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6908B1 -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08B1
KR102516908B1 KR1020150172521A KR20150172521A KR102516908B1 KR 102516908 B1 KR102516908 B1 KR 102516908B1 KR 1020150172521 A KR1020150172521 A KR 1020150172521A KR 20150172521 A KR20150172521 A KR 20150172521A KR 102516908 B1 KR102516908 B1 KR 10251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pport
stretching
retardation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9479A (en
Inventor
다이스케 하야시
다쿠야 모리
미츠루 스즈키
아츠시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0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장척의 2 축 배향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이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고, 지지체 상의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되고,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 건조 후에,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고,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다. 수지 용액의 도포 전에, 지지체 필름의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가열 처리는, 지지체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폭 방향에서의 광학축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 support film made of a long biaxially oriented film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 the support film, the resin solution on the support is dried by heating, and the support film A layered body in which a coating film is adhered to and laminated thereon is formed. After drying,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to the coating film. Prior to application of the resin solution,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film is performed.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s of optical axes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Manufacturing method of retard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il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laminated.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콘트라스트 향상이나 시야각 확대 등의 광학 보상을 실시할 목적에서, 위상차 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막두께나 광학 특성의 균일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제막에는, 용액 제막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액 제막법에서는, 용매 중에 폴리머를 용해시킨 수지 용액 (도프) 을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가 제거되고,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BACKGROUND ART Retardation films are used in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optical compensation such as contrast enhancement and viewing angle expansio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Retardation films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require uniformity in film thickness and optical properties. Therefore,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is widely used for film form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In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 resin solution (dope) in which a polymer is dissolved in a solvent is applied onto a support, and then the solvent is removed by heating and drying or the like to form a layered product in which a coating film is tightly laminated on the support.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액 제막법에 의해 제막된 도막 (필름) 은,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액 제막법에 의해 제막된 도막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다양한 광학적인 이방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용액 제막법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도막을 단체 (單體) 로 연신하는 방법이 채용된다.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the coating film (film) formed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can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as it is. In addition, various optical anisotropies can be imparted by stretching the coating film formed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in at least one direction. When a retardation film is produced by stretching a coating film formed by a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 method in which the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is stretched as a single unit is generally employed.

한편,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하여 광학 이방성을 부여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특히, 도막의 막두께가 작은 경우 (예를 들어 30 ㎛ 이하) 나, 전연성이 낮은 (무른) 수지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막의 자기 지지성이 낮아 핸들링이 곤란하기 때문에, 제막에 사용한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경우,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지 않고,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그대로 적층 위상차판으로서 실용에 제공하는 방법과,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연신 후의 도막만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실용에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는, 열수축 필름을 지지체로 하여 용액 제막에 의해 도막을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가열 수축시킨 후, 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nx > nz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upport made of a resin film or the like is used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it is also practiced to impart optical anisotropy by stretching a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n particular,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for example, 30 μm or less) or when a resin material having low malleability (soft) is used, since the self-supporting property of the coating film is low and handling is difficult, the support used for film formation is difficult. A method of stretching a laminate of a coating film and a coating film is employed. In this cas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a method of using a laminate of a support and a coating film as it is for practical use as a laminated retardation plate without peeling the support from the laminate, and peeling the support from the stretched laminate , There is a method of using only the coated film after stretching as a retardation film for practical use. Further, in Patent Literature 4, a coating film is formed by solution film formation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and after heat-shrinking the laminate, the support is peeled off to form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optical anisotropy of nx > nz > ny A method of doing so is disclosed.

용액 제막에 사용하는 지지체에는, 용매에 대한 내용제성이나, 가열 건조시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지체와 도막을 박리하지 않고, 연신 후의 적층체를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균일한 것이 요구된다. 한편,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연신 후의 도막만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는, 최종 제품인 위상차 필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공정 부재이다. 이 경우, 지지체는, 반드시 광학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고, 제막이나 연신 등의 가공에 견딜 수 있는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을 갖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저가인 것이 바람직하다.Solvent resistance with respect to a solvent and heat resistance at the time of heat drying are calculated|required of the support body used for solution film formation. In addition, when using the laminated body after extending|stretching as it is as a retardation film, without peeling a support body and a coating film, it is required that a support body be optically unifor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stretched laminate and only the stretched coating film is used as the retardation film, the support is a process member that is not included in the retardation film as the final product. In this case, the suppor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optically uniform, and is preferably as inexpensive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having solven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hat can withstand processing such as film formation and stretching.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47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13974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8044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8044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6068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4606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2743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227430

최근, 디스플레이의 고화질화가 진행됨과 함께, 위상차 필름에 대한 요구 성능도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경량화나 박형화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종래보다 막두께가 작은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게 되었다. 막두께가 작은 필름이나, 기계 강도가 작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제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 필름 지지체 상에 도프를 도포하여, 지지체 상에 도막을 형성한 후,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일체로 연신하고, 지지체를 박리하는 방법이 적합하다.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progress of high-definition display, the required performance of the retardation film is also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demand for weight reduction and thinning of displays has also increased, and retardation films having a smaller film thickness than before have been us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ion of a film with a small film thickness or a film made of a resin material with a low mechanical strength, dope is applied on a resin film support, a coating is formed on the support, and then the support and the coating are laminated. A method in which the sieve is integrally stretched and the support is peeled off is suitable.

지지체로는, 저가이며 또한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범용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배향성 연신 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2 축 배향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그 위에 형성된 도막의 적층체를 일체로 연신한 경우, 연신 후의 도막, 즉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의 폭 방향에서의 편차가 커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The support is preferably inexpensive and has high mechanical strength. Generally, a biaxially oriented stretched film made of a general-purpose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propylene (PP) is 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present inventors, when a laminate of a support made of a biaxially oriented film and a coating film formed thereon is integrally stretched, the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coated film after stretching, that is, the retardation film, i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may be cases of enlargement.

또한, 범용 2 축 연신 PET 필름 등을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다른 문제로서, 도막과 지지체의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연신 가공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연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거나, 웨브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 가공할 때의 가열 온도 (예를 들어 140 ℃ 부근) 에 있어서의 가공성이 높은 지지체를 사용하면, 상기와 같은 연신 가공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가공성이 높은 지지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 배향각의 편차가 보다 커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In addition, as another problem in the case of using a general-purpose biaxially oriented PET film or the like as a support, stretching may not be possible due to insufficient stretching processability when a laminate of a coating film and a support is stretched, or a web or the like may cause appearance defect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above problems in stretching workability can be solved by using a support having high processability at a he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around 140° C.) when a laminate of a support and a coating film is stretched. paid However, when a support having high processability was used, a tendency for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to become larger was found.

이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2 축 배향성의 지지체 필름과 그 위에 형성된 도막의 적층체를 일체로 연신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s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ilm in which a biaxially oriented support film and a laminate of a coating film formed thereon are integrally stretched. The purpose.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지지체 필름이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고 (도포 공정), 지지체 필름 상에 도포된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된다 (건조 공정). 이들 공정에 의해,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 건조 후의 도막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upport film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 the support film (application step), and the resin solution applied on the support film is dried by heating (drying step). ). Through these steps, a layered product in which a coating film is adhered and laminated on a support film is formed.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is preferably 30 μm or les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지지체 상으로의 수지 용액의 도포 전에, 지지체 필름의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도막 형성 전의 지지체를 가열 처리함으로써,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이 균일해지는 것을 알아냈다. 가열 처리는, 지지체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실시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film is performed prior to application of the resin solution onto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inventors'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became uniform by heat-processing the support before coating film formatio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되고 (연신 공정),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연신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를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어느 일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한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시킨다. 예를 들어,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파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자유단 1 축 연신 (세로 연신) 이 실시됨으로써,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체를 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파지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이 실시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적층체를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체를 수축시킬 수 있다.Optical anisotropy is given to the coating film by extending|stretch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coating film was laminated closely on the support film (stretching process), and a phase difference film is obtained. In one embodiment, in the stretching step,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and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For example, by performing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 are not gripped, the laminate can be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Further, the laminate can be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by stretching the lamin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shrinking the lamin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 are held.

지지체 필름으로는, 2 축 배향성 필름이 사용된다. 지지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2 축 연신 필름이다. 지지체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연신시의 가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지지체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 필름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필름은 열수축 필름이어도 된다.As the support film, a biaxially oriented film is used. The support film is preferably a biaxially stretched film. When a polyester film is used as the support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upport film is 110°C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workability during stretching.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elasticity modulus in 140 degreeC of a support body film is 1000 Mpa or less. The support film may be a heat-shrinkable film.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TH 는,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고, 가열 시간 tH 는 바람직하게는 8 초 이상이다. 또한, 가열 온도가 80 ℃ 미만인 경우에도, 가열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80 ℃ 이상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가열 처리 온도는, 지지체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TH in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80°C or higher, and the heating time t H is preferably 8 seconds or higher. In addition, even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80°C,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heat treatment at 80°C or higher may be obtained by lengthening the heating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set based 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upport film.

또한, 본 발명은,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적층 편광판이 얻어진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y laminating an optical film containing a polarizer on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제막 전에 지지체 필름의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의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연신시의 가공성이 우수한 저인장 탄성률의 지지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배향각의 편차 저감 효과가 크다. 그 때문에, 막두께가 작고, 또한 광학 특성의 균일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높은 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angle devia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can be reduced by performing heat treatment on the support film before film formation. In particular, when a support film having a low tensile modulus excellent in processability during stretching is us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is great. Therefore,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and excellent uniformity in optical properties can be produced with a high yield.

도 1 은 가열 처리 후에 도포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연신 공정, 박리 공정 및 첩합 (貼合) 공정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연신 공정 후에 첩합 공정 및 박리 공정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이 폭 방향에서 불균일해지는 요인의 검토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는, 가열 전의 지지체에 그린 선 (하단) 및 가열 전의 지지체에 있어서의 배향각 (상단)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B1 및 B2 는, 가열 후의 지지체의 치수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는 제조예 A 에 있어서의 도막 (연신 후) 의 광학축의 배향각의 폭 방향의 분포이다.
(A) : 제조예 A1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800 ㎫)
(B) : 제조예 A2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600 ㎫)
(C) : 제조예 A3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200 ㎫)
도 6 은 제조예 B 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 배향각의 폭 방향의 분포이고, (A) 는 연신 전, (B) 는 연신 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pplication step and a drying step are continuously performed after heat treatment.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retching step, a peeling step, and a bonding step are continuously performed.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in which a bonding process and a peeling process are continuously performed after an extending process.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udy of a factor caus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to be non-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Fig. 4A schematically shows a line drawn on the support before heating (bottom) and an orientation angle (upper) on the support before heating. 4B1 and B2 are photographs showing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support after heating.
5 : is distribu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after extending|stretching) in manufacture example A.
(A): Preparation Example A1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 ° C. of support: 800 MPa)
(B): Production Example A2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 ° C. of support: 600 MPa)
(C): Preparation Example A3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 ° C. of support: 200 MPa)
6 is distribution of the optical axis orientation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in Production Example B, (A) before stretching and (B) after stretching.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film, a polymer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is preferably used. Specific examples of such a polymer include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polyamide-based resins, polyimide-based resins, maleimide-based resins, polyolefin-based resins, and (meth)acrylic-based resins. , cyclic polyolefin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polyallylate-based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polysulfone-based resins, and mixtures or copolymers thereof.

상기 폴리머는, 정 (正) 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부 (負) 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 보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가 작은 위상차 필름, 즉, 포지티브 A 플레이트 (nx > ny = nz), 및 네거티브 B 플레이트 (nx > ny > nz) 의 제조에는,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보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가 큰 위상차 필름, 즉, 네거티브 A 플레이트 (nz = nx > ny), 및 포지티브 B 플레이트 (nz > nx > ny) 의 제조에는,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ymer may have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or may have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n the production of a retardation film having a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that is, a positive A plate (nx > ny = nz) and a negative B plate (nx > ny > nz),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preferab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in-plane fast axis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that is, negative A plate (nz = nx > ny), and positive B plate (nz > nx > ny) Production of ,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preferably used.

여기서, nx 및 ny 는, 각각 도막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도막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면내 복굴절 Δnin,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방향 복굴절 Δnout,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및 Nz 계수는, 각각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Here, nx and ny are refractive indices in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and fast axi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respectively, and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In-plane birefringence Δn in , in-plane retardation Re, thickness direction birefringence Δn out ,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Nz coefficient each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 Δnin × d = (nx - ny) × dRe = Δn in × d = (nx - ny) × d

Rth = Δnout × d = (np - nz) × dRth = Δn out × d = (np - nz) × d

NZ = (nx - nz)/(nx - ny)NZ = (nx - nz)/(nx - ny)

단, nx 및 ny 중, nz 와의 차가 큰 쪽을 np 로 한다.However, among nx and ny, the one with the larger difference from nz is referred to as np.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지지체 필름 상에,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용액 (도프) 이 도포된다 (도포 공정). 지지체 필름 상에 도포된 도프는, 가열에 의해 건조되고,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재료의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 (건조 공정).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형성된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다 (연신 공정).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dope) of a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film is applied onto the support film (application step). The dope applied on the support film is dried by heating, and a laminate is formed in which the coating film of the resin material is adhered and laminated on the support film (drying step). Optical anisotropy is provided to a coating film by extending|stretching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coating film was formed on the support film in at least one direction (stretching process).

