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9366B1 - 건축용 거푸집폼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66B1
KR102519366B1 KR1020220077136A KR20220077136A KR102519366B1 KR 102519366 B1 KR102519366 B1 KR 102519366B1 KR 1020220077136 A KR1020220077136 A KR 1020220077136A KR 20220077136 A KR20220077136 A KR 20220077136A KR 102519366 B1 KR102519366 B1 KR 10251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rame
synthetic resin
pane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숙
이창호
Original Assignee
고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숙 filed Critical 고정숙
Priority to KR102022007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66B1/ko
Priority to PCT/KR2023/007535 priority patent/WO2023249283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복수를 이루면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건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폼을 제시하며,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면서 또 다른 거푸집폼과 연결되며, 금속재로 제작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사각틀을 차폐하는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거푸집의 성형면을 제공하며,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되는 패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상기 또 다른 거푸집폼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시키는 소음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면서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중 최외곽에 적층된 최외곽패널이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유닛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 교체 또는 뒤집힘을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거푸집폼{MOLD FORM FOR CONSTRUC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건축용 거푸집폼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나 슬래브의 시공 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건축용 거푸집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 시공 시 적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액체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굳힘으로서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형성이 매우 뛰어난 공법이다.
구체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거푸집폼(form)을 이용하여 일정 면적이나 일정 형상의 거푸집을 만든 다음, 그 위나 틀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들을 탈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반적인 거푸집폼은 기본적으로 평판인 패널 형태의 것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슬래브(slab), 벽체, 보 또는 내력 기둥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형성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을 지지하여 평면으로 형성하여 주는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거푸집폼은 초기에는 나무 재질의 판재(주로, 합판 또는 널판)와 해당 판재의 후면 측에 결합되어 보강하는 각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근래에는 금속 재질의 거푸집폼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로 되는 거푸집을 유로폼(euroform) 또는 스틸 폼(steel form) 등으로 칭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구조 강도가 강한 합금 알루미늄 재질로 되는 알폼(al-form)이라 칭하고 있다.
여기서, 알폼은 작업숭이 우수하고 견고하여 작업능률이 좋으며, 재생산성이 용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알폼은 작업 과정에서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이로 인한 민원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알폼은 금속재질의 특성 상 다른 폼과의 연결 과정에서 망치로 핀을 박을 경우나, 콘크리트의 타설 후 해체 과정에서 망치에 의한 타격음이나 낙하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현장에서 소음에 의한 민원이 발생함으로써 공사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알폼은 금속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박리제를 도포해야 하는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알폼은 금속재질의 특성 상 콘크리트와 쉽게 융화되기 때문에 성형면에 알루미늄 전용 박리제를 최대한 도포해야만 하는데, 이와 같은 알루미늄 전용 박리제는 독성이 있는 물질이어서 인체에 묻을 경우 살이 부르트게 되는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전용 박리제는 작업 과정에서 철근에 묻을 경우에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524호에 개시된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과 같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거푸집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성형면을 이루는 합성수지재 패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합성수지재 패널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거푸집폼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부분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또는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제의 사용이 없이도 쉽게 콘크리트에서 분리할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패널부분을 복수로 적층된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하면서 최외곽에 적층된 패널을 통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외곽패널의 손상 시 현장에서 즉시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를 변경하거나 최외곽패널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합성수지재 패널들을 서로 다른 두께로 구성하여 두께에 따라 강성을 서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크리트의 타설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합성수지재 패널들을 정위치된 상태로 적층시킬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레임부분을 금속재로 형성하면서 합성수지재의 소음방지커버로 커버링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건축용 거푸집폼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를 이루면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건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폼에 있어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면서 또 다른 거푸집폼과 연결되며, 금속재로 제작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사각틀을 차폐하는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거푸집의 성형면을 제공하며,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되는 패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상기 또 다른 거푸집폼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시키는 소음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면서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중 최외곽에 적층된 최외곽패널이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유닛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 교체 또는 뒤집힘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암수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을 정위치 상태로 적층시키는 센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앵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을 통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고,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과 고정되면서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앵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을 통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고,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에 복수로 고정되어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을 