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10) 및 제2 네트워크(2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1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20)는 인트라넷 또는 VPN과 같은 사설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0)는 출발지 노드(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이하 서술되는 실시 예들에서, '출발지 노드'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노드(101)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장치,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 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출발지 노드(10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지 노드(101)는 '전자 장치' 또는 '단말'로도 참조될 수 있다. 한편, 도착지 노드(102)는 상술한 출발지 노드(101)와 동일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착지 노드(102)는 목적지 네트워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출발지 노드(101)는 제2 네트워크(20)로의 접속(access)을 시도하고 제2 네트워크(20)에 포함된 도착지 노드(10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출발지 노드(101)는 게이트웨이(103)를 통해 데이터를 도착지 노드(102)로 전송할 수 있다.
출발지 노드(101)의 제1 네트워크(10)에 대한 접속이 승인되면 출발지 노드(101)는 제1 네트워크(10)에 포함된 모든 서버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출발지 노드(101)는 악성(malicious) 프로그램의 공격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노드(101)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110a),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110b)과 같은 신뢰된(trusted) 및/또는 보안된(secure)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악성 코드(110c), 감염된(infected)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110d)과 같이 신뢰되지 않거나 보안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악성 프로그램으로부터 감염된 출발지 노드(101)는 제2 네트워크(20)로의 접속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20)가 VPN과 같이 IP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경우, 제2 네트워크(20)는 제2 네트워크(20)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OSI 계층에서 응용 계층 또는 전송 계층에 대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이 이미 생성된 이후에 출발지 노드(101)가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20) 내의 다른 전자 장치(예: 도착지 노드(102))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드(201, 206)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 206)는 인증 노드(201) 및 비인증 노드(20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노드(201, 206)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장치,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 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드(201, 206)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201, 206)는 '전자 장치' 또는 '단말'로도 참조될 수 있다.
인증 노드(201)는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 및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은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제어를 받고, 게이트웨이(203)를 통해 서비스 서버(205)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반대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 중 일부는 웹 브라우저 또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신뢰된 및/또는 보안된 애플리케이션인 반면에 다른 일부는 신뢰되지 않거나 보안되지 않은 악성 프로그램일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은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를 통해 인가되지 않은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서버(205)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격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이 서비스 서버(205)와 통신하기 이전에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이 가능하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통해야 하고,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인가되어야 하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데이터 패킷을 컨트롤러(202)의 정책에 기반한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비인증 노드(206)는 제2 타겟 애플리케이션(216)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인증 노드(206)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노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타겟 애플리케이션(216)은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205)에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205)는 해당 보안 수준에 적합한 기능만을 제2 타겟 애플리케이션(216)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예를 들어, 서버(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인증 노드(201), 게이트웨이(203), 및 서비스 서버(205)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신뢰되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정책 정보 또는 블랙리스트 정보를 통해 인가된 인증 노드(201)(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인증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간 터널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허용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허용되지 않은 목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203)와 생성된 터널링을 통해서 허용된 데이터 패킷만이 서비스 서버(205)로 전송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다르면,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네트워크 접속은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 컨트롤러(202) 또는 게이트웨이(203)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는 인증 노드(201) 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네트워크 접속과 연관된 다양한 동작(예: 등록, 승인, 인증, 갱신, 종료)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과 제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흐름(예: 220)은 '제어 플로우(control flow)'로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는 연동 시스템(예: 인증 노드(201), 게이트웨이(203) 또는 서비스 서버(205))으로부터 수신된 보안 이벤트에 따라 터널링 및 세션을 즉시 회수함으로서 상시 안전한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3)는 인증 노드(201)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경계 또는 서비스 서버(205)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클라우드(cloud) 기반으로 컨트롤러(202)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인가된 터널링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프록시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205)와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205)가 인증된 대상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 및 게이트웨이(203)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흐름은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로 참조될 수 있다. 