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9216B1 - 발성 훈련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발성 훈련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216B1
KR102519216B1 KR1020220041062A KR20220041062A KR102519216B1 KR 102519216 B1 KR102519216 B1 KR 102519216B1 KR 1020220041062 A KR1020220041062 A KR 1020220041062A KR 20220041062 A KR20220041062 A KR 20220041062A KR 102519216 B1 KR102519216 B1 KR 10251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mirror
shape
present
tongue depr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호
Original Assignee
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호 filed Critical 정현호
Priority to KR102022004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며, 거울을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되, 상기 거울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압자를 포함하는, 발성 훈련 보조 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성 훈련 보조 기구{VOCALIZATION TRANING ASSISTANT UNIT}
본 발명은 발성 훈련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혀에 압력을 가하여 공기 순환에 적합한 혀 모양을 만들어주고, 입안 구조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발성 훈련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음악적 재능에 대한 훈련을 하는 추세이다. 그 중 노래에 대한 훈련은 음악학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음악학원에서는 발성트레이너, 보컬트레이너 등에 의한 훈련이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많은 트레이닝은 느낌 전달식의 레슨이 되어 일반인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일반인의 경우 디지털 음원을 기초로 연습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디지털 음원은 전달 과정에 수반되는 편집 기법 때문에 가수들의 본래 음성을 더욱 파악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일반인들은 본인의 목소리를 정확히 인지하기 힘들다. 이로 인해, 연습 과정 중 목이 혹사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한편, 사람의 음성은 상악동에서 만들어지는 저음과, 전두동에서 만들어지는 중음역대음, 접형골동에서 만들어지는 고음, 사골동에서 만들어지는 초고음으로 발생하게 된다. 일반인은 이러한 음성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입속의 수의근을 컨트롤하여 발성 및 노래 연습을 하여야 최적화된 훈련이 가능하나, 기존에는 느낌에만 의존하는 훈련법이 일반적이어서, 일반인 입장에서 효율적인 훈련이 불가능하였었다.
따라서, 음성 생성에 최적화된 구강 내 구조를 스스로 만들고 이를 확인하면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 스스로 설압자를 이용하여 공기 순환에 최적화된 혀의 모양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 스스로 거울을 통해 현재 혀의 모양, 목젖좌우근육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부에 의해 밝게 비춰진 입 안의 공간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가 효과적인 발성 훈련을 하여, 음역대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평소 소리를 내면서 겪는 목아픔 등 소리와 관련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며, 거울을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되, 상기 거울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압자를 포함하는, 발성 훈련 보조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연결부에는 힌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자 스스로 설압자를 이용하여 공기 순환에 최적화된 혀의 모양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자 스스로 거울을 통해 현재 혀의 모양, 목젖좌우근육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조명부에 의해 입 안의 공간이 밝게 비춰지기 때문에, 상세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자는 효과적인 발성 훈련을 하게 되어, 음역대의 확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되며, 평소 소리를 내면서 겪는 목아픔 등 소리와 관련된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음성이 발생되는 각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훈련 보조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람의 음성이 발생되는 각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면, 부비동(10) 중에서 가장 큰 통인 상악동(1)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톤인 저음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마에 있는 전두동(2)에서 상대적으로 중음역대가 만들어진다. 전두동(2)에서 만들어지는 음성은 날카롭고 선명하다.
다음으로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하는 접형골동(3)에서 고음을 만들어지며, 사골동(4)에서 초고음이 만들어진다.
