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6631B1 -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631B1
KR102516631B1 KR1020187016685A KR20187016685A KR102516631B1 KR 102516631 B1 KR102516631 B1 KR 102516631B1 KR 1020187016685 A KR1020187016685 A KR 1020187016685A KR 20187016685 A KR20187016685 A KR 20187016685A KR 102516631 B1 KR102516631 B1 KR 10251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ainer
sealant
outlet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091A (ko
Inventor
마틴 스핀들러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6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밸브(6)와 연관되는 용기(5)로부터, 팽창 가능한 물품을, 특히 타이어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밸브는 유입구(7) 및 배출구(8)를 구비하고, 유입구(7) 및 배출구(8)는 밸브(6)의 제1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며, 유입구(7)와 용기(5) 사이 및 용기(5)와 배출구(8) 사이의 연결은, 밸브(6)의 제2 위치에서, 밀봉 수단을 운반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밸브(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 밀봉 수단 분배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밸브와 연관되는 용기로부터, 팽창 가능한 물품을, 특히 타이어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밸브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압축 공기 공급원이 유입구에 연결되며, 그리고 팽창 가능한 물품에 대한 연결을 위한 연결 라인이 배출구에 연결되고, 밸브의 제1 위치에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결되고, 밸브의 제2 위치에서, 유입구와 용기 사이뿐만 아니라 용기와 배출구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는 것인, 밀봉 수단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형태 및 설계로 공지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타이어가 공기를 누출하고 상실하면, 이때 타이어 또는 타이어 세트를 교체하는 선택이 존재한다. 타이어 교체는 소모적이고 무거우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예비 타이어는 트렁크 내에서,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 부가적으로, 림과 함께하는 예비 타이어의 부가적 중량으로 인한 가외의 연료 소모가 존재한다.
타이어 수리 키트들은, 단지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서만, 또는 타이어를 밀봉하고 이어서 팽창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타이어가 단지 팽창되기만 하면 되는지 또는 밀봉 및 팽창 양자 모두가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의존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압축기와, 호스에 의해, 용기를 연결한다. 또한, 용기는, 생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지 하나의 호스만이 압축기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형태에 의존하여, 압축기로부터 호스 내로의 직접적인 공기 유동이, 용기를 통한 우회 없이 일어나거나, 또는 용기로부터 호스 내로의 밀봉 매체의 혼합물을 수반하는, 용기 내로의 공기 공급이, 일어난다.
직접적 공기 유동의 경우, 밀봉 수단 없는 압축 공기가, 호스의 배출 단부로부터 나오며, 따라서, 장치는 또한, 손상되지 않은 타이어의 순수한 팽창을 위한 상응하는 연결 구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압축기에 의해 운반되는 공기 흐름이 용기를 통해 우회하게 될 때, 밀봉 수단이 호스 내로 용기 밖으로 밀려 나온다. 그에 따라, 장치는, 이러한 전달 가스 구성에서, 손상된 타이어의 밀봉 및 후속적 팽창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 20 2005 021 981 U1은, 팽창 가능한 물품들을, 특히 차량 타이어들을, 팽창시키고 수리하기 위한 키트로서, 압축기 조립체, 밀봉 액체를 갖는 용기 및, 물품 수리 및 팽창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와 압축기 조립체 및 팽창 가능한 물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를 설명한다. 상기 키트는 또한, 압축기 조립체를 수용하며 그리고 밀봉 액체의 용기를 위한 안착부를 한정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용기는, 안착부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용기를 압축기 조립체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용기가 안착부에 수용될 때, 용기는, 압축기 조립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DE 101 06 468 A1에, 제거 가능한 요소는,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구비한다. 제1 위치는, 용기에 대한 유입구 및 배출구의 완전한 폐쇄 위치이다. 제2 위치에서, 연결 덕트들 및 용기 내부로의 덕트들이, 밀봉 수단을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된다. 다른 위치가, 용기를 통한 공기 통과 없이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의 직접적인 연결을 허용한다. 우회에 의해 실현되는 전환된 관통 위치에서, 공기는, 타이어의 팽창을 위해 직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연결 호스를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어 밀봉제의 이동을 위한 용기의 개방을 제거하기 위해, 유입구 또는 배출구를 통해 고압에서 개방되거나 해방될 수 있는, 용기 상의 필름, 특히 밀봉 필름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단지 밸브만이,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 라인을 경유하여 유입구를 통해 용기 내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전환될 필요가 있다. 타이어 밀봉제는, 용기로부터, 연결 덕트를 통해 타이어 내로 그리고 연결 덕트를 통해 배출구로 유동한다. 타이어 밀봉제가 적용된 이후에, 예를 들어, 타이어의 추가적인 팽창이, 밸브를 폐쇄함에 의해 그리고 유입구를 배출구에 연결하는 우회로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동시에, 더 이상 타이어 밀봉제가 방출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부가적으로, 연결 덕트 내에 잔류하는 타이어 밀봉제는, 제거된다.
