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9765B1 - 라이딩용 장갑 - Google Patents

라이딩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765B1
KR102519765B1 KR1020220116216A KR20220116216A KR102519765B1 KR 102519765 B1 KR102519765 B1 KR 102519765B1 KR 1020220116216 A KR1020220116216 A KR 1020220116216A KR 20220116216 A KR20220116216 A KR 20220116216A KR 102519765 B1 KR102519765 B1 KR 10251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nd
string
glove
glov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드원
Priority to KR102022011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타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라이딩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복적으로 벌어짐이 발생되는 손목 조절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손등을 덮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가 일체를 이루며, 하단에 손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된 장갑본체; 상기 장갑본체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등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조임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부분에 조임밴드가 부착될 수 있는 밴드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장갑본체의 하단 및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가지면서 장갑본체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끈 형태인 보강스트링이 합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이딩용 장갑{Gloves for riding}
본 발명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타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라이딩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손목 조절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된 라이딩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타는 사용자는, 손에 라이딩용 장갑을 착용하여 진동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러한 라이딩용 장갑은, 손가락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긴장갑과, 손가락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끼워지는 반장갑이 있다.
긴장갑은 겨울철에 주로 사용되는바, 사용자는 긴장갑보다 반장갑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반장갑은 손등과 손바닥을 둘러싸는 장갑본체와, 장갑본체와 일체를 이루면서 손가락 일부가 노출되게끔 끼워지는 손가락부를 포함한다. 장갑본체에서 손등을 덮는 손등부에는, 착탈의 편의를 위해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단으로부터 손가락부가 위치되는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벌어짐유도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조임밴드가 구비되고, 벌어짐유도부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손등부 부분에는 조임밴드가 탈부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임밴드를 통해 손목 사이즈에 맞게 조절가능한 반장갑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벌어짐유도부는, 반복적인 벌어짐으로 인해 본체가 헐거워져 안정적으로 손을 감싸는 착용감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8857호 '운동용 장갑'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복적으로 벌어짐이 발생되는 손목 조절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라이딩용 장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은, 손등을 덮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가 일체를 이루며, 하단에 손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된 장갑본체; 상기 장갑본체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등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조임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부분에 조임밴드가 부착될 수 있는 밴드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장갑본체의 하단 및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가지면서 장갑본체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끈 형태인 보강스트링이 합봉된다.
또한, 상기 보강스트링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을 함입된 벌림유도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밴드는, 일단이 벌어짐유도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면서 밴드고정부와 벨크로를 통해 부착되는 제1 밴드부와, 제1 밴드부의 타단에서 제1 밴드부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면서 밴드고정부와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제2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스트링은, 일단과 타단이 제2 밴드부에 연결된 조절끈이 내부를 지나게끔 구비되어, 상기 제1 밴드부를 밴드고정부에 부착시킨 후, 상기 제2 밴드부가 제1 밴드부로부터 이격되게끔 이동시켜 조절끈이 당겨짐에 따라 보강스트링이 손목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밴드부는, 조절끈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하게끔 끈가이드돌부가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밴드고정부에서 제1 밴드부가 부착되는 제1 고정부에는, 끈가이드돌부가 수용될 수 있는 돌부수용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갑본체의 하단 및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의 가장자리에 보강스트링이 합봉되어 있는바, 장갑을 착용하거나 벗음에 있어 반복적으로 벌어짐이 발생되는 손목 조절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착용감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벌림유도홈을 통해 보강스트링에 유연함을 증대시켜, 착탈에 따른 보강스트링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1차적으로 손목 사이즈에 따라 제1 밴드부를 고정 후, 보강스트링 내부를 지나는 조절끈을 당김에 따라 장갑본체의 입구가 손목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손보다 다소 큰 사이즈의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견고히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입구가 점점 벌어져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에 적용되는 보강스트링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A-A, B-B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에 적용된 조임밴드가 밴드고정부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제2 밴드부가 당겨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에 적용된 조임밴드와 밴드고정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에 적용된 조임밴드가 밴드고정부에 부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반복적으로 벌어짐이 발생되는 손목 조절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손등을 덮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가 일체를 이루며, 하단에 손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된 장갑본체; 상기 장갑본체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등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조임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벌어짐유도부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부분에 조임밴드가 부착될 수 있는 밴드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장갑본체의 하단 및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가지면서 장갑본체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끈 형태인 보강스트링이 합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용 장갑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장갑본체(100)와, 장갑본체(10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200)를 포함한다.
