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00B1 -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 Google Patents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0500B1 KR102520500B1 KR1020220044548A KR20220044548A KR102520500B1 KR 102520500 B1 KR102520500 B1 KR 102520500B1 KR 1020220044548 A KR1020220044548 A KR 1020220044548A KR 20220044548 A KR20220044548 A KR 20220044548A KR 102520500 B1 KR102520500 B1 KR 102520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terrace
- fixed
- movable
- guide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한쪽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테라스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조절하거나, 외부와 차단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다라 테라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라스에 있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벽과, 상기 설치벽과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벽체와, 상기 고정벽체의 내측 설치벽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벽체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에 양쪽 끝부분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벽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n one wall of a building and adjusts the space of the terra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block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o that the terr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s about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race installed on one side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 installation wall installed vertically, a fixed wall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and the floor of the terrace space, and an installation wall installed inside the fixed wall A first guide rail, a second guide rail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fixed wall, and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are movably coupled horizontally and inserted into the fixed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r a movable wall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in a form extending out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한쪽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테라스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조절하거나, 외부와 차단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테라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a building and adjusts the space of the terra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block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o that the terrace can be open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It's about technology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테라스는 정원의 일부를 높게 쌓아올린 대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 형성된다.In general, a terrace means a site on which a part of a garden is piled high, an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상기 테라스는 건물의 외부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부에 비해 햇볕이 잘 드는 곳이며 각종 식물을 키우기에 적합하다. 이뿐만 아니라 테라스에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하여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Since the terrace correspond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t is relatively sunny compa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is suitable for growing various plants. In addition, tables and chairs are placed on the terrace to be used as a space for drinking tea.
그러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해당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기온이 적당할 때에는 식물을 키우기에 적합하지만, 기온이 매우 낮아지거나 장마나 폭우로 인하여 다량의 비가 내릴 경우에는 식물이 제대로 자랄 수 없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However, sinc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that purpose depending on the weather.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suitable, it is suitable for growing plants, but when the temperature is very low or a large amount of rain falls due to the rainy season or heavy rain, it is plac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not grow properly.
따라서, 날씨에 따라 테라스에 있는 식물을 실내로 옮기는 형태로 번거로운 작업을 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a cumbersome task in the form of moving plants from the terrace indoors depending on the weather.
그리고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가오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냉난방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in a rainy situation, and since it is open,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is reduced.
테라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21-0104947호(신축조절이 용이한 건물의 테라스)에는 건물의 바닥층과 기초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테라스를 위치시켜 평상시에는 테라스가 은폐되어 있다가 필요시 테라스가 외부로 이동되어 건물의 바닥 유효면적을 확장시켜 출 수 있도록 하며 신축이동수단에 의해 테라스를 자동으로 신축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안전이동수단에 의해 테라스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terrace,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4947 (Terrace of a building that can be easily stretched and controlled) forms a space between the floor and the base of the building and places the terrace in this space, so that it is normally used as a terrace. is concealed, and if necessary, the terrace is mov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effective floor area of the building can be expanded and removed. A technology capable of moving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은 테라스 사용시에만 테라스의 바닥부분을 건물의 외부로 꺼내어 사용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씨문제로 인해 테라스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 아니다.The prior art is to take the floor of the terrace out of the building only when using the terrace and use it,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a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utilize the terrace due to weather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한쪽에 테라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테라스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하는 벽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닫거나 열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날씨와 관계없이 테라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a terrace space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ut the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terrace can be closed or opened as desired by the user. It aims to provide an open and closed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o efficiently use the terrace space regardless of the weather.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라스에 있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벽과, 상기 설치벽과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벽체와, 상기 고정벽체의 내측 설치벽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벽체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에 양쪽 끝부분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벽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race installed on one side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 installation wall installed vertically, a fixed wall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and the floor of a terrace space, and a second installation installed on the inner installation wall of the fixed wall. A first guide rail, a second guide rail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fixed wall, and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are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horizontally so as to be inserted into or out of the fixed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ovable wall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in a form extending to.
