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5254B1 -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254B1
KR102515254B1 KR1020230006058A KR20230006058A KR102515254B1 KR 102515254 B1 KR102515254 B1 KR 102515254B1 KR 1020230006058 A KR1020230006058 A KR 1020230006058A KR 20230006058 A KR20230006058 A KR 20230006058A KR 102515254 B1 KR102515254 B1 KR 102515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rtains
curtain
water
forming ji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석
최지훈
Original Assignee
황정석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석, 최지훈 filed Critical 황정석
Priority to KR102023000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06M11/0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with water, e.g. steam; with heavy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원단을 발수제가 저장된 원액통에 침지시키는 1공정; 상기 침지된 원단을 꺼낸 후 건조기에 넣고, 1~3시간 건조시키는 2공정; 상기 건조된 원단을 작업대에 안착한 후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칼날이 상기 원단의 상면에 근접하여 원단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깍아내어 깍여진 부위에 거친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을 제조하는 3공정; 상기 3공정의 커튼용 원단을 다림질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커튼용 원단을 굴곡 형성 지그에 올려놓고, 굴곡에 따라 커튼용 원단이 굴절되도록 한 후 커튼용 원단의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커튼용 원단이 밀착된 굴곡 형성 지그를 진공 챔버에 넣어 진공압축시켜 커튼용 원단이 굴곡 형성 지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에서 진공 챔버의 내부에 고온 스팀을 가하여 커튼용 원단을 가열하여 굴곡 형성 지그의 곡률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6공정; 상기 진공 챔버에서 주름이 가공된 커튼용 원단을 인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7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Curtain using water-repellent coating treated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상기억 커튼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대,소변 또는 음료수와 같은 액체오염물질이 쉽게 흘러내려 원단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차광 기능 뿐만 아니라 최근 실내 인테리어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인테리어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차광 기능이 우수한 원단에 대한 개발과 더불어 커튼에 다양한 원단을 적용하고 있다.
일 예로서, 원단에 발수성 및 방염성, 내수압성(방수성) 등의 복합기능성이 요구되고 있고, 하나의 원단에 이와 같은 복합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복합기능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처리 방법과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처리 방법이 있다.
종래에는 원단에 발수성과 방염성을 동시에 부여하기 위해 인계 방염제 희석액과 불소계 발수제를 혼합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방염제로 인해 원단의 색상이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10-2017-009581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려동물의 대,소변 또는 음료수와 같은 액체오염물질이 쉽게 흘러내려 원단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커튼이 항상 일정한 형상이 지속될 수 있도록 주름의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원단을 발수제가 저장된 원액통에 침지시키는 1공정; 상기 침지된 원단을 꺼낸 후 건조기에 넣고, 1~3시간 건조시키는 2공정; 상기 건조된 원단을 작업대에 안착한 후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칼날이 상기 원단의 상면에 근접하여 원단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깍아내어 깍여진 부위에 거친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을 제조하는 3공정; 상기 3공정의 커튼용 원단을 다림질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커튼용 원단을 굴곡 형성 지그에 올려놓고, 굴곡에 따라 커튼용 원단이 굴절되도록 한 후 커튼용 원단의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커튼용 원단이 밀착된 굴곡 형성 지그를 진공 챔버에 넣어 진공압축시켜 커튼용 원단이 굴곡 형성 지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에서 진공 챔버의 내부에 고온 스팀을 가하여 커튼용 원단을 가열하여 굴곡 형성 지그의 곡률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6공정; 상기 진공 챔버에서 주름이 가공된 커튼용 원단을 인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7공정;을 포함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3공정에서 회전칼날은 외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로울러이며, 상기 다수의 톱니가 원단에 0.1~0.3mm 박힌 상태로 로울러가 고속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친면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라인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공정의 발수제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마자유 또는 팜유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왁스용액 30~4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3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체 10 ~ 30 중량부, 불소계 중합체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공정은, 굴곡 형성 지그에 커튼용 원단이 장입된 후 가압유닛의 작동에 의해 가압패드가 밀착되고, 진공챔버 내에 진공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30분~50분간 유지시켜 주름이 성형되도록 하며, 상기 굴곡 형성 지그는,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인 제1돌부와 제1요부가 연속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패드에는 상기 굴곡 형성 지그의 제1돌부와 