지지체 필름 상으로의 도프의 도포 전에, 지지체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도막 형성 전에 지지체 필름의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배향각의 편차가 작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Before application of the dope onto the support film,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heat-processing the support film before forming the coating film,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 is obtained.

또, 연신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된다」란, 면내의 적어도 일 방향에 있어서, 2 점간의 거리가 커지도록 가공되는 것을 가리키고, 필름의 길이 방향 (MD) 으로의 연신 (세로 연신), 필름의 폭 방향 (TD) 으로의 연신 (가로 연신),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양 방향으로의 연신 (2 축 연신), 및 경사 방향으로의 연신을 포함한다. 세로 연신 및 가로 연신에서는,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필름을 수축시켜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tretching step,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refers to processing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increases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in the plane, and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film (longitudinal stretching) , stretching of the fil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transverse stretching), stretching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biaxial stretching), and stretching in an oblique direction. In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the film may be shrunk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예를 들어,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파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자유단 세로 연신) 이 실시되는 경우, 필름은 폭 방향으로 수축된다. 일반적으로, 자유단 세로 연신에서는, 폭 방향의 수축률과 두께 방향의 수축률은 동등하고, 폭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은 동등해진다. 한편, 지지체 필름으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고, 열수축 필름의 수축력을 이용함으로써, 폭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을 적극적으로 실시함으로써, nx > nz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ee-end longitudinal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not held, the film shrinks in the width direction. Generally, in free-end longitudinal stretching,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hrinkage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and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rat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On the other hand, by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film and using the shrinkage force of the heat-shrinkable film,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ade greater than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is way,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optical anisotropy of nx > nz > ny can also be obtained by actively performing shrinkag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또한, 텐터 클립 등으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의 연신 (고정단 가로 연신) 이 실시되는 경우, 동시 2 축 연신기를 사용하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하는 것이나, 폭 방향으로 연신을 실시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필름을 수축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27430호) 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 필름으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고, 열수축 필름의 수축력을 이용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수축률을 크게 하여, 가로 연신에 의해, nx > nz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도 있다.Further, when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fixed-end transverse stretching) is performed while holding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with a tenter clip or the like, if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chine is used,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Stretching or shrinking th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also possible. Furthermor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227430), the shrinkage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reased by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film and using the shrinkage force of the heat-shrinkable film, By stretch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optical anisotropy of nx > nz > ny can also be obtained.

연신 후의 적층체는,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 필름이 박리되고 (박리 공정), 박리 후의 도막이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된다.The laminated body after extending|stretching can be used as retardation film as it is. Preferably, the support film is peeled from the laminate after stretching (peeling step), and the coated film after peeling is used as a retardation film.

위상차 필름의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가열, 도포, 및 건조는, 롤·투·롤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투·롤법에서는, 장척상의 지지체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연신, 및 연신 후의 지지체로부터의 도막의 박리도, 롤·투·롤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롤·투·롤에 의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각 공정을 따라 설명한다.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retardation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application, and drying are performed by a roll-to-roll method. In the roll-to-roll method, a long support film is used.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stretching and peeling of the coating film from the support after stretching are also carried out by roll-to-roll. Below,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long each process centering on embodiment by roll-to-roll.

도 1 은, 롤·투·롤법에 의해, 가열 처리, 제막 공정 및 건조 공정이 연속하여 실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개념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출부 (11) 에 장척상의 지지체 (1) 의 권회체 (10) 가 세트된다. 권회체 (10) 로부터 풀린 지지체 (1) 는, 조출부 (11) 로부터,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열로 (101), 제막부 (110), 건조로 (120) 로 순차 반송되고, 지지체 상에 대한 제막이 실시된다.1 is a process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mbodiment in which a heat treatment, a film form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are continuously performed by a roll-to-roll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winding object 10 of the elongate support body 1 is set in the feed-out part 11. The support 1 unwound from the winding body 10 is sequentially conveyed from the drawing-out unit 11 to the heating furnace 101, the film forming unit 110, and the drying furnace 120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path, Film forming on the support is performed.

[지지체 필름][Support film]

롤·투·롤법에서는, 지지체 필름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시키면서 제막이 실시된다. 그 때문에, 지지체 필름으로서, 장척상 필름의 권회체 (롤) 가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지지체 필름을 간단히 「지지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roll-to-roll method, film formation is performed while conveying the support fil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as a support film, a winding object (roll) of a long film-like film is used. Below, a support body film may be simply described as a "support body".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용액 제막법에 의해 지지체 상에 도막이 형성된 후,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가 연신 공정에 제공된다. 그 때문에, 지지체는, 가요성을 갖고, 열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지체로는, 2 축 배향성 필름이 사용된다. 특히, 지지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결정성 폴리머인 경우, 필름이 2 축 배향성을 가짐으로써, 폴리머의 결정성이 높아지고, 기계 강도와 함께 내열성이나 내용제성 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support body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the laminat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coating film is subjected to the stretching step.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has flexibility and is excellent in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From this point of view, as the support, a biaxially oriented film is used. 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upport is a crystalline polymer, the biaxial orientation of the film increases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heat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s well as mechanical strength.

2 축 배향성 필름은, 예를 들어 필름을 2 축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2 축 연신으로는, 종횡 축차 2 축 연신이나 종횡 동시 2 축 연신을 들 수 있다. 종횡 축차 2 축 연신에서는, 필름의 폭 방향 (TD) 을 고정시키지 않고 롤 연신 등에 의해 길이 방향 (MD) 으로의 연신 (세로 연신) 을 실시한 후, 텐터 등으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을 파지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의 연신 (가로 연신) 이 실시된다. 동시 2 축 연신에서는, 텐터 클립 등으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리니어 모터 방식, 팬터그래프 방식, 모터·체인 방식 등의 구동 방식에 의해, 길이 방향의 텐터 클립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폭 방향의 클립간 거리를 넓히는 것에 의해, 세로 연신과 가로 연신이 동시에 실시된다.A biaxially oriented film is obtained, for example, by biaxially stretching a film. Examples of the biaxial stretching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and vertical and horizontal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vertical and horizontal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roll stretching or the like without fixing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TD)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hen the film is gripp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by a tenter or the like.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fixed state. In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lm are held in the width direction by tenter clips or the like, a driving method such as a linear motor method, a pantograph method, or a motor chain method is used to change the lengthwise tenter clip spacing while changing the length of the film.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ips in the direction,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또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텐터 클립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 (MD) 으로의 연신 (세로 연신) 을 실시하는 방법이나, 필름을 열롤 등과 접촉시켜 폭 방향으로의 수축을 억제한 상태에서 세로 연신을 실시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2 축 배향성 필름이 얻어진다. 2 축 배향성 필름은, 연신 필름을, 추가로 연신한 것 (또는 수축시킨 것) 이어도 된다.Further, a method in which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stretching) while hold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enter clips or the like, or a state in which shrinkage in the width direction is suppressed by bringing the film into contact with a hot roll or the like A biaxially oriented film can also be obtained by a method of performing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above. The biaxially oriented film may be one obtained by further stretching (or shrinking) a stretched film.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으로부터, 용액 제막시의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높은 내용제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 polyolefin, polycycloolefin, polyamide,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imide polymer, and sulfone polymer. can Among these, those which do not dissolve in the solvent at the time of solution film formation are preferably used. Among them, as a resin material having high solvent resistance, a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preferably used.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나, 이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의 글리콜 성분 및/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치환한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s well as glycol components and/or dicarboxylic acids of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se polyesters. and polyesters in which part or all of are substituted with other monomer components.

지지체는, 도막 형성 후의 연신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 (예를 들어 140 ℃ 부근) 에 있어서의 연신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범용의 2 축 연신 PET 필름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200 ㎫ 정도이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의 탄성률이 높은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경우, 도막과 지지체의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연신 가공성이 부족하고, 연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거나, 웨브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The support is preferably one having excellent stretching processability at a he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around 140°C) in the stretching step after coating film formation. For example,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a general-purpose biaxially stretched PET film is about 1200 MPa. In this way, when a film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at a high temperature is used as a support, the stretching processability when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support may be insufficient, and stretching may not be performed, or the appearance of the web or the like may be poor. There are cases.

연신 가공성의 관점에서, 지지체는,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1000 ㎫ 이하이면, 연신시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연신 방향의 웨브의 발생 등의 외관 불량이 억제된다. 연신 가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9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stretchability, the support preferably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1000 MPa or less at 140°C.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the support is 1000 MPa or less, workability during stretching is excellent, and appearance defects such as generation of a web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re suppresse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the support is more preferably 900 MPa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800 MPa or less.

지지체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의 인장 탄성률이 과도하게 작으면, 연신에 의한 도막으로의 광학 이방성의 부여가 불충분해지거나, 연신 후의 도막 (위상차 필름) 의 광학축의 배향각 (이하, 간단히 「배향각」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upport is excessively small, imparting optical anisotropy to the coating film by stretching is insufficient, or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coating film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orientation angle") ) may become non-uniform. Therefore,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100 MPa or more, more preferably 200 MPa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300 MPa or more.

2 축 배향성 필름은, 길이 방향 (MD) 과 폭 방향 (TD) 의 연신 배율의 상이 등에 기인하여, 인장 탄성률이 이방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의 MD 와 TD 의 인장 탄성률이 상이한 경우, MD 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MD 및 TD 양방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 biaxially oriented film may have anisotropy in tensile modulus due to a difference in draw ratio between the machine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MD and TD of the support body is differ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MD at 140°C is in the above rang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oduli at 140 degreeC of both MD and TD fall within the said range.

또한, 연신 가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지지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연신 온도) 보다 저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연신시의 지지체의 탄성률이 작기 때문에, 연신에 의한 도막으로의 광학 이방성의 부여가 불충분해지거나, 연신 후의 도막의 배향각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 유리 전이 온도 Tg 는, 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는, 열기계 분석 (TMA) 의 하중 인장 모드에 의한 측정값이다.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tretching processabilit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heating temperature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stretching step. When the support is a polyester film,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preferably 110°C or lower, more preferably 105°C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C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low,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during stretching is small, so optical anisotropy is not sufficiently imparted to the coating film by stretching or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coating film may become non-uniform. When the support is a polyester film,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preferably 5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60°C or hig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a measured value by the load tensile mode of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상기 인장 탄성률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의 글리콜 성분 및/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치환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2 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글리콜 성분을 치환한 폴리에스테르로는, PET 의 에틸렌글리콜이나 PBT 의 1,4-부탄디올 등의 직사슬형 글리콜의 일부를,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치환한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치환한 폴리에스테르로는, PET 의 테레프탈산이나 PEN 의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으로 치환한 디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rystalline polyester film having the tensile modulu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 crystalline polyester obtained by substituting some or all of the glycol component and/or dicarboxylic acid of the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polyester with another monomer component. A biaxially stretched film is preferably used. As the polyester in which the glycol component is substituted, a part of the linear glycol such as ethylene glycol of PET or 1,4-butanediol of PBT is mixed with 1,2-cyclohexanedimethanol, 1,4-cyclohexanedimethanol, etc. and glycol-modified polyesters substituted with . In addition, as the polyester in whic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substituted, isophthalic acid, orthophthalic acid, 2,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 and dicarboxylic acid-modified polyesters substituted with 4-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nd the like.

상기 중에서도, PET 의 테레프탈산의 일부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테레프탈산 성분과 이소프탈산 성분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나 열 특성 등을 조정 가능하고, 이소프탈산 성분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PET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PET 와 동일하게, 연신에 의해 결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계 강도가 우수함과 함께, 높은 내용제성을 갖는 점에서도,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 a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in which a part of terephthalic acid in PET is substituted with isophthalic acid is preferably used. The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can adjus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and thermal properties by changing the ratio of the terephthalic acid component and the isophthalic acid component, and b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isophthalic acid component, at 140 ° C. The modulus of elasticity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PET. In addition, since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can be crystallized by stretching in the same way as PET, it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nd has high solvent resistance, so it is preferable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지지체는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유색 또는 불투명의 것이어도 된다. 지지체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 처리, 이형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블로킹 방지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블로킹 방지 등의 목적에서, 지지체의 폭 방향의 단부에는, 엠보스 가공 (널링)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The support may be colorless or transparent, or may be colored or opaque. The surface of the support may be subjected to an adhesion-facilitating treatment, a release treatment, an antistatic treatment, an antiblocking treatment, or the like. Further, for the purpose of blocking prevention or the like, embossing (knurling)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in the width direction.

지지체는, 자기 지지성과 가요성을 겸비하는 것이면,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20 ㎛ ∼ 200 ㎛ 정도이고, 30 ㎛ ∼ 150 ㎛ 가 바람직하고, 35 ㎛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양산성이 높아짐과 함께, 대화면 디스플레이로의 적용이 가능해진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both self-supporting properties and flexibilit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generally about 20 µm to 200 µm, preferably 30 µm to 150 µm, and more preferably 35 µm to 100 µm. The width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300 mm or more, more preferably 500 m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700 mm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0 mm or more. By enlarging the width|variety of a support body, while mass productivity of retardation film improves, application to a large-screen display becomes possible.