데이터 플로우는 노드 또는 IP 단위뿐만 아니라 보다 세부적인 단위(예: 애플리케이션)로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도메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NS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5Tuples 및 TCP, UDP 데이터 패킷을 검사하기 위한 모듈 및 터널링, 보안 세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는 게이트웨이(203)를 경유하는 모든 데이터 패킷이 인가된 대상(예: 컨트롤러(202)로부터 인가된 대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인가된 터널링 또는 세션 등의 터널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프록시(예: 도 6의 프록시 서버 모듈(233))을 통해 서비스 서버(205)와의 서비스 처리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는 서비스 서버(205)가 인증된 대상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3)가 아닌 비인증 노드(206)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분리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네트워크 처리 구조는 서비스 서버(205)가 반드시 게이트웨이(203)를 통해 서비스가 처리되어야 하는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증 노드(201)는 인증 노드(201) 내에 저장된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네트워크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 및 네트워크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노드(201)에 포함된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서비스 서버(205)에 대한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접속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이 접속 가능하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데이터 패킷을 게이트웨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인증 노드(201) 내에서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커널(kernel) 및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통해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컨트롤러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메모리(330)만을 도시하지만, 컨트롤러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예: 도 4의 통신 회로(430)) 및 컨트롤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노드(201)는 도 2의 인증 노드(2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비인증 노드(206)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202)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관리자는 컨트롤러(202)에 접속하여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과 서비스 서버(205) 간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연결 중심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단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것 보다 세밀하고 안전하게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는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 시,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의 정책에 기반하여 식별된 네트워크(예: 노드(201)가 속하는 네트워크), 노드, 사용자(예: 노드(201)의 사용자),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예: 노드(201)에 포함되는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이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2)는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에 기반하여 특정 서비스(예: IP 및 포트)로 접속 가능한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화이트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터널 정책 데이터 베이스(312)는 정책에 따라 접속(connection) 경로 상에서 서비스 서버(예: 도 2의 서비스 서버(205))의 사이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예: 도 2의 게이트웨이(203)) 및 프록시(예: 도 6의 프록시 서버 모듈(233))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정책 데이터베이스(312)는 게이트웨이(203)와의 터널 생성에 필요한 일련의 정보(인증 정보, 암호화 알고리즘, 터널 엔드 포인트 등) 및 접속 경로 사이에 타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전에 연결된 터널링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정보(노드에 할당된 IP 정보 수집 및 대체 처리 여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리스트 정책 데이터 베이스(313)는 노드(201) 또는 게이트웨이(203)에서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보안 이벤트 중에서 보안 이벤트의 위험도, 발생 주기, 및/또는 행위 분석을 통해 식별된 대상(예: 노드 ID(identifier), IP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리스트 등록 정책을 나타낼 수 있다.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314)는 블랙리스트 정책 데이터 베이스(313)에 의해서 차단된 대상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노드(201)의 식별 정보가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314)에 포함되면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거부함으로써 노드(201)를 격리시킬 수 있다.
제어 플로우 테이블(315)은 노드(201)와 컨트롤러(202) 사이에 생성된 제어 데이터 패킷의 흐름(예: 제어 플로우)을 관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테이블의 일 예이다. 성공적으로 컨트롤러(202)에 접속하는 경우, 제어 플로우 정보는 컨트롤러(202)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 플로우 정보는 제어 플로우의 식별 정보, 컨트롤러에 대한 접속 및 인증 시 식별되는 IP 주소, 노드 ID, 또는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로부터 서비스 서버(205)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통해 제어 플로우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제어 플로우 정보 내에 포함된 IP 주소, 노드 ID, 또는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에 매핑함으로서 노드(201)가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 데이터 플로우 생성 여부를 판단(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플로우는 만료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노드(201)는 제어 플로우의 만료 시각을 갱신해야 하며, 일정 시간 동안에 만료 시각이 갱신되지 않으면 제어 플로우(또는, 제어 플로우 정보)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노드(201)로부터 수집된 보안 이벤트에 따라서 즉각적인 접속 차단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접속 종료 요청에 따라서 제어 플로우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 플로우가 제거되면 기존에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 또한 제거되기 때문에 노드(201)의 접속이 차단될 수 있다.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 및 서비스 서버(205) 사이에 세부적인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흐름(예: 데이터 플로우)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데이터 플로우는 TCP 세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노드(201)의 애플리케이션(예: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 게이트웨이(203), 서비스 서버(205)의 터널링 및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출발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 인가된 데이터 패킷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ID, 도착지 IP 주소, 및/또는 서비스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제어 플로우 ID에 기반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데이터 패킷의 출발지 IP 및 도착지 IP,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 포워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가된 대상 정보 및 데이터 플로우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애플리케이션과 게이트웨이(203) 사이에 터널링 또는 세션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프록시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5) 접속을 위한 도메인 정보 및 도메인 인증을 위한 인증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은 노드(201), 게이트웨이(203) 또는 서비스 서버(205)에 동일하게 저장될 수 있다.
