspect)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르다. One aspect of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e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Based on the value, generating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a first heating zone, and determin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a target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a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I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compensation ratio.
상기 제1 보상값은 상기 제1 차이값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이다.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a compensation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difference value.
상기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에 대응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 내에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서의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제2 센싱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1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는, 상기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To generat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ing zone, and the second sensor is the first sensor in the first heating zone. 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value may be generated based on a first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The first temperature value may be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ed value and the second sensed value, and a first weight assigned to the first sensed value may be greater than a second weight assigned to the second sensed value. there is. Alternatively,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sensing value, and the second weight given to the second sensing value is the second heating zone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It may be influenced by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상기 결정된 제1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다시 제공받아,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에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이 연속으로 진행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by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gain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Generating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in a state in which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ing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regenerating proceeds continuously.
기설정된 기간동안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센싱값의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값 미만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1 온도값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a standard devi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may be generated.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추정하고, 상기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stimating a temperature grad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provided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overlapping the temperature gradation with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grada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정 계측 방법의 다른 면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과, 상기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2 차이값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기초로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and a second temperature value of a second heating zone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are generated, and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It may include determin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based on, determining a second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second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and a target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
상기 제1 차이값은 상기 제2 차이값보다 크다.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를 수 있다.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a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compensation ratio.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보상값이 상기 제2 보상값에 영향을 주는 제1 반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보상값이 상기 제2 보상값에 영향을 주는 제2 반영비율과 다를 수 있다.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the first reflection ratio in which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ffects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is such that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reflection ratio that affects the compensation value.
상기 제1 보상값은, 상기 제2 보상값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may not be affected by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상기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에 대응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 내에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1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센서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보다 크다. To generat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ing zone, and the second sensor is the first sensor in the first heating zone. disposed outside one sensor,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ed value and the second sensed value, and a first weight given to the first sensed value is given to the second sensor greater than the second weight to be
상기 결정된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다시 제공받아,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에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이 연속으로 진행된다.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second compensation value,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re received again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are received. Further comprising regenerating the value,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are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Determining and re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proceed continuousl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정 계측 방법의 또 다른 면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es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calculates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Based on this, a temperature gradation is estimated, the estimated temperature gradation is overlapped with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and displayed, 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temperature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is calculated and displayed. may include
상기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이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보상값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based on a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temperature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and a target value.
상기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누적된 보상값이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Accumulated compensation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may be displayed together.
작업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상값이 입력될 수 있는 매뉴얼 입력칸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A manual input column in which a compensation value can be additionally input by an operator is further includ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이 적용되는 예시적인 기판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의 기판 지지 유닛에 설치된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히팅존(예를 들어, Z6)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정 계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320(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웨이퍼형 온도센서의 센서들과, 기판 처리 장치의 히팅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S32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S320(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 단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도 10은 도 9의 온도분포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shows an exemplary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process metrology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heater installed in the substrate support unit of FIG. 1 .
FIG. 2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heating zone (eg, Z6) of FIG. 2A.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measurement modul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320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and compensation value determination step) of FIG. 4 .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sensors of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a heating zone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326 of FIG. 5 .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S320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and compensation value determination step) of FIG. 4 .
9 i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describing software used in a process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viewer of FIG. 9 .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ata table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first element, or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second element, or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이 적용되는 예시적인 기판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의 기판 지지 유닛에 설치된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히팅존(예를 들어, Z6)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정 계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shows an exemplary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process metrology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heater installed in the substrate support unit of FIG. 1 , and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heating zone (eg, Z6) of FIG. 2A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measurement module of FIG. 1 .