장치가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밸브는, 시프트 레버들, 로터리 스위치들 등과 같은, 스위칭 요소들에 의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단지 스위칭 요소만, 예를 들어, 타이어 밀봉제를 타이어 내로 주입하기 위해 조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취급을 단순화하는 것 및 그러한 장치의 단순화된 제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는, 단지 밀봉제가 필요할 때에만, 밸브의 수용부(receptacle) 내에 또는 상에서, 밸브에 구속된다.
이는, 밀봉제를 갖는 용기가, 예를 들어, 단지 공기만이 타이어와 같은 팽창 가능한 물품 내로 이송되어야 할 때, 접촉되지 않는다 것을 의미한다. 이의 큰 이점은, 용기 내의 밀봉제가 더 큰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필요하지 않을 때, 밀봉제는, 개방되지 않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공기 및/또는 불순물들이 용기에 들어가지 않는다.
밸브는 항상, 자체의 디폴트 위치에서 또는 장착된 용기 없이, 제1 설정 또는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단지 용기에 의해서만 제2 설정 또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간단하고 안전한 취급에 대한 양태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밸브의 이러한 위치에서, 유입구 및 배출구는, 공기의 직접적인 통과를 위해 연결된다. 밀봉제가 사용될 때, 용기는, 밸브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수평 위치에 놓인다. 용기 및 밸브는, 클립 커넥터(clip connector)를 통해 연결되고, 따라서 용기는, 자체의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또한 용기를 위한 위치 설정 장치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장치를 부적절하게 작동할 수 없다.
밸브의 일부와 함께 용기를 회전시킴에 의해, 밸브는, 제2 설정 또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유입구와 용기 사이뿐만 아니라 용기와 배출구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고, 용기는, 이 위치에서, 상측부가 아래로 놓인다. 이는, 전체 타이어 수리 키트의 취급을 크게 단순화하며 그리고 오류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큰 이점이 또한, 밸브 및 용기가 하우징 내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는 점이다. 이는, 밸브가 갑자기 활성화되어 밀봉제가 용기 밖으로 토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밸브와 용기 양자 모두는, 각각 별도의 커버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보호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용기는, 하우징 밖으로 떨어질 수 없으며, 또는 불순물들이 밸브를 막을 수 없다.
이상에서, 클립 커넥터가, 용기의 안전한 배치를 보장하는 것으로, 앞서 논의되었다. 부가적으로, 별개의 부착물이, 클립 커넥터의 유지를 위해, 용기에 제공되고, 이는, 전체 타이어 수리 키트가 교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용기 및/또는 수용부만이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큰 비용 절감을 생성한다는, 큰 이점을 제공한다.
밸브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스위칭 요소가, 밸브의 2개 위치의 달성하기 위해, 용기 수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는, 밸브가 이러한 회전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지 이 경우에만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밀봉제를 이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순화된 작동이, 그에 따라 이루어진다.
샤프트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공기의 통과를 위한 밸브의 제1 위치에 적합한, 하나의 축 방향 보어를, 필요한 경우 또한 우회 채널을 경유하여, 적어도 횡단하게 된다. 밸브의 제2 위치에서, 축 방향 보어가, 용기 내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그리고 제2 축 방향 보어가, 용기 밖으로 밀봉제를 통과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모든 채널들 및 라인들이, 이러한 하나의 샤프트 내에 콤팩트하게 수용되며, 그리고 스위칭 요소는, 공간-절약을 달성한다. 호스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제공되지 않는 대신, 사용자가 단지, 용기의 위치만을 변경하면, 타이어 수리 키트는, 적절하게 작동한다.