제1요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제2요부와 제2돌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굴곡 형성 지그의 제1돌부의 내측에 가열을 위한 히터가 내장되어 제1돌부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공정은, 다수의 제1로울러가 병렬 배치된 하부 거치대에 상기 커튼용 원단을 거치시키고, 상기 다수의 제1로울러들 사이에 삽입되어 외접되는 다수의 제2로울러가 병렬 배치된 상부 거치대를 하부 거치대에 밀착시켜 커튼용 원단이 압지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 거치대의 제2로울러의 내부에 냉매를 공급하여 제2로울러가 냉각되도록 하여 압지된 커튼용 원단이 급속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공정에서 주름이 형성된 커튼용 원단을 일정 시간 건조시킨 후 소취제 분사부로 이송시킨 후 커튼용 원단의 외면에 제2액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표면에 소취제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6-1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기억 특성에 의해 커튼의 주름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심미감을 제고시켜줄 수 있고, 방수,발수성에 의해 오염이 방지되며, 냄새 제거와 모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해줄 수 있고, 이음선이 없어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 중 '3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 중 '6공정의 굴곡 형성 지그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6공정의 '가압유닛(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커튼의 발수력을 보여주는 도면대용사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 중 '3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공정 중 '6공정의 굴곡 형성 지그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6공정의 '가압유닛(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커튼의 발수력을 보여주는 도면대용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은, 원단 제조, 침지, 건조, 표면가공, 다림질, 굴곡 형성, 냉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은,
위사(L1)와 경사(L2)를 직조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원단(PF)을 제조하고, 상기 원단을 발수제가 저장된 원액통에 침지시키는 1공정(S1);
침지된 원단(PF)을 꺼낸 후 건조기에 넣고, 1~3시간 건조시키는 2공정(S2);
건조된 원단(PF)을 작업대에 안착한 후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칼날(4)이 상기 원단(PF)의 상면에 근접하여 원단(PF)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깍아내어 깍여진 부위에 거친면(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F)을 제조하는 3공정(S3);
3공정(S3)의 커튼용 원단(F)을 다림질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는 4공정(S4);
4공정(S4)에서 수득된 커튼용 원단(F)을 굴곡 형성 지그(100)에 올려놓고, 굴곡에 따라 커튼용 원단(F)이 굴절되도록 한 후 커튼용 원단(F)의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커튼용 원단(F)이 밀착된 굴곡 형성 지그(100)를 진공 챔버(V)에 넣어 진공압축시켜 커튼용 원단(F)이 굴곡 형성 지그(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5공정(S5);
5공정(S5)에서 진공 챔버(V)의 내부에 고온 스팀을 가하여 커튼용 원단(F)을 가열하여 굴곡 형성 지그(100)의 곡률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6공정(S6);
진공 챔버(V)에서 주름이 가공된 커튼용 원단(F)을 인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7공정(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공정(S1)]
위사(L1) 또는 경사(L2)는 동일한 굵기가 바람직하고, 600~700데니어의 원사를 이용한다.
또한 원사는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소재일 수 있다.
위사(L1)와 경사(L2)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한 후 원단을 발수제 원액통에 담가 침지시킨다.
발수제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마자유 또는 팜유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왁스용액 30~4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3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체 10 ~ 30 중량부, 불소계 중합체 5~10 중량부를 혼합한다.
왁스용액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발수력이 저하되고, 40중량부 이상이며 과도하여 원사의 유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10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광택이 저하되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여 경제성이 낮아진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10 중량부 미만이면 발수성능이 미흡하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여 원사의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불소계 중합체는 5 중량부 미만이면 발수력이 저하되고, 10 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여 인체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다.
[2공정(S2)]
1공정(S1)에서 수득된 원단(PF)을 건조기에 넣고 1~3시간 20~25℃, 습도 10~30%에서 건조시켜 발수제가 코팅된 상태로 원사에 고착되도록 한다.
[3공정(S3)]
상기 건조된 원단을 작업대에 안착한 후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칼날(4)이 상기 원단(PF)의 상면에 근접하여 원단(PF)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깍아내어 깍여진 부위에 거친면(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F)을 제조한다.
상기 회전칼날(4)은 외면에 다수의 톱니(41)가 형성된 로울러이며, 액츄에이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된다.
따라서 회전칼날(4)의 다수의 톱니(41)가 원단에 0.1~0.3mm 박힌 상태로 로울러가 고속 회전하여 커팅 작용이 실행되고, 회전칼날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거친면(20)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라인(20-L)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라인(20-L)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된다.