우선 도 1에서, 기판 처리 장치(100)의 예로서 베이크 유닛을 도시한다. 베이크 유닛은 기판을 공정 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기 위한 장비로서, 기판의 전체 영역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작업자에 따라 기판의 영역별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First, in FIG. 1 , a bake unit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기판 처리 장치(100)는 챔버(110), 출입구(112), 기판 지지 유닛(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챔버(110)는 내부에 기판을 가열처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킹 공정 동안, 챔버(110) 내부는 상압 또는 감압 분위기일 수 있다. 챔버(110)의 일측에는 출입구(112)가 설치되고, 출입구(112)를 통해서 베이크 공정을 하기 위한 웨이퍼를 집어넣거나 베이크 공정이 완료된 웨이퍼를 빼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챔버(110)의 측벽에는 챔버(110) 내부에 기류(예를 들어, 비활성 가스, 에어)를 유입시키기 위한 주변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챔버(110) 내에는 기판 지지 유닛(120)가 배치되고, 웨이퍼는 기판 지지 유닛(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가열처리된다.A
기판 지지 유닛(120)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히팅존(heating zone)(Z1~Z15)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 히팅존(Z1~Z15)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 부재가 설치된다. 히팅 부재는 예를 들어, 열전 소자 또는 열선일 수 있다. 복수의 히팅존(Z1~Z15)은 기판 지지 유닛(120)의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복수의 히팅존(Z1~Z15)은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히팅존(예를 들어, Z6)내에는 열선이 기설정된 방식으로 배열/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예를 들어, 기판 지지 유닛(120)의 가장 중앙에는 히팅존(Z1)이 위치하고, 히팅존(Z1)을 둘러싸도록 2개의 히팅존(Z2, Z3)이 위치한다. 또한, 2개의 히팅존(Z2, Z3)을 둘러싸도록 4개의 히팅존(Z4, Z5, Z6, Z7)이 위치한다. 여기서, 각 히팅존(예를 들어, Z2)은 2개의 히팅존(예를 들어, Z4, Z5)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히팅존(Z4, Z5, Z6, Z7)을 둘러싸도록 8개의 히팅존(Z8~Z15)이 위치한다. 여기서, 각 히팅존(예를 들어, Z4)은 2개의 히팅존(예를 들어, Z8, Z9)이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ing zone Z1 is located at the very center of the
도 2a에서는 예시적으로, 히팅존(Z1~Z15)이 4겹으로(즉, Z1, Z2~Z3, Z4~Z7, Z8~Z15)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히팅존은 3겹 또는 5겹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각 히팅존(예를 들어, Z4)의 외측에 대응되는 히팅존(예를 들어, Z8. Z9)이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히팅존의 외측에 대응되는 히팅존들은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In FIG. 2A,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heating zones Z1 to Z15 are arranged in four layers (ie, Z1, Z2 to Z3, Z4 to Z7, and Z8 to Z15) by way of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eating zone may be arranged in 3 layers or 5 layers. In addition, in FIG. 2A,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re are two heating zones (eg, Z8 and Z9)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each heating zone (eg, Z4),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re may be three or more heating zones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each heating zone.
복수의 히팅존(Z1~Z15)은 15개로 구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6개 이상일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Z1 to Z15 are illustrated as being divided into 15,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16 or more.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 지지 유닛(120)의 안착면(기판이 접촉하는 면)에는 복수의 핀 홀이 설치되고, 핀 홀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트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리프트 핀은 기판을 들어올리거나, 기판을 기판 지지 유닛(120)의 안착면에 안착시킨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a plurality of pin holes may be installed on a seating surfac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한편, 기판 처리 장치(100)는 베이크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해야 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Meanwhile, th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크 유닛 내에 웨이퍼를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cooling plate)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는 내부에 냉각수 또는 열전소자와 같은 냉각 수단이 설치되어, 웨이퍼를 상온과 동일하거나 이와 인접한 온도로 냉각처리할 수 있다. Also,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cooling plate for cooling the wafe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bake unit. A cooling means such as cooling water or a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plate to cool the wafer to a temperature equal to or close to room temperature.
이러한 기판 처리 장치(100)는 공정 계측 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고하면, 공정 계측 모듈(200)은 컴퓨팅 장치로서, 디스플레이(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메모리(240), 버스(250),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버스(25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메모리(240)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 및 통신(즉, 제어 메시지 전달 및 데이터 전달)할 수 있다. By means of the
프로세서(2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2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메모리(24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DRAM, SRAM, 또는 SD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PRAM, RRAM, MRAM,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잇다. 메모리(240)는,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메모리(240)는 도 4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할 공정 계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다.The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인스트럭션들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르게 제어된다. For example, the
또는, 메모리(240)는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과, 상기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2 차이값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기초로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메모리(240)는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또한, 통신 모듈(230)은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서 기판 처리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도 1의 100 참고) 내부로 반송한다(S310).Referring to FIG. 4 ,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conveyed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refer to 100 in FIG. 1) (S310).
이어서,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판 처리 장치(100)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측정한다. 또한, 웨이퍼형 온도센서가 기판 처리 장치(100)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즉,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별도의 전용 데이터 출력 장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기판 처리 장치(100)의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보상값을 결정한다(S320). 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 방법은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Subsequentl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이어서, 결정된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판 처리 장치(100) 내에서의 온도분포를 다시 측정한다. 다시 측정된 온도분포가 타겟 온도분포에 적합한지 체크한다(S330). 타겟 온도분포에 적합하지 않으면, S320 단계로 돌아간다. 타겟 온도분포에 적합하면, 종료한다. Subsequently,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compensation valu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전술한 것과 같이, 공정 계측 모듈(200)과 기판 처리 장치(100)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100)에서 전용 데이터 출력 장치로 이동시켜서, 웨이퍼형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분포를 읽어낼 필요가 없다. 즉, 웨이퍼형 온도센서가 기판 처리 장치(10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S320), 보상값을 반영한 후의 온도분포 재측정 및 적합여부 판단(S330)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As described above, data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while the
도 5는 도 4의 S320(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웨이퍼형 온도센서의 센서들과, 기판 처리 장치의 히팅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S32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320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and compensation value determination step) of FIG. 4 .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sensors of a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a heating zone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326 of FIG. 5 .
