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8335B1 - 조립식 키보드 - Google Patents

조립식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35B1
KR102518335B1 KR1020220165709A KR20220165709A KR102518335B1 KR 102518335 B1 KR102518335 B1 KR 102518335B1 KR 1020220165709 A KR1020220165709 A KR 1020220165709A KR 20220165709 A KR20220165709 A KR 20220165709A KR 102518335 B1 KR102518335 B1 KR 10251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ircuit board
reinforcing plate
holes
frame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이승재
Original Assignee
몬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몬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키보드용 스위치 및 키캡이 배치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 하면에 조립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립홈에 상호 대향되며 복수개의 조립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상기 상부커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빛이 측면부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키캡의 배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키삽입홀이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키보드{custom keyboard}
본 발명은 조립식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조립식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타자기처럼 생긴 컴퓨터 입력 장치로서, 자판, 글자판, 글쇠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키보드를 통해 한글, 영어,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이 입력되며,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 예컨대 모니터와 한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초기에는 키보드의 글자판이 83개 또는 84개 정도였으나 기능이 확장되면서 101개, 103개, 106개 등으로 점점 늘어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키보드는 대부분 106개의 글자판이 있는 윈도우 용이다. 이때, 키보드는 자판이 배열된 형태에 따라 한글 2벌식과 한글 3벌식, 영문 쿼티(qwerty)와 영문 드보락 자판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영문 쿼티는 미국의 표준 자판으로 숫자 키 아래에 있는 첫 번째 줄의 영문자가 자판 왼쪽부터 Q, W, E, R, T, Y 순서로 되어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자판 배열이다.
이러한 키보드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본체 케이스를 형성하고, 본체 케이스 내부에 PCB 기판 등이 마련되며, 상부케이스로 복수의 키 모듈 내지 키 캡이 돌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키보드는 숙련된 기술자를 제외하고는 분해 및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디자인을 임의로 개조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키보드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된 하우징 구조로 인해 내부 특유의 공명이 있어 조용한 곳에서 타건할 때 거슬리는 통울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0852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용 스위치 및 키캡이 배치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 하면에 조립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립홈에 상호 대향되며 복수개의 조립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상기 상부커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빛이 측면부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키캡의 배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키삽입홀이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밀착되되 상기 제1키삽입홀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제2키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흡음판과, 상기 상부커버부 및 상기 보강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곽 테두리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커버부에 대응되는 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회로기판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보강판 및 상기 흡음판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흡음판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상기 회로기판을 감싸며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복수개 구비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되는 적층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부, 상기 보강판, 상기 흡음판, 상기 적층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외측면 윤곽은 상호간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설정되며, 상기 보강판, 상기 흡음판 및 상기 적층프레임부에는 각 외곽 테두리를 따라 각 상기 조립홈 및 각 상기 조립홀에 정렬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하측으로부터 각 상기 조립홈, 상기 조립홀 및 상기 체결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회로기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보강판과, 보강판 및 회로기판의 사이에 밀착되는 흡음판이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빈공간이 최소화되어 키캡의 타건시 고급화된 타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보강판 및 흡음판, 그리고 흡음판 및 하부프레임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회로기판을 감싸며 적층되는 적층프레임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둘레를 따라 측면 외측으로 확산되므로 상업성이 개선되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부커버부, 상부프레임부, 보강판, 흡음판, 적층프레임부 및 하부프레임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어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200)는 상부커버부(110), 하부프레임부(120), 회로기판(130) 및 보강판(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키보드(200)는 흡음판(150), 적층프레임부(161,162), 상부프레임부(170) 및 체결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식 키보드(2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상부커버부(110),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상기 보강판(140), 상기 흡음판(150),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부(110),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상기 보강판(140), 상기 흡음판(150),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가 아크릴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부(110),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상기 보강판(140), 상기 흡음판(150),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외측면 윤곽은 상호간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려한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타건음 노출이 최소화되어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부(110)는 사각형 단면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복수개로 각각 구비되는 키보드용 스위치(미도시) 및 키캡(미도시)이 배치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111)이 관통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 하면에 조립홈(미도시)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스위치(미도시)의 하부가 상기 회로기판(130)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각 상기 스위치(미도시)의 하부에 각 상기 키캡(미도시)의 하부가 결합되고, 각 상기 키캡(미도시)은 상기 상부커버부(110)의 상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부(170)는 상기 상부커버부(11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부(170)는 상기 상부커버부(110) 및 상기 보강판(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곽 테두리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부(170)는 상기 상부커버부(110)에 대응되는 윤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사각형 단면 형태로 구비되어 각 상기 스위치(미도시) 및 각 상기 키캡(미도시)이 배치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17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40)은 상기 상부프레임부(17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판(140)은 상기 회로기판(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140)에는 상기 키캡(미도시)의 배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키삽입홀(1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강판(140)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음판(150)은 상기 보강판(14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음판(150)은 상기 보강판(140) 및 상기 회로기판(130)의 사이에 밀착되되 상기 제1키삽입홀(141)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제2키삽입홀(1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보강판(140)과, 상기 보강판(140) 및 상기 회로기판(130)의 사이에 밀착되는 상기 흡음판(150)이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빈공간이 최소화되어 키캡(미도시)의 타건시 소음이 현저히 저감되므로 고급화된 타건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흡음판(15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상부커버부(11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30)에는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빛이 상기 회로기판(130)의 측면부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회로기판(13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보강판(140) 및 상기 흡음판(150)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110),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는 상기 흡음판(15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상기 회로기판(130)을 감싸며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복수개 구비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판(140) 및 상기 흡음판(150), 그리고 상기 흡음판(15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상기 회로기판(130)을 감싸며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회로기판(130)의 둘레를 따라 측면 외측으로 확산되므로 상업성이 개선되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부(120)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커버부(10)의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조립홈(미도시)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며 복수개의 조립홀(12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상기 보강판(140), 상기 흡음판(150) 및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에는 각 외곽 테두리를 따라 각 상기 조립홈(미도시) 및 각 상기 조립홀(121)에 정렬되며 복수개의 체결홀(172,142,152,161a,16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상부프레임부(170)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제1체결홀(172)이 복수개소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140)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제2체결홀(142)이 복수개소 관통 형성되며, 상기 흡음판(150)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제3체결홀(152)이 복수개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에는 외곽 테두리를 따라 제4체결홀(161a) 및 제5체결홀(162a)이 각각 복수개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홀(172), 상기 제2체결홀(142), 상기 제3체결홀(152), 상기 제4체결홀(161a) 및 상기 제5체결홀(162a)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정렬 연통되며 각 상기 조립홈(미도시) 및 각 상기 조립홀(121)에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180)은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하측으로부터 각 상기 조립홈, 상기 조립홀(121) 및 각 상기 체결홀(172,142,152,161a,162a)에 관통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80)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부(110), 상기 상부프레임부(170), 상기 보강판(140), 상기 흡음판(150), 상기 적층프레임부(161,162)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체결수단(180)을 통해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어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130)이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매개하는 고정판(120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120a), 상기 회로기판(13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120)의 각 외곽 모서리측에 형성된 홀(120b)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에 따라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30) 및 상기 고정판(120a)이 상기 하부프레임부(1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상부커버부 120: 하부프레임부
130: 회로기판 140: 보강판
150: 흡음판 161,162: 적층프레임부
170: 상부프레임부 180: 체결수단
190: 지지부 200: 조립식 키보드