장갑본체(100)는, 손등을 덮는 손등부(100a)와,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100b)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하단에 손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입구가 형성된 방향을 하방, 장갑본체(100)로부터 손가락부(200)가 형성된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손등부(100a)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110)가 형성된다. 벌어짐유도부(110)는 사용자마다 손 사이즈가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후술할 조임밴드(120)를 사용자의 손 사이즈에 맞추는 당김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입구를 통해 사용자의 손을 집어 넣거나 사용자의 손을 빼낼 때 장갑본체(100)가 벌어지도록 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벌어짐유도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
Figure 112022096778140-pat00001
'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바, 최상단을 제외한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는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벌어짐유도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조임밴드(120)가 구비되며, 벌어짐유도부(110)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손등부(100a) 부분에는 조임밴드(120)가 부착될 수 있는 밴드고정부(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 사이즈에 맞춰 조임밴드(120)를 밴드고정부(13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라이딩용 장갑에서, 장갑본체(100)의 하단과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110)의 가장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형태인 보강스트링(140)이 합봉된다. 보강스트링(140)은 사용자의 손목과 접할 수 있는 부분으로 소정의 쿠션감을 가지면서 장갑본체(100)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보강스트링(140)은, 일 예로 종단면이 원형인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스트링(140)은 내측 가장자리가 장갑본체(100)의 하단과 벌어짐유도부(110)의 가장자리에 합봉된다.
이는 착탈시 벌어짐이 발생되는 부분인 장갑본체(100)의 하단과 벌어짐유도부(110)의 가장자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인바, 조임밴드(120)를 밴드고정부(130)에 반복적으로 착탈하면서 장기간 장갑을 사용하더라도 헐거워짐없이 안정적인 착용감이 유지될 수 있다.
보강스트링(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벌림유도홈(14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림유도홈(141)은 내측을 향해 뾰족하거나 오목하게 함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벌림유도홈(141)으로 인해, 보강스트링(140)은 각 벌림유도홈(141)의 양측편 부분이 더욱 손쉽게 벌어질 수 있는바, 유연함이 증대되어 장갑의 착탈시 발생되는 벌어짐에 따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되는 보강스트링(140)에서도 벌림유도홈(141)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장갑을 착용하여 조임밴드(120)를 밴드고정부(13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장갑본체(100)의 하단에 위치되는 입구가 조여져 손목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조임밴드(120)는,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벌어짐유도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제1 밴드부(120a)와, 제1 밴드부(120a)의 타단에서 제1 밴드부(120a)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밴드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밴드고정부(130)는,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밴드(120)에 대응되게끔 제1 밴드부(120a)가 부착되는 제1 고정부(130a)와, 제2 밴드부(120b)가 부착되는 제2 고정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스트링(140)은,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제2 밴드부(120b)에 연결되는 조절끈(142)이 내부를 지나게끔 구비될 수 있다. 즉, 조절끈(142)은 보강스트링(140)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강스트링(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스트링(140)의 내부에 구비되며, 조임밴드(120)의 일단이 결합된 부근에서 보강스트링(140)의 외측으로 나와 제1 밴드부(120a)를 지나 제2 밴드부(120b)에 일단과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끈(142)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면서 제1 밴드부(120a)와 분리되는 제2 밴드부(120b)가 제1 밴드부(120a)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밴드부(120a)를 자신의 손 사이즈에 맞게끔 제1 고정부(130a)에 부착시킨 후, 제2 밴드부(120b)가 제1 밴드부(120a)로부터 이격되게끔 이동시켜 조절끈(142)이 당겨짐에 따라, 입구가 조여져 보강스트링(140)이 손목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보다 다소 큰 사이즈의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견고히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착탈이 이루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입구가 점점 벌어져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조절끈(142)을 통한 보강스트링(140)의 밀착이 가능한 조임밴드(120) 및 밴드고정부(130)는, 1차적인 부착이 이루어진 후, 2차적인 부착이 이루어진다. 