한편, 목소리는 공기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사람의 근육으로 이루어지는 관이 공기의 흐름 통로가 된다. 사람은 연구개를 조절하여, 폐에서 출발한 공기가 성대를 거쳐 상악동, 전두동, 접형골동, 사골동 등으로 흐르도록 한다. 위와 같이 공기를 보내는 방법은 공기의 흐름 통로를 각 부위로 유도해주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입 속의 수의근을 컨트롤 해야 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입 속에는 목젖의 좌우에 위치하는 목젖좌우근육(5), 혀(6, 7)라는 수의근이 있다. 각 수의근을 움직여주는 방식에 따라서 사람이 만들 수 있는 여러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다.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공기가 입이 아닌 후비도(8)를 통해 비강으로 이동되어 부비동(1, 2, 3, 4)을 울려야 한다. 따라서, 일단 입으로 이동되는 공기가 없어야 하며 각 공명강으로 공기를 보낼 때 혀(6, 7)와 목젖좌우근육(5)을 사람이 스스로 컨트롤 해야 한다. 목젖좌우근육(5)은 후비도(8)를 열어주는 근육인데, 이를 열지못하고 구토를 할 때처럼 닫아버리게 되면 공기가 후비도(8)로 이동하지 못하여 큰 울림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그래서, 목젖좌우근육(5) 및 혀(5)가 잘 컨트롤 되고 있는지를 사람이 스스로 확인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훈련 보조 도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훈련 보조 도구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몸체(120), 상기 제1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설압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몸체(110)의 일단에는 제2 몸체(12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환언하면,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연결 부위에는 힌지(H)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H)를 통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상호 간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제1 몸체(11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손에 잡기 편리하도록 하는 그립(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G)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20)에는 거울(121) 및 조명부(1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2 몸체(12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명부(122)는 거울(121) 주변(가장자리)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명부(122)는 복수의 발광 소자, 예를 들면, LED 소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 중 적어도 일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C)가 제1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충전 단자(C)에 의해 외부 전력이 공급되고, 해당 전력이 배터리에 충전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발광 소자에 공급될 수 있다.
설압자(130)는 제1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1 몸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설압자(130)는 제2 몸체(120)에 형성된 거울(121)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압자(130)는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지는 바(bar) 형태 또는 바(bar)형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훈련자의 혀 모양을 효과적으로 V자 형태로 누를 수 있도록, 설압자(130)는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하부 방향(제1 몸체(110)의 그립(G)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압자(130)의 단면 형태가 V자 형태 또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부채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훈련자의 뒷 혀(6) 부분을 효과적으로 눌러주기 위해, 오목한 정도(양 측부를 기준으로 중앙부가 하부로 오목한 정도)가 설압자(130)의 부위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압자(130) 제1 몸체(110)에 연결된 부위로부터 설압자(130)의 말단 부위로 갈수록 오목한 정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훈련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성 훈련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발성 훈련 시에는, 혀의 앞부분(7)과 뒷부분(6)의 상태를 상세히 확인하여야 한다. 혀가 말려서 구강을 막지 않도록 앞 혀(7)는 가능하면 아랫니에 가까이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뒷 혀(6)는 정면에서 봤을 때 중앙 부분이 아래 부분으로 내려간 V자 모양을 만들어주어야 탁한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 참고적으로, 탁한 소리는 폐에서 나온 공기가 체외로 빠져 나올 때 입천장과 혀 사이의 좁은 공간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마찰음이다.
뒷 혀(6)의 V자 형태는 뱉어지는 공기순환을 돕는다. 즉, 공기가 역류되어 역류한 공기와 폐에서 방금 성대를 통과한 공기가 서로 부딪혀 회전하는 병목 현상을 방지한다. 성대 근처에서 양쪽 공기가 부딪혀서 만들어내는 회전 때문에 성대는 많은 상처를 입는데 뒷 혀(6)의 V자 자세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일반인들은 고음을 낼 때 뒷 혀(6)를 내려 V자 형태를 만드는 것이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훈련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훈련 보조 도구의 그립(G) 부분을 잡고, 설압자(130)로 혀의 뒷부분, 즉, 뒷 혀(6)를 눌러주어 정면에서 봤을 때 V자 형태를 만들어줄 수 있고, 공기 순환을 돕는 자세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몸체(120)를 제1 몸체(110)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을 하여, 거울(121)을 통해 입 안의 현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부(122)는 입 안을 밝게 비춰주기 때문에, 훈련자는 목젖좌우근육(5)의 형태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후비도(8)의 확장 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자 스스로 설압자를 이용하여 공기 순환에 최적화된 혀의 모양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훈련자 스스로 거울을 통해 현재 혀의 모양, 목젖좌우근육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조명부에 의해 입 안의 공간이 밝게 비춰지기 때문에, 상세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훈련자는 효과적인 발성 훈련을 하게 되어, 음역대의 확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되며, 평소 소리를 내면서 겪는 목아픔 등 소리와 관련된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상악동
2: 전두동
3: 접형골동
4: 사골동
5: 목젖좌우근육
6: 혀뒤
7: 혀앞
8: 후비도
110: 제1 몸체
120: 제2 몸체
121: 거울
122: 조명부
130: 설압자

Claims (3)

  1.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며, 거울을 포함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되, 상기 거울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압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압자는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된 부위로부터 말단 부위로 갈수록 오목한 정도가 크게 형성되는, 발성 훈련 보조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발성 훈련 보조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연결부에는 힌지가 형성되는, 발성 훈련 보조 도구.