우선 도 5를 참고하여,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는다(S322). First,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wafer type temperature sensor (S322).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예를 들어, 61, 62, 63, 52, 73)는 복수의 히팅존(Z5, Z6, Z7)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센서들(61, 62, 63)은 히팅존(Z6)에 대응되고, 다른 센서(52)는 다른 히팅존(Z5)에 대응되고, 또 다른 센서(73)는 또 다른 히팅존(Z7)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히팅존(예를 들어, Z6)에 3개의 센서(61, 62, 63)이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ensors (for example, 61, 62, 63, 52, and 73) disposed in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Z5, Z6, and Z7. It can be. For example, some
공정 측정 모듈(200)은 이와 같은 센서들(예를 들어, 61, 62, 63, 52, 73)이 측정한 센싱값들을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웨이퍼형 온도센서가 기판 처리 장치(100)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공정 측정 모듈(200)은 센싱값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공정 측정 모듈(200)은 센싱값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측정 모듈(200)은 계속해서(continually) 또는 지속적으로(continuously) 센싱값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측정 모듈(200)은 3분동안, 60번의 센싱값들을 계속해서 받을 수 있다.The
이어서, 제공받은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예를 들어, 도 6의 Z6)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한다(S324). Subsequently,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provided,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eg, Z6 in FIG. 6 ) is generated (S324).
구체적으로,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은, 기설정된 기간동안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센싱값의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값 미만으로 유지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may be performed after a standard devi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계속해서 센서값들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센서값들의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를 들어, 60번의 샘플링기간),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값 미만으로 유지되면 안정화 상태(stable condition)로 판단한다. x번째 샘플링시 제공받은 복수의 센서값들의 표준편차를 "x번째 표준편차"라고 한다. 예를 들어, 1번째 표준편차는 0.3이고, 2번째 표준편차는 0.25이고, 20번째 표준편차는 0.03가 될 수 있다. 21번째 표준편차는 0.03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21번째 표준편차부터 80번째 표준편차가 모두 0.03 미만으로 유지되면(즉, 60번의 샘플링 기간동안 표준편차가 0.03 미만으로 유지되면), 안정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안정화 상태가 되면, 제1 온도값을 생성한다.The sensor values are continuously provided,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ovided sensor values is calculated. Here, if the standard deviation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eg, 60 sampling periods), a stable condition is determined. A standard devi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 values provided at the time of the x-th sampling is referred to as an “x-th standard deviation”. For example, the 1st standard deviation can be 0.3, the 2nd standard deviation can be 0.25, and the 20th standard deviation can be 0.03. The 21st standard deviation can drop below 0.03. If all of the 21st standard deviation to the 80th standard deviation remain less than 0.03 (that is, if the standard deviation remains less than 0.03 for 60 sampling periods), it can be determined as a stable state. In a stable state, a first temperature value is generated.
예를 들어,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제1 히팅존(예를 들어, 도 6의 Z6)에 대응되는 제1 센서(도 6의 61)와 제2 센서(도 6의 62, 63)를 포함하고, 제2 센서(62, 63)는 제1 히팅존(Z6) 내에서 제1 센서(61)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61 in FIG. 6) and a second sensor (62 and 63 in FIG. 6) corresponding to a first heating zone (eg, Z6 in FIG. 6), , The
제1 히팅존(Z6)의 제1 온도값은, 제1 센서(61)의 제1 센싱값과 제2 센서(62, 63)의 제2 센싱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sensed value of the
예를 들어, 제1 온도값은 제1 센싱값과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제1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는, 제1 히팅존(Z6)에 인접한 제2 히팅존(예를 들어, Z5)의 제2 온도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may be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ing values and the second sensing values, and a first weight assigned to the first sensing values may be greater than a second weight assigned to the second sensing values. In addition, the second weight given to the second sensing value may be influenced by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eg, Z5)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Z6.
제1 히팅존(Z6)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 센서(61)는, 제1 히팅존(Z6)의 다른 센서(62, 63)에 비해서 주변의 히팅존(예를 들어, Z5, Z6)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또한 제1 온도값은 제1 히팅존(Z6)을 대표하는 대표값이기 때문에, 제1 센서(61)의 제1 센싱값에 가중치를 크게 부여할 수 있다.The
반면, 제1 히팅존(Z6)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 센서(62, 63)은, 제1 히팅존(Z6) 자체의 영향 뿐만 아니라, 주변의 히팅존(예를 들어, Z5, Z7)의 영향도 받는다. 따라서, 주변의 히팅존(예를 들어, Z5)의 온도가 높으면, 제2 센서(예를 들어, 62)의 제2 센싱값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는 주변의 히팅존의 온도값에 영향을 받는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어서,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한다(S326).Subsequently, a first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S326).