[가열 처리][Heat Treatment]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막부 (110) 에서 지지체 (1) 상에 도프가 도포되기 전에, 지지체 (1) 의 가열 처리가 실시된다.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을 지지체와 함께 연신하여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폭 방향에서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dope is applied on the support 1 in the film forming unit 110, the support 1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By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the var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body together with the support body can be reduced.

가열 처리는, 지지체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어, 장척상의 지지체의 권회체 (10) 로부터 지지체 (1) 를 풀면서,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가열로 (101) 내에서 지지체를 가열하는 방법이나, 가열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가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반송 장력, 즉 길이 방향으로의 장력이 부여된다.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 method of continuously conveying the support 1 to the downstream side while unwinding it from the winding body 10 of a long support body, heating the support within the heating furnace 101, or heating by bringing it into contact with a heating roll methods and the like. By conveying th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ying tension, that is,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지지체의 가열은, 지지체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서, 지지체의 폭 방향으로의 치수 변화를 허용한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롤 반송법이나 플로트 반송법 등에 의해, 지지체의 폭 방향의 양단이 파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지지체를 반송하면서 가열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dimensional chan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is allowed while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Therefore, heating is preferably performed while conveying th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are not gripped by a roll conveyance method, a float conveyance method, or the like.

가열 처리시의 장력은, 지지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의 두께, 인장 탄성률, 선팽창 계수 등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2 축 연신 필름인 경우, 지지체의 단위폭당 장력은, 25 N/m ∼ 500 N/m 정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길이 방향의 장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가열 처리시의 필름의 반송이 곤란해지거나, 연신 후의 도막의 배향각의 편차 저감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열 처리시의 길이 방향의 장력이 지나치게 크면, 신장이 커지고, 지지체에 흠집이나 주름이 발생하고, 그 위에 형성되는 도막의 외관 불량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가열 처리의 전후에서의 지지체의 길이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10 % 이내가 바람직하고, 5 %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내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ension at the time of heat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upport can be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ppropriate value may be set depending on the thickness, tensile modulus,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and the like of the support.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is a biaxially stretched film of crystalline polyester, the tension per unit width of the support is set in the range of about 25 N/m to 500 N/m. When the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oo small, conveyance of the film during heat treatment may be difficult, or the effect of reducing the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 of the coated film after stretching may b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heat treatment is too large, the elongation may increase, resulting in scratches and wrinkles in the support, and poor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fore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within 10%, more preferably within 5%, and still more preferably within 3%.

도프의 도포 전에 지지체의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아지는 것은, 도프 도포 후의 가열 건조나 그 후에 연신을 실시할 때의 지지체의 치수 변화 거동이 균일화되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된다.It is said that the reason why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is reduced by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before applying the dope is related to the uniformity of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support during heat drying after dope application and subsequent stretching. It is estimated.

도 4 를 사용하여,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의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이 폭 방향에서 불균일해지는 요인에 대한 검토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4 B1 및 B2 는,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열에 의한 치수 변화 거동의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실험에서는, 2 축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복수의 시험편으로 분할하고, 각 시험편에 MD 및 TD 로 연장되는 직선, 그리고 이들 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리고 (도 4A 의 하측 참조), 140 ℃ 의 오븐 중에서 5 분간 가열하였다. 도 4 B1 은 폭 방향 단부의 시험편의 가열 후의 사진이고, 도 4 B2 는 폭 방향 중앙부의 시험편의 가열 후의 사진이다. 도 4 B1 및 B2 에서는, 가열 전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직선 및 원을 점선으로 그리고, 가열에 의한 수축 방향을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4, an overview of the study of factors causing non-uniformity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will be described. 4B1 and B2 are photo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ation of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by heating. In this experiment, a biaxially stretched fil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est piec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MD and TD and a circle centered on the intersection of these straight lines are drawn on each test piece (see the lower part of Fig. 4A). , and heated for 5 minutes in an oven at 140°C. Fig. 4 B1 is a photograph of a test piece at an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heating, and Fig. 4 B2 is a photograph after heating of a test piece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 Fig. 4 B1 and B2, straight lines and circles in the MD direction in the test piece before heating are drawn as dotted lines, and the shrinkage direction due to heating is indicated by arrows in the figure.

폭 방향 중앙의 시료 (도 4 B2) 에서는, 가열에 의해, MD 로 약간의 수축이 보이는데, 가열 전후에서 MD 의 직선의 각도는 거의 변화되고 있지 않다. 한편, 폭 방향 단부의 시료 (도 4 B1) 에서는, 가열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하고, 가열 후에 MD 의 직선의 각도가 변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로부터, 2 축 배향성 필름에서는, 가열에 의한 필름의 수축 방향이, 도 4A 의 상부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궁형 (弓形) 으로 분포 (이른바 「보잉」)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ample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FIG. 4 B2), slight shrinkage was observed in the MD by heating, but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in the MD hardly changed before and after heating. On the other hand, in the sample at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FIG. 4 B1), it is found that shrinkage occurs in an oblique direction due to heating, and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of MD is changed after heating.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the biaxially oriented film, the direction of shrinkage of the film due to heating is arcuately distributed (so-called "bowing") in the width direction, as schematically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4A. can

이와 같이, 가열에 의한 치수 변화 거동이 지지체의 폭 방향에서 상이한 경우에는, 도프 도포 후의 건조시의 가열이나, 연신시에, 지지체의 치수 변화 거동이 폭 방향에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지지체와 함께 연신된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이 폭 방향에서 불균일해지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지체의 치수 변화를 사전에 발생시키고, 그 후에, 도프의 도포 및 건조 (도막의 형성), 그리고 연신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사전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고, 기재를 치수 변화시켜 보잉을 완화시킴으로써, 도프 도포 후의 건조시 및 그 후의 연신시의 지지체의 치수 변화 거동의 편차가 작아지고,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균일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In this way, when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by heating is differ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support body is different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heating or stretching at the time of drying after dope coat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stretched together with the support is likely to become non-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pport as shown in FIG. do. In this way, by subjecting the base material to a heat treatment beforehand to change the size of the substrate to relieve bowing, variation in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support at the time of drying after dope coating and subsequent stretching is reduced,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is uniform. It is thought to increase the

범용의 2 축 연신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가열에 의한 치수 변화의 억제나, 보잉의 완화를 목적으로 하여, 텐터에 의한 가로 연신 후에, 필름의 폭 방향을 파지한 채인 상태에서 가열을 실시함으로써 열고정 (히트 세트) 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범용 필름에서는,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과 같은 높은 배향각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열고정에 의해 치수 변화 거동이 억제된 2 축 배향성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그 위에 형성되는 위상차 필름은, 폭 방향의 배향각의 편차가 커지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서, 폭 방향으로의 수축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체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므로, 2 축 연신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열고정 처리보다 고정밀도로 치수 변화 거동을 균일화할 수 있고,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이 폭 방향에서 균일해진다고 생각된다.In the production of a general-purpose biaxially stretched film,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dimensional change due to heating and mitigating bowing, heat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lm is held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transverse stretching by a tenter. There are cases where fixation (heat set) is performed. However, general-purpose films do not require high alignment angle accuracy as in optical films such as retardation films, so even when a biaxially oriented film whos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is suppressed by heat setting is used as a support, there is a phase difference formed thereon. The film tends to have a large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contra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possible while applying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mensional change is more precise than the heat setting treatment in the production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It is thought that the behavior can be made uniform,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formed on the support become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가열 처리 온도나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지지체의 재료, 유리 전이 온도, 배향성 (연신 배율이나 배향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가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가열 처리 온도가 높고, 가열 시간이 길수록,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orientation angle devi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is adjust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suppor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orientation (stretch magnification and orientation accuracy), and the like. The higher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longer the heating time, the smaller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tends to be.

지지체의 가열 온도 TH 는, 기준으로서, 60 ℃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균일성 향상에 요하는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가열 온도 TH 를, 지지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가열 온도 TH 는, Tg - 15 ℃ 이상이 바람직하고, Tg - 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75 ℃ ∼ 80 ℃ 정도이기 때문에, 가열 온도는 60 ℃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인 경우에,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As a standard, the heating temperature TH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60°C or higher, more preferably 8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90°C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C or higher. By raising the heating temperature, the heating time required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 heating temperature TH of the support body may be set according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upport body.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preferably Tg - 15°C or higher, more preferably Tg - 5°C or higher, and even more preferably Tg or higher. For example, sinc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a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is about 75°C to 80°C,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6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80°C or higher. In particular,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Tg+15°C, the heating time tends to be shortened.

한편, 가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의 용융, 치수 안정성의 저하, 강도의 저하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고온으로 가열되면 올리고머가 석출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도막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가열 온도 TH 는 18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6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melting of the film, decrease in dimensional stability, decrease in strength, and the like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polyester film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oligomers precipitate, which may cause poor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Therefore,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preferably 180°C or less, more preferably 160°C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50°C or less.

가열 온도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롤과 지지체의 접촉에 의해 지지체의 가열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열 롤 내에 공급되는 열매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열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가열로 내에서의 반송에 의해 지지체의 가열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열풍 또는 냉풍이 순환되는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 마이크로파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히터, 온도 조절용으로 가열된 롤, 히트 파이프 롤 등의 적절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 온도가 조정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노내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고, 단계적으로 승온 또는 강온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갖게 해도 된다.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 means.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is heated by contact between the heat roll and the support,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medium supplied into the heat roll. When the support is heated by transportation in a heating furnace, an air circulation type constant temperature oven in which hot or cold air is circulated, a heater using microwaves or far-infrared rays, a roll heated for temperature control, a heat pipe roll, etc. are appropriately heated. By means,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adjusted. The heating temperature does not have to be constant within the furnace, and may have a temperature profil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raised or lowered step by step.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열 시간 tH 는, 지지체의 종류나 가열 온도 TH 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가열 온도 TH 가 80 ℃ 이상인 경우, 가열 시간 tH 는 8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 TH 가 60 ℃ 이상 80 ℃ 미만인 경우, 가열 시간 tH 는 23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time t H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pport or the heating temperature TH . For example,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80°C or higher, the heating time t H is preferably 8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12 seconds or longer,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seconds or longer.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60°C or more and less than 80°C, the heating time tH is preferably 23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30 seconds or longer, and still more preferably 40 seconds or longer.

가열 시간은, 지지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와 가열 온도 TH 의 관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인 경우, 가열 시간 tH 는 8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 Tg + 15 ℃ 미만의 범위에서는, 가열 시간 tH 는, {(Tg - TH) × 2 + 38}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Tg - TH) × 2 + 45}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 - TH) × 2 + 45}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heating time can also be se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upport and the heating temperature TH . For example,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Tg+15°C or higher, the heating time t H is preferably 8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12 seconds or longer,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seconds or longer.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in the range of Tg - 15°C or more and less than Tg + 15°C, the heating time t H is preferably {(Tg - T H ) × 2 + 38} seconds or more, {(Tg - T H ) × 2 + 45} seconds or longer is more preferred, and {(Tg - T H ) × 2 + 45} seconds or longer is still more preferred.

가열 시간은, 가열로의 길이 (가열로 내에서의 필름 반송 경로의 길이) 또는 열 롤의 외주 길이 (롤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롤과 지지체의 접촉 부분의 길이) 를 지지체의 반송 속도로 나눈 것이다. 동일한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가열로의 길이나 열 롤의 외주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가열 시간 tH 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지지체의 반송 속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의 가열 처리와 도프의 도포 및 건조가 연속하여 인라인으로 실시되는 경우, 가열 시간 tH 를 길게 하기 위해서 지지체의 반송 속도를 작게 하면, 계속해서 실시되는 제막 공정 및 건조 공정의 효율도 저하된다. 한편, 가열 시간을 과도하게 길게 해도, 배향각의 편차 억제 효과는 일정한 범위에 그친다. 그 때문에,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원하는 배향각의 균일화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가열 시간은 가능한 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와 도포 공정이 연속하여 실시되는 경우, 가열 시간은, 300 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 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초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heating time is obtained by dividing the length of the heating furnace (the length of the film transport path in the heating furn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hot roll (the length of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roll and the suppo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by the transport speed of the support. will be.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equipment, since the length of the heating furn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hot roll are constan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ransport speed of the support in order to lengthen the heating time t H . As shown in FIG. 1, when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and drying of the dope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line, if the conveyance speed of the support is reduced in order to lengthen the heating time t H , the film forming process and drying performed continuously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also reduc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heating time is excessively long,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is limited to a certain rang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productiv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ime be as short as possibl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effect of uniformizing the desired orientation angle is obtained. When the heat treatment and the application step are performed continuously, the heating time is preferably 300 seconds or less, more preferably 150 second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seconds or less.

[도포 공정 전의 다른 공정][Other processes before the coating process]

가열 처리 전, 또는 가열 처리 후 도포 공정 전에, 다른 공정이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와 도막의 밀착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지지체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 저압 UV 처리 등의 활성화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 상에 부착된 이물의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여, 지지체의 세정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Other step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heat treatment or before the application step after the heat treatment. For example, an activation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saponification treatment, or low-pressure UV treatmen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Further,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ing on the support, etc., the support may be washed.