라인(20-L)은 다른 부위 보다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후술될 5공정(S5)의 굴곡이 형성되는 부위가 되며, 두께가 얇은 부위인 라인(20-L)에 의해 커튼(F)의 굴곡 형성 작용이 보다 쉽게 형성되고 굴곡의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4공정(S4)]
상기 3공정(S3)의 커튼용 원단(F)을 다림질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한다.
[5공정(S5)]
상기 4공정(S4)에서 수득된 커튼용 원단(F)을 굴곡 형성 지그(100)에 올려놓고, 굴곡에 따라 커튼용 원단(F)이 굴절되도록 한다.
이후 커튼용 원단(F)의 외주연을 클램프로 협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커튼용 원단(F)이 밀착된 굴곡 형성 지그(100)를 진공 챔버(V)에 넣어 진공압축시켜 커튼용 원단(F)이 굴곡 형성 지그(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굴곡 형성 지그(100)의 내부에는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유로(130)가 형성되고, 굴곡 형성 지그(100)의 상면에는 유로(130)와 통하는 다수의 진공홀(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진공압력이 가해지면 굴곡 형성 지그(100)의 상면에 흡입력을 발휘함으로써 커튼용 원단이 밀착된다.
굴곡 형성 지그(100)에 커튼용 원단(F)이 장입된 후 가압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가압패드(200)가 밀착되고, 진공챔버(V) 내에 진공압력이 진공압력 -0.085MPa 내지 -0.095MPa로 유지된 상태에서 30분~50분간 유지시켜 주름이 성형되도록 한다.
따라서 진공압축에 의해 굴곡 형성 지그(100)의 곡률에 따라 커튼용 원단(F)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굴곡 형성 지그(100)는,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인 제1돌부(110)와 제1요부(120)가 연속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압패드(200)에는 굴곡 형성 지그(100)의 제1돌부(110)와 제1요부(120)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제2요부(210)와 제2돌부(220)가 형성된다.
굴곡 형성 지그(100)의 제1돌부(110)의 내측에 가열을 위한 히터(H)가 내장되어 제1돌부(11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대략 80~120℃로 열을 가하여 열 변형에 의해 커튼용 원단(F)의 주름 형성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300)은,
가압패드(20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310)와, 상기 샤프트(3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며 외면에 치차가 형성된 제1기어(321)와, 상기 제1기어(321)에 치차 결합되는 제2기어(322)와, 제2기어(322)에 연결된 모터(323)로 구성된 구동부;
샤프트(310)의 외부에 부착된 디스크(330);
디스크(330)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캘리퍼(340);
캘리퍼(34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디스크(330)와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유압을 제공하는 오일탱크(350);
오일탱크(350)와 캘리퍼(340)를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유압호스(360);
오일탱크(35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며 가압패드(200)의 하사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감지센서(371)와 연동되는 신호전송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모터(323)에 연결되며,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가압유닛(300)의 주변에 형성되는 발판(372)과,
발판(372)의 상부에는 발로 밟아 정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비상정지버튼(373)이 형성되며,
비상정지버튼(373)이 온(on) 작동되면 모터(323)의 전력을 차단되어 가압유닛(30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6공정]
5공정에서 진공 챔버의 내부에 고온 스팀을 가하여 커튼용 원단을 가열하여 굴곡 형성 지그의 곡률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방수코팅층이 형성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커튼용 원단(F)을 건조시킨 후 소취제 분사부로 이송시킨 후 커튼용 원단(F)의 외면에 제2액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표면에 소취제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6-1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액제는,
솔잎 추출물, 엄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제2-1액제와,
EM원액에 설탕, 천일염, 탄산칼륨, 계면활성제, 무수에탄올을 혼합한 제2-2액제와,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제2-3액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EM(effective microorganism)은 유용미생물군의 약자이며, 젖산균이나 효모 등 유익균을 섞어 만든 효소제이다. 주기능은 탈취, 오염정화, 살균의 효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1액제 10~20wt%, 제2-2액제 40~50wt%, 제2-3액제 35~50wt%를 혼합한다.
제2-1액제는 10 wt% 미만이면 항균력이 저하되고, 20 wt% 이상이면 너무 과도하여 효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2-2액제는 40 wt% 미만이면 탈취 및 살균력이 저하되고, 50 wt% 이상이면 너무 과도하여 효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2-3액제는 35 wt% 미만이면 탈취력이 저하되고, 50 wt% 이상이면 너무 과도하여 효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7공정]
진공 챔버(V)에서 주름이 형성된 커튼용 원단(F)을 인출한 후 거치대에 펼쳐놓고 상온(20~25℃)에서 냉각시킨다.