구체적으로, 제1 온도값과 타겟값(TG)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제1 온도값이 100℃ 이고 타겟값(TG)은 110℃일 경우, 제1 차이값은 10℃가 된다.Specifically,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TG is calcula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100°C and the target value TG is 110°C,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10°C.
제1 차이값(즉, 10℃)를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할 수 있다. A first compensation valu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e, 10°C).
여기서 보상값은 각 히팅존(Z1~Z15)에서의 독립적인 가열 처리를 위해서 각 히팅존(Z1~Z15)별로 조절되는 파라미터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히팅존(Z1~Z15)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각 히팅존(Z1~Z15)의 온도를 조절한다면, 보상값은 전류량의 변화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히팅존의 현재 전류량은 1A이고, 보상값이 0.1A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히팅존의 전류량은 1.1A로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compensation value may be a parameter value adjusted for each heating zone Z1 to Z15 for independent heat treatment in each heating zone Z1 to Z15.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each heating zone Z1 to Z15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provided to each heating zone Z1 to Z15, the compensation value may be a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For example, a current amount of a heating zone may be 1A and a compensation value may be 0.1A. In this case, the current amount of the heating zone may be changed to 1.1A.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보상값은 제1 차이값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이값이 10℃이고, 10℃를 높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또는 계산식에 의해 계산되는) 보상값이 0.2A 더라도, 제1 보상값을 0.2A가 아닌 0.1A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may be determined as a compensated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difference value. For example, even if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10°C and the compensation value generally known (or calculated by a calculation formula) is 0.2A to increase 10°C,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0.1A instead of 0.2A. there is.
기판 지지 유닛(120)에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히팅존(Z1~Z15)이 있기 때문에, 각 히팅존(Z1~Z15)의 온도는 각 히팅존(Z1~Z15)에 제공되는 전류량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주변의 히팅존(Z1~Z15)의 온도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주변 히팅존(Z1~Z15)의 영향 때문에, 10℃를 높이기 위해서 보상값을 0.2A로 결정하면, 10℃가 아니라 15℃만큼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에서는, 제1 보상값을 제1 차이값(예를 들어, 10℃)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예를 들어, 5℃만큼 올릴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Z1 to Z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이어서, 결정된 제1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제1 히팅존(Z6)의 제1 온도값을 재생성한다. 만약 재생성된 제1 온도값이 타겟값에 적합하지 않으면, 제1 보상값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제1 보상값을 반영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Subsequently,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is regenerated using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f the regenerated first temperature value does not conform to the target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recalculated, and the recalculated first compensation value is reflected. repeat this process.
여기서 도 7을 참고하여 보상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히팅존(예를 들어, Z6)의 온도값을 나타낸다. STEP1~STEP4 각각은 튜닝단계를 의미한다. Her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pensation valu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x-axis of FIG. 7 represents time,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eg, Z6). Each of STEP1~STEP4 means a tuning step.
1번째 튜닝단계(STEP1)에서, 히팅존(Z6)의 온도값과 타겟값(TG)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이값(D1)을 계산한다. 차이값(D1)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으로 보상값(C1)을 결정한다.In the first tuning step (STEP1), a difference value D1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and the target value TG is calculated. The compensation value C1 is determined as a value compensated for smaller than the difference value D1.
2번째 튜닝단계(STEP2)에서, 보상값(C1)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과 타겟값(TG)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이값(D2)을 계산한다. 보상값(C1)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주변 히팅존(Z5, Z7)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보상값(C1)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도시된 것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다. 차이값(D2)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으로 보상값(C2)을 결정한다. In the second tuning step (STEP2), a difference value D2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value TG and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1 is calculat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1,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may b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heating zones Z5 and Z7. That i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chang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1 may be higher or lower than shown. The compensation value C2 is determined as a value compensated smaller than the difference value D2.
3번째 튜닝단계(STEP3)에서, 보상값(C2)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과 타겟값(TG)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이값(D3)을 계산한다. 보상값(C2)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주변 히팅존(Z5, Z7)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보상값(C2)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도시된 것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다. 차이값(D3)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으로 보상값(C3)을 결정한다.In the third tuning step (STEP3),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2), a difference value (D3)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and the target value (TG) is calculat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2,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may b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heating zones Z5 and Z7. That i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chang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2 may be higher or lower than shown. The compensation value C3 is determined as a value that is compensated smaller than the difference value D3.