밸브의 제2 위치에서, 용기가 헤드에 대해 수직으로 놓일 때, 밸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립 커넥터를 통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용기는, 의도와 다르게 그의 수평의 제1 위치로 다시 기울어지지 않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밀봉 프로세스를 이른 시기에 정지시킨다.
밸브와 타이어 사이의 연결 덕트는, 부가적인 클립 커넥터를 통해 하우징 내로 통과한다. 그에 따라, 덕트가, 쉽게 폐색될 수 없다는 것 및, 타이어로의 공기의 또는 공기 및 밀봉제의 안전한 운반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도 1에 따르면,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V)는, 하우징(1)을 포함하고, 하우징 상에, 화살표들(3.1, 3.2)의 방향을 따라 제거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커버(2.1, 2.2)가 배열된다.
더불어, 팽창 가능한 물품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계(4)가, 하우징 상에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통상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다.
도 2는, 하우징(1)의 내부 공간을 도시한다. 밀봉제로 채워지는 용기(5)가, 하우징(1)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2.2)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밸브(6)가, 하우징(1)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2.1)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압축 공기를 위한 압축기 및 승용차의 내장 네트워크(on-board network)에 대한 연결을 설명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9에 따르면, 밸브(6)는, 유입구(7) 및 배출구(8)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압축 공기 공급원, 특히 압축기가, 유입구(7)에 연결되며, 그리고 팽창 가능한 물품에 대한 연결을 위한 호스(9) 또는 상응하는 연결 덕트가, 배출구(8)에 연결된다.
도 3은, 제1 위치로 지칭되는, 사용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밸브(6)는, 커버(2.1)의 제거 이후에, 기울어지게 되며, 그리고 용기(5)는, 수평 위치에서 밸브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위치에서, 단지 압축 공기만이, 유입구(7)로부터 배출구(8)로 공급된다.
도 4에 따르면, 용기(5)는, 용기(5)가 헤드에 대해 수직으로 놓이며 그에 따라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밀봉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위치에서, 압축 공기 및 밀봉제가, 호스(9)를 통해 팽창 가능한 물품의 밸브(미도시) 내로 공급된다.
도 4 및 도 10에 따르면, 호스(9)는, 밸브 상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회전 슬리브(10)를 호스의 일단부에 구비한다. 타단부에, 니플(11) 및 클립 커넥터들(12.1, 12.2)이 도시된다.
호스(9)의 니플(11)은, 하우징(1)의 개구(13) 내로 측방에서 삽입된다. 클립 커넥터들(12.1, 12.2)은, 개구(13) 옆에 위치하게 되는 슬롯들(14.1, 14.2) 내에 고정됨에 의해, 호스(9)를 고정한다.
밸브(6)에 대한 연결을 위해, 특히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연결 헤드(22)가, 용기(5) 상에 먼저 나사 체결되고, 연결 헤드는, 용기의 수나사(21) 상에 나사 체결되는, 대응하는 암나사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 헤드(22)는, 밸브의 수용부(23) 내로 삽입되며, 수용부(23)는, 샤프트(24)가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채널(16)을 구비한다. 수용부(23)는, 하우징(1) 내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이러한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유입구(7) 및 배출구(8)는, 개별적으로 샤프트(24)의 하나의 단부에 제공된다.
샤프트(24)를 회전시키기 위해, 2개의 베어링 블록(26.1, 26.2)이, 하우징(1)의 바닥부(25)로부터 돌출한다.
수용부(23) 내에, 2개의 상승형 연결 헤드(27.1, 27.2)가, 도 2에 따라 제공되고, 상승형 연결 헤드들 상에, 연결 헤드(22)의 2개의 슬리브 섹션(28.1, 28.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부(23) 내의 2개의 덕트(29.1, 29.2)가, 용기(5)의 내부 공간에 대해 연결된다. 이러한 덕트들(29.1, 29.2)은, 개별적으로, 수용부(23) 내의 횡단 채널(31.1 또는 31.2) 내로의 개구(30.1 또는 30.2)(도 7 참조)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횡단 채널들 양자 모두는,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플러그(32.1, 32.2)에 의해 하나의 단부에서 폐쇄된다.