<세정 처리><Cleaning treatment>

지지체의 세정 방법으로는, 초음파 에어나 세정 가스 등을 분사하는 비접촉 방식, 점착 롤 등의 클리닝 롤과의 접촉이나, 액체와의 접촉에 의한 접촉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도프 도포 전의 지지체의 세정은, 도프의 도포면 및 배면의 어느 곳에 실시해도 되고, 지지체의 양면을 세정해도 된다. 도프 도포면을 세정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부착된 이물 등의 필름 내로의 도입이 저감되므로, 광학적인 결점이 적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지지체의 배면을 세정함으로써, 제막시에 백업 롤과 지지체 사이로의 이물의 끼임이 억제된다.Examples of methods for cleaning the support include a non-contact method in which ultrasonic air or cleaning gas is sprayed, a contact method with a cleaning roll such as an adhesive roll, and a contact method by contact with a liquid. The washing of the support before dope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either on the dope-applied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ay be washed. By washing the dope-coated surface, introduction into the film of foreign matter or the like adhering on the support is reduced, so that a retardation film with few optical defects is obtained. In addition, by washing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body,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the back-up roll and the support body during film formation is suppressed.

제막시에 백업 롤과 지지체 사이에 이물이 존재하면, 그 가압에 의해서, 지지체의 제막면측이 볼록상으로 변형되고, 그 위에 도프가 도포되기 때문에, 지지체가 변형된 부분의 도포 두께가 국소적으로 작아지고, 점상의 간섭 불균일과 같은 결점 (이하, 「스폿 불균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막의 막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국소적인 막두께 저하에 의한 스폿 불균일이 결함으로써 인식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지지체를 조출하고 나서, 도프를 도포할 때까지 동안에, 지지체의 제막면과 반대측의 면 (배면) 을 인라인 세정함으로써, 스폿 불균일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세정액을 개재하여 지지체의 배면과 세정 롤을 접촉시키면서 웨트 세정함으로써, 스폿 불균일의 저감 효과가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다.If a foreign substance exists between the back-up roll and the suppor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he film formation surface side of the support is deformed into a convex shape by the pressurization, and the dope is applied thereon, so tha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deformed is locally reduced. It becomes small, and a defect such as point-like interference nonuniformity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spot nonuniformity") may occur. In particular,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spot unevenness due to local film thickness reduction tends to be easily recognized as a defect. By in-line washing the surface (rea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lm forming surface of the support from the time the support is drawn out to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dope, the occurrence of spot unevenness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by performing wet cleaning while bringing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cleaning roll into contact with a cleaning liquid, the effect of reducing spot unevenness tends to be remarkable.

세정 롤은,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요철 패턴의 볼록부가 롤의 둘레 방향과 비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둘레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갖는 롤로는, 예를 들어, 그라비어 롤, 메이어바 롤, 엠보스 롤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를 흠집내지 않고, 세정액이 지지체 배면에 도포되어 펴지는 점에서, 세정 롤로는, 그라비어 롤 및 메이어바 롤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세정 롤과, 지지체의 배면을 세정액을 개재하여 접촉시키면서 웨트 세정이 실시됨으로써, 지지체의 배면에 부착된 이물이 효율적으로 제거되고, 스폿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 cleaning roll preferably has a concave-convex pattern on its surface, and among these, a convex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attern extends non-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 is preferably used. As a roll which has a convex part extended in the direction non-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gravure roll, a meyer bar roll, an embossing roll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the cleaning roll, a gravure roll and a meyer bar roll ar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n that the cleaning liquid is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and spreads without damaging the support. By carrying out wet cleaning while bringing the cleaning roll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via a cleaning liquid,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is efficiently removed, and occurrence of spot unevenness can be suppressed.

세정 롤과 지지체 사이에 공급되는 세정액은, 액체이며, 지지체를 용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 유기 용매,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인라인 세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관점에서, 세정액으로는, 물보다 비점이 낮은 액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세정력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계면 활성제나 친수성 유기 화합물 등이 세정액 중에 첨가되어도 된다. 친수성 유기 화합물로는, 수산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이미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술폰산기, SO 기 등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supplied between the cleaning roll and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liquid and does not dissolve the support, and water, an organic solvent, a mixture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or the like is used.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performing in-line cleaning, a liquid having a boiling point lower than that of water is preferably used as the cleaning liquid. In addition, a surfactant, a hydrophilic organic compound, or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cleaning liqui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leaning power or the like. Examples of the hydrophilic organic compound include organic compounds having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n amide group, an imino group, an imide group, a nitro group, a cyano group, an isocyanate group, a carboxyl group, an ester group, an ether group, a carbon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n SO group, and the like. can

세정액과의 접촉에 의해 세정 후의 지지체는, 도프가 도포될 때까지 동안에, 표면에 부착된 세정액의 건조가 실시되어도 된다.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클린 에어를 분사하는 방법이나, 가열 오븐을 통과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세정액의 건조를 겸하여 상기 가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세정 후에 건조를 겸하여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기 때문에, 배향각의 폭 방향에서의 편차가 저감되고, 또한 스폿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된 위상차 필름을,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The support after cleaning by contact with the cleaning liquid may be dried from the cleaning liquid adhering to the surface until the dope is applied. The dry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of blowing clean air, a method of passing through a heating oven,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lso as drying the washing liquid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by carrying out heat treatment concurrently with drying after wash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in which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is reduced and occurrence of spot irregularities is suppressed with high productivity.

[제막 공정 및 건조 공정][Film forming process and drying process]

제막 공정에서는,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 (2) 를 길이 방향 (MD) 을 따라 반송시키면서, 그 위에 수지 용액 (도프) 이 도포된다. 그 후, 가열에 의해 수지 용액이 건조되고,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장척상의 적층체가 형성된다.In the film forming step, a resin solution (dope) is applied thereon while conveying the support body 2 after heat treat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hereafter, the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and a long laminated body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tightly laminated on the support is formed.

도 1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가열로 (101) 에 있어서 가열 처리가 실시된 지지체 (2) 가, 가이드 롤러 (207) 를 거쳐, 하류측에 형성된 제막부 (110) 로 반송되고, 제막이 실시된다. 또, 도 1 에서는, 가열로 (101) 에서의 가열 처리 후에 연속하여 제막부 (110) 에서 제막이 실시되는 형태가 나타나 있지만, 가열 처리와 제막은 반드시 연속으로 실시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를 일단 롤상으로 권취하고,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의 권회체로부터 지지체를 풀어 하류측에 반송하면서, 제막이 실시되어도 된다.In the form shown in FIG. 1 , the support 2 subjected to the heat treatment in the heating furnace 101 is transported via the guide roller 207 to the film forming unit 110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and film forming is performed. . 1 shows a form in which film form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film forming unit 110 after the heat treatment in the heating furnace 101, but the heat treatment and the film formation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For example, film formation may be performed while once winding up the support body after heat treatment in the form of a roll, unwinding the support body from the winding body of the support body after heat treatment, and transporting it to the downstream side.

제막부 (110) 에서는, 지지체 (2) 에 도프 (118) 가 도포되어 펴지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막이 실시된다. 도 1 에서는, 나이프 롤 코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롤 코터에서는, 지지체 (2) 를 백업 롤 (112) 과 접촉시키면서, 액체 댐 (117) 내의 도프 (118) 와 접촉시키고, 나이프 롤 (111) 로 도프의 액 제거를 실시함으로써, 도막의 두께가 조정된다. 제막부 (110) 에 있어서의 제막 방법은, 나이프 롤 코트에 한정되지 않고, 키스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리버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메이어바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트 등의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In the film forming unit 110, the dope 118 is applied to the support 2 and spread, and film form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Figure 1, a knife roll coater is shown. In this roll coater, the support 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ope 118 in the liquid dam 117 while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up roll 112, and the dope liquid is removed with the knife roll 111,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adjusted The film forming method in the film forming unit 110 is not limited to knife roll coating, but kiss roll coat, gravure coat, reverse coat, spray coat, meyer bar coat, air knife coat, curtain coat, lip coat, die coat, etc. A variety of methods are used.

도프 (118) 는,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의 용액이고, 수지 재료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한다. 도프에는, 필요에 따라, 레벨링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는,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 이방성에 따라,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및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 특성 등에 따라,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의 종류는, 수지 재료를 용해하고, 또한 지지체를 용해시키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액 제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도프의 고형분이나 점도 등은, 수지의 종류나 분자량, 위상차 필름의 두께, 제막 방법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Dope 118 is a solution of a resin material for forming a retardation film, and contains a resin material (polymer) and a solvent. Additives, such as a leveling agent, a plasticizer, a ultraviolet absorber, and a deterioration inhibitor, may be contained in dope as needed. As the resin material for forming the retardation film, either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or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desired optical anisotropy of the retardation film.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in materials may be mixed and us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tardation film as the objective. The type of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issolves the resin material and does not dissolve the support, and various solvents generally used for solution film formation can be used. Solid content, viscosity, etc. of dope ar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kind and molecular weight of resin, the thickness of retardation film, a film forming method, etc.

제막 두께는, 위상차 필름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 (리타데이션값) 등에 따라, 예를 들어, 건조 후의 막두께가 1 ㎛ ∼ 100 ㎛ 정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와 그 위에 형성된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하기 때문에, 도막 단체로는 막두께가 작아 핸들링이 곤란한 경우라도, 연신 등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막의 막두께가 30 ㎛ 이하인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면, 막두께가 작고, 또한 배향각의 균일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 film thickness is set so that, for example,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is about 1 μm to 100 μm, depending on the optical properties (retardation value) and the like required of the retardation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is stretched, processing such as stretching can be facilitated even when handling is difficult due to the small film thickness of the single coating film. Therefore,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30 μm or less, by appl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and excellent uniformity of orientation angle can be easily obtained.

지지체 (2) 상에 도포된 도프층은, 지지체와 함께 건조로 (120) 내로 반송되어, 용매가 제거되고, 지지체 (2) 상에 도막이 밀착 형성된 적층체 (3) 가 얻어진다. 적층체 (3) 는, 건조로 (120) 로부터 하류측에 반송되고, 가이드 롤러 (211 ∼ 215) 를 거쳐, 권취부 (21) 에서 권취되고,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 (3) 의 권회체 (20) 가 얻어진다.The dope layer applied on the support body 2 is conveyed into the drying furnace 120 together with the support body, the solvent is removed, and the laminate 3 in which the coating film adheres on the support body 2 is formed is obtained. The layered product 3 is conveyed downstream from the drying furnace 120, passed through the guide rollers 211 to 215, and wound up by the winding unit 21, and the rolled body of the layered body 3 of the support body and the coating film (20) is obtained.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건조 온도) 나 건조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도프를 구성하는 용제의 비점 부근, 또는 용제의 비점보다 고온에서 건조가 실시된다. 건조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 공정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포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건조 온도는 가능한 한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온도는, 70 ℃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용제의 돌비 (突沸) 에 의해 도막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지지체의 치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건조 온도는 2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heating temperatur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in the drying proces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general, drying is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near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dope or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From the viewpoint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and enhanc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as high as possible within a range in which appearance defects such as bubbles do not occur. Specifically,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70°C or higher, more preferably 8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90°C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C or hig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bubbles may be generated in the coating film or dimensional change of the support may occur due to the bumpy flow of the solvent. Therefore,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230°C or lower, more preferably 200°C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180°C or lower.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2 축 배향성 지지체 상으로의 도프 도포 후의 건조 온도를 높게 하면,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폭 방향에서의 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사전에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치수 변화의 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온도가 높은 경우라도,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을 균일화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dope coating onto the biaxially oriented support is increased,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in the width direction tends to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on-uniformity in dimensional change of the support in the drying step can be eliminated by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dvance, even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high,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can be made uniform. .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가열 처리에 관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노내의 온도는, 노내 전체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고, 단계적으로 승온 또는 강온시키는 온도 프로파일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노내를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여, 각 존마다 설정 온도를 바꿀 수도 있다. 또한, 가열로의 입구나 출구에서의 온도 변화에 의한 지지체의 급격한 치수 변화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열로의 입구 및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변화가 완만해지도록, 예비 가열 존이나 냉각 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step can be adjusted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for the heat treatment.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does not have to be constant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furnace, and may have a temperature profil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raised or lowered step by step.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furnac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set temperature can be changed for each zon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sudden dimensional change of the support due to temperature change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a preliminary heating zone or a cooling zone is 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urnace is moderated. You may.

또, 건조로내 전체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건조 온도란, 가장 고온이 되는 부분에서의 노내 온도 (즉, 노내의 분위기 온도) 를 가리킨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가열 시간은, 10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은, 가열로 중의 지지체의 반송 경로의 길이 (노 길이) 나, 지지체의 반송 속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throughout the drying furnace is not constant, the drying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within the furnace at the highest temperature (ie, atmospheric temperature within the furnace). In the drying step, the heating time 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10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20 seconds or longer,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seconds or longer. The heating ti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nsport path of the support in the heating furnace (furnace length) and the transport speed of the support.