보강하고,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커버는,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은,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글로콜이 첨가된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된 첨가제로 이루어져 상기 합성수지재 패널들의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유닛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의 소음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리제에 의한 부상이나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거푸집폼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교체 가능하게 적층됨으로써 패널들의 위치변경 또는 뒤집힘을 통해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최외곽패널의 손상 시 별도의 패널이 없이도 현장에서 즉시 새로운 패널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합성수지재 패널의 위치변경 또는 뒤집힘을 통해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알폼이나 유로폼에 비하여 현저하게 많은 횟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 패널들을 모두 교체할 경우에도 알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패널들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패널들이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어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을 제공하므로 현장 상황에 부합하는 패널을 최외곽에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패널들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콘트리트의 성형면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 콘트리트의 타설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패널들이 암수구조의 센터링부재를 통해 정위치상태로 적층되므로 합성수지재 패널들을 좀 더 견고하게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유닛이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보강프레임을 통해 보강되므로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음방지커버가 프레임유닛의 외곽을 따라 끼워지면서 프레임유닛의 표면을 커버하므로 다른 폼과의 체결 또는 해체 시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합성수지재 패널들의 표면에 PETG 성분이 포함된 코팅층이 코팅되어 콘크리트와 접촉됨으로서 알카리성의 콘트리트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건물의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를 이루면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면서 소정의 면적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와의 박리제의 사용이 필요 없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 패널유닛(200) 및 소음방지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10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패널유닛(200)과 함께 하나의 거푸집폼(1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프레임유닛(100)은 규격화된 크기의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패널유닛(100)이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각틀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101)이 형성되어 또 다른 거푸집폼과의 연결 시 미도시된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유닛(1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소정 강도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10), 세로프레임(120) 및 보강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프레임(110)은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후술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20)과 고정되면서 사각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로프레임(110)은 수직면 및 수평면을 갖는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연장됨으로써 수직면에 전술한 체결공(101)이 형성되어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평면을 통해 후술되는 패널유닛(200)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120)은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전술한 한 쌍의 가로프레임(110)과 고정되면서 사각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세로프레임(120)은 수직면 및 수평면을 갖는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연장됨으로써 수직면에 전술한 체결공(101)이 형성되어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평면을 통해 후술되는 패널유닛(200)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프레임(120) 및 가로프레임(110)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101)은 봉형태의 연결핀과 판형태의 연결핀 모두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30)은 세로프레임(120) 및 가로프레임(110)을 보강하는 구성요소로, 세로프레임(120) 및 가로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을의 안쪽에 격자 형태를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30)은 수직면 및 수평면을 갖는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연장됨으로써 수평면을 통해 후술되는 패널유닛(200)의 체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프레임(130), 세로프레임(120) 및 가로프레임(110)은 알루미늄이나 철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건축용 거푸집폼에 사용되는 모든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유닛(200)은 프레임유닛(1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거푸집의 성형면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패널유닛(200)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로 형성됨으로써 설치 또는 해체 과정에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성형면에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유닛(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를 이루면서 프레임유닛(100)의 세로프레임(110), 가로프레임(120) 및 보강프레임(130)을 각각 구성하는 앵글의 수평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A),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PET), 알키드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폴리카보네이트(PC), 트라이탄(PCT 소재의 플라스틱) 및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글로콜이 첨가된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표면에는 PETG성분이 포함된 첨가제가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PETG 성분이 포함된 첨가제의 코팅층을 통해 콘크리트와 접촉됨으로서 알카리성의 콘트리트에 대하여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서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면서 프레임유닛(100)의 수평면에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최외곽의 위치에 적층된 최외곽패널의 표면을 통해 거푸집의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을 이루는 최외곽패널의 손상 시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를 통해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된 후,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를 교체하여 새로운 패널을 최외곽에 배치하거나, 최외곽패널을 뒤집어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패널유닛(200)의 성형면이 손상되었을 경우, 별도의 패널을 구비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즉시 새로운 성형면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패널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나머지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면서 각각 4mm, 4mm, 3mm의 두께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의 수량 및 각 두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수량 및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콘트리트의 성형면의 투시를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거푸집폼(10)을 설치한 후 투명의 합성수지재 패널(210)을 통해 콘트리트의 양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패널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부재(25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링부재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을 