전술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에 대해 발수성능을 실험하였다.
실험예
직조된 원단을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왁스용액 3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체 10 중량부, 불소계 중합체 5 중량부를 혼합한 발수제 원액통에 침지시킨 후 꺼내어 1시간 동안 20℃, 습도 10%의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원단(PF)의 외면을 회전칼날(4)로 부분적으로 깍아서 거친면(20)을 형성하여 라인(20-L)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F)을 제조하였다.
이후 커튼용 원단(F)을 다림질 한 후 굴곡 형성 지그(100)에 넣고, 진공 압력 및 고온 스팀에 의해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여 주름이 고착되도록 하였다.
이후 소취제를 도포하여 소취성능을 갖도록 하여 커튼(F)을 완성시켰다.
상기 커튼용 원단(F)에 대해 발수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커튼용 원단(F)에 물을 5~10cc 붓고, 1~5분간 흡수여부를 테스트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분이 경과하여도 스며들지 않고 물방울 형태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발수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발수제 및 소취제층이 형성된 커튼용 원단(F)이 주름(F-2)에 대한 형상기억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오랜 시간 전체적으로 일정한 주름이 유지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아울러 냄새 제거와 방충성을 발휘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L1 : 위사 L2 : 경사
PF : 원단 F : 커튼용 원단
4 ; 회전칼날 41 : 톱니
20 ; 거친면 20-L : 라인
100 : 굴곡 형성 지그 110 : 제1돌부
120 : 제1요부 200 : 가압패드
210 : 제2요부 220 : 제2돌부
300 : 가압유닛 310 : 샤프트
321 : 제1기어 322 : 제2기어
323 : 모터 330 : 디스크
340 ; 캘리퍼 350 : 오일탱크
360 : 유압호스 370 : 신호전송부
V : 진공 챔버

Claims (3)

  1.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원단을 발수제가 저장된 원액통에 침지시키는 1공정;
    상기 침지된 원단을 꺼낸 후 건조기에 넣고, 1~3시간 건조시키는 2공정;
    상기 건조된 원단을 작업대에 안착한 후 작업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칼날이 상기 원단의 상면에 근접하여 원단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깍아내어 깍여진 부위에 거친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튼용 원단을 제조하는 3공정;
    상기 3공정의 커튼용 원단을 다림질하여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커튼용 원단을 굴곡 형성 지그에 올려놓고, 굴곡에 따라 커튼용 원단이 굴절되도록 한 후 커튼용 원단의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커튼용 원단이 밀착된 굴곡 형성 지그를 진공 챔버에 넣어 진공압축시켜 커튼용 원단이 굴곡 형성 지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에서 진공 챔버의 내부에 고온 스팀을 가하여 커튼용 원단을 가열하여 굴곡 형성 지그의 곡률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6공정;
    상기 진공 챔버에서 주름이 가공된 커튼용 원단을 인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7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공정에서 회전칼날은
    외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로울러이며,
    상기 다수의 톱니가 원단에 0.1~0.3mm 박힌 상태로 로울러가 고속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친면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라인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공정의 발수제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마자유 또는 팜유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왁스용액 30~4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3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체 10 ~ 30 중량부, 불소계 중합체 5~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5공정은,
    굴곡 형성 지그에 커튼용 원단이 장입된 후 가압유닛의 작동에 의해 가압패드가 밀착되고,
    진공챔버 내에 진공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30분~50분간 유지시켜 주름이 성형되도록 하며,
    상기 6공정에서 주름이 형성된 커튼용 원단을 일정 시간 건조시킨 후 소취제 분사부로 이송시킨 후 커튼용 원단의 외면에 제2액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표면에 소취제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굴곡 형성 지그는,
    단면이 호형 또는 삼각형인 제1돌부와 제1요부가 연속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패드에는 상기 굴곡 형성 지그의 제1돌부와 제1요부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제2요부와 제2돌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굴곡 형성 지그의 제1돌부의 내측에 가열을 위한 히터가 내장되어 제1돌부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의 제조 방법.