또한 상기 고정벽체와 이동벽체의 형상은 가로벽과 세로벽이 일체로 형성된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ed wall and the movable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wall and the vertical wall are integrally formed in a "b" shape.
또한 상기 고정벽체와 이동벽체의 가로벽은 세로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walls of the fixed wall and the movable wal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toward the vertical wall.
또한 상기 고정벽체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동벽체는 복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정벽체 내측에 복수의 이동벽체가 삽입되거나 고정벽체의 외측으로 복수의 이동벽체가 다단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ed wall is composed of a single component and the movable wal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so that a plurality of movable walls are inserted inside the fixed wall or a plurality of movable walls extend outside the fixed wall in multiple stages. .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벽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은 내측에 설치된 이동벽체가 외측에 설치된 이동벽체에 비해 더 긴 설치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plurality of movable wall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wall installed on the inside has a longer installation section than the movable wall installed on the outside.
또한 상기 이동벽체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 제1이동수단이 결합되고, 반대편에는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 제2이동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moving means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wall, and a second moving means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do.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한쪽에 마련된 테라스 공간을 개폐 가능한 형태로 설치하여,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에도 제약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식물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 테라스 내부의 온실효과를 통해 식물성장의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terrace sp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an openable form, 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xisting buildings without restrictions, and optimizes plant growth through the greenhouse effect inside the terrace in growing plants environmen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테라스를 카페와 같은 용도로 적극 활용할 수 있고, 날씨에 따라 테라스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다양한 테라스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errace can be actively utilized for purposes such as cafes, and that various terrace environments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mood by allowing the terrace to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weather.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날씨가 좋거나 환기나 청소가 필요할 때에는 테라스를 개방하고, 외부의 날씨가 안 좋을 때에는 테라스를 닫아서 외부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terrace when the outside weather is good or ventilation or cleaning is needed, and closes the terrace when the outside weather is ba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can be efficiently used while not being affected by the outside weather. has the advantage of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이동벽체를 고정벽체 내부로 삽입하여 테라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이동벽체를 고정벽체 외부로 연장하여 테라스의 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바닥에 설치된 고정벽체와 이동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설치벽에 설치된 고정벽체와 이동벽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에 적용되는 제1,2가이드레일과 제1,2이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에서 제1가이드레일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enable terrace for install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race is opened by inserting the movable wall of the open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fixed wall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of the terrace is formed by extending the movable wall of the openable terrace for instal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of the fixed wall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fixed wall and a movable wall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openable terrace for instal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fixed wall and a movable wall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wall of the open-and-close terrace for instal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ans applied to the openable terrace for instal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ing applied to the first guide rail in the open-and-close terrace for install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enable terrace for install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테라스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벽(100)과, 상기 설치벽(100)과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벽체(200)와, 상기 고정벽체(200)의 내측 설치벽(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고정벽체(200)의 내측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40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에 양쪽 끝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벽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벽체(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race installed on one side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s shown in FIGS. 1 to 3. More specifically, an