Claims (5)

  1. 키보드용 스위치 및 키캡이 배치되도록 중앙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 하면에 조립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립홈에 상호 대향되며 복수개의 조립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
    상기 상부커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빛이 측면부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키캡의 배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키삽입홀이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밀착되되 상기 제1키삽입홀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제2키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흡음판과, 상기 상부커버부 및 상기 보강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곽 테두리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커버부에 대응되는 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회로기판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보강판 및 상기 흡음판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흡음판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상기 회로기판을 감싸며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복수개 구비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되는 적층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부, 상기 보강판, 상기 흡음판, 상기 적층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외측면 윤곽은 상호간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설정되며,
    상기 보강판, 상기 흡음판 및 상기 적층프레임부에는 각 외곽 테두리를 따라 각 상기 조립홈 및 각 상기 조립홀에 정렬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하측으로부터 각 상기 조립홈, 상기 조립홀 및 상기 체결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키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65709A 2022-12-01 2022-12-01 조립식 키보드 Active KR10251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709A KR102518335B1 (ko) 2022-12-01 2022-12-01 조립식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709A KR102518335B1 (ko) 2022-12-01 2022-12-01 조립식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335B1 true KR102518335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709A Active KR102518335B1 (ko) 2022-12-01 2022-12-01 조립식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05B1 (ko) *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KR20180102093A (ko) * 2016-01-15 2018-09-14 로히니, 엘엘씨. 장치 상의 커버를 통해 후면 발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8522B1 (ko) 2019-05-17 2019-08-07 양태진 저소음 키보드
KR102361949B1 (ko) * 2021-10-20 2022-02-14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음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093A (ko) * 2016-01-15 2018-09-14 로히니, 엘엘씨. 장치 상의 커버를 통해 후면 발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68005B1 (ko) * 2018-04-09 2018-06-20 몬스타 주식회사 조립식 컴퓨터 키보드
KR102008522B1 (ko) 2019-05-17 2019-08-07 양태진 저소음 키보드
KR102361949B1 (ko) * 2021-10-20 2022-02-14 몬스타 주식회사 타건음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용 기계식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0631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US7952043B2 (en) Keyboard with backlighting functionality
US20120286976A1 (en) Illuminated keyboard
CN100511530C (zh) 用于便携式设备的具有按键支撑结构的键盘
US8581127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8173922B2 (en) Thin type illuminated keyboard
CA3063581C (en) Electric lock and keypad module thereof
TWI590281B (zh) Luminous key module
US6861600B1 (en) Integrated switch and backlight assembly
EP1619703B1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20230108859A1 (en) Keyboard and keycap thereof
WO2002079895A2 (en) Computer
US9443674B1 (en) Illuminated keyboard device
US8536476B2 (en) Illuminated keyboard
KR102518335B1 (ko) 조립식 키보드
US20100148994A1 (en) Keyboard with Backlighting Functionality
US20190148091A1 (en) Luminous keyboard
KR102518341B1 (ko) 조립식 키보드
KR102518326B1 (ko) 조립식 키보드
JP4743701B2 (ja) 携帯電子機器
US20220399171A1 (en) Keyboard device and key structure thereof
US20180143698A1 (en) Keyboard
JP2020170682A (ja) スイッチ装置
JP2002190229A (ja) 入力キーユニット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クリック板
JP2025050497A (ja) 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