터널 테이블(317)은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간 생성되어있는 터널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메인 정책 데이터베이스(318)는 정책에 따라 접속 경로 상에서 서비스 서버(205)의 네트워크 경계 사이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프록시 또는 별도로 분리된 프록시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205)와의 서비스 처리 요청을 중계하기 위해서 단말이 도메인 주소로 접속 시도 시, 프록시에 기반하여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도메인 주소 해석 정보, 경로상에 할당할 DNS 서버 정보, 프록시에 설정한 도메인 정보, 해당 도메인 접속 시 필요한 인증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록시 정책 데이터베이스(319)는 정책에 따라 접속 경로 상에서 서비스 서버(205)의 사이에 존재하는 프록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드의 기능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드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노드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는 도 2의 인증 노드(201) 및 비인증 노드(2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노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41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4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4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또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노드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메모리(420), 통신 회로(430), 또는 디스플레이(44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작동적으로(operative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노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 통신 회로(430), 또는 디스플레이(44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메모리(420), 통신 회로(430), 또는 디스플레이(4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42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42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노드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42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불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불휘발성 매체(med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20)는 도 2의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 및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0)는 도 2의 제2 타겟 애플리케이션(216)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와의 제어 플로우 생성 및 갱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하나 이상의 보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20)는 컨트롤러의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30))에 포함된 정보 중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는 도 3에서 설명된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316)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회로(430)는 노드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컨트롤러(202), 게이트웨이(203) 또는 서비스 서버(205))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연결의 수립, 및 수립된 연결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430)는 무선 통신 회로(예: 셀룰러 통신 회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회로) 또는 유선 통신 회로(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회로, 또는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회로(430)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40)는, 컨텐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440)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440)는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센서들(미도시)과 결합됨으로써,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configured with)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44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터치 센서들은, 디스플레이(440) 위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44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예: 컨트롤러)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는 상술한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예: 도 2의 게이트웨이(203))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에 포함되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는 상술한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통신 회로(4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인증 노드(201)에 포함된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으로부터 서비스 서버(205)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감지하고, 인증 노드(201) 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컨트롤러(202)와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 노드(201) 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컨트롤러(202)와 접속된 상태가 아닌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운영체제가 포함되는 커널(kernel)이나 네트워크 드라이버에서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통해, 인증 노드(201)는 OSI 계층 중 응용 계층에서 악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컨트롤러(202)와 접속된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패킷이 터널에 기반하여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이지만 대응되는 터널이 미존재하는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은 게이트웨이(203)에 의하여 차단되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을 뿐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노드(201)에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설치되지 않거나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제어를 우회하는 경우, 비인가된 데이터 패킷이 인증 노드(201)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의 경계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203)는 대응되는 터널이 미존재하는 데이터 패킷을 차단하므로 인증 노드(20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예: TCP 세션 생성을 위한 데이터 패킷)은 서비스 서버(205)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증 노드(201)는 서비스 서버(205)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비인증 노드(206)의 경우, 제2 타겟 애플리케이션(216)은 기존의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205)에 상시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3)가 아닌 비인증 노드(206)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분리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5)가 반드시 게이트웨이(203)를 통해서 서비스가 처리되어야 하여 비용이 발생하는 인라인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203)는 DNS 서버 모듈(213), 터널링 모듈(223) 및 프록시 서버 모듈(23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203)는 DNS 서버 모듈(213), 터널링 모듈(223) 및 프록시 서버 모듈(233)을 모두 포함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DNS 서버 모듈(213), 터널링 모듈(223) 및 프록시 서버 모듈(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201)는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하기 위해서 도메인 정보를 해석 요청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DNS 서버 모듈(213)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DNS 서버를 통해서 터널링 구간 내에 존재하는 프록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IP 정보를 수신함으로서 노드(201)가 퍼블릭 IP 대역에 존재하는 서비스 서버(205)로 바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S 서버 모듈(213)은 노드(201)의 도메인 해석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노드(201)는 데이터 플로우 접속 제어를 통해서 사전에 인가된 터널 및 도메인 인증 정보로 프록시 서버 모듈(233)에 접속할 수 있고, 컨트롤러(202)는 게이트웨이(203) 및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프록시 서버 모듈(233)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프록시 서버에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전달하여 인가된 대상만 서비스 서버(205)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드(201)는 게이트웨이(203)에게 도메인 해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는 pribit.com으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3)는 pribit.com의 도메인 정보를 DNS 서버 모듈(213)을 통해 해석할 수 있고, 해석된 퍼블릭 IP 정보(211.1.1.1)를 프록시 서버 모듈(233)에게 전달할 수 있고, 노드(201)에게 프록시 서버 모듈(233)에 접속할 수 있는 프라이빗 IP 정보(192.168.1.10)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터널링 모듈(223)은 노드(201)와 터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 모듈(223)은 터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 모듈(223)은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대응되는 인가된 터널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링 모듈(223)은 데이터 패킷이 인가된 터널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고, 터널 또는 세션을 포함한 인가된 터널을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노드(201)는 기 생성된 터널링을 통해 프라이빗 IP 정보(192.168.1.10)에 기반하여 서비스 서버(205)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록시 서버 모듈(233)은 노드(201)로부터 프라이빗 IP 정보(192.168.1.10)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퍼블릭 IP 정보(211.1.1.1)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프록시 서버 모듈(233)은 수신된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와 데이터 플로우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인가된 데이터 플로우로 접속한 대상만 서비스 서버(205)로 서비스 처리 요청 정보를 재전송함으로써 프록시 서버 모듈(233)이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의 접속 통제를 수행함과 동시에 프록시 서버 모듈(233)을 거쳐가는 서비스 요청 처리 및 서비스 서버가 반환한 처리 요청 결과를 상세 검사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게이트웨이(203)는 종래의 프록시 서버를 활용한 다양한 접속 통제 기술들이 제어할 수 없었던 인증된 노드 및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등을 식별하고 각 대상별로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할 수 있는 세부적 통제가 가능함과 동시에 해당 대상이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 프록시 서버 모듈(233)에서 해당 데이터 플로우가 제거됨으로써 비인증 대상이 프록시 서버 모듈(233)을 통해서 서비스 서버(205)로 접속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메인 정책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노드(201)는 퍼블릭 서비스(예: SaaS 서비스 등)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드(201)의 모든 서비스 접속을 프록시에 요청하거나 일부 서비스 접속만 프록시에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서비스 접속을 프록시로 유도하는 경우, 퍼블릭 도메인의 퍼블릭 IP를 터널링 대역에 존재하는 프록시 IP로 처리하기 위해서 컨트롤러(202)는 DNS 서버의 도메인을 설정하고, 터널링 시 DNS 서버의 IP를 할당하고, 프록시 서버에서 도메인 해석 후 퍼블릭 IP로 전달하는 제어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605에서 컨트롤러(202)는 도메인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전용 콘솔 또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서 도메인 정책을 설정하고, 각 설정 정보를 게이트웨이(203)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각각의 서버 및 모듈을 설정할 수 있다(동작 610). 또한, 컨트롤러(202)는 DNS 서버 및 프록시 서버가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되어있지 않고 분리되어있는 경우 각 서버로 전송하여 관련된 설정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게이트웨이(203)의 DNS 서버는 도메인 및 IP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S 서버는 서비스 접속을 위한 도메인과 노드(201)가 해당 도메인을 질의할 경우 반환할 IP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게이트웨이(203)는 노드(201)가 터널링을 수립하는 경우 터널링 구간으로서 통신시 질의할 DNS 서버 IP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의 터널링 모듈은 DNS 서버 IP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625에서, 게이트웨이(203)의 프록시 서버는 프라이빗 IP 정보로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퍼블릭 IP 정보로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트롤러 접속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노드(201)가 네트워크를 접속 또는 수신하기 위해서는 컨트롤러(202)에 의하여 인가될 필요가 있으므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제어 플로우의 생성을 요청함으로써 노드(201)의 