본 발명의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는 고정벽체(200)를 제외한 이동벽체(500)가 고정벽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테라스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The open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상기 설치벽(100)은 테라스에 해당하는 건물의 외벽 한쪽에 건물 외벽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고정벽체(200)와 이동벽체(500)의 한쪽부분을 지지해주는 중요한 벽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벽(100)은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상기 고정벽체(200)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형상은 가로벽(210)과 세로벽(220)이 일체로 형성된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벽체(200)의 가로벽(210) 끝 부분은 설치벽(100)에 고정되고, 고정벽체(200)의 세로벽(220) 끝 부분은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벽체(200)는 콘크리트 또는 조립식 패널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지만, 햇볕이 고정벽체(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고정벽체(200)는 도면과 같이 별도의 고정브라켓(230)을 이용하여 설치벽(100)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30)에는 앵커볼트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벽체(200)의 가로벽(210)은 세로벽(22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이 고여있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이동벽체(500)는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벽체로서, 고정벽체(200)의 크기에 비해 작은 스케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테라스 개방시에는 이동벽체(500)를 고정벽체(20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삽입하게 되고, 테라스를 개방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벽체(500)를 고정벽체(200) 외측으로 수평으로 꺼내어 연장하게 된다.The
상기 이동벽체(500)는 단일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정벽체(200) 내측에 복수의 이동벽체(500)가 삽입되거나 고정벽체(200)의 외측으로 복수의 이동벽체(500)가 다단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The
상기 이동벽체(500) 역시 고정벽체(200)와 같이 가로벽(510)과 세로벽(520)이 일체로 형성된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벽(510)은 세로벽(52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질 역시 햇볕이 고정벽체(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본 발명의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은 상기 이동벽체(500)가 설치벽(100)과 바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주는 구성으로서, 도면과 같이 바닥과 설치벽(100)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된다.The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벽체(500)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복수의 이동벽체(500)에 설치되는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은 내측에 설치된 이동벽체(500)가 외측에 설치된 이동벽체(500)에 비해 더 긴 설치구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복수의 이동벽체(500)가 다단으로 연장되려면 안쪽에 위치한 이동벽체(500)일수록 더 많이 이동해야 하므로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의 설치구간이 더 길게 형성되어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 더 길게 이루어져야 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상기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의 설치구간이 이동벽체(500)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로 설치되어야 한다. 최대로 이동벽체(500)를 연장한 경우에도, 고정벽체(200)와 이동벽체(500)의 경계부가 약간은 겹쳐지도록 하여 밀폐력을 높이는 것이 좋다.Since the installation section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벽체(500)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제1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 제1이동수단(600)이 결합되고, 반대편에는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 제2이동수단(700)이 결합된다.And, as shown in FIGS. 4 and 5,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moving means 60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상기 제1이동수단(600)과 제2이동수단(700)은 이동벽체(500)를 이동함에 있어서, 마찰을 최소화하여 사람의 힘으로 중량체에 해당하는 이동벽체(500)를 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The first moving means 60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700 are used to easily move the moving
상기 제1이동수단(600) 및 제2이동수단(7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1가이드레일(300) 및 제2가이드레일(40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310)(410)과, 상기 레일프레임(310)(410)의 상부에 레일부(320)(4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Prior to explaining the first moving means 60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700,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제1이동수단(600) 및 제2이동수단(700)의 구성은 하향개구되어 있는 롤러본체(610)(710)와, 상기 롤러본체(610)(7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레일부(320)(420)에 맞닿아 회전하는 이동롤러(620)(720)와, 상기 이동롤러(620)(720)의 하부에는 롤러본체(610)(710)에 형성된 끼움홈(611)(711)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브러시(630)(7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oving means 60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700 are the roller bodies 610 and 710 that are opened downward, and are installed inside the roller bodies 610 and 710 to form a rail part. The moving rollers 620 and 720 rotate in contact with the 320 and 420, and the fitting grooves 611 and 711 formed in the roller bodies 610 and 710 below the moving rollers 620 and 720, respectively. ) Is coupled to the shielding brush 630, 73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cludes.