제1 밴드부(120a) 및 제1 고정부(130a)와의 제1 결합수단과, 제2 밴드부(120b) 및 제2 고정부(130b)와의 제2 결합수단이 모두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기는 하나, 1차적인 부착과 2차적인 부착이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제1 결합수단은 벨크르로 이루어지고, 제2 결합수단은 자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30a)는, 그 길이가 제1 밴드부(120a)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2 고정부(130b)는, 그 길이가 제2 밴드부(130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밴드부(120a)가 벨크로를 통해 제1 고정부(130a)에 부착되도록 한 후, 본인이 원하는 정도로 보강스트링(140)이 밀착되게끔 제2 밴드부(130b)를 이동시킨 다음, 이동이 완료된 지점과 대응되는 제2 고정부(130b) 지점에 제2 밴드부(130b)가 자력을 통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끈(142)이 조임밴드(120)의 일단이 결합된 부근에서 보강스트링(140)의 외측으로 나와 제1 밴드부(120a)를 지남에 있어, 제1 밴드부(120a)와 제1 고정부(130a) 간의 부착에 간섭되지 않게끔 제1 밴드부(120a) 내부를 관통하며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부(120a)는 조절끈(142)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하게끔 끈가이드돌부(121)가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끈가이드돌부(121)는 제1 밴드부(120a)에서 제1 고정부(130a)와 부착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고정부(130a)와 부착되는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끈가이드돌부(121)가 제1 밴드부(120a)에서 제1 고정부(130a)와 부착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끈가이드돌부(121)는, 제1 고정부(130a)와의 부착시 떨어짐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130a)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가이드돌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돌부수용홈(131)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끈가이드돌부(121)가 돌부수용홈(131)에 수용되게끔 제1 고정부(130a)에 부착된 제1 밴드부(120a)는, 폭방향으로 떨어지게 하려는 힘이 작용될 시, 끈가이드돌부(121)에 의한 걸림으로 인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장갑본체(100)를 구성하면서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100b)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부(100b)의 하단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당김유도돌부(15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당김유도돌부(150)는, 손에 장갑을 끼우는 과정에서 해당 부분을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손쉽게 장갑이 끼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당김유도돌부(150)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장갑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본체결합수단(151)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결합수단(151)은, 벨크로, 똑딱 단추,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김유도돌부(150)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각각의 장갑본체(100)의 손바닥부(100b)에 형성된 당김유도돌부(150)가 마주하도록 한 후, 본체결합수단(151)을 상호 결합시킴에 따라 어느 한 장갑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가락부(200)는, 손가락 전체를 감싸게끔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끔 형성될 수도 있다. 손가락부(200)에서 손바닥부(100b)와 동일한 측에 형성된 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지와 약지가 끼워지는 손가락부(200)의 끝단에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게끔 미끄럼방지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엄지, 검지 및 새끼가 끼워지는 손가락부(200)의 끝단에는 복수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끔 형성된 손가락부(2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갑을 손쉽게 벗기기 위한 벗김유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벗김유도구는 일 예로 검지와 중지, 그리고 중지와 약지가 끼워지는 손가락부(20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해당 벗김유도구를 이용하여 당김에 따라 장갑이 손쉽게 빠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장갑본체 100a : 손등부
100b : 손바닥부
110 : 벌어짐유도부
120 : 조임밴드 120a : 제1 밴드부
120b : 제2 밴드부 121 : 끈가이드돌부
130 : 밴드고정부 130a : 제1 고정부
130b : 제2 고정부 131 : 돌부수용홈
140 : 보강스트링 141 : 벌림유도홈
142 : 조절끈
150 : 당김유도돌부 151 : 본체결합수단
200 : 손가락부 210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4)

  1. 손등을 덮는 손등부(100a)와, 손바닥을 덮는 손바닥부(100b)가 일체를 이루며, 하단에 손이 끼워지는 입구가 형성된 장갑본체(100); 상기 장갑본체(100)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손등부(100a)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입된 벌어짐유도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벌어짐유도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조임밴드(120)가 구비되며, 상기 벌어짐유도부(110)의 타측편에 위치되는 부분에 조임밴드(120)가 부착될 수 있는 밴드고정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장갑본체(100)의 하단 및 이에 연장된 벌어짐유도부(11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가지면서 장갑본체(100)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끈 형태인 보강스트링(140)이 합봉되고,
    상기 조임밴드(120)는, 일단이 벌어짐유도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면서 밴드고정부(130)와 벨크로를 통해 부착되는 제1 밴드부(120a)와, 제1 밴드부(120a)의 타단에서 제1 밴드부(120a)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면서 밴드고정부(130)와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제2 밴드부(120b)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스트링(140)은, 일단과 타단이 제2 밴드부(120b)에 연결된 조절끈(142)이 내부를 지나게끔 구비되어,
    상기 제1 밴드부(120a)를 밴드고정부(130)에 부착시킨 후, 상기 제2 밴드부(120b)가 제1 밴드부(120a)로부터 이격되게끔 이동시켜 조절끈(142)이 당겨짐에 따라 보강스트링(140)이 손목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용 장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120a)는, 조절끈(142)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하게끔 끈가이드돌부(121)가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밴드고정부(130)에서 제1 밴드부(120a)가 부착되는 제1 고정부(130a)에는, 끈가이드돌부(121)가 수용될 수 있는 돌부수용홈(131)이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딩용 장갑.
