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4648B1 - 진공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648B1
KR102514648B1 KR1020210052448A KR20210052448A KR102514648B1 KR 102514648 B1 KR102514648 B1 KR 102514648B1 KR 1020210052448 A KR1020210052448 A KR 1020210052448A KR 20210052448 A KR20210052448 A KR 20210052448A KR 102514648 B1 KR102514648 B1 KR 10251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ed air
hole
block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639A (ko
Inventor
고영추
Original Assignee
고영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추 filed Critical 고영추
Priority to KR102021005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6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진공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는, 중앙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 배출공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홈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 배출공과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끝부분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유입구 내측으로 만곡진 제1 유도곡면이 형성되는 제1 블럭; 및 중앙에 상기 공기 배출공과 일치하는 부압 형성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기 부압 형성공 주변에는 일부가 상기 유입구로 삽입되는 삽입 결합부가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곡면에 대응되는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유도곡면과의 사이에 만곡진 압축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2 유도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제2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공으로 토출될 때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부압 형성공을 통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에 부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발생장치{VACUUM GENERATOR}
본 발명은 진공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부품수와 단순한 구조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부압을 형성할 수 있고,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부압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펌프(진공 발생기)란 일반적으로, 진공이송 시스템에서 고속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일정 공간의 배기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진공펌프들 중에서도 특히 압축공기 공급라인과 배기라인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소위 "인-라인 진공펌프"라고 한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별도의 펌프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이송 시스템 설계상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진공펌프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7542호(공고일 : 2012.06.22)에는 인-라인(in-line) 진공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펌프는, 측벽 하부에 배출포트가 형성된 실린더형 하우징과, 상면 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 배출통로 및 상기 배출통로와 소통하지 않는 종방향 패스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될 때 배출통로의 말단이 상기 배출포트에 연통하는 가이드와, 상단 유입구와 하단 배출구 및 측벽 흡입구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때 유입구 부분이 하우징 상단부에 고정되고, 배출구 부분이 상기 홀에 끼워져 장착되는 진공 이젝터와, 상기 하우징 하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패스를 경유하여 흡입구에 연통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된 그리퍼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펌프는 진공의 발생 및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젝터의 선택 및 적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펌프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하였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며, 진공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7542호(공고일 : 2012.06.22)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흡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압의 형성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부압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 배출공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홈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 배출공과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끝부분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유입구 내측으로 만곡진 제1 유도곡면이 형성되는 제1 블럭; 및 중앙에 상기 공기 배출공과 일치하는 부압 형성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기 부압 형성공 주변에는 일부가 상기 유입구로 삽입되는 삽입 결합부가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곡면에 대응되는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유도곡면과의 사이에 만곡진 압축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2 유도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제2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공으로 토출될 때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부압 형성공을 통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에 부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홈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블럭의 표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블럭와 제2 블럭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압축공기 유로의 간격을 조절하여 진공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1 - 7개의 간격조절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유도곡면과 제2 유도곡면의 곡률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공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유로는, 상기 공기 유입홈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공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상기 