상기 이동롤러(620)(720)는 레일부(320)(420)에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벽(100)쪽에 해당하는 제1이동수단(600)은 이동벽체(500)의 끝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바닥 쪽에 해당하는 제2이동수단(700)은 이동벽체(500)의 내측에 매립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movable rollers 620 and 720 must be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raised on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 중에서 바닥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4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배치된다. 반면, 설치벽(100)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3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1가이드레일(300)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 " 형상의 보호케이싱(330) 내부에 레일프레임(310)이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보호케이싱(330)으로 인해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그 힘이 제2이동수단(700)이나 이동벽체(500)에 전달되지 않고 보호케이싱(330)이 하중을 견디는 구조가 되어 이동벽체(5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mong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벽체(500)의 입구부분에 마감벽(800)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벽(800)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도어(81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마감벽(800)과 도어(810)는 이동벽체(500)의 입구뿐만 아니라 반대편 고정벽체(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그리고 상기 도어(810)는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810)로 적용될 수 있고, 개방감을 높이기 위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딩도어(810)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마감벽(800)과 도어(810)를 통해 테라스 전체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되면,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테라스 내부에 식물을 키울 때 추운 외부환경에서도 테라스 내부는 온실효과를 낼 수 있어서 식물을 키우는 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냉난방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tire terrace can be sealed through the finish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설치벽 200 : 고정벽체
210 : 가로벽 220 : 세로벽
230 : 고정브라켓 300 : 제1가이드레일
400 : 제2가이드레일 310, 410 : 레일프레임
320, 420 : 레일부 330 : 보호케이싱
500 : 이동벽체 510 : 가로벽
520 : 세로벽 600 : 제1이동수단
700 : 제2이동수단 610, 710 : 롤러본체
611, 711 : 끼움홈 620, 720 : 이동롤러
630, 730 : 차폐브러시 800 : 마감벽
810 : 도어100: installation wall 200: fixed wall
210: horizontal wall 220: vertical wall
230: fixed bracket 300: first guide rail
400:
320, 420: rail part 330: protective casing
500: movable wall 510: horizontal wall
520: vertical wall 600: first means of movement
700: second moving means 610, 710: roller body
611, 711: fitting groove 620, 720: moving roller
630, 730: shielding brush 800: finishing wall
810: door
Claims (6)
건물 외벽의 한쪽에, 건물 외벽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벽(100)과,
상기 설치벽(100)과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벽체(20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벽체(200)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형상은 가로벽(210)과 세로벽(220)이 일체로 형성된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벽체(200)의 가로벽(210) 끝 부분은 설치벽(100)에 고정되고, 고정벽체(200)의 세로벽(220) 끝 부분은 테라스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벽체(200)의 내측 설치벽(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고정벽체(200)의 내측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400)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300)과 제2가이드레일(400)에 양쪽 끝부분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벽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벽체(500);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벽체(500) 역시 고정벽체(200)와 같이 가로벽(510)과 세로벽(520)이 일체로 형성된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벽체(500)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제1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 제1이동수단(600)이 결합되고, 반대편에는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 제2이동수단(700)이 결합되며,
설치벽(100)쪽에 해당하는 제1이동수단(600)은 이동벽체(500)의 끝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바닥 쪽에 해당하는 제2이동수단(700)은 이동벽체(500)의 내측에 매립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1가이드레일(300)은 " " 형상의 보호케이싱(330) 내부에 레일프레임(310)이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벽체(500)는 고정벽체(200)의 크기에 비해 작은 스케일로 이루어지며, 테라스 개방시에는 이동벽체(500)를 고정벽체(20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삽입하게 되고, 테라스를 개방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벽체(500)를 고정벽체(200) 외측으로 수평으로 꺼내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
In the terra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 installation wall 10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nstalled vertically;
The installation wall 100 and the fixed wall 200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terrace space are provided, but the fixed wall 200 is composed of a single structure, and the shape is a horizontal wall 210 and a vertical wall 220 ) is integrally formed in a "a" shape, the end of the horizontal wall 210 of the fixed wall 20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100, and the end of the vertical wall 220 of the fixed wall 200 The part is fixed to the floor of the terrace space,
A first guide rail 30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inner installation wall 100 of the fixed wall 200 and a second guide rail 40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inner floor of the fixed wall 200,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rail 300 and the second guide rail 400 are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to the fixed wall 200 and inserted into the fixed wall 200 or horizontally movably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outward. It consists of; a movable wall 500,
Like the fixed wall 200, the movable wall 500 is also formed in a "b"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wall 510 and the vertical wall 520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wall 500, first movable means 600 are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300, and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400 on the opposite side. A second moving means 700 is coupled,
The first moving means 600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installation wall 1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moving wall 50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70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ide of the moving wall 500 On the other hand, it is combined in the form of being buried inside,
The first guide rail 300 is " It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rail frame 310 is embedded inside the " shaped protective casing 330,
The movable wall 500 is made of a smaller scale than the size of the fixed wall 200, and when the terrace is opened, the movable wall 500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fixed wall 200, and the terrace is not opened. When not, the movable wall 500 is horizontally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fixed wall 200 and extended.