지지체 상의 도막의 건조시에, 폴리머의 분자 사슬은 면내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향이 있다.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면내에 배향되면, 도막의 두께 방향 굴절률 nz 가, 면내의 굴절률 (nx 및 ny)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커지고, 도막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 (Rth 가 정의 값) 을 갖는 네거티브 C 플레이트 특성이 발현된다.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면내에 배향되면, 도막의 두께 방향 굴절률 nz 가, 면내의 굴절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 (Rth 가 부의 값) 을 갖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 특성이 발현된다.Upon drying of the coating film on the support, the molecular chains of the polymer tend to be oriented in the in-plane direction. When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oriented in-plane, the thickness direction refractive index nz of the coating film becomes large relative to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nx and ny), and the coating film exhibits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y > nz (where Rth is a positive value) Negative C plate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When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oriented in-plane, the thickness direction refractive index nz of the coating film becomes relatively small with respect to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and a positive C plate characteristic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Rth is a negative value) of nx = ny < nz this is manifested

2 축 배향성 필름은, 가열시의 치수 변화율이 방향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의 건조를 고온에서 실시하면, 지지체의 치수 변화의 이방성에 기인하여, 도막이 면내의 굴절률 이방성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건조시의 가열에 의해, 도 4 B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가 경사 방향으로 수축되면,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막도 경사 방향으로 수축되고, 경사 방향에 광학축을 갖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의 수축률이나 수축 방향이 폭 방향 불균일이면, 도막의 광학축이 폭 방향에서 불균일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지지체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기 때문에, 지지체의 치수 변화 거동이 폭 방향에서 균일해지고, 이것에 따라 그 위에 형성되는 도막도, 광학축의 배향각이 폭 방향에서 균일해진다.Since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biaxially oriented film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when heated, when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is dried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the anisotropy of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pport, the coating film generates in-plan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There are cases. When the support is contracted in an oblique direction by heating during drying, as shown in FIG. 4B1 ,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is also contract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may have an optical axis in the oblique direction. Therefore, if the shrinkage rate or shrinkage direction of the support is non-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the optical axis of the coating film becomes non-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advance,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of the support becomes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also changes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It becomes uniform in this width direction.

[연신 공정][stretching process]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 (2) 상에 도막이 밀착 형성된 적층체 (3) 는, 연신 공정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된다. 도 2 는, 연신 공정 및 박리 공정의 일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연신 장치의 조출부 (22) 에 적층체 (3) 의 권회체 (20) 가 세트되어 있다. 권회체 (20) 로부터 풀린 적층체 (3) 는, 조출부 (22) 로부터 가이드 롤러 (221, 222) 를 거쳐, 하류측의 연신부 (130) 의 가열로 (139) 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또, 도 1 및 도 2 에서는, 제막 장치의 권취부 (21) 에서, 도프를 건조 후의 적층체 (3) 가 일단 권취된 후, 적층체 (3) 의 권회체 (20) 가 연신 장치의 조출부 (22) 에 세트되고, 풀리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막 및 건조 공정 후에 적층체를 권취하지 않고, 적층체가 그대로 연신 공정에 제공되어도 된다.The layered product 3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2 after the heat treatment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stretching step. 2 :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one form of an extending process and a peeling process. In the form shown in FIG. 2, the winding object 20 of the laminated body 3 is set in the feed-out part 22 of a stretching apparatus. The laminated body 3 unwound from the winding object 20 is conveyed continuously from the drawing-out part 22 to the heating furnace 139 of the extending part 130 on the downstream side via the guide rollers 221 and 222. Moreover, in FIG. 1 and FIG. 2, after the laminated body 3 after drying dope is once rolled up in the take-up part 21 of the film forming apparatus, the winding object 20 of the laminated body 3 is drawn out of the stretching apparatus Although the form of being set and unwound on the portion 22 is shown, the laminate may be directly used in the stretching step without winding the laminate after the film forming and drying steps.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연신부 (130) 에 있어서, 플로트법에 의해 길이 방향 (MD) 으로 자유단 1 축 연신 (세로 연신) 을 실시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신부 (130) 는 가열로 (139) 를 구비하고, 가열로 (139) 의 상류측 (입구) 에 닙롤 (231, 232) 이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 (출구) 에 닙롤 (236, 237) 이 형성되어 있다.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적층체의 폭 방향의 단부를 파지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필름이 연신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가열로 (139) 의 하류측의 닙롤 (236, 237) 의 주속도를, 상류측의 닙롤 (231, 232) 의 주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적층체 (3) 가 길이 방향으로 연신된다.In the form shown in FIG. 2, in the extending|stretching part 130, the example which implements free-end uniaxial stretching (longitudin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the float method is shown. The stretching unit 130 has a heating furnace 139, nip rolls 231 and 232 are formed on the upstream side (entrance) of the heating furnace 139, and nip rolls 236 and 237 ar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exit) this is formed In the free-end uniaxial stretching,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gripping the edge of the laminat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orm shown in FIG. 2, by making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nip rolls 236 and 237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39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nip rolls 231 and 232 on the upstream side, the laminated body 3 has a length stretched in the direction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가열로 (139) 내에는, 적층체의 반송 경로의 상하에 열풍 분사 노즐 (플로팅 노즐) (131 ∼ 137) 이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고, 열풍에 의한 가열하에서 연신이 실시된다. 가열로 (연신로) (139) 내에서의 필름의 반송 방법은, 플로트법에 한정되지 않고, 롤 반송법이나, 텐터 반송법 등의 적절한 반송 방법이 채용된다. 텐터 반송에 의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반송시키면서, 폭 방향 (TD) 의 연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로 (139) 내에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동시 2 축 연신이나, 경사 방향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가열로 (139)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 별도의 가열로 (도시 생략) 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 등에 의해 축차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In the form shown in FIG. 2, in the heating furnace 139, hot air spray nozzles (floating nozzles) 131 to 137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bove and below the transport path of the laminate, and stretching is performed under heating by hot air. It is carried out. The conveyance method of the film in the heating furnace (stretching furnace) 139 is not limited to the float method, and an appropriate conveyance method such as a roll conveyance method or a tenter conveyance method is employed.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can also be performed while conveying th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tenter conveyance. In the heating furnace 139,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idth direction or oblique direction stretching may be performed. Furthermore, after extending|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heating furnace 139, you may perform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by extending|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with another heating furnace (not shown), etc.

연신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 (연신 온도)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체와 그 위에 형성된 도막을 함께 연신 가능한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막 (위상차 필름) 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종류나, 지지체의 열 특성 등에 따라 설정된다. 연신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100 ℃ ∼ 22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20 ℃ ∼ 200 ℃ 정도이다.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 로 한 경우, 연신 온도는, (tg - 1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tg - 9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 - 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지지체로부터의 도막의 박리가 발생하거나, 리타데이션이 불균일해지거나, 헤이즈 상승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연신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배향성이 저하되고, 소기의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stretching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temperature at which both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can be stretched, and the type of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retardation film),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support, etc. set according to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generally about 100°C to 220°C, and preferably about 120°C to 200°C.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is tg,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tg - 100) ° C or higher, more preferably (tg - 90) ° C or higher, and (tg - 80) ° C or higher more preferable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oo low, peeling of the coating film from the support may occur, retardation may become non-uniform, or appearance defects such as haze increase may be ca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oo high,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may decrease, and desired retardation may not be obtained.

가열로 (139) 내의 온도는, 노내 전체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고, 단계적으로 승온 또는 강온시키는 온도 프로파일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노내를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여, 존마다 설정 온도를 바꿀 수도 있다. 또한, 가열로 (139) 의 입구나 출구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적층체가 급격히 치수 변화되어, 주름을 발생시키거나, 반송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열로의 입구 및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변화가 완만해지도록, 예비 가열 존이나 냉각 존을 형성하거나, 가열 롤이나 냉각 롤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ting furnace 139 does not have to be constant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furnace, and may have a temperature profil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raised or lowered step by step.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furnac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set temperature can be changed for each zon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problems such as a sudden dimensional change of the laminate due to a temperature change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139, causing wrinkles or conveying defects, the vicinity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A preliminary heating zone or a cooling zone may be formed, or a heating roll or cooling roll may be 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in is moderate.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적층체가 연신됨에 따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는 수축 작용이 생긴다. 그 때문에,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경우, 길이 방향의 굴절률 (nx) 이 커지고, 폭 방향의 굴절률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은 작아진다. 한편,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경우, 길이 방향의 굴절률 (ny) 이 작아지고, 폭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은 커진다.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일반적으로, 폭 방향의 수축률과 두께 방향의 수축률은 동등하고, 폭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은 동등해진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A 플레이트가 된다. 한편,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nz = nx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네거티브 A 플레이트가 된다.In free-end uniaxial stretching, as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traction action occur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has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reased, and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has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creases, and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crease. In free-end uniaxial stretching, generally,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hrinkage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and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rat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Therefore, when using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as the material of the retardation film,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free-end uniaxial stretching has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y = nz. It becomes a positive A plat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free-end uniaxial stretching becomes a negative A pl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z = nx > ny.

또,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형성된 적층체를 자유단 1 축 연신에 제공하는 경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수축률은, 지지체의 기계 특성이나 열 특성에 크게 좌우되므로, 도막의 폭 방향의 수축률과 두께 방향의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지체 상의 도막의 건조시에 폴리머의 분자 사슬이 면내 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도막의 두께 방향 굴절률 nz 가, 면내의 굴절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크거나, 또는 작아지고, 도막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 (Rth 가 정의 값) 을 갖는 네거티브 C 플레이트 특성, 또는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 (Rth 가 부의 값) 을 갖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 특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도막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경우에는,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이, 연신 전후에서 유지되고,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원리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nz > nx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Further, when a layered product in which a coating film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a support body is subjected to free-end uniaxial stretching,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yered body largely depend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body, so the shrinkage rate and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shrinkage rates in the directions are different. In addition, when the coating film on the support is dried, the molecular chains of the polymer are oriented in the in-plane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direction refractive index nz of the coating film is relatively large or small with respect to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and the coating film has a refractive index of nx = ny > nz It may have negative C plate characteristics with anisotropy (Rth is a positive value) or positive C plate characteristics with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Rth is a negative value) of nx = ny < nz. Therefore, when the coating film made of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formed on the support has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y > nz,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y > nz is maintained before and after stretching, and the refractive index of nx > ny > nz A negative B plate having anisotropy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when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etardation film, a positive B pl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z > nx > ny may be obtained by free-end uniaxial stretching in some cases.

상기와 같이,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연신 대상이 되는 지지체 및 도막의 연신에 따라, 폭 방향으로의 수축이 발생하고,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체 상으로의 도막의 형성 전에 지지체의 가열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건조시의 치수 변화 거동이 균일해지는 것에 추가하여, 연신시의 치수 변화 거동도 균일해지므로,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을 폭 방향에서 균일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ree-end uniaxial stretching, contra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ccurs along with stretching of the support body and the coating film to be stretched, and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heat treatment on the support before forming the coating film on the support, in addition to uniforming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during drying, the dimensional change behavior during stretching also becomes uniform,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The orientation angle can be mad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1.01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3 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연신 배율이 클수록, 면내 복굴절 (Δnin) 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연신 배율이 과도하게 크면, 도막의 파단을 발생시키거나, 광학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연신 배율은 3 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법이나 연신 배율은, 목적으로 하는 광학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는, 예를 들어 15 ㎚ ∼ 400 ㎚ 정도이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및 NZ 계수 등의 광학 특성은, 위상차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The draw ratio in th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1.01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3 times or more. In free-end uniaxial stretching, in-plane birefringence (Δn in ) tends to increase as the stretching ratio increases. When the draw ratio is excessively large, breakage of the coating film may occur or optical properties may become non-uniform. Therefore,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3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2.5 time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 times or less. The stretching method and the stretching ratio in the stretching step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arget optical characteristics. In-plane retardation Re of retardation film is about 15 nm - 400 nm, for example. Optical properties such as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the retardation film and NZ coefficient ar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use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like.

[박리 공정][Peel process]

연신 후의 적층체 (4) 는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후의 적층체 (4) 로부터, 연신 후의 지지체 (7) 가 박리되고, 지지체를 박리 후의 도막 (5) 이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지지체는, 최종 제품인 위상차 필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공정 부재이다. 그 때문에,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고, 저가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The layered product 4 after stretching can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as it is. Preferably, the support 7 after the stretch is peeled off from the laminate 4 after the stretch, and the coating film 5 after the support is peeled off is used as a retardation film. In this case, the support is a process member that is not included in the retardation film as the final product. Therefore, the support does not have to be optically uniform, and an inexpensive support can be used.

연신 후의 적층체 (4) 는, 일단 롤상으로 권취해도 되고, 연신 공정부터 연속하여 박리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 에서는, 연신 공정 후에 연속하여, 박리부 (160) 에서 박리 공정이 실시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연신 후의 지지체 (7) 와 도막 (위상차 필름 (5)) 의 박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균일하게 박리를 실시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적층체 (4) 를 닙롤 (261, 262) 로 협지하고, 그 하류측에서, 지지체 (7) 및 위상차 필름 (5) 의 각각을 상부 롤 (261) 및 하부 롤 (262) 을 따르도록 반송시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후의 지지체 (7) 는, 적절한 방식에 의해 권취부 (71) 에서 권취된다.The laminated body 4 after extending|stretching may be once rolled up in roll shape, and it may use for a peeling process continuously from an extending process. In FIG. 2, the form in which the peel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eeling part 160 continuously after the extending process is shown. The peeling method of the support body 7 and the coating film (retardation film 5) after stretch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It is preferable to convey each of the support body 7 and the retardation film 5 along the upper roll 261 and the lower roll 262 on the downstream side thereof, and to peel them. The support body 7 after peeling is wound up in the take-up part 71 by an appropriate system.