정위치 상태로 적층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센터링부재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210)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암수형태로 결합됨으로써 합성수재재 패널(210)을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정위치 상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터링부재(250)는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의 한쪽 면에 돌출되는 센터링돌기(251)와, 합성수지재 패널들(21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어 다른 패널(210)의 센터링돌기(251)가 결합되는 센터링홈(2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 패널(210)은 다른 패널에 적층 시 일면에 돌출된 센터링돌기(251)가 다른 패널에 형성된 센터링홈(252)에 끼워짐으로써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정위치되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센터링부재(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캡(25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터링캡(253)은 복수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 중 최외곽에 배치된 패널에 형성된 센터링홈(252)에 결합되어 센터링홈(252)을 커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센터링캡(253)은 최외곽에 배치된 합성수지재 패널(210)의 센터링홈(252)을 커버함으로써 최외곽패널의 성형면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링부재(250)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새로운 성형면의 제공 시, 앞뒷면을 뒤집을 경우에는 센터링돌기(251)가 성형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적층위치 변경을 통해서만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방지커버(3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10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소음방지커버(30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프레임유닛(100)의 외곽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커버함으로써 프레임유닛(100)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다른 거푸집폼과의 연결 시 다른 거푸집폼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음방지커버(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유닛(200)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110) 및 가로프레임(120)의 외곽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프레임유닛(200)의 외곽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소음방지커버(300)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ABS),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A),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멜라민, 에폭시, 불포화폴리에스테르(PET), 알키드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음방지커버(300)는 손상 시 프레임유닛(200)에서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소음방지커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10) 및 가로프레임(120)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면서 서로 분리 구성되어 세로프레임(110) 및 가로프레임(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임유닛(100)의 사각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건물의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복수개가 연결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서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룰 수 있다.
패널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서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면서 고정볼트에 의해 프레임유닛(100)에 고정되어 최외곽패널을 통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최외곽패널의 성형면이 손상되었을 경우 프레임유닛(100)에서 분리되면서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를 교체하거나 최외곽패널의 앞뒷면을 뒤집어 고정함으로써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패널을 구비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즉시 새로운 성형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설치 과정에서 박리제의 도포 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해체 과정에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 패널(210)들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거푸집의 성형면의 투시를 허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프레임유닛(100)은 다른 거푸집폼(10)의 프레임유닛과 대면한 상태로 체결공(101)에 체결되는 연결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소음방지커버(300)는 프레임유닛(100)의 외곽을 커버하면서 다른 거푸집폼(10)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음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거푸집폼(10)은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유닛(20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의 소음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리제에 의한 부상이나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건축용 거푸집폼
100 : 프레임유닛
110 : 세로프레임
120 : 가로프레임
130 : 보강프레임
200 : 패널유닛
210 : 합성수지재 패널
250 : 센터링부재
251 : 센터링돌기
252 : 센터링홈
253 : 센터링캡
300 : 소음방지커버

Claims (7)

  1. 복수를 이루면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건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폼에 있어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면서 또 다른 거푸집폼과 연결되며, 금속재로 제작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사각틀을 차폐하는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거푸집의 성형면을 제공하며,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되는 패널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상기 또 다른 거푸집폼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시키는 소음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결합되면서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중 최외곽에 적층된 최외곽패널이 거푸집의 성형면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유닛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최외곽패널의 적층위치 교체 또는 뒤집힘을 허용하며,
    상기 소음방지커버는,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곽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외주면 및 내주면 표면을 커버하는, 건축용 거푸집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나머지와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강성을 제공하는, 건축용 거푸집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건축용 거푸집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암수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합성수지재 패널을 정위치 상태로 적층시키는 센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앵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을 통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고,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과 고정되면서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앵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직면을 통해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위를 제공하고,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에 복수로 고정되어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을 보강하고, 앵글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수평면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글로콜이 첨가된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된 첨가제로 이루어져 상기 합성수지재 패널들의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폼.
