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8240B1 - 다판 복합재 스프링 - Google Patents

다판 복합재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240B1
KR102518240B1 KR1020180001266A KR20180001266A KR102518240B1 KR 102518240 B1 KR102518240 B1 KR 102518240B1 KR 1020180001266 A KR1020180001266 A KR 1020180001266A KR 20180001266 A KR20180001266 A KR 20180001266A KR 102518240 B1 KR102518240 B1 KR 10251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composite
shape
cur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518A (ko
Inventor
오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F16F1/368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41Fibre-reinforced plastics [FR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2Springs leaf-like, e.g. of thin, planar-like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판 복합재 스프링은,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을 결합시킨 다판 복합재 스프링으로서, 중앙에 돌출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을 서로 이격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 및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판 복합재 스프링 {MULTI-PLATE SPRING OF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다판 복합재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복합재스프링을 결합시킨 다판 복합재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대형 차량의 서스펜션에는 철판을 복수 개 적층시킨 리프스프링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리프스프링은 철 재질이기 때문에 차량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는 바, 이러한 리프스프링을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변경하여 차량을 경량화하고 연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복합재 스프링은 균열이 쉽게 성장하는 특성상 타공을 형성시키기 어렵고, 마찰에 취약한 특성상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을 직접 접촉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리프스프링과 같이 여러 장의 스프링을 적층하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복수 개의 스프링을 적층하는 구조는 안정성 향상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복합재 스프링을 적층 구조로 설치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41019 A (2017.04.1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공 없이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을 결합시킨 다판 복합재 스프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은,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을 결합시킨 다판 복합재 스프링으로서, 중앙에 돌출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을 서로 이격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 및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아래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1평탄부를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일측면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2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2평탄부를 포함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홈은, 상기 제1굴곡부 및 상기 제2굴곡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평탄부와 상기 제2평탄부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고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재 스프링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3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4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1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2형상부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3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4형상부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5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6형상부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7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8형상부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 상기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 상기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스프링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직교 형상으로 교차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 사이에서 돌출된 상기 제2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판 복합재 스프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합재 스프링을 다판 구조로 설치하여 하나의 스프링이 파손되어도 나머지 스프링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복합재 스프링끼리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복합재 스프링들의 상대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중앙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각 구성들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상부 마운팅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판 복합재 스프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중앙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각 구성들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브라켓을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은, 중앙에 돌출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210, 220, 230, 240)과,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210, 220, 230, 240)을 서로 이격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210, 220, 230, 240)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 및 홈이 형성된 브라켓(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합재 스프링은 예를 들어,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프링(210)과 제2스프링(220)이 나란히 배치되고, 제3스프링(230)과 제4스프링(240)이 제1스프링(210)과 제2스프링(220)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서 바라볼때 밭전(田)자와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은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가면서 굴곡되어 있는 일종의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예를 들어 액슬(미도시)과 연결되고, 양단부는 예를 들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어, 액슬과 차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 및 돌출부의 세부적인 형상은 후술할 브라켓(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바, 먼저 브라켓(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100)의 더욱 자세한 모습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아래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1굴곡부(111)와 제1굴곡부(111)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1평탄부(112)를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110) 및 일측면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2굴곡부(121)와 제2굴곡부(121)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2평탄부(122)를 포함하는 제2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제1플레이트(110)는 수평면상에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120)는 수직면상에 형성되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서로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어 측면에서 바라볼때 십(十)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제1굴곡부(111)는 아래 방향으로 완만하게 굴곡진 U자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굴곡부(111)의 최고점, 즉 U자형의 양단부에서는 각각 제1평탄부(112)가 연장 형성되는데, 제1굴곡부(111)의 최고점의 높이를 유지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플레이트(110)의 전체 형상은 평판의 중앙부에 U자형으로 굴곡진 곡면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2플레이트(120)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제2굴곡부(121)는 일측면 방향, 즉 도면상 우측 아래 방향으로 완만하게 굴곡진 U자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2굴곡부(121)의 타측면 방향 단부, 즉 U자형의 양단부에서는 각각 제2평탄부(122)가 연장 형성되는데, 제2굴곡부(121)의 타측면 방향 단부와 동일 수직면상에 형성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플레이트(120)의 전체 형상은 제1플레이트(110)와 유사하게 평판의 중앙부에 U자형으로 굴곡진 곡면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플레이트(110)와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제1평탄부(112)와 제2평탄부(122)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고, 제1굴곡부(111)와 제2굴곡부(121)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굴곡부(111)와 제2굴곡부(121)의 곡면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일치시키고, 제1굴곡부(111)와 제2굴곡부(121)의 곡면 파형이 진행하는 방향을 일치시키게 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아래에서 우측 위 방향의 사선 방향을 따라 제1굴곡부(111)와 제2굴곡부(121)의 곡면이 시작되는 위치 및 끝나는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의 형상 및 설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스프링(210)은 제1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제2플레이트(12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스프링(220)은 제1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제2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제3스프링(230)은 제1플레이트(110)의 하면 및 제2플레이트(12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제4스프링(240)은 제1플레이트(110)의 하면 및 제2플레이트(12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제1스프링(210)에는, 중앙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1형상부(211)가 형성되어 제2굴곡부(121)의 오목한 타측면에 삽입되고, 중앙의 하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2형상부(212)가 형성되어 제1굴곡부(111)의 오목한 상면에 삽입된다. 이때, 제2형상부(212)는 도면의 가려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1굴곡부(111)의 오목한 형상과 대응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스프링(220)에는, 중앙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형상부(221)가 형성되어 제2굴곡부(121)의 볼록한 일측면을 수용하고, 중앙의 하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4형상부(222)가 형성되어 제1굴곡부(111)의 오목한 상면에 삽입된다. 이때, 제4형상부(222)는 도면의 가려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1굴곡부(111)의 오목한 형상과 대응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스프링(230)에는, 중앙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5형상부(231)가 형성되어 제2굴곡부(121)의 오목한 타측면에 삽입되고, 중앙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6형상부(232)가 형성되어 제1굴곡부(111)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제4스프링(240)에는, 중앙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7형상부(241)가 형성되어 제2굴곡부(121)의 볼록한 일측면을 수용하고, 중앙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8형상부(242)가 형성되어 제1굴곡부(111)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스토퍼(250)는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스토퍼(250)는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의 단부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그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스토퍼(250)가 설치된 이후, 제1스프링(210), 제2스프링(220), 제3스프링(230) 및 제4스프링(240)의 단부를 감싸 고정시키면서 차체에 결합되는 제1아이(410) 및 제2아이(4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판 복합재 스프링의 상부 마운팅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마운팅 브라켓(310)은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상방에 설치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어퍼새들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부 마운팅 브라켓(3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311)은 제1스프링(210)과 제2스프링(220)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플레이트(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플레이트(120)의 제2굴곡부(121)가 상부 마운팅 브라켓(3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부 마운팅 브라켓(320)은 제3스프링(230)과 제4스프링(240)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부 마운팅 브라켓(310)의 결합홈(311)과 유사하게 홈이 형성되어 제3스프링(230)과 제4스프링(240)의 사이에서 돌출된 제2플레이트(120)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브라켓 200: 복합재 스프링
210: 제1스프링 220: 제2스프링
230: 제3스프링 240: 제4스프링
310: 상부 마운팅 브라켓 320: 하부 마운팅 브라켓
410: 제1아이 420: 제2아이