[연신 공정 후의 다른 공정][Other processes after the stretching process]

연신 공정 후나 박리 공정 후에, 위상차 필름을 또 다른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지지체 (7) 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5) 이, 검사부 (170) 에서 검사된 후, 첩합부 (190) 에서 다른 필름 (9) 과 첩합된 후, 위상차 필름 (5) 과 필름 (9) 의 적층체 (6) 가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고, 권회체 (50) 가 형성된다.After the stretching process or the peeling process, the retardation film may be subjected to another process.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FIG. 2, after the retardation film 5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7 is inspected by the inspection unit 170, and then bonded to another film 9 by the bonding unit 190, The laminate 6 of the retardation film 5 and the film 9 is wound up in a winding unit 51 to form a winding object 50 .

<검사 공정><Inspection process>

검사부는, 위상차 필름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를 구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검사부 (170) 는, 위상차계 (171) 및 결점 검출부 (172) 를 구비한다. 위상차계 (171) 는, 위상차 필름 (5) 의 리타데이션이나 지상축의 배향 각도를 검출한다. 측정된 리타데이션값을, 연신부 (130) 에 있어서의 롤 주속 등에 피드백시킴으로써, 리타데이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5) 의 리타데이션을 정확히 측정하는 관점에서, 지지체 (7) 를 박리 후에 위상차 측정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pection unit includes a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retardation film. In the form shown in FIG. 2 , the inspection unit 170 includes a phase difference meter 171 and a defect detection unit 172 . The retardation meter 171 detects the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5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low axis. The retardation can be kept constant by feeding back the measured retardation value to the roll circumferential speed or the like in the stretching unit 130 . From the viewpoint of accurately measuring the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5,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after the support 7 is peeled off.

결점 검출부는, 위상차 필름의 내부 또는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이나, 타흔 (打痕) 등의 요철상 결함, 흠집 등의 결점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7) 를 박리 후에 결점 검출을 실시함으로써, 지지체 (7) 에만 포함되는 결점을 검출하지 않고, 위상차 필름 (5) 의 결점을 선택적으로 검출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점 검출 정밀도가 높아진다.The defect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etecting defects such as concavo-convex defects such as foreign substances, dents, and scratches existing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Since defects of the retardation film 5 can be selectively detected without detecting defects contained only in the support 7 by performing defect detection after peeling the support 7, the defect detection accuracy increases.

<첩합 공정><Bonding process>

첩합부 (190) 에서는, 위상차 필름 (5) 이 다른 필름 (9) 과 첩합되고, 적층체 (6) 가 형성된다. 필름 (9) 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5) 에 임시 접착되는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이나, 다른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자 등) 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적층은, 적절한 접착제를 개재하여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onding part 190, the retardation film 5 is bonded together with the other film 9, and the laminated body 6 is formed. Examples of the film 9 include a protective film (separator) temporarily bonded to the retardation film 5 and other optical films (retardation film, polarizer, etc.). Lamin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nd other films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an appropriate adhesive agent.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를 적층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위상차 필름 상에는 편광자가 단체로 적층되어도 되고, 편광자 상에 투명 보호 필름이나 다른 위상차 필름이 첩합된 것이 적층되어도 된다.A laminated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ation film can be formed by laminating a polarizer on the retardation film. Further, on the retardation film, a polarizer may be laminated alone, or on the polarizer,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another retardation film bonded together may be laminated.

위상차 필름 상에 적층되는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 ㎛ ∼ 50 ㎛ 정도이다. 특히, 박형의 적층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 편광자의 두께는 2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열이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따른 편광자의 치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인접하는 위상차 필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에 적층되는 편광자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가 작은 적층 편광판이 얻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1 µm to 50 µm.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thin laminated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25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5 μm or less, and preferably 8 μm or less.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the influence of the stress generated by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er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heat and humidity can be reduced. Therefore,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is small,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with little change in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obtained.

위상차 필름 (5) 의 표면에는, 다른 광학 필름이나 액정 셀 등과의 첩합을 위한 점착제층이 적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당한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이 부설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측의 면과 위상차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위상차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적층할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5,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with another optical film or liquid crystal cell may be laminated.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can be laminated|stacked on retardation film by bonding the retardation film with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adhesive sheet in which the adhesive layer was provided on the suitable separator.

적층체 (3) 로부터 지지체 (7) 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5) 의 두께가 30 ㎛ 이하인 경우, 위상차 필름 (5) 단체로는 자기 지지성이 작아 핸들링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과 첩합함으로써, 핸들링성이 높아진다. 또, 도 2 에서는, 위상차 필름 (5) 의 편면에만 필름 (9) 이 첩합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위상차 필름 (5) 의 양면에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이 첩합되어도 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5 after peeling the support 7 from the laminate 3 is 30 μm or less, the self-supporting property of the retardation film 5 alone is insufficient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not sufficient. By bonding together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ndling properties are improved. In addition, although the form in which the film 9 is bonded only to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5 is shown in FIG. 2, a film or an adhesive layer may b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film 5.

또한, 박리부 (160) 에서 적층체 (3) 로부터 지지체 (7) 가 박리되기 전에, 적층체 (3) 의 위상차 필름 (5) 측의 면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이 첩합되어도 된다. 지지체 (7) 가 박리되기 전에, 위상차 필름 (5) 상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이 첩합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단체로 반송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핸들링성이 높아진다. 적층체 (3) 의 위상차 필름 (5) 측의 면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 지지체 (7) 를 박리하고, 지지체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5) 의 노출면에, 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을 적층해도 된다.In addition, before the support body 7 is peeled off from the laminated body 3 in the peeling part 160, another film or adhesive layer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body 3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5. Before the support body 7 is peeled off, it is not necessary to transport the retardation film alone by bonding another film,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onto the retardation film 5 . Therefor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is small, the handling property is improved. After laminating another film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ayered product 3 on th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5, the support 7 is peeled off, and another film is plac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5 after the release. Alternatively, an adhesive layer may be laminated.

<권취 공정><Winding process>

지지체 (7) 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5) 은, 필요에 따라 검사 공정이나 첩합 공정에 제공된 후,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고, 위상차 필름의 권회체가 형성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 (5) 은, 다른 필름 (9) 과 적층된 적층체 (6) (예를 들어, 적층 편광판) 로서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 (7) 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5) 은, 권취 공정에 제공하지 않고, 그대로 매엽체로 커트되어도 된다.After the retardation film 5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7 is used for an inspection process or a bonding process as needed, it is wound up in the winding unit 51 to form a winding body of the retardation film. As shown in FIG. 2 , the retardation film 5 may be wound up by the take-up unit 51 as a laminate 6 (for example,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other film 9 . In addition, the retardation film 5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7 may be cut into a single sheet as it is, without subjecting it to the winding-up step.

도 2 에서는,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 (3) 를 연신 후, 권회체에 권취하지 않고, 박리부 (160) 에서 지지체 (7) 를 박리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연신 후의 적층체 (4) 를 일단 권회체에 권취한 후, 연신 공정과는 다른 장치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기 전에 다른 필름과의 첩합이 실시되어도 된다.In FIG. 2, after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3 in which the coating film was lamin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7 is peeled at the peeling part 160 without being wound into a wound body is shown, but the layered product after the stretching After (4) is once wound into a winding object, the peeling step may be performed with an apparatus different from the stretching step. Moreover, bonding with another film may be performed before peeling a support body from a laminated body.

예를 들어, 연신 후의 적층체 (4) 를 일단 롤상으로 권취한 후,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권회체 (340) 를, 첩합·박리 장치의 조출부 (342) 로부터 풀어 반송하면서, 다른 필름 (309) 과의 첩합 및 지지체 (307) 의 박리를 순서대로 실시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권회체 (340) 로부터 풀린 연신 후의 적층체 (304) 는, 조출부 (342) 로부터 가이드 롤러 (321, 322) 를 거쳐, 하류측의 첩합부 (390) 에서, 적층체 (304) 의 지지체와 반대측의 면에, 다른 필름 (309) (예를 들어 편광판) 이 첩합되고, 적층체 (308) 가 형성된다. 또한, 하류측의 박리부 (360) 에서, 적층체로부터 지지체 (307) 가 박리되고,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이 첩합된 적층체 (306) (예를 들어 적층 편광판) 가 얻어진다.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이 첩합된 적층체 (306) 는, 필요에 따라 검사부 (470) 에서 검사에 제공된 후, 권취부 (351) 에서 권취되고, 권회체 (350) 가 형성된다.For example, after once winding up the laminated body 4 after extending|stretching in the shape of a roll, as shown in FIG. 3, while unwinding and conveying the winding object 340 of a laminated body from the drawing|feeding part 342 of a bonding/peeling apparatus, , bonding with another film 309 and peeling of the support 307 may be performed in this order. In the form shown in FIG. 3 , the laminate 304 after stretching unwinded from the winding object 340 is laminated at the bonding section 390 on the downstream side via the guide rollers 321 and 322 from the drawing-out section 342. Another film 309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304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pport body, and a laminate 308 is formed. Further, in the peeling unit 360 on the downstream side, the support 307 is peeled from the laminate to obtain a laminate 306 (for example,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retardation film and other films are bonded. The laminate 306 to which the retardation film and other films are bonded is subjected to inspection by the inspection unit 470 as necessary, and then is wound up by the winding unit 351 to form a winding object 350.

이 형태에서는,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을 첩합한 후, 지지체가 박리됨으로써, 지지체 상에 형성된 위상차 필름이, 다른 필름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적층체로부터 지지체가 박리되기 전에, 다른 필름과의 첩합을 실시하면, 위상차 필름을 단독으로 핸들링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도막의 막두께가 작아 도막 단독으로의 핸들링이 곤란한 경우라도,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이 적층된 적층 광학 필름의 생산성이나 수율을 높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retardation film formed on the support is transferred to the other film by peeling the support after bonding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other film. In this way, if bonding with another film is performed before the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aminate, there is no need to handle the retardation film alone. Therefore,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coating film alone, the productivity and yield of the laminated optical film in which the retardation film and other films are laminated can be increased.

[열수축성 지지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Embodiment using heat-shrinkable support]

연신에 의해 A 플레이트 또는 B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nx > nz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NZ 계수가 0 보다 크고 1 보다 작다)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연신함과 함께, 지지체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수축 방향) 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보다 크게 할 수 있다.Although the example of manufacturing the A plate or the B plate by stretching has been mainly described, by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nx > nz > ny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NZ coeffici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retardation film can also be manufactured. In the case of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the support, in the stretching step,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s stretched in one direction and shrink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using the shrinkage force of the support, thereby forming a layer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rat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contraction direction) can be greater than the rate of decrease (or increase rat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지지체로서의 열수축 필름은, 2 축 배향성을 갖고,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수축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열수축 필름은, 연신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 (예를 들어 140 ℃ 부근) 에 있어서, 적층체를 수축시키는 방향의 수축 배율 (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 이, 0.50 ∼ 0.99 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 ∼ 0.9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 ∼ 0.9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heat-shrinkable film serving as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biaxial orientation and heat-shrink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n the stretching step. The heat-shrinkable film preferably has a shrinkage ratio (length after shrinkage/length before shrinkage) of 0.50 to 0.99, preferably 0.60 It is more preferably from 0.98 to 0.98, and more preferably from 0.70 to 0.95.

열수축 필름은,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과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배율이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신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보다 수축되기 쉬운 열수축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일례로서, 열수축 필름의 제조시에, 텐터 클립 등으로 필름의 양단을 파지하여, 폭 방향의 클립간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텐터 클립 간격이 증대되도록 클립을 이동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기 쉬운 열수축 필름이 얻어진다.The heat-shrinkable film may have different shrinkage ratio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shrinking direction in the stretching step. For example, when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retching step, a heat-shrinkable film that is more easily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used. As an example, when manufacturing a heat-shrinkable film, both ends of the film are gripped with a tenter clip or the like, and the clips are mov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li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reas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ips in the width direction. Shrink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t-shrinkable film that tends to be obtained is obtained.

지지체로서의 열수축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의 재료로서 전술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eat-shrinkable film as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upport. Especially, polyolefins, such as the said polyester and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are used preferably.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의 가열 처리 그리고 지지체 상으로의 도프의 도포 및 건조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실시하면 된다. 가열 처리시의 가열 온도 TH 는, 기준으로서, 60 ℃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높임으로써, 지지체의 수축 거동의 편차가 완화되고, 그 위에 형성되는 도막의 배향각이 균일해지므로,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도 배향각이 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열 처리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가열 처리시에 지지체가 열수축되거나, 열고정되기 때문에,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수축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가열 온도 TH 는,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보다 저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하게, 지지체 상에 도프를 도포 후의 건조 온도도,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보다 저온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the support,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and application and drying of the dope on the support may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s a standard, the heating temperature TH during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60°C or higher, more preferably 80°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90°C or high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C or higher. By raising the heating temperature, variation in shrinkage behavior of the support is alleviated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becomes uniform, so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also tends to become uniform. On the other hand, i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too high, shrinkage in the stretching step may not occur easily because the support is thermally contracted or heat-set during the heat treat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heating temperature TH is lower than the heating temperature in an extending process. 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temperature after apply|coating dope on a support body is also lower temperature than the heating temperature in an extending process.