상기 배출구 쪽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공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블럭과 제2 블럭에는, 진공을 파기 하기 위한 파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파기수단은, 상기 제1 블럭에 파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파기 공기 공급공이; 및 상기 파기 공기 공급공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2 블럭에 형성되어 상기 파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파기용 공기가 상기 진공챔버로 공급되도록 하는 파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기공은, 1 -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발생장치가 공기 배출공과 공기 유입홈으로 이루어진 제1 블럭과 진공챔버 및 부압 형성공을 구비하고 제1 블럭과 결합되어 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블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 및 구성품이 단순화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제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블럭과 제2 블럭 사이에 마련되는 간격조절필름의 수(두께)를 조절하여 압축공기 유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발생장치의 저면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부압이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진공이 파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발생장치의 저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10)는, 다양한 제품을 진공 흡착하기 위하여 진공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배출공(22)과 공기 유입홈(24) 및 제1 유도곡면(26)을 구비한 제1 블럭(20)과, 공기 배출공(22)과 일치하는 부압 형성공(32)과 제1 유도곡면(26)과의 사이에 압축공기 유로(40)를 형성하는 제2 유도곡면(34A)을 구비한 제2 블럭(3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 발생장치(10)는, 압축공기 공급부(8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로(40)를 통하여 공기 배출공(22)으로 토출될 때 진공챔버(36) 내부의 공기가 부압 형성공(32)을 통하여 배출구(22B)로 이동함에 따라 진공챔버(36)에 부압이 발생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기준으로 진공 발생장치(20)의 상부체를 이루는 제1 블럭(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앙에 한쪽에는 유입구(22A)가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배출구(22B)가 형성된 공기 배출공(22)이 직선으로 형성된다. 즉,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블럭(20)의 내부에 유입구(22A)와 배출구(22B)를 구비한 공기 배출공(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배출구(22B)는 상부에 위치하고 유입구(22A)는 하부에 위치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그리고, 배출구(22B) 쪽의 제1 블럭(20) 일면에는 기구물과 결합되기 위한 연결체(50)가 결합되며, 연결체(50)를 통하여 소음기(52)가 배출구(22B)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공기 유입홈(24)은,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공기 배출공(22)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배출공(22)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유입구(22A)의 주변에서 공기 배출공(22)과 평행하게 함몰 형성된다. 이 공기 유입홈(24)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며, 제1 블럭(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공급공(25)과 연결된다. 공기 공급공(25)에는 압축공기 공급부(80)와 연결된 공급관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부(80)에서 발생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공기 공급공(25)을 통하여 공기 유입홈(24)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1 유도곡면(26)은, 유입구(22A)의 내주면, 즉 공기 유입홈(24)과 공기 배출공(22) 사이의 격벽(23) 단부와 내주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유도곡면(26)은 공기 배출공(22)의 내부에서 유입구(22A) 외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를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제1 유도곡면(26)은, 격벽(23)의 바깥쪽에서 유입구(22A)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블럭(20)에는, 파기수단(90)을 구성하는 파기 공기 공급공(27)이 공기 배출공(22)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 파기 공기 공급공(27)은 파기 공기 공급부(96)의 연결관이 결합되도록 제1 블럭(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파기 공기 연결공(27A)와 연통된다.
제2 블럭(30)은, 진공챔버(36)를 구비하여 제1 블럭(20)과 결합되어 압축공기 유로(40)를 형성하는 것으로, 중앙에 공기 배출공(22)과 일치하는 부압 형성공(32)이 형성된다. 유입구(22A)와 대응되는 부압 형성공(32) 주변의 표면으로부터 삽입 결합부(34)가 원뿔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삽입 결합부(34)의 외주면에는 제2 유도곡면(34A)이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 제2 유도곡면(34A)은 부압 형성공(32) 주변의 표면과 삽입 결합부(34)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진 곡면이다.
돌출 형성된 삽입 결합부(34)는 제2 블럭(30)이 제1 블럭(20)에 결합되었을 때 그 일부가 유입구(22A)로 삽입된다.
전술한 제1 유도곡면(26)과 제2 유도곡면(34A)은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블럭(30)이 제1 블럭(20)에 결합되었을 때 돌출 형성된 삽입 결합부(34)의 그 일부가 유입구(22A)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유도곡면(26)과 제2 유도곡면(34A) 사이에는 만곡진 압축공기 유로(40)가 형성된다.
압축공기 유로(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홈(24)으로부터 직선방향(도 3을 기준으로 직하방)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360°반대방향인 공기 배출공(22)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곡선부(42)와, 곡선부(42)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배출구(22B) 쪽으로 토출되도록 공기 배출공(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44)로 이루어진다. 특히 직선부(44)는 제1 유도곡면(26)이 끝나는 유입부(22A)의 내주면 직선부와 제2 유도곡면(34A)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 결합부(34)의 외주면 직선부가 이루는 것이므로, 직선부(44)를 통하여 토출되는 압축공기는 유입부(22A)의 내주면과 공기 배출공(22)의 내주면을 따라 빠르게 배출구(22B)로 도출될 수 있다.
제2 블럭(30)의 삽입 결합부(34) 반대 쪽에는 진공챔버(36)가 형성된다. 이 진공챔버(36)는 제2 블럭(30)에 결합되는 흡착블럭(70), 흡착관, 흡착패드 등과 연통된다. 따라서, 진공챔버(36)에 부압이 형성되면 흡착블럭(70)의 외측면에 접한 흡착물은 흡착블럭(70)에 흡착된다.