샤프트(24)는, 중간 부분(33)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개별적으로 유입구(7) 및 배출구(8)로부터의, 축 방향 보어들(17. 1, 17.2)을 구비한다. 도 7에 따른 횡단 보어(18.1)가, 축 방향 보어(17.1)로부터 분기되며, 그리고 2개의 축 방향 보어(17.1, 17.2)를 연결하는 수용부(23) 내의 우회 채널(34)로 이어진다. 이러한 우회 채널(34)은 이어서 다시, 축 방향 보어(17.2) 내로 개방되는 추가적 횡단 보어(18.2)로의 전이부를 갖는다.
횡단 보어(18.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는, 추가적 횡단 보어(19.1)가, 축 방향 보어(17.1)의 단부에 제공되고, 이는, 도 8에 따른 밸브(6)의 제2 위치에서 횡단 채널(31.1) 내로 개방된다. 축 방향 보어(17.1)는 이어서, 개구(30.1) 및 채널(29.1) 뿐만 아니라 슬리브 섹션(28.1)을 통해, 용기(5)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축 방향 보어(17.2)는, 자체의 내측 단부에, 샤프트(24) 내에서 횡단 보어(18.2)에 대해 치우치게 배열되는, 추가적 횡단 보어(19.2)를 구비한다. 횡단 보어(19.2)는, 횡단 채널(31.2)에 연결된다. 개구(30.2)를 통해, 이러한 채널은 이어서, 채널(29.2) 및 슬리브 섹션(28.2)을 통해, 용기(5)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압축 공기 공급원, 용기(5) 및 밸브(6)는, 하우징(1)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1)은, 마찬가지로, 차량의 트렁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용기(5)로부터의 밀봉제가 타이어 수축의 결과로서 사용되는 경우, 커버들(2.1, 2.2)이, 하우징(1)으로부터 제거되며, 그리고 용기(5)가, 하우징(1)으로부터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밀봉 필름이, 용기(5)로부터 제거된다.
연결 헤드(22)가 이어서, 용기(5) 상에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 헤드(22)는, 수용부(23) 상에서 연결 헤드(22)의 정확한 요구되는 배치를 보장하여, 슬리브 섹션들(28.1, 28.2) 또한 개별적인 연결 헤드들(27.1, 27.2)을 찾도록 하는, 중심 설정 돌기(35)(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용부(23)의 에지가, 절개부(36)를 구비한다.
더불어, 2개의 클립 후크(37)가, 양측면 상에서 수용부(23)로부터 돌출하고, 이들 중의 단지 하나만 도 9에 도시된다. 연결 헤드(22)가 수용부(23) 상에 배치될 때, 이러한 클립 후크들(37)은, 수용부(23) 내에 측방으로 형성되는 대응하는 홈들 내에 걸리게 된다. 이는, 용기(5)와 밸브(6) 사이의 양호한 연결을 야기한다.
도 3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단지 팽창 가능한 물품 내로의 압축 공기의 도입만이 요구되는 경우, 이때, 수용부(23) 및 샤프트(24)로 구성되는 밸브는,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압축 공기는, 예를 들어, 하우징(1) 내부에 또한 위치하게 되는 압축기에 의해, 유입구(7)를 통해 도입된다. 압축 공기가, 횡단 보어(18.1), 우회 채널(34), 횡단 보어(18.2) 및 축 방향 보어(17.2)를 통해, 호스(9)에 연결되는 배출구(8)에 도달한다.