Claims (10)

  1.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을 결합시킨 다판 복합재 스프링으로서,
    중앙에 돌출부 및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복수 개의 복합재 스프링; 및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을 서로 이격시키고,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 및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아래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1평탄부를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 및 일측면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의 제2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의 양단에서 연장된 한 쌍의 제2평탄부를 포함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홈은, 상기 제1굴곡부 및 상기 제2굴곡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합재 스프링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제3스프링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접하는 제4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평탄부와 상기 제2평탄부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고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2굴곡부가 직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1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2형상부가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3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4형상부가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5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6형상부가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스프링은, 상기 제2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7형상부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굴곡부의 볼록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8형상부가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 상기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스프링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 상기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스프링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직교 형상으로 교차된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상방에 설치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 사이에서 돌출된 상기 제2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 복합재 스프링.
KR1020180001266A 2018-01-04 2018-01-04 다판 복합재 스프링 Active KR10251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266A KR102518240B1 (ko) 2018-01-04 2018-01-04 다판 복합재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266A KR102518240B1 (ko) 2018-01-04 2018-01-04 다판 복합재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18A KR20190083518A (ko) 2019-07-12
KR102518240B1 true KR102518240B1 (ko) 2023-04-06

Family

ID=6725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266A Active KR102518240B1 (ko) 2018-01-04 2018-01-04 다판 복합재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6251B1 (ko) 2019-09-26 202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 스프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98A (ja) 1998-08-07 2000-02-22 Isuzu Motors Ltd リーフスプリング用サイレンサ
WO2017159421A1 (ja) 2016-03-15 2017-09-21 日本発條株式会社 間隔保持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る重ね板ば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4077A1 (de) * 1985-07-05 1987-01-08 Brueninghaus Krupp Gmbh Blattfeder
KR0137440Y1 (ko) * 1996-09-18 1999-03-20 정몽규 완충재를 구비한 차량의 리프스프링 조립체
KR20170041019A (ko) 2015-10-06 2017-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용 복합재 리프 스프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98A (ja) 1998-08-07 2000-02-22 Isuzu Motors Ltd リーフスプリング用サイレンサ
WO2017159421A1 (ja) 2016-03-15 2017-09-21 日本発條株式会社 間隔保持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る重ね板ば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18A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12B2 (en) Self-centering damper
CA3074659C (en) Metal baffles
KR102518240B1 (ko) 다판 복합재 스프링
JP6676610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のプラスチック取付け支持体
CN104404865B (zh) 一种u形阻尼器支座减震结构
US20100050397A1 (en) Connecting means for two crossing cable strands of cable play systems
JPS60234147A (ja) 弾性支持装置
KR102336401B1 (ko) 복합재 스프링용 브라켓장치
JP7209864B2 (ja) 板ばね装置
US10311838B2 (en) Guitar neck joint
CN217036657U (zh) 一种防静电高强度电缆桥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20100135138A (ko) 판스프링
CN204167457U (zh) 射频模块的微波介质谐振装置
US3073421A (en) Retaining device
US11353077B2 (en) Leaf spring
CN207303923U (zh) 卡线扣及空调器
KR101443044B1 (ko) 트러스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
CN202885853U (zh) 一种传感器结构件
CN111239945A (zh) 一种稳定性较高的光缆接头盒
CN206060624U (zh) 太阳能板锁固基架结构
KR101560208B1 (ko) 판스프링용 날개형 사이렌서
CN215716014U (zh) 一种结构稳定的h型钢构件
KR20200001743U (ko) 티바 연결용 클립
KR102677138B1 (ko) 에너지 감쇄형 면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