4번째 튜닝단계(STEP4)에서, 보상값(C3)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과 타겟값(TG)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이값(D4)을 계산한다. 보상값(C3)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주변 히팅존(Z5, Z7)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보상값(C3)을 반영한 후에 변화된 히팅존(Z6)의 온도값은 도시된 것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다. 차이값(D4)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으로 보상값을 결정한다.In the fourth tuning step (STEP4), a difference value D4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value TG and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3 is calculat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3, the changed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may b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heating zones Z5 and Z7. That i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zone Z6 changed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C3 may be higher or lower than shown. A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as a value that is compensated smaller than the difference value D4.
한편, STEP1에서 차이값(D1)과 보상값(C1) 사이의 보상비율(=C1/D1)은 예를 들어, 50%이고, STEP2에서 차이값(D2)과 보상값(C2) 사이의 보상비율(=C2/D2)은 예를 들어, 30%이고, STEP3에서 차이값(D3)과 보상값(C3) 사이의 보상비율(=C3/D3)은 예를 들어, 20%일 수 있다. 즉, 차이값(D1, D2, D3)이 얼마인지에 따라, 보상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값(D1, D2, D3)이 클수록 보상비율은 높고, 차이값(D1, D2, D3)이 작을수록 보상비율은 낮을 수 있다. Meanwhile, the compensation ratio (=C1/D1)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D1 and the compensation value C1 in STEP1 is, for example, 50%, and the compensation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D2 and the compensation value C2 in STEP2 The ratio (=C2/D2) may be, for example, 30%, and the compensation ratio (=C3/D3)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D3 and the compensation value C3 in STEP3 may be, for example, 20%. That is, the compensation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For example, the larg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higher the compensation ratio, and the small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lower the compensation ratio.
이와 같이 차이값(D1, D2, D3)에 따라 보상비율(C1/D1, C2/D2, C3/D3)을 달리함으로써, 온도값이 더 조심스럽게 타겟값에 접근하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보상비율(C1/D1, C2/D2, C3/D3)을 조정하면, 튜닝 횟수(STEP1~STEP4)는 늘어날 수도 있지만 더 정교하게 튜닝이 가능하다. In this way, by varying the compensation ratios C1/D1, C2/D2, and C3/D3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alues D1, D2, and D3, the temperature value is more carefully adjusted to approach the target value. If the compensation ratios (C1/D1, C2/D2, C3/D3) are adjusted in this way, the number of tunings (STEP1 to STEP4) may increase, but more precise tuning is possible.
도 8은 도 4의 S320(온도분포 분석 및 보상값 결정 단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S320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and compensation value determination step) of FIG. 4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from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도 8을 참고하면,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는다(S322).Referring to FIG. 8 ,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wafer type temperature sensor (S322).
이어서,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예를 들어, 도 6의 Z6 참고)의 제1 온도값과,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예를 들어, 도 6의 Z5 참고)의 제2 온도값을 생성한다(S325). Then,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eg, see Z6 in FIG. 6 ) and the second heating zone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eg, see Z6 in FIG. 6 ) A second temperature value of (refer to Z5) is generated (S325).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온도값/제2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은, 기설정된 기간동안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센싱값의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값 미만으로 유지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second temperature value may be performed after a standard devi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ed values receiv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below a preset value.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온도값/제2 온도값은, 각 히팅존에 대응되는 복수의 센서의 센싱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각 히팅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센서의 센싱값은 가중치를 높게 하고, 각 히팅존의 외곽에 위치하는 센서의 센싱값의 가중치는 주변 히팅존의 영향에 따라 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mperature value/second temperature value may be generated based on sensing values of a plurality of sensors corresponding to each heating zone. A sensing value of a senso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each heating zone has a high weight, and a weight of a sensing value of a sensor positioned outside each heating zone may change according to an influence of a surrounding heating zone.
이어서,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한다(S327). 이어서, 제2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2 차이값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기초로 제2 보상값을 결정한다(S327).Subsequently, a first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S327). Subsequently, a second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S327).
구체적으로, 제1 차이값은 제2 차이값보다 크다. 제1 차이값이 제2 차이값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보상값을 (제2 보상값을 고려하지 않고) 제2 보상값보다 먼저 결정하고, 제2 보상값을 결정할 때에는 제1 보상값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제1 보상값은 제2 보상값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Specifically,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Since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efore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without considering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also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decide by That is,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not affected by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히팅존(Z6)의 제1 보상값을 결정할 때, 차이값(도 7의 D1, D2, D3 참고)이 얼마인지에 따라, 보상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값(D1, D2, D3)이 클수록 보상비율은 높고, 차이값(D1, D2, D3)이 작을수록 보상비율은 낮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determining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the compensation ratio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the difference value (refer to D1, D2, and D3 in FIG. 7) is. For example, the larg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higher the compensation ratio, and the small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lower the compensation ratio.