그러나, 밀봉제가 용기(5)로부터 팽창 가능한 물품 내로 도입되어야 할 경우, 용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 만큼 수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수용부(23)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횡단 보어들(18.1, 18.2)은 우회 채널(34)에 대해 폐쇄되지만, 횡단 보어(19.1)를 통한 횡단 채널(31.1)과 축 방향 보어(17.1)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횡단 보어(19.2)를 통한 횡단 채널(31.2)과 축 방향 보어(17.2) 사이의 연결이 또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공기가, 유입구(7), 축 방향 보어(17.1), 횡단 보어(19.1), 횡단 채널(31.1), 개구(30.1), 채널(29.1), 연결 헤드(27.1), 슬리브 섹션(28.1), 및 이러한 2개의 요소를 그에 따라 통합하는 보어들을 통해, 용기(5)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며, 그리고 밀봉제를 가압한다. 밀봉제는 이때, 슬리브 섹션(28.2), 연결 헤드(27.2) 또는 이러한 2개의 요소를 통합하는 보어들을 경유하여, 채널(29.2), 개구(30.2), 횡단 채널(31.2), 횡단 보어(19.2) 및 축 방향 보어(17.2)를 통해, 배출구(8)로, 그리고 호스(9)를 통해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제2 위치에 밸브(6)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 연결 클립(15)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6)의 제2 위치에 놓일 때, 수용부(23)(도 9 참조)의 하측부 상에 제공된다.
1: 하우징 2: 커버
3: 방향 화살표 4: 압력계
5: 용기들 6: 밸브
7: 유입구 8: 배출구
9: 연결 덕트/호스 10: 회전 슬리브
11: 니플들 12: 클립 커넥터
13: 개구 14: 슬롯
15: 연결 클립들 16: 채널
17: 축 방향 보어 18: 횡단 보어
19: 횡단 보어 20: 밀봉 링들
21: 나사 22: 연결 헤드
23: 수용부 24: 샤프트
25: 바닥부 26: 베어링 블록
27: 연결 헤드 28: 슬리브 섹션
29: 채널 30: 개구
31: 횡단 통로 32: 플러그들
33: 중심 부품 34: 우회 채널
35: 중심 설정 돌기 36: 위치 설정 장치
37: 클립 연결구 38: 브라켓
V: 장치

Claims (18)

  1. 용기로부터 팽창 가능한 물품 내로 밀봉제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유입구(7) 및 배출구(8)를 구비한 밸브(6)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7)는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라인(9)이 상기 배출구(8)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6)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유입구(7) 및 배출구(8)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6)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유입구(7)와 용기(5)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용기(5)와 배출구(8)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며, 상기 밸브(6)는 상기 용기(5)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용부(23)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5)는 상기 수용부(23) 상의 한 쌍의 클립 연결구(37)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23)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연결 헤드(22)로의 연결에 의해 상기 수용부(23)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밸브(6)는 샤프트(24)를 구비하고,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의 상기 용기(5)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6)의 제1 위치와 상기 밸브(6)의 제2 위치 사이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요소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수용부(23)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며, 상기 용기(5)를 위한 상기 수용부(23)는, 상기 스위칭 요소 상에 배열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5)는, 상기 수용부와 함께 상기 클립 연결구(37)에 통합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3) 및 상기 연결 헤드(22)는 각각, 서로 합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연결 헤드들(27.1, 27.2) 및 슬리브 섹션들(28.1, 28.2)에 의한, 적어도 2개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 보어(17.1, 17.2)가 상기 샤프트(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축 방향 보어들(17.1, 17.2)은 상기 밸브(6)의 제1 위치에서 우회 채널(34)과 함께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배열되며, 상기 밸브(6)의 제2 위치에서, 축 방향 보어(17.1)가 용기(5) 내로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배열되고 제2 축 방향 보어(17.2)가 용기(5)로부터 밀봉제를 통과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는, 상기 클립 연결구(37)에 의해, 제2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5) 및 상기 밸브(6)는, 하우징(1)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의 상기 샤프트(24)는, 상기 하우징(1) 내에 고정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 또는 상기 용기(5) 중 적어도 하나는, 제거 가능한 커버(2.1, 2.2)에 의해 덮이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와 상기 팽창 가능한 물품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9)이, 클립 연결구(14.1, 15.1, 14.2, 15.2)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 연결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장치.