KR1020220041062A 2022-04-01 2022-04-01 발성 훈련 보조 기구 Active KR10251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62A KR102519216B1 (ko) 2022-04-01 2022-04-01 발성 훈련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62A KR102519216B1 (ko) 2022-04-01 2022-04-01 발성 훈련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216B1 true KR102519216B1 (ko) 2023-04-05

Family

ID=8588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062A Active KR102519216B1 (ko) 2022-04-01 2022-04-01 발성 훈련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578A (en) * 1981-07-17 1987-10-06 Burgin Kermit H Acrylooptic tongue depressor and handle therefor incorporating adjustable viewing optics
US4872838A (en) * 1987-06-29 1989-10-10 Wade Canter Oral inspection device
KR20030013581A (ko) * 2001-08-08 2003-02-15 정필훈 발광체가 구비된 치아 관찰용 미러
JP2012506749A (ja) * 2008-10-30 2012-03-22 インディアン オーシャン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喉頭鏡
CN209153590U (zh) * 2018-06-09 2019-07-26 邢兵 一种耳鼻喉科用检查装置
KR102157225B1 (ko) * 2019-03-29 2020-09-18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CN112932543A (zh) * 2020-12-31 2021-06-11 罗宸 一种简易的咽拭子自助采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578A (en) * 1981-07-17 1987-10-06 Burgin Kermit H Acrylooptic tongue depressor and handle therefor incorporating adjustable viewing optics
US4872838A (en) * 1987-06-29 1989-10-10 Wade Canter Oral inspection device
KR20030013581A (ko) * 2001-08-08 2003-02-15 정필훈 발광체가 구비된 치아 관찰용 미러
JP2012506749A (ja) * 2008-10-30 2012-03-22 インディアン オーシャン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喉頭鏡
CN209153590U (zh) * 2018-06-09 2019-07-26 邢兵 一种耳鼻喉科用检查装置
KR102157225B1 (ko) * 2019-03-29 2020-09-18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재활훈련용 거울 어셈블리
CN112932543A (zh) * 2020-12-31 2021-06-11 罗宸 一种简易的咽拭子自助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er Solutions for singers: Tools for performers and teachers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Voice GRAHAM F. WELCH & JOHAN SUNDBERG
Mackenzie The Hygiene of the Vocal Organs: A Practical Handbook for Singers and Speakers. Together with a List of American Singers and Singing-teachers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to classical and contemporary styles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WO2023136537A1 (ko) 발성 및 호흡 훈련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발성훈련방법
Marchal From speech physiology to linguistic phonetics
Taylor The psychology of singing: a rational method of voice culture based on a scientific analysis of all systems, ancient and modern
Nix Lip trills and raspberries:" high spit factor": Alternatives to the nasal continuant consonants
KR102519216B1 (ko) 발성 훈련 보조 기구
Kahane et al. Videofluoroscopic and laryngoscopic evaluation of the upper airway and larynx of professional bassoon players
CN204379497U (zh) 一种咽音发声训练装置
KR20090018292A (ko) 발음발성교정기구
Wyganowska-Świątkowska et al. An anthropometric analysis of the head and face in vocal students
Gilman The science of voice and the body
Bangs et al. Speech after laryngectomy
TW202130391A (zh) 腹式呼吸發聲練習輔助器
LeFevre Tongue management
Kearney Nontracheoesphageal speech rehabilitation
CN215136508U (zh) 一种综合口腔训练发音器
Appelman A STUDY BY MEANS OF PLANIGRAPH, RADIOGRAPH AND SPECTROGRAPH OF THE PHYSICAL CHANGES WHICH OCCUR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THEUPPER REGISTER IN VOCAL TONES
CN201417523Y (zh) 构音器官言语运动定位基托
Gates Free to Sing: Encouraging Postural Release for Vocal Efficiency
Gregg Resonation and articulation-a new concept
EP3639785A1 (en) Appliance for assisting vocal cord closure to train v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