파기수단(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블럭(20)에 형성되는 파기 공기 공급공(27)과, 파기 공기 공급공(27)과 일치하도록 제2 블럭(30)에 형성되어 파기 공기 공급부(96)로부터 공급되는 파기용 공기가 진공챔버(36)로 공급되도록 하는 파기공(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기공(37)은 진공챔버(36)에서 삽입 결합부(34) 주변 표면 쪽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나사 결합공과는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4개가 90°각도를 유지하여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 된다. 이와 같이 파기공(37)을 4개로 형성함으로써 제1 블럭(20)과 제2 블럭(30)을 결합할 때 4개의 볼트 결합공들이 서로 일치될 때 하나의 파기 공기 공급공(27)와 4개 중 어느 하나의 파기공(37)이 일치되도록 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어느 방향의 볼트 결합공들이 일치되더라도 반드시 공기 공급공(27)와 4개 중 어느 하나의 파기공(37)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블럭(30)의 표면에는 기밀유지용 오링이 설치되기 위한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1 블럭(20)과 제2 블럭(30)이 각각의 결합볼트들에 의해 결합될 때 제1 블럭(20)과 제2 블럭(30) 사이, 즉 공기 유입홈(24)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블럭(30)의 표면 사이에는, 제1 블럭(20)와 제2 블럭(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t)을 조절하여 진공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1 - 7개의 간격조절필름(60)이 구비된다.
이 간격조절필름(60)은 0.05mm - 0.2mm 두게를 갖는 것으로, 제1,2 블럭(20,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역할과 제1,2 블럭(20,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0.1mm 두께의 간격조절필름(60) 1개가 제1,2 블럭(20,30) 사이에 배치되면,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은 0.1mm가 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빠르게 되어 진동도는 높아지게 된다. 또한 0.1mm 두께의 간격조절필름(60) 3개가 제1,2 블럭(20,30) 사이에 배치되면,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은 0.3mm가 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즉가되어 토출속도는 느리나 토출량이 증가되어 진공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블럭(20,3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조절필름(60)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t) 조절을 통하여 진공챔버(36)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간격조절필름(60)에는 파기 공기 공급공(27)과 파기공(37)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6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61)에 의해 파기 공기 공급공(27)과 파기공(37)은 일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부압이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공급부(80)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기 유입홈(24)으로 공급되면,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유로(40)를 통하여 공기 배출공(22)의 내부에서 배출구(22B) 방향으로 토출된다.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로(40)를 통하여 배출구(22B) 쪽으로 빠르게 토출되면서 유입구(22A) 주변의 압력인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진공챔버(36) 내부의 공기는 부압 형성공(32)을 통하여 유입구(22A) 쪽으로 이동한 후 압축공기와 함께 배출구(22B) 쪽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이 과정으로 진공챔버(36)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어 부압이 형성되고, 흡착블럭(70)의 외측면에는 흡착물이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진공챔버(36)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필름(60)의 수(두께 조절)를 조절하여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t)을 조절한다. 압축공기 유로(40)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나 양의 변화가 이루어지므로 진공챔버(36)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장치의 진공이 파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형성용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고, 파기 공기 공급부(96)로부터 파기 공기 공급공(27)으로 파기 공기가 공급되면, 파기 공기는 파기 공기 공급공(27)을 통하여 파기공(37)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진공챔버(36) 내부의 진공은 해제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진공 발생장치 20 : 제1 블럭
22 : 공기 배출공 24 : 공기 유입홈
22A : 유입부 22B : 배출구
26 : 제1 유도곡면 30 : 제2 블럭
32 : 부압 형성공 34 : 삽입 결합부
34A : 제2 유도곡면 36 : 진공챔버
40 : 압축공기 유로 50 : 연결체
52 : 소음기 60 : 간격유지필름
70 : 흡착블럭 80 : 압축공기 공급부
90 : 파기수단

Claims (6)

  1. 중앙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 배출공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유입홈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 배출공과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끝부분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유입구 내측으로 만곡진 제1 유도곡면이 형성되는 제1 블럭; 및