  10. 제 1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5)로부터 팽창 가능한 물품 내로 밀봉제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연결 라인(9)의 제1 단부를 밸브(6)의 배출구(8)로 연결하는 단계;
    연결 라인(9)의 제2 단부를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연결하는 단계;
    밸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밸브(6)의 수용부(23)로 용기(5)를 연결함에 따라 용기(5)가 수평 위치에 있는 것인 단계; 및
    상측부가 아래로 놓이는 위치로 용기(5)를 회전함으로써 밸브(6)를 제2 위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밸브(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유입구(7), 배출구(8) 및 연결 라인(9)을 통해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압축 공기만 공급되고,
    밸브(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유입구(7)를 통해 용기(5)로 압축 공기가 공급된 후에 압축 공기 밀봉제가 용기(5)로부터 배출구(8) 및 연결 라인(9)을 통해 팽창 가능한 물품으로 공급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3)는, 클립 연결구(37)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5)를 수용하고 위치 설정하는 것인 밀봉제 분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5) 및 상기 밸브(6)는, 하우징(1) 내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수용되는 것인 밀봉제 분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 또는 상기 용기(5) 중 적어도 하나는, 제거 가능한 커버(2.1, 2.2)에 의해 상기 하우징(1)에서 덮이는 것인 밀봉제 분배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7016685A 2015-11-18 2016-11-18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51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9917.3 2015-11-18
DE102015119917.3A DE102015119917A1 (de) 2015-11-18 2015-11-1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s Mittels zum Abdichten eines aufblasbaren Gegenstandes
PCT/IB2016/056984 WO2017085695A1 (en) 2015-11-18 2016-11-18 A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ans for sealing an inflatable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091A KR20180084091A (ko) 2018-07-24
KR102516631B1 true KR102516631B1 (ko) 2023-03-30

Family

ID=5747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85A Active KR102516631B1 (ko) 2015-11-18 2016-11-18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26495B2 (ko)
EP (1) EP3377310B1 (ko)
JP (1) JP6889157B2 (ko)
KR (1) KR102516631B1 (ko)
CN (1) CN108349176B (ko)
DE (1) DE102015119917A1 (ko)
WO (1) WO2017085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16778B1 (pt) * 2016-02-17 2022-07-05 Trydel Research Pty Ltd Aparelho melhorado para vedação e inflação de artigos infláveis danificados tais como pneus perfurados
EP3924195B1 (en) 2019-04-17 2024-06-05 Santa Cruz Bicycles, LLC Inflation system for tubeless tires
DE102019217775A1 (de) 2019-11-19 2021-05-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Druckluft und/oder Dichtmittel in einen Fahrzeugluftreifen und tragbares/transportables 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Fahrzeugluftreifen
EP4097381A4 (en) 2020-01-27 2024-03-13 Quintana, John IMPROVED PNEUMATIC VALVE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1678210S (ko) * 2020-06-18 2021-02-01
USD959498S1 (en) * 2020-09-04 2022-08-0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mpressor
US11794426B2 (en) 2021-06-30 2023-10-24 Illinois Tool Works Inc. Flat tire repair device
USD956826S1 (en) * 2021-06-30 2022-07-05 Illinois Tool Works Inc. Flat tire repair kit
DE102022100812A1 (de) * 2022-01-14 2023-07-20 Illinois Tool Works Inc. Kompressor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bedarfsweisen aufblasen und/oder reparieren von aufblasbaren artikeln oder erzeugnissen
US20240247648A1 (en) * 2022-09-27 2024-07-25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Repair System
USD1066212S1 (en) 2022-09-30 2025-03-11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repair system
USD1065007S1 (en) 2022-09-30 2025-03-04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repai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1594A (ja) * 2009-12-23 2011-07-07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および(または)シーラントをタイヤへ挿入するための装置
JP5054627B2 (ja) * 2008-07-15 2012-10-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リング剤容器の蓋ユニット
JP5568100B2 (ja) * 2012-01-06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238A (en) * 1970-07-27 1973-02-27 Polytop Corp Safety dispensing closure