또한, 제2 히팅존(Z5)의 제2 보상값을 결정할 때, 제1 히팅존(Z6)에서의 차이값(도 7의 D1, D2, D3 참고)이 얼마인지에 따라, 제1 보상값이 제2 보상값에 영향을 주는 반영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이값(D1, D2, D3)이 클수록 반영비율은 높고, 차이값(D1, D2, D3)이 작을수록 반영비율은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Z5,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depends on the difference value (refer to D1, D2, and D3 in FIG. 7) in the first heating zone Z6. A reflection ratio affecting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larg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higher the reflection ratio, and the smaller the difference values D1 , D2 , and D3 , the lower the reflection ratio.
예를 들어, 제1 히팅존(Z6)의 차이값이 20℃인 경우, 보상비율이 50%라면, 제1 히팅존(Z6)의 보상값은, 10℃만큼 올릴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히팅존(Z5)의 차이값이 18℃인 경우, 보상비율 50%와 반영비율 50%를 고려한다면, 제2 히팅존(Z5)의 보상값은, 9℃만큼 올릴 수 있는 값이 아니라, (반영비율을 고려하여) 9℃ 보다 작게 올릴 수 있는 값(예를 들어, 7℃만큼 올릴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is 20°C and the compensation ratio is 50%,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that can be increased by 10°C. . Here, whe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Z5) is 18 ℃, considering the compensation ratio of 50% and the reflection ratio of 50%,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Z5) is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9 ℃ Rather, it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less than 9 ° C (for example,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7 ° C) (considering the reflection ratio).
또는, 제1 히팅존(Z6)의 차이값이 10℃인 경우, 보상비율이 40%라면, 제1 히팅존(Z6)의 보상값은, 4℃만큼 올릴 수 있는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히팅존(Z5)의 차이값이 8℃인 경우, 보상비율 40%와 반영비율 40%를 고려한다면, 제2 히팅존(Z5)의 보상값은, 3.2℃만큼 올릴 수 있는 값이 아니라, (반영비율을 고려하여) 3.2℃ 보다 작게 올릴 수 있는 값(예를 들어, 2.4℃만큼 올릴 수 있는 값) 으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is 10°C and the compensation ratio is 40%,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may be determined as a value that can be increased by 4°C. Here, whe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Z5 is 8°C, considering the compensation rate of 40% and the reflection rate of 40%, the compensation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Z5 is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3.2°C. Instead, it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less than 3.2°C (for example, a value that can be raised by 2.4°C) (considering the reflection ratio).
이어서, 결정된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다시 제공받아 제1 히팅존(Z6)의 제1 온도값, 제2 히팅존(Z5)의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한다. 만약 재생성된 제1 온도값/제2 온도값이 타겟값에 적합하지 않으면, 제1 보상값/제2 보상값을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제1 보상값/제2 보상값을 반영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Subsequently,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second compensation value,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re received again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Z6 and the second heating zone Z5 are measure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is regenerated. If the regenerated first temperature value/second temperature value does not conform to the target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value/second compensation value is recalculated, and the recalculated first compensation value/second compensation value is reflected. repeat this process.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100)에 인입한 상태에서,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S325)과,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S327, S328)과,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이 연속으로 진행된다. Generating a first temperature value and a second temperature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drawn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00 (S325), and determin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a second compensation value (S327). , S328) and re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are continuously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정 계측 방법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도 10은 도 9의 온도분포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describing software used in a process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viewer of FIG. 9 .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ata table of FIG. 9 .
우선 도 9를 참고하면, GUI(20)는 온도분포뷰어(21), 데이터 테이블(22), 리프레시 버튼(23), 적용 버튼(24), 자동 튜닝 버튼(25), 갱신 횟수 입력칸(26), 스펙 설정 입력칸(27) 등을 포함한다.First of all, referring to FIG. 9, the
온도분포뷰어(21)는,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또는 온도맵)과, 복수의 히팅존을 오버랩시켜서 디스플레이한다. 작업자는 온도분포뷰어(21)를 통해서 온도 그라데이션과 복수의 히팅존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타겟값에서 벗어난 히팅존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고, 온도분포의 변화과정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 온도 그라데이션만 디스플레이한다면, 작업자는 대응되는 히팅존을 명확하게 알 수 없다. 온도분포뷰어(21)에 도시되는 히팅존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역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선/열소자 등이 배열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공정 계측 모듈(200)은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웨이퍼 상의 온도 그라데이션을 추정한다. 공정 계측 모듈(200)은 추정한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The
여기서, 도 10을 참고하면, 온도분포뷰어(21)에서 제1 영역(21a)에는 온도 그라데이션과 히팅존이 동시에 표시되되, 온도 그라데이션이 색상, 무늬 등으로 표시된다. 제2 영역(21b)에는 온도 그라데이션의 색상, 무늬 등이 나타내는 온도가 얼마인지를 나타낸다. Here, referring to FIG. 10 , a temperature gradation and a heating zone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e
또한, 공정 계측 모듈(200)은 제공받은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을 산출하여 데이터 테이블(2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도 11을 참고하면, 데이터 테이블(22)은 제1 부분(22a) 내지 제4 부분(22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22a)은 복수의 히팅존(zone1~zone4) 각각의 온도값을 나타내고, 제2 부분(22b)은 복수의 히팅존(zone1~zone4) 각각의 차이값(즉, 온도값과 타겟값 사이의 차이)을 나타낸다. 제3 부분(22c)은 복수의 히팅존(zone1~zone4) 각각의 보상값을 나타낸다. 제3 부분(22c)에서 보상값은, 전류값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상기 전류값에 대응되는 온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4 부분(22d)은 복수의 히팅존(zone1~zone4) 각각의 누적 보상값을 나타낸다. Here, referring to FIG. 11 , the data table 22 may include a
다시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리프레시 버튼(23)을 클릭하면, 데이터 테이블(22)의 새로고침이 이루어진다.Referring back to FIG. 9 , when the user clicks the
사용자가 적용 버튼(24)을 클릭하면, 새로운 보상값이 적용된다.When the user clicks the apply
사용자가 자동 튜닝 버튼(25)을 클릭하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복수의 튜닝 단계(예를 들어, 도 7의 STEP1~STEP4)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갱신 횟수 입력칸(26)에 사용자가 3를 입력하면, 튜닝 단계는 3회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즉, STEP1~STEP3이 연속적으로 진행). When the user clicks the
