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97B1 -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Google Patents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6397B1 KR102516397B1 KR1020200146352A KR20200146352A KR102516397B1 KR 102516397 B1 KR102516397 B1 KR 102516397B1 KR 1020200146352 A KR1020200146352 A KR 1020200146352A KR 20200146352 A KR20200146352 A KR 20200146352A KR 102516397 B1 KR102516397 B1 KR 102516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oading
- plate
- area expansion
-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의 양측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적재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작업자가 과수에 더욱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어 보다 많은 과수를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 측에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를 수확하는 작업자가 직접 원하는 높이로 적재함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일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상승되고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과수작업차의 레일유닛에 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과수작업차의 구름운동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구름운동유닛의 제1 내지 제3구동륜이 개별회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31 : 좌우틸팅프레임 41 : 좌우틸팅유닛
61 : 적재함승강유닛 62 : 링크부
70 : 리프트부 75 : 조작부
80 : 구름운동유닛 100 : 적재함
101 : 적재함메인프레임 102 : 수납공간
121 : 적재면적확장틀 130 : 적재공간
141 : 레일유닛 142 : 고정레일
150 : 제2이동레일 160 : 제1이동레일
191 : 보조확장판 201 : 회동가이드판
203 : 회동가이드홈 206 : 회동가이드돌기
Claims (7)
- 양측부에 지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유닛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나란하거나 좌측 또는 타측이 상향되게 기울기 가변가능한 좌우틸팅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좌우틸팅유닛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운동유닛 및 상기 적재함 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하부가 연결되며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한 쌍씩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개방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적재함메인프레임과,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부에 각각 개별 인출가능한 적재면적확장틀들과,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전후방으로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인출방향으로 길이 연장 가능하여 되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레일유닛과,
각 상기 수납공간에서 일측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장착되어 길이 신축에 따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을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확장틀 이동실린더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들의 각 단부에는 각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수납 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되며,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인출 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상면에 나란하게 각각 회동되는 복수 쌍의 보조확장판과,
전후방향의 상기 보조확장판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배치되게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에 따른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판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되는 측 단부의 전후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가이드판에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되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호형상으로 인입된 회동가이드홈에 수용가능하여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조작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장착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가능한 복수 쌍의 구동륜을 구비하고,
복수 쌍의 상기 구동륜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구동륜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구동륜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구동륜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륜은 상기 제3구동륜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개별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유닛은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의 수납공간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장착되며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동레일을 구비하고,
다수의 레일유닛은
전후방향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양측부와 상기 양측부에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신장 및 신축되게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2이동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상기 제2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1이동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여 상기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3 및 제4가이드볼과,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볼이 상호 수직 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1가이드볼에 관통되고 하부가 상기 제2가이드볼에 관통되며 상기 제2 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로 연장된 제1연결와이어와,
상기 제3 및 제4가이드볼들이 상호 수직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3가이드볼에 관통되고 하부가 상기 제4가이드볼에 관통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 사이로 연장된 제2연결와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레일은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고정장착되며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갖고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제1길이연장부와, 상기 제1길이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폭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도록 호형곡률을 갖도록 인입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볼에 접하는 제1 및 제2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전후방향 양측부와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양측부에 각각 고정장착되며 상기 제1길이연장부보다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큰 폭을 갖고 상기 제1길이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길이연장부와, 상기 제3길이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폭 방향 내측이 상호 멀어지게 상하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3 또는 제4가이드볼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제7 및 제8볼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동레일은
상기 제7볼지지부의 수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3가이드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3볼지지부와, 상기 제8볼지지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4가이드볼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4볼지지부와, 상기 제3볼지지부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볼지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볼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5볼지지부와, 상기 제4볼지지부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볼지지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6볼지지부와, 상기 제3볼지지부의 상기 제4볼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와이어와 상기 제2연결와이어 사이에 위치되는 제2길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이격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각 전단측을 연결하는 전단측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각 후단측을 연결하는 후단측판과, 상기 전단측판과 상기 후단측판과 동일간격 이격되며 상기 전단측판과 후단측판에 각각 나란한 제1구획판과, 상기 전단측판과 후단측판의 길이방향 중심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구획판과 직교하는 제2구획판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승강유닛과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은
상기 전단측판, 상기 후단측판 및 상기 제1구획판에 나란하게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레일결합판과, 상기 제1 및 제2레일결합판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적재함 메인프레임의 상기 상판과 나란한 면적확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9778 | 2019-11-04 | ||
KR20190139778 | 2019-11-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803A KR20210053803A (ko) | 2021-05-12 |
KR102516397B1 true KR102516397B1 (ko) | 2023-04-03 |
Family
ID=7591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6352A Active KR102516397B1 (ko) | 2019-11-04 | 2020-11-04 |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63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5610B1 (ko) * | 2023-11-13 | 2024-10-11 | 장진만 | 노지 과수 수확 로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0398B1 (ko) * | 2021-10-21 | 2024-05-28 | 김무열 | 바퀴형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022Y1 (ko) * | 2008-01-16 | 2010-08-31 | 주식회사 세웅 |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
KR20120089172A (ko) * | 2011-02-01 | 2012-08-09 | (주)세고스 | 편중형 슬라이딩 장치 |
KR101669152B1 (ko) | 2014-10-31 | 2016-10-25 | 이종태 | 농업용 고소 작업차 |
KR101923680B1 (ko) * | 2017-01-06 | 2019-02-22 | 엘앤에스(주) | 과수 작업차 |
KR102151402B1 (ko) * | 2019-02-01 | 2020-09-03 | 장진만 |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6352A patent/KR102516397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5610B1 (ko) * | 2023-11-13 | 2024-10-11 | 장진만 | 노지 과수 수확 로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803A (ko) | 2021-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83641B2 (en) | Mobile elevator working and load-lifting platform | |
US3485400A (en) | Vehicle with sliding and tilting bed | |
KR101923680B1 (ko) | 과수 작업차 | |
US7004286B2 (en) |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 |
KR101046439B1 (ko) |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 |
CN110946005B (zh) | 一种丘陵山地果园采收平台 | |
KR102516397B1 (ko) |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
KR102073180B1 (ko) | 농업용 고소차 | |
US4118907A (en) | Lifting equipment having telescopic boom with automatic extension limiting | |
US3817401A (en) | Self-propelled dual-jack hoist | |
CN104999953A (zh) | 一种汽车起重尾板结构 | |
KR101070405B1 (ko) |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 |
US2916166A (en) | Shuttle lift for parking machine | |
US4206833A (en) | Mobile aerial tower | |
JPH1160177A (ja) | 高所作業車 | |
CN211430108U (zh) | 一种丘陵山地果园采收平台 | |
US3361268A (en) | Tower crane | |
KR100933921B1 (ko) |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 |
EP0805067A1 (en) | Loading lift for the container of a truck | |
KR200472815Y1 (ko) |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JP2001136822A (ja) | 果実収穫作業車 | |
EP0286300A1 (en) | Personnel access lift boom | |
JP4043721B2 (ja) | ブーム式高所作業車 | |
JPS63196498A (ja) | 屈伸上昇装置 | |
JP3140094U (ja) | 油圧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リフ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