US3786964A (en) * 1972-09-15 1974-01-22 Eyelet Specialty Co Safety mechanism for a liquid-dispensing container
US4081113A (en) * 1976-03-11 1978-03-28 Polytop Corporatio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US5156853A (en) * 1989-08-04 1992-10-20 Werner Frank D Windshield repair apparatus
GB9101560D0 (en) * 1991-01-24 1991-03-06 Boc Group Plc Fluid delivery system
US5427145A (en) * 1993-10-07 1995-06-27 Abbott Laboratories Connector with integral valve
US5687777A (en) * 1996-03-11 1997-11-18 Ohmeda Inc. Anesthetic agent filler valve
DE10106468B4 (de) 2001-02-13 2012-11-22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Reifendichtmittel
CZ20022938A3 (cs) * 2001-02-16 2003-02-12 Continental Ag Způsob plnění předmětu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ITTO20040117A1 (it) 2004-02-27 2004-05-27 Tek Srl Kit per il gonfiaggio e la riparazione di articoli gonfiabili, in particolare pneumatici
JP2008143099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376754B2 (ja) * 2006-12-21 2013-1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装置
DE202007016242U1 (de) 2007-11-21 2008-01-3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mit einer Schaltmarkierung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CN102186658B (zh) * 2008-10-20 2013-11-20 横滨橡胶株式会社 爆胎密封剂收纳容器以及爆胎修理装置
CN102405132B (zh) * 2009-04-23 2014-02-26 株式会社普利司通 密封充气装置
US7886783B2 (en) * 2009-05-22 2011-02-15 The General Electric Company Anesthetic vaporizer filling system
TWI482908B (zh)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DE102011018927A1 (de) * 2011-04-28 2012-10-3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JP5568068B2 (ja) * 2011-09-20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EP2815875B1 (en) * 2012-02-16 2018-04-11 Wen-San Jhou Vehicle-mounted air compressor device
US9302654B2 (en) * 2013-01-25 2016-04-05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 for dispensing tire sealant
CN203752543U (zh) 2013-11-22 2014-08-06 上海华汇机电有限公司 补胎液充气泵转换装置
DE202014011545U1 (de) * 2013-11-28 2022-04-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oder Aufpumpen von Gegenständen und selbstverschließende Schraubkupplung
DE102013113618A1 (de) * 2013-12-06 2015-06-1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Druck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WO2015118763A1 (ja) * 2014-02-06 2015-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CN204278561U (zh) 2014-11-27 2015-04-22 王名宪 能够充气及补胎的空压机
TWI647129B (zh) * 2015-04-23 2019-01-11 周文三 空氣壓縮機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4627B2 (ja) * 2008-07-15 2012-10-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リング剤容器の蓋ユニット
JP2011131594A (ja) * 2009-12-23 2011-07-07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および(または)シーラントをタイヤへ挿入するための装置
JP5568100B2 (ja) * 2012-01-06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091A (ko) 2018-07-24
WO2017085695A1 (en) 2017-05-26
CN108349176B (zh) 2021-01-29
DE102015119917A1 (de) 2017-05-18
CN108349176A (zh) 2018-07-31
JP6889157B2 (ja) 2021-06-18
EP3377310A1 (en) 2018-09-26
EP3377310B1 (en) 2024-02-28
US20180333927A1 (en) 2018-11-22
JP2019506308A (ja) 2019-03-07
US10926495B2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631B1 (ko) 팽창 가능한 물품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925978B (zh) 修理尤指轮胎的充气件的密封液容器和有该容器的修理箱
US8857477B2 (en) Kit for repairing and inflating inflatable articles
JP5480795B2 (ja) 空気および(または)シーラントをタイヤへ挿入するための装置
CN101563210B (zh) 用于修复可充气制品和给可充气制品充气的成套组件
KR102301517B1 (ko) 병마개 및 그 사용법
JP5788967B2 (ja) 膨張式アイテムを修理し膨張させるためのキット
US20110041951A1 (en) Sealing fluid canister, and repair kit comprising such a canister
CN101791975A (zh) 维修尤指轮胎的充气件并且为其充气的修理箱
JP6370224B2 (ja) 逆流防止装置
CN101868344B (zh) 带有插接机构用于可吹胀物体的密封和充气的装置
CN102673531B (zh) 使用改进的分流阀的对可充气物品进行修理和充气的设备
US8906144B2 (en) Compact adsorption dryer
WO201706854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ans for sealing an inflatable object
CN105722669A (zh) 用于对可充气物体进行密封和泵气的装置
CN105745062A (zh) 用于对带有位置阀的可充气物体进行密封和泵气的装置
CN116890471A (zh) 用于将液体密封剂传送到可充气物件中的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