    중앙에 상기 공기 배출공과 일치하는 부압 형성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기 부압 형성공 주변에는 일부가 상기 유입구로 삽입되는 삽입 결합부가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도곡면에 대응되는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유도곡면과의 사이에 만곡진 압축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2 유도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의 반대쪽에는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제2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홈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블럭의 표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블럭와 제2 블럭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압축공기 유로의 간격을 조절하여 진공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1 - 7개의 간격조절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공으로 토출될 때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부압 형성공을 통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에 부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유도곡면과 제2 유도곡면의 곡률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공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유로는,
    상기 공기 유입홈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공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상기 상기 배출구 쪽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공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과 제2 블럭에는,
    진공을 파기 하기 위한 파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파기수단은,
    상기 제1 블럭에 파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파기 공기 공급공이; 및
    상기 파기 공기 공급공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2 블럭에 형성되어 상기 파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파기용 공기가 상기 진공챔버로 공급되도록 하는 파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기공은,
    1 -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


KR1020210052448A 2021-04-22 2021-04-22 진공 발생장치 Active KR10251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48A KR102514648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48A KR102514648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39A KR20220145639A (ko) 2022-10-31
KR102514648B1 true KR102514648B1 (ko) 2023-03-29

Family

ID=8380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48A Active KR102514648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6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671A (ja) * 2012-07-03 2014-01-20 Momose Kikai Sekkei Kk 二液混合器
KR101560927B1 (ko) * 2013-12-20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진공흡입 펌핑장치
KR101618148B1 (ko) 2014-07-01 2016-05-04 박성수 진공압 유도를 이용한 에어 송출장치
JP6004241B2 (ja) * 2012-04-26 2016-10-05 コリア ニューマチック システ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インライン真空ポンプ
US10151283B2 (en) 2015-02-25 2018-12-11 Dayco Ip Holdings, Llc Evacuator with motive fin
JP6554552B2 (ja) 2015-04-13 2019-07-31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Dayco Ip Holdings, Llc ベンチュリ効果を使用して真空を生じさせるための装置
JP6762213B2 (ja) 2016-11-29 2020-09-30 株式会社キョクトー エア吸込吹出ツー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241B2 (ja) * 2012-04-26 2016-10-05 コリア ニューマチック システ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インライン真空ポンプ
JP2014009671A (ja) * 2012-07-03 2014-01-20 Momose Kikai Sekkei Kk 二液混合器
KR101560927B1 (ko) * 2013-12-20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진공흡입 펌핑장치
KR101618148B1 (ko) 2014-07-01 2016-05-04 박성수 진공압 유도를 이용한 에어 송출장치
US10151283B2 (en) 2015-02-25 2018-12-11 Dayco Ip Holdings, Llc Evacuator with motive fin
JP6554552B2 (ja) 2015-04-13 2019-07-31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Dayco Ip Holdings, Llc ベンチュリ効果を使用して真空を生じさせるための装置
JP6762213B2 (ja) 2016-11-29 2020-09-30 株式会社キョクトー エア吸込吹出ツ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39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760B1 (en) Vacuum ejector pump
KR100917222B1 (ko) 진공흡착장치
KR20140020944A (ko) 이젝터
JP3678950B2 (ja) 真空発生用ユニット
US4880358A (en) Ultra-high vacuum force, low air consumption pumps
KR102086198B1 (ko) 벤추리 효과를 이용해 진공을 생성하는 아스피레이터용 흐름 제어
CN109311173B (zh) 一种搬运装置的回旋流形成体和吸引装置
US11225889B2 (en) Silencer and ejector in which silencer is used
CN107429709B (zh) 用于使用文丘里效应产生真空的装置
CN107427386B (zh) 用于使用文丘里效应产生真空的装置
US4402651A (en) Vacuum generating device
KR102514648B1 (ko) 진공 발생장치
AU2023391402A1 (en) Vertical vacuum gripper device
CN110785270A (zh) 抽吸装置
US11448204B2 (en) Diaphragm pump with valve switching device
KR101019948B1 (ko) 흡입식 그리퍼 장치
JP2023530791A (ja) 真空エジェクタポンプ
KR20040011571A (ko) 진공 이젝터 장치
CN112292480B (zh) 喷嘴头和设备
JP7568077B2 (ja) ポンプ装置
CN115533776B (zh) 固定装置及使用方法
JPWO2022230678A5 (ko)
KR102194572B1 (ko) 진공펌프
KR102231245B1 (ko) 진공세퍼레이터
US5163667A (en) Sheet transfer device with suction table on a machine producing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