연신 공정에서는,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연신함과 함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체를 수축시킨다. 연신과 수축은 별개로 실시해도 되는데,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수축 및 연신에 의해 발현된 배향성을 완화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연신시의 가열에 의해, 열수축 필름이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연신과 수축이 동시에 실시되고, 지지체 (열수축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도막을, 일 방향으로 연신하고,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유단 1 축 연신 등의 연신 방법이어도,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에 따라 폭 방향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의 수축이 발생하지만, 두께 방향으로도 동등한 수축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열수축 필름을 사용한 경우, 두께 방향의 수축량보다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량이 크기 때문에, nx > nz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In the stretching step,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s stretched in one direction, and the laminate is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Stretching and shrinking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ut preferably performed simultaneously.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both, the orientation developed by contraction and stretching can be maintained without relaxing. By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since the heat-shrinkable film shrink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by heating during stretching, stretching and shrinkag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heat-shrinkable film), It may be stretched in one direction and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n a stretching method such as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shrinkage occurs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long with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equivalent shrinkage also occu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 In contrast, when a heat-shrinkable film is used, since the amount of shrinkag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shrinka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retardation film having optical anisotropy of nx > nz > ny can be manufactured.

연신과 동시에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수축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길이 방향 (MD) 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폭 방향 (TD) 을 수축시키는 방법, 또는 폭 방향 (TD) 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길이 방향 (MD) 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위상차 필름의 폭을 확보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로의 위상차 필름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 또는 위상차 필름을 화면 사이즈에 맞춰 잘라낼 때의 면적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simultaneously stretching and contract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 method of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simultaneously contracting in the width direction (TD), or simultaneously with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TD) A method of shrink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s preferred.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width of the retardation film to facilitate applic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to a large screen display o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area efficiency when cutting the retardation film to fit the screen size, simultaneously with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A method of shrink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red.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롤 연신기를 사용하여 자유단 1 축 연신 (세로 연신) 을 실시하면 된다. 또한, 2 축 연신기를 사용하여, 폭 방향의 양단을 파지하여, 폭 방향으로의 수축률을 제어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폭 방향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경우, 폭 방향의 양단을 파지하여, 폭 방향으로의 수축률을 제어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폭 방향으로의 연신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2 축 연신기를 사용하여, 텐터 클립 등으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면서, 길이 방향의 클립간 거리가 작아지도록, 클립을 이동시키면 된다.In order to shrink in the width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longitudin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using a roll stretching machine, for example. Alternatively,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biaxial stretching machine, gripp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shrink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multaneously with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erformed while hold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In order to simultaneously stretch in the width direction and shri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using a biaxial stretching machine, while hold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with a tenter clip or the like, while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clip in the length direction It is only necessary to move the clip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smaller.

[위상차 필름의 용도 및 광학 특성][Usage and optical properties of retardation film]

위상차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위상차 필름이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경우,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 위상차 필름이 배치된다.Although the use of the retardatio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n the retardation film is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retardation film is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er.

위상차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등의 광학 특성은, 액정 셀의 구동 방식이나 셀의 리타데이션값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인·플레인·스위칭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방위각 45°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화면을 시인시했을 때에 흑색 휘도가 커지는데,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 위상차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작게 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47호)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 장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2 장 이상의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 장의 위상차 필름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한 위상차 필름이 사용된다.Optical properties such as in-plane retardation Re and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the retardation film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ell or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cell. For example, in an in-plane switching (IPS)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lack luminance increases when the screen is visually viewed from an oblique direction at an azimuth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but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er By disposing the retardation film therebetween, the black luminance in the oblique direction can be reduced and the contrast can be improved. In optical compensation of an IPS syste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139747),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hen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are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t least one retardation film.

또,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의 수는, 2 장에 한정되지 않고, 1 장이어도 되고 3 장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고,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체를 수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nx > nz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면, 1 장의 위상차 필름으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retardation films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wo, but may be one or three or more. For example, if a retardation film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z > ny obtained by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and shrinking the lamin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used, with one retardation film, IPS type Optical compens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performed.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등의 다른 광학 필름, 액정 셀, 및 백 라이트 등의 광학 부재를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액정 셀의 첩합시에는, 배향축 방향의 균일성 향상이나, 제조 공정 간략화의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등을 첩합한 적층 편광판과 액정 셀을, 점착제 등의 적절한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properly assembling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optical films such as a polarizer, a liquid crystal cell, and optical members such as a backlight and attaching a driving circuit thereto. At the time of bonding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ell,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uniformity in the orientation axis direction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the liquid crystal cell to which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polarizer are bonded are mixed with an appropriate adhesive such as It is preferable to bond through an adhesive layer.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필름의 탄성률은, 항온조가 부착된 오토그래프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고, 온도 140 ℃, 인장 속도 10 ㎜/분의 조건에서, JIS K 7127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위상차 필름의 리타데이션 및 광학축의 배향 방향은, 편광·위상차 측정 시스템 (Axometrics 제조 제품명 「AxoScan」) 을 사용하고, 23 ℃ 의 환경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 590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lm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27 using an autograph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equipped with a thermostat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40°C and a tensile rate of 10 mm/min. The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were measured in a 23°C environment using a polarization/phase difference measuring system (manufactured by Axometrics, product name "AxoScan") (measurement wavelength: 590 nm).

지지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JIS C 6481 (1996 년판) 에 기재된 TMA 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uppor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TMA method described in JIS C 6481 (1996 edition).

[합성예 A :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부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의 합성 및 도프의 조제][Synthesis Example A: Synthesis of fumaric acid ester-based resin (polymer having negative birefringence) and preparation of dope]

교반기, 냉각관, 질소 도입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오토클레이브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신에츠 화학 제조, 상품명 메트로즈 60SH-50) 48 중량부, 증류수 15601 중량부,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8161 중량부, 아크릴산3-에틸-3-옥세타닐메틸 240 중량부 및 중합 개시제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45 중량부를 넣고, 질소 버블링을 1 시간 실시한 후, 교반하면서 49 ℃ 에서 24 시간 유지함으로써, 라디칼 현탁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생성된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원심 분리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를 증류수로 2 회 및 메탄올로 2 회 세정한 후, 감압 건조시켰다.In an autoclave equipped with a stirrer, cooling pipe, nitrogen inlet pipe and thermometer, 48 parts by weight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trade name Metroz 60SH-50), 15601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8161 parts by weight of diisopropyl fumarate 240 parts by weight of 3-ethyl-3-oxetanylmethyl acrylate and 45 parts by weight of t-butylperoxypival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added, nitrogen bubbling was carried out for 1 hour, and then maintained at 49 ° C. for 24 hours while stirring, Radical suspens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t was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 resulting suspension containing polymer particles was centrifuged. After washing the obtained polymer twice with distilled water and twice with methanol, it wa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얻어진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 혼합 용액 (톨루엔/메틸에틸케톤 50 중량%/50 중량%) 에 용해하여 20 % 용액으로 하였다. 또한,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트리부틸트리멜리테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프를 조제하였다.The obtained fumaric acid ester type resin was dissolved in a mixed solution of toluene/methyl ethyl ketone (50% by weight/50% by weight of toluene/methylethyl ketone) to obtain a 20% solution. Furthermore, dope was prepared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tributyl trimellitate as a plasticizer to 100 parts by weight of fumaric acid ester-based resin.

[위상차 필름 제조예 A1 ∼ A3][Retardation film production examples A1 to A3]

위상차 필름 제조예 A 에서는, 지지체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의 2 축 연신 필름 (두께 75 ㎛, 폭 1350 ㎜) 을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함유 비율이 상이한 3 종류의 지지체를 사용하고, 각 지지체의 가열 처리 조건을 변경하여,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조예 A1, A2, A3 에서 사용한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 (MD) 은, 각각 800 ㎫, 600 ㎫, 200 ㎫ 였다.In retardation film production example A, a polyester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biaxially stretched film (thickness: 75 μm, width: 1350 mm) was used as the support film. Using three types of supports having different terephthalate/isophthalate content ratios in polyester,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each support were changed,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was evaluate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MD) at 140 degreeC of the support body used by manufacture example A1, A2, and A3 was 800 Mpa, 600 Mpa, and 200 Mpa, respectively.

<가열 처리, 도포, 건조><Heat treatment, coating, drying>

지지체 필름의 권회체를, 제막 장치의 조출부에 세트하고, 지지체 필름을 조출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하면서, 가열로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하였다. 가열로 내의 분위기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열 처리 온도를 조정하였다. 가열 시간은, 지지체의 반송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하였다.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 상에, 합성예 A 에서 조제한 도프를, 건조 후의 막두께가 6 ㎛ 가 되도록 도포하여, 140 ℃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도막은, 지지체와 함께 적층체로서 권취하였다.The winding body of the support film was set in the drawing out part of the film forming apparatus, the support film was drawn out, a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with a heating furnace while conveying it to the downstream sid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adjusted by changing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heating furnace. The heating time was adjusted by chang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support. On the support after heat treatment, the dope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A was applied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6 μm, and dried at 140°C. The coated film after drying was rolled up as a laminate together with the support.

<연신 및 박리><Stretching and peeling>

상기 적층체를, 연신 장치의 조출부에 세트하고, 적층체를 조출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하면서, 온도 140 ℃ 의 연신로 내에서 자유단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고,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연신 배율은, 지지체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35 ㎚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Free end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within a drawing furnace at a temperature of 140°C, while setting the said layered product in the feeding part of the stretching apparatus, feeding out the layered product and conveying it to the downstream side. The support was peeled from the laminate after stretching to obtain a phase difference film. The draw ratio was adjusted so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might be set to 35 nm.

상기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의 배향각을 폭 방향으로 10 ㎜ 간격으로 측정하고 (측정 범위 : 폭 방향의 중앙 1230 ㎜),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광학축의 편차 범위로 하였다. 제조예 A1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800 ㎫) 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가열 처리 시간 및 가열 처리 온도에 대한 광학축의 배향각 (°) 의 편차 범위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A2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600 ㎫) 및 제조예 A3 (지지체의 140 ℃ 인장 탄성률 : 200 ㎫) 의 결과를, 각각 표 2 및 표 3 에 나타낸다. 또, 표 1 ∼ 3 에 있어서, 시간 0 초는, 가열로 (101) 를 실온으로 하여 가열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배향각의 편차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조예 A1 ∼ A3 의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 (일부 발췌) 를, 각각 도 5(A) ∼ (C) 에 나타낸다.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above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10 mm in the width direction (measurement range: 1230 mm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was taken as the deviation range of the optical axis. Table 1 shows the variation range of the orientation angle (°) of th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heat treatment time and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support in Production Example A1 (140°C tensile modulus of support: 800 MPa). In addition, the results of Production Example A2 (140°C tensile modulus of support: 600 MPa) and Production Example A3 (140°C tensile modulus of support: 200 MPa) are shown in Table 2 and Table 3, respectively. Moreover, in Tables 1-3, time 0 second shows the range of deviation of an orientation angle in the case where heating furnace 101 is set to room temperature and heat processing is not performed. In addition, the measurement results (partial excerpts) of the orientation angles of the retardation films of Production Examples A1 to A3 are shown in Figs. 5(A) to (C), respectively.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1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1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2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2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3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3

<평가 결과><Evaluation result>

제조예 A1, A2 및 A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지지체의 가열 처리 온도를 높게 하고, 가열 처리 시간을 길게 할수록,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200 ㎫ 인 제조예 A3 (표 3) 에서는, 지지체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배향각의 편차가 20°인 것에 대해, 가열 처리 온도를 높게 하고, 가열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편차를 1°이하로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지지체의 인장 탄성률이 작은 경우에, 지지체의 가열 처리에 의한 배향각의 균일화 작용이 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In any of Production Examples A1, A2 and A3,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support and the longer the heat treatment time, the smaller the dev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In Production Example A3 (Table 3) in which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 ° C. of the support is 200 MPa, when the support is not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orientation angle deviation of 20 °, It can be seen that the variation can be reduced to 1° or less by lengthening the heating time. From this result,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upport is small, the effect of equalizing the orientation angle by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is particularly large.