KR1020220077136A 2022-06-23 2022-06-23 건축용 거푸집폼 Active KR10251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36A KR102519366B1 (ko) 2022-06-23 2022-06-23 건축용 거푸집폼
PCT/KR2023/007535 WO2023249283A1 (ko) 2022-06-23 2023-06-01 건축용 거푸집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36A KR102519366B1 (ko) 2022-06-23 2022-06-23 건축용 거푸집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66B1 true KR102519366B1 (ko) 2023-04-06

Family

ID=8591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136A Active KR102519366B1 (ko) 2022-06-23 2022-06-23 건축용 거푸집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9366B1 (ko)
WO (1) WO20232492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83A1 (ko) * 2022-06-23 2023-12-28 고정숙 건축용 거푸집폼
KR102728924B1 (ko) 2023-11-01 2024-11-13 주식회사 리더 콘크리트 거푸집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92U (ja) * 1993-10-25 1995-05-19 コーヨ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用型枠
KR19980018621A (ko) * 1997-08-12 1998-06-05 변무원 폴리에틸렌패널이 부착된 복합거푸집패널
KR200186933Y1 (ko) * 2000-01-14 2000-06-15 이옥신 투명 거푸집 및 거푸집 패널
KR20030024013A (ko) * 2001-09-14 2003-03-26 한국과학기술원 내충격성이 우수한 복합재료 판재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66B1 (ko) * 2022-06-23 2023-04-06 고정숙 건축용 거푸집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92U (ja) * 1993-10-25 1995-05-19 コーヨ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用型枠
KR19980018621A (ko) * 1997-08-12 1998-06-05 변무원 폴리에틸렌패널이 부착된 복합거푸집패널
KR200186933Y1 (ko) * 2000-01-14 2000-06-15 이옥신 투명 거푸집 및 거푸집 패널
KR20030024013A (ko) * 2001-09-14 2003-03-26 한국과학기술원 내충격성이 우수한 복합재료 판재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83A1 (ko) * 2022-06-23 2023-12-28 고정숙 건축용 거푸집폼
KR102728924B1 (ko) 2023-11-01 2024-11-13 주식회사 리더 콘크리트 거푸집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283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366B1 (ko) 건축용 거푸집폼
CN103572961B (zh) 用于剥离甲板的隔板
KR20150116373A (ko)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WO2009064157A2 (en) Improvements to formwork panel and accessory
US10301833B1 (en) Highly durable textile reinforcing panel used as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JPWO2006129801A1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JP6577757B2 (ja) 型枠構造物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102658805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장치
KR102658806B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장치
KR101326176B1 (ko) 거푸집용 폼
JP548316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
JPH1132431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102222833B1 (ko) 경량 허니컴 패널
KR101761655B1 (ko) 거푸집 패널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JP2006521477A (ja) 再利用可能な非金属製構造物形成システム
KR101619126B1 (ko) 합성보
JP2829564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KR102760326B1 (ko) 갱폼 작업발판용 간격 메움부재 및 이를 구비한 갱폼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JPH0533483A (ja) 型 枠
JP5291960B2 (ja) 型枠・内装下地兼用断熱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619125B1 (ko) 합성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