상기 고정벽체(200)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동벽체(500)는 복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정벽체(200) 내측에 복수의 이동벽체(500)가 삽입되거나 고정벽체(200)의 외측으로 복수의 이동벽체(500)가 다단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설치용 개폐형 테라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wall 200 is made of a single component, and the movable wall 500 is mad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so that a plurality of movable walls 500 are inserted inside the fixed wall 200 or outside the fixed wall 200 A plurality of movable walls 500 is an open and closed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extended in multiple stag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4548A KR102520500B1 (en) | 2022-04-11 | 2022-04-11 |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4548A KR102520500B1 (en) | 2022-04-11 | 2022-04-11 |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0500B1 true KR102520500B1 (en) | 2023-04-13 |
Family
ID=8597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4548A Active KR102520500B1 (en) | 2022-04-11 | 2022-04-11 |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05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9949B1 (en) | 2023-11-30 | 2024-06-28 | 김종국 | Sunroom structure with easy-to-construct fastening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8873A (en) * | 1993-08-06 | 1995-02-21 | Sankyo Alum Ind Co Ltd | Bay window balcony |
KR20120120901A (en) * | 2011-04-25 | 2012-11-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Universal passage system module |
KR20210104947A (en) | 2020-02-16 | 2021-08-26 | 엄규석 | Moving terrace |
-
2022
- 2022-04-11 KR KR1020220044548A patent/KR1025205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8873A (en) * | 1993-08-06 | 1995-02-21 | Sankyo Alum Ind Co Ltd | Bay window balcony |
KR20120120901A (en) * | 2011-04-25 | 2012-11-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Universal passage system module |
KR20210104947A (en) | 2020-02-16 | 2021-08-26 | 엄규석 | Moving terra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9949B1 (en) | 2023-11-30 | 2024-06-28 | 김종국 | Sunroom structure with easy-to-construct fasten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5062B2 (en) | Structure having convertible roof and walls | |
US20170145689A1 (en) | Pergola cover | |
US8347935B2 (en) | Rigid retractable patio or window awning and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
US4426744A (en) | Combination of an outdoor swimming pool and adjustable roof structure | |
KR102012748B1 (en) | Arched opening and closing type roof system | |
KR102520500B1 (en) | Retractable terrace for installation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 |
CN104677070A (en) | Multifunctional object airing rack | |
US20040003536A1 (en) | Greenhouse | |
JP2013063061A (en) | Ventilating system of cultivation greenhouse facility | |
US5035093A (en) | Building structure with fixed center and movable perimeter roof sections | |
US20230151614A1 (en) | Terrace canopy | |
KR101256635B1 (en) | The roof combined with windproof, ventiliation and awnings, and the outdoor facilities using the same | |
KR100888741B1 (en) | Compound Open Arcade | |
US20120090250A1 (en) | Retractable Enclosure | |
JP2010065513A (en) | Awning device | |
KR101922134B1 (en) | Roof structure for container type house | |
US11959283B2 (en) | Heat and/or light regulating system | |
KR101090972B1 (en) | Folding window | |
EP0530422A1 (en) | Decorated veranda with totally foldable opening parts and without posts | |
KR102263829B1 (en) |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type awning | |
TW201912917A (en) | Movable guardrail | |
KR101931718B1 (en) | A pleated screen blind device installed inside a double glass | |
KR101517939B1 (en) | The installation device of open-shut type curtain wall for space utilization outdoor of the architecture | |
CN216982783U (en) | Greenhouse structure with sliding window glass | |
GB2424425A (en) | Inflatable sun awning and conservat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3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