또한, 사용자는 스펙 설정 입력칸(27)에 안정화 상태로 판단되기 위한 기준 표준편차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펙 설정 입력칸(27)에 예를 들어, 0.03를 입력하면, 기설정된 기간 동안(예를 들어, 60번의 샘플링기간), 계산된 표준편차가 0.03 미만으로 유지되면 안정화 상태(stable condition)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a standard standard deviation for determining a stable state in the specification setting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업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상값이 입력될 수 있는 매뉴얼 입력칸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매뉴얼 입력을 통해서, 작업자가 경험 및 숙련도를 반영하여, 더 빠르게 튜닝을 마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a manual input field in which a compensation value can be additionally input by an operator may be further displayed. Through such manual input, the operator can reflect experience and proficiency and finish tuning more quickly.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기판 처리 장치 110: 챔버
112: 출입구 120: 기판 지지 유닛
200: 공정 계측 모듈 210: 디스플레이
220: 프로세서 230: 통신 모듈
240: 메모리 250: 버스
Z1~Z15: 히팅존100: substrate processing device 110: chamber
112: entrance 120: substrate support unit
200: process measurement module 210: display
220: processor 230: communication module
240: memory 250: bus
Z1~Z15: Heating zone
Claims (20)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른, 공정 계측 방법.In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a first heating zone is generated,
Determin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a target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a first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different from a second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상기 제1 보상값은 상기 제1 차이값보다 작게 보상되는 값인,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a value compensated for smaller than the first difference value,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에 대응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 내에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서의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제2 센싱값을 기초로 생성되는. 공정 계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comprises: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ing zone, the second sensor being disposed outside the first sensor in the first heating zon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generated based on a first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Process instrumentation method.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1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보다 큰,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ed value and the second sensed value,
A first weight given to the first sensed value is greater than a second weight given to the second sensed value.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2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는, 상기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에 영향을 받는,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ed value and the second sensed value,
A second weight given to the second sensing value is influenced by a second temperature value of a second heating zone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상기 결정된 제1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다시 제공받아,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re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에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이 연속으로 진행되는,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6,
Generating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in a state in which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ing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A method of measuring a process in which the regeneration of is carried out continuously.
기설정된 기간동안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센싱값의 표준편차가 기설정된 값 미만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1 온도값을 생성하는,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a standard devi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provid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generated.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추정하고, 상기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estimating a temperature grad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provided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gradation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과, 상기 제1 히팅존에 인접한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1 차이값을 기초로 제1 보상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제2 차이값과, 상기 제1 보상값을 기초로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In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a first temperature value of a first heating zone and a second temperature value of a second heating zone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zone are generated;
Determine a first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first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a target value;
And determining a second compensation value based on a second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상기 제1 차이값은 상기 제2 차이값보다 큰,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1 보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차이값과 제1 보상값 사이의 제2 보상비율과 다른,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a first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different from a second compensation ratio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상기 제1 차이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보상값이 상기 제2 보상값에 영향을 주는 제1 반영비율은,
상기 제1 차이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보상값이 상기 제2 보상값에 영향을 주는 제2 반영비율과 다른,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first value, the first reflection ratio in which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ffects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is a second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different from a second reflection ratio affecting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상기 제1 보상값은, 상기 제2 보상값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is not affected by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에 대응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히팅존 내에서 상기 제1 센서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서의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서의 제2 센싱값을 기초로 생성되되,
상기 제1 온도값은, 상기 제1 센싱값과 상기 제2 센싱값의 가중평균이고, 상기 제1 센싱값에 부여되는 제1 가중치는, 상기 제2 센서에 부여되는 제2 가중치보다 큰, 공정 계측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comprises: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ing zone, the second sensor being disposed outside the first sensor in the first heating zone,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generated based on a first sens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The first temperature value is a weighted average of the first sensed value and the second sensed value, and a first weight assigned to the first sensed value is greater than a second weight assigned to the second sensor. instrumentation method.