KR1020230006058A 2023-01-16 2023-01-16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51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058A KR102515254B1 (ko) 2023-01-16 2023-01-16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058A KR102515254B1 (ko) 2023-01-16 2023-01-16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254B1 true KR102515254B1 (ko) 2023-03-30

Family

ID=8598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058A Active KR102515254B1 (ko) 2023-01-16 2023-01-16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5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964A (en) * 1979-10-29 1982-08-24 Scholander Stig S W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a pliable web of material onto corrugated sheet
JPH06233954A (ja) * 1993-01-07 1994-08-23 Eastman Kodak Co 縁除去手段を有するカーテン塗装装置及び方法
JPH08209547A (ja) * 1995-02-03 1996-08-13 Kanebo Ltd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耐久性シワ加工方法
JPH09111652A (ja) * 1995-10-12 1997-04-28 Santetsukusu:Kk 形状記憶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法とその加工処理具
JPH09195169A (ja) * 1996-01-18 1997-07-29 Daiichi Lace Kk 不浸透性耐久撥水加工布
JPH09316773A (ja) * 1997-01-31 1997-12-09 Suzutora:Kk カーテンのひだ付け方法
JP2002030563A (ja) * 2000-07-17 2002-01-31 Soraana Techno:Kk プリーツ加工エレメント製造装置
JP2002371460A (ja) * 2001-04-10 2002-12-26 Five Foxes Co Ltd 絹織物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る加工方法並び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た絹織物
KR20170095816A (ko) 2014-12-11 2017-08-23 인텔 코포레이션 병렬 비디오 인코딩을 위한 레이트 제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964A (en) * 1979-10-29 1982-08-24 Scholander Stig S W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a pliable web of material onto corrugated sheet
JPH06233954A (ja) * 1993-01-07 1994-08-23 Eastman Kodak Co 縁除去手段を有するカーテン塗装装置及び方法
JPH08209547A (ja) * 1995-02-03 1996-08-13 Kanebo Ltd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耐久性シワ加工方法
JPH09111652A (ja) * 1995-10-12 1997-04-28 Santetsukusu:Kk 形状記憶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法とその加工処理具
JPH09195169A (ja) * 1996-01-18 1997-07-29 Daiichi Lace Kk 不浸透性耐久撥水加工布
JPH09316773A (ja) * 1997-01-31 1997-12-09 Suzutora:Kk カーテンのひだ付け方法
JP2002030563A (ja) * 2000-07-17 2002-01-31 Soraana Techno:Kk プリーツ加工エレメント製造装置
JP2002371460A (ja) * 2001-04-10 2002-12-26 Five Foxes Co Ltd 絹織物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る加工方法並び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た絹織物
KR20170095816A (ko) 2014-12-11 2017-08-23 인텔 코포레이션 병렬 비디오 인코딩을 위한 레이트 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88637T3 (es) Un método para producir un sustituto del cuero terminado
CN104141196A (zh) 一种负离子远红外拉舍尔毛毯生产工艺
KR101849390B1 (ko) 소파원단 제조방법
CN104207561A (zh) 一种汉麻和亚草混编席子的加工工艺
KR102515254B1 (ko) 발수 코팅 처리된 원단을 이용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73539B1 (ko) 흡수속건 및 발수성을 갖는 이중구조의 다기능성 원단
CN1638710A (zh) 体液吸收制品和尿布
JP2008303472A (ja) 経糸・緯条織物
JP5057722B2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製品の染色方法
KR102549619B1 (ko) 형상의 보존 지속 기간을 개선한 커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28691A (ko) 자외선 경화형 투습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292B1 (ko) 음이온 방출성, 원적외선 방출성 및 항균 소취 기능이 탁월한 순면 누비 이불 제조방법
KR102436340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917262B (zh) 一种远红外拉舍尔毛毯及其制备方法
KR102106257B1 (ko) 나노코팅 한지가죽 원단의 제조방법
CN114287784A (zh) 一种可水洗可暴晒的蚕丝被及其制备方法
KR101572423B1 (ko) 항균 베개 커버 제조 방법
CN103405087B (zh) 一种蔺草与冰丝复合两用席的加工工艺及产品
KR20160100274A (ko) 기능성 캡슐이 포함된 직물의 제조방법
KR100997501B1 (ko) 보온섬유의 제조방법
KR102695134B1 (ko) 백금나노와 참숯을 함유한 항균세신패드
JP4803374B2 (ja)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JP2006225780A (ja) 抗菌性繊維
CN212754509U (zh) 一种新型环保透气鞋面
KR102559428B1 (ko) 대마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