[합성예 B :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정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의 합성 및 도프의 조제][Synthesis Example B: Synthesis of polyallylate-based resin (polymer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and preparation of dope]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 중,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54.0 g,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12 중량부를, 1 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 406 중량부를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용액을 교반하면서 한 번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중합 용액을 정치 (靜置) 분리하여 폴리머를 포함한 클로로포름 용액을 분리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수로 세정하고, 이온 교환수로 세정한 후, 메탄올에 투입하여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폴리머를, 증류수로 2 회 및 메탄올로 2 회 세정한 후, 감압 건조시켰다.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ing device, 54.0 g of 2,2-bis(4-hydroxyphenyl)-4-methylpentane and 12 parts by weight of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were dissolved in a 1 M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this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406 parts by weight of terephthalic acid chloride was dissolved in chloroform was added at once while stirring,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90 minutes. Thereafter, the polymerization solution was subjected to static separation to separate the chloroform solution containing the polymer, followed by washing with acetic acid water and ion-exchanged water, and then poured into methanol to precipitate the polymer. The precipitated polymer was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and twice with methan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얻어진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를, 시클로펜타논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20 % 의 도프를 조제하였다.The obtained polyallylate-type resin was dissolved in cyclopentanone to prepare dope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20%.

[위상차 필름 제조예 B][Phase difference film production example B]

위상차 필름 제조예 B1 및 B2 에서는, 지지체 필름으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하였다. 열수축 필름으로는, 무연신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동시 2 축 연신기의 텐터 클립으로 파지하고, 폭 방향의 클립간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2 축 배향시킨 것을 사용하였다.In retardation film production examples B1 and B2, a heat-shrinkable film was used as the support film. As the heat-shrinkable film, both ends of an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held with tenter clips of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chine, and a biaxially oriented film is used by stretch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clips in the width direction. did

<가열 처리, 도포, 건조><Heat treatment, coating, drying>

제조예 B1 에서는, 열수축성 지지체 필름 (폭 600 ㎜) 의 권회체 (10) 를, 도 1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제막 장치의 조출부 (11) 에 세트하고, 지지체 필름 (1) 을 조출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하면서, 가열로에서, 110 ℃ 에서 60 초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였다. 가열 처리 후의 지지체 상에, 합성예 B 에서 조제한 도프를,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 ㎛ 가 되도록 도포하여, 100 ℃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도막은, 지지체와 함께 적층체로서 권취하였다. 제조예 B2 에서는, 가열로를 실온 (즉 가열을 실시하지 않음)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B1 과 동일하게, 지지체 상으로의 도프의 도포 및 건조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도막의 광학축의 배향각을 폭 방향으로 2 ㎜ 의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 : 폭 방향의 중앙 530 ㎜). 열처리 있음 (제조예 B1) 및 열처리 없음 (제조예 B2) 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도 6(A) 에 나타낸다.In Production Example B1, the roll 10 of the heat-shrinkable support film (600 mm in width) was set in the feeding unit 11 of the film forming apparatu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and the support film 1 was fed ou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110°C for 60 seconds in a heating furnace while conveying to the downstream side. On the support after heat treatment, the dope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B was applied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15 μm, and dried at 100°C. The coated film after drying was rolled up as a laminate together with the support. In Production Example B2, coating and drying of the dope onto the suppor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B1 except that the heating furnace was set to room temperature (that is, no heating was performed). The support was peeled from the obtained layered product,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the coating film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2 mm in the width direction (measurement range: 530 mm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orientation angle with heat treatment (production example B1) and without heat treatment (production example B2) is shown in FIG. 6(A).

<연신 및 박리><Stretching and peeling>

상기 적층체를, 2 축 연신기를 사용하여, 온도 145 ℃ 에서, 폭 방향으로 1.2 배로 연신하면서, 길이 방향의 클립간 거리를 작게 하여, 0.75 배로 수축시켰다. 지지체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은, 면내 리타데이션이 270 ㎚, NZ = 0.5 였다. 이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을 폭 방향으로 2 ㎜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 : 폭 방향의 중앙 150 ㎜). 열처리 있음 (제조예 B1) 및 열처리 없음 (제조예 B2) 의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도 6(B) 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B1 및 B2 의 연신 전후에서의 광학축의 배향각 (°) 의 편차를 표 4 에 일람으로 나타낸다.The laminate was stretched 1.2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using a biaxial stretching machine at a temperature of 145° C., while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cli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hrinking it by 0.75 times. The phase difference film after peeling the support had an in-plane retardation of 270 nm and NZ = 0.5. The optical axis of this retardation film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2 mm in the width direction (measuring range: 150 mm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with heat treatment (production example B1) and without heat treatment (production example B2) is shown in FIG. 6(B). Table 4 also lists the deviations in orientation angles (°) of the optical axes before and after stretching in Production Examples B1 and B2.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4
Figure 112015119037113-pat00004

도 6(A) 와 도 6(B) 의 대비로부터, 제조예 B1 (열처리 있음) 및 제조예 B2 (열처리 없음)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연신에 의해 배향각의 편차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지체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제조예 B2 에서는, 도프를 도포·건조 후의 도막의 배향각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도 6(A)), 연신 후에도 그 경향이 남고, 위상차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가 크게 되어 있다 (도 6(B)) 고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조예 B1 에서는, 지지체의 가열 처리 후에 도프를 도포·건조시킴으로써, 도막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고, 연신에 의해 배향각의 편차가 더욱 작게 되어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지지체로서 열수축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제막 전에 지지체를 가열 처리함으로써, 폭 방향에서의 배향각의 편차가 작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comparison between FIG. 6(A) and FIG. 6(B) , it can be seen that in both Production Example B1 (with heat treatment) and Production Example B2 (without heat treatment), the orientation angle deviation tends to be reduced by stretching. can In Production Example B2 in which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was not performed, since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coating film after applying and drying the dope is large (FIG. 6(A)), the tendency remains even after stretching, and the variation i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tardation film It is considered that is large (FIG. 6(B)). On the other hand, in Production Example B1, by applying and drying the dope after the heat treatment of the support, the orientation angle variation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and the orientation angle variation is further reduced by stretching.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even when a heat-shrinkable film is used as the support,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variation in orientatio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by heat-treating the support before forming the film.

1, 2, 7 : 지지체
3, 4, 6 : 적층체
5 : 위상차 필름
10 : 지지체 권회체
20 : 적층체 권회체
50 : 위상차 필름 적층체 권회체
11, 22 : 조출부
21, 51 : 권취부
101 : 가열로
110 : 제막부
120 : 건조로
130 : 연신부
139 : 가열로 (연신로)
160 : 박리부
170 : 검사부
171 : 위상차계
172 : 결점 검출부
190 : 첩합부
1, 2, 7: support
3, 4, 6: laminated body
5: retardation film
10: support winding body
20: laminate winding body
50: retardation film laminate winding body
11, 22: extraction unit
21, 51: winding unit
101: heating furnace
110: Unveiling
120: drying furnace
130: stretching unit
139: heating furnace (stretching furnace)
160: peeling unit
170: inspection department
171: phase shifter
172: defect detection unit
190: joining part

Claims (14)

장척의 2 축 연신 필름인 지지체 필름이 가열 처리되는 공정 ;
상기 지지체 필름이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상기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는 도포 공정 ;
상기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되고, 상기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되는 건조 공정 ; 및
상기 건조 공정 후에, 상기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고, 상기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되는 연신 공정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가열 처리는, 상기 지지체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실시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film which is a long biaxially stretched film is heat-processed;
an application step in which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 the support film while the support film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ying step in which the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to form a layered body in which a coating film is tightly laminated on the support film; and
After the drying step, the layered product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coating film is provided with an extending step in which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in this order,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port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TH 가 80 ℃ 이상이고, 가열 시간 tH 가 8 초 이상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phase difference film in which the heating temperature TH in the heat treatment is 80°C or higher and the heating time t H is 8 seconds or hig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TH 가 60 ℃ 이상 80 ℃ 미만이고, 가열 시간 tH 가 23 초 이상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phase difference film, wherein a heating temperature TH in the heat treatment is 60°C or more and less than 80°C, and a heating time t H is 23 seconds or mo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TMA 에 의해 측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를 Tg 로 하여, 상기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of which the heating temperature TH in the said heat treatment is Tg-15 degreeC or more, taking Tg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MA of the said support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에 있어서,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이고 가열 처리 시간 tH 가 8 초 이상이거나, 또는 가열 온도 TH 가 Tg - 15 ℃ 이상 Tg + 15 ℃ 미만이고, 가열 처리 시간 tH 가 {(Tg - TH) × 2 + 38} 초 이상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5,
In the above heat treatment,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Tg + 15 ° C or more and the heat treatment time t H is 8 seconds or more, or the heating temperature TH is Tg - 15 ° C or more and less than Tg + 15 ° C, and the heat treatment time t A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in which H is {(Tg - T H ) × 2 + 38} seconds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은, TMA 에 의해 측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10 ℃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upport film is a polyester film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10° C. or lower as measured by TM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은, 상기 가열 처리 전에 있어서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1000 ㎫ 이하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phase difference film, wherein the support film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1000 MPa or less before the heat trea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후의 도막의 막두께가 30 ㎛ 이하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whos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in the said drying process is 30 micrometer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의 도막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15 ㎚ ∼ 400 ㎚ 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whose in-plane retardation of the coating film after the said extending|stretching is 15 nm - 400 n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어느 일 방향으로 연신이 실시되고, 또한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상기 적층체를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retching step,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aminate is contra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파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자유단 1 축 연신이 실시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tretching step,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 are not gripped, uniaxial stretching of the free end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가 파지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이 실시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적층체를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tretching step, the multilayer body is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ultilayer body is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holding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ultilayer body.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위상차 필름이 제조되고,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laminated,
A retardation film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o 13,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n optical film including a polarizer is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KR1020150172521A 2014-12-08 2015-12-04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Active KR1025169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8158A JP6418929B2 (en) 2014-12-08 2014-12-08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JPJP-P-2014-248158 201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79A KR20160069479A (en) 2016-06-16
KR102516908B1 true KR102516908B1 (en) 2023-03-31

Family

ID=5612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521A Active KR102516908B1 (en) 2014-12-08 2015-12-04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18929B2 (en)
KR (1) KR102516908B1 (en)
CN (1) CN105676336B (en)
TW (1) TWI66547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466B2 (en) * 2015-02-14 2017-03-15 三菱樹脂株式会社 Polyester film for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process
JP7096700B2 (en) * 2017-09-13 2022-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roll, and a polarizing film.
WO2019054268A1 (en) * 2017-09-13 2019-03-2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roll,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JP7083612B2 (en) * 2017-10-18 202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laminate
KR101952364B1 (en) * 2017-10-27 2019-02-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WO2019216122A1 (en) * 2018-05-08 2019-11-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Substrate film for liquid crystal coating, optical film with temporary support containing same, polarizing plate containing sam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7355585B2 (en) * 2018-10-15 2023-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7389656B2 (en) 2019-02-08 2023-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317549B2 (en) * 2019-04-02 202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438415B1 (en) * 2020-09-03 2022-08-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Optical polyester protection film
US11597198B2 (en) * 2020-10-05 2023-03-07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optically anisotropic polymer thin films
JP2023000775A (en) 2021-06-18 2023-01-04 日東電工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WO2023054533A1 (en) * 2021-09-29 2023-04-06
WO2024166774A1 (en) * 2023-02-09 2024-08-15 デンカ株式会社 Method for lcp film production
WO2024166775A1 (en) * 2023-02-09 2024-08-15 デンカ株式会社 Lcp fil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068A (en) 2002-01-23 2004-02-12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birefringent layer,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birefringent layer
JP4224390B2 (en) * 2003-12-16 2009-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birefringent film
KR101324053B1 (en) * 2006-03-23 2013-11-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039682B2 (en) * 2006-06-09 2008-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EP1898252B1 (en) * 2006-09-05 2014-04-30 Tosoh Corporation Optical compensation film stack and stretched retardation film
JP5142312B2 (en) * 2007-02-19 2013-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JP5123704B2 (en) * 2007-03-27 2013-01-23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flexible display substrates
KR101399788B1 (en) * 2007-09-05 2014-05-27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Phase difference film manufacturing method,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96865B2 (en) 2007-09-07 2012-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38632B2 (en) 2007-12-07 2012-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393914B (en) * 2009-06-19 2013-04-21 Nitto Denko Corp A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 optical film, a publishing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JP5162695B2 (en) * 2010-09-09 2013-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polarizing film
TWI645967B (en) * 2012-03-26 2019-01-0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Surface protection film
JP5769667B2 (en) * 2012-06-08 2015-08-26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8929B2 (en) 2018-11-07
TWI665478B (en) 2019-07-11
TW201629541A (en) 2016-08-16
KR20160069479A (en) 2016-06-16
CN105676336B (en) 2020-07-24
CN105676336A (en) 2016-06-15
JP2016109924A (en)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908B1 (en)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KR101774620B1 (en) Continuous roll of optical func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mploying same, and optical function film laminating device
KR101774621B1 (en) Continuous roll of optical func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mploying same, and optical function film laminating device
JP3840937B2 (en)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surface protective film and release film using the same
TWI545370B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30163080A1 (en) Method for producing thin polarizing film
KR10223404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KR101981358B1 (en) Polarizat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KR102450433B1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CN106199809B (e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789514B (en)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c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CN107340558A (en) Polarization plates and its manufacture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1568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JP7165813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JP7267396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CN113474694A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CN115903119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2576488B1 (en) Method of making layered film and layered film
CN115989138A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using same
CN11587749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TW202346905A (en) Lens part, laminate, display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method for display body
WO2023218822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CN116891591A (en)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