상기 결정된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반영한 후에,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다시 제공받아, 상기 제1 히팅존의 제1 온도값과 상기 제2 히팅존의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웨이퍼형 온도센서를 기판 처리 장치에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1 보상값 및 제2 보상값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1 온도값 및 제2 온도값을 재생성하는 것이 연속으로 진행되는,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fter reflecting the determined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second compensation value,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are received again from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heating zon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of the second heating zone are received. Further comprising regenerating the value,
Generating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determining the first compensation value and the second compensation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is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regenerating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proceeds continuously.
웨이퍼형 온도센서 내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온도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온도 그라데이션을 복수의 히팅존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 In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a plurality of sensing value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Estimating a temperature gradation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e estimated temperature gradation is overlapped with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and displaye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ing values,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comprising calculating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상기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온도값과 타겟값의 차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차이값을 기초로,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보상값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7,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compensation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based on the plurality of dif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target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상기 복수의 히팅존 각각의 누적된 보상값이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According to claim 18,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accumulated compensation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ing zones together.
작업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상값이 입력될 수 있는 매뉴얼 입력칸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정 계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8,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manual input field in which a compensation value can be additionally input by an operator, the process measurement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793A KR102520584B1 (en) | 2020-10-14 | 2020-10-14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793A KR102520584B1 (en) | 2020-10-14 | 2020-10-14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308A KR20220049308A (en) | 2022-04-21 |
KR102520584B1 true KR102520584B1 (en) | 2023-04-10 |
Family
ID=8143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793A Active KR102520584B1 (en) | 2020-10-14 | 2020-10-14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058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8394A (en) | 2005-09-26 | 2007-04-05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21913A (en) * | 2004-06-23 | 2005-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baking |
JP6431190B2 (en) * | 2014-10-31 | 2018-11-28 | ワットロー・エレクトリック・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カンパニー | Thermodynamic response sensing system for heater |
JP6570894B2 (en) * | 2015-06-24 | 2019-09-04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Temperature control method |
KR101927697B1 (en) * | 2016-09-02 | 2018-12-12 | 세메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
KR102056089B1 (en) * | 2017-12-20 | 2019-12-16 | 주식회사 에스엔텍비엠 | temporature correction apparatus for sensor mounted wafer |
-
2020
- 2020-10-14 KR KR1020200132793A patent/KR1025205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8394A (en) | 2005-09-26 | 2007-04-05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308A (en) | 2022-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91166B1 (en) | Method for measuring heating plate temperature,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heating plate temperature | |
TWI389166B (en) | Process module tuning | |
CN101436062B (en) | Method of Predicting Wafer Results for Lot Tools | |
US10579041B2 (en) | Semiconductor process control method | |
KR101059423B1 (en) | Temperature setting method of the heat treatment plat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temperature setting device of the heat treatment plate | |
US8060244B2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arrier adjusting system | |
JP6538362B2 (en) | Method of calculating power input to an array of thermal control elements to achieve a two-dimensional temperature output profile | |
TWI498962B (en)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 |
US7957828B2 (en) | Temperature setting method for thermal processing plate, temperature setting apparatus for thermal processing plat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TW20090773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gate optimization evaluation library | |
US20080228308A1 (en) | 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optimization | |
CN107228876B (en) | Method for evaluating thermal shrinkage of glass substrate | |
JP2007187619A (en) | Wafer-type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hermal treatment apparatus an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 |
KR102520584B1 (en)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JP6724622B2 (en) | Horizontal installation device and horizontal installation method of installation object | |
US7897897B2 (en) | Temperature setting method of thermal processing pl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and temperature setting apparatus for thermal processing plate | |
CN11902887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lacement of a substrate on a heater pedestal | |
JP7282923B2 (en) | Resistivity measurement metho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resistivity measurement program, and resistivity measuring instrument | |
JP4751538B2 (en) | Processing system | |
US7420650B2 (en) | Method of setting processing condition in photolithography process, apparatus for setting processing condition in photolithography process,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KR102263718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treating apparatus | |
US7910863B2 (en) | Temperature setting method of thermal processing pl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and temperature setting apparatus for thermal processing plate | |
CN117198916A (en) | Process measurement method | |
US20230350438A1 (en) | Proc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 |
JP2006128572A (en) | Exposure condition correcting metho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