KR1020220116216A 2022-09-15 2022-09-15 라이딩용 장갑 Active KR10251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16A KR102519765B1 (ko) 2022-09-15 2022-09-15 라이딩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16A KR102519765B1 (ko) 2022-09-15 2022-09-15 라이딩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765B1 true KR102519765B1 (ko) 2023-04-13

Family

ID=8597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16A Active KR102519765B1 (ko) 2022-09-15 2022-09-15 라이딩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76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01U (ja) * 1996-09-02 1997-03-18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手 袋
KR200418857Y1 (ko) 2006-03-20 2006-06-15 허상구 운동용 장갑
JP3127054U (ja) * 2006-08-31 2006-11-16 利博 雪本 手袋
US20070113317A1 (en) * 2005-11-18 2007-05-24 Louis Garneau High breathability cycling hand glove
JP2012052261A (ja) * 2010-09-01 2012-03-15 Mitani Corporation Kk 作業用手袋
JP6268192B2 (ja) * 2013-12-1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グローブ
KR102404558B1 (ko) * 2021-10-08 2022-06-02 이상훈 기능성 양피 골프장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01U (ja) * 1996-09-02 1997-03-18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手 袋
US20070113317A1 (en) * 2005-11-18 2007-05-24 Louis Garneau High breathability cycling hand glove
KR200418857Y1 (ko) 2006-03-20 2006-06-15 허상구 운동용 장갑
JP3127054U (ja) * 2006-08-31 2006-11-16 利博 雪本 手袋
JP2012052261A (ja) * 2010-09-01 2012-03-15 Mitani Corporation Kk 作業用手袋
JP6268192B2 (ja) * 2013-12-1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グローブ
KR102404558B1 (ko) * 2021-10-08 2022-06-02 이상훈 기능성 양피 골프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804B1 (en) Exercise grip
US12161929B2 (en) Athletic hand grips
USRE42895E1 (en) Tennis glove
US7568238B2 (en) Wrist cover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00275B2 (en) Protective sports glove with floating cuff portion
JPH11241208A (ja) 一体形成された手首ストラップを有する手袋
US5459910A (en) Helmet strap buckle assembly
US20030233737A1 (en) Buckle structure of swimming mask
US20110155146A1 (en) Mouthpie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629410B2 (en) Anti-pinch apparel closure
KR102519765B1 (ko) 라이딩용 장갑
KR101255543B1 (ko) 스포츠용 장갑
JP3127054U (ja) 手袋
JPH09262332A (ja) スポーツ用手袋
US7147526B1 (en) Swim paddle
JP2007217819A (ja) グローブ
US3875591A (en) Athletic handle grip
US6418560B1 (en) Protective glove for stringing a tennis racket
US7823585B2 (en) Snorkel clip
KR20070078354A (ko) 미끄럼방지 골프그립
KR200469150Y1 (ko) 지팡이 손잡이에 탈부착 가능한 손 스트랩
JP5039336B2 (ja) 腕時計装着可能なグローブ
JPH0679029A (ja) ゴルフ手袋用グリップ強化帯
US20240398052A1 (en) Glove Device with Ring Opening
KR20110062416A (ko) 자전거용 핸들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