컨트롤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설치된 도 2의 인증 노드(2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노드(201)는 컨트롤러 접속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 내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설치 및 실행되면, 노드(201)는 컨트롤러(202)에 대한 접속이 요청됨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노드(201)는 컨트롤러(202)에게 컨트롤러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식별 정보를 컨트롤러(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노드(201)의 식별 정보(예: 단말 ID, IP 주소, MAC 주소), 종류, 위치, 환경, 노드(201)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생성된 임의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컨트롤러(202)는 컨트롤러 접속을 요청한 대상(예: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 또는 노드(201))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identify)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에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노드(201),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 및/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식별 정보가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314)에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컨트롤러 접속을 요청한 대상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 가능하다면, 동작 715에서,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와 컨트롤러(202) 간 제어 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2)는 난수 형태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노드(201),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 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제어 플로우 테이블(315)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플로우 테이블(315)에 저장된 정보는 노드(201)의 사용자 인증, 노드(201)의 정보 업데이트, 노드(201)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정책 확인, 및/또는 유효성 검사에 이용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컨트롤러(202)는 식별된 정보(예: 노드(201), 노드(201)가 속하는 출발지 네트워크 정보)와 대응되는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 및 터널 정책 데이터 베이스(312)에서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화이트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202)는 식별된 정보, 접속 정책 데이터베이스(311) 및 터널 정책 데이터베이스(312)에 기반하여, 현재 접속 요청한 노드(201)가 기본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2)는 동작 725에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접속이 가능한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연결될 수 있는 터널링 종류 및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목적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제어 플로우에 포함된 노드(201)의 종류, 위치 정보, 환경 및 노드(201)가 포함되어있는 네트워크 정보, 컨트롤러(202)를 통해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노드(201)에서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연결할 수 있는 터널링 종류와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목적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제어 플로우에 포함된 노드(201)의 종류, 위치 정보, 환경 및 노드(201)가 포함되어있는 네트워크 정보, 컨트롤러(202)를 통해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노드(201)에서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 중 둘 이상의 조합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연결할 수 있는 터널링 종류와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목록화된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목록화된 게이트웨이 중에서 노드(201)에 최적화된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를 한 개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에 접속 가능한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터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웨이(203) 및 터널링 인증 정보 등의 터널링 생성 정보를 노드(201)로 전송할 수 있다(동작 725).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 사이에 터널링이 생성되는 구조가 아니고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203)와 목적지 네트워크 경계에 존재하는 사전에 연결된 터널링을 통해서 접속하는 구조인 경우 또는 노드(201)와 목적지 네트워크 경계 사이에 다른 터널링 기술을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터널링 생성 정보를 노드(201)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725에서, 컨트롤러(202)는 컨트롤러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노드(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 접속을 요청한 대상이 접속 불가능하거나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컨트롤러(202)는 제어 플로우를 생성하지 않고 동작 725에서 접속 불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2)는, 동작 720의 수행을 통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터널링 생성이 필요한 경우(예: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터널링 생성을 위한 정보(예: 게이트웨이(203) 및 터널링 인증 정보 등 터널링 생성에 필요한 일련의 정보)에 기반하여 게이트웨이(203)에게 터널링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3)는 노드(201)의 터널링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터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에 의해 터널링 생성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예: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또는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불필요 정보가 수신된 경우 등)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동작 730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735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터널링 생성 결과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는 게이트웨이(203)와 터널 생성을 완료한 경우, 터널링시 지정된 DNS 서버가 할당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서 수신된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이 노드(201)에 존재하는지(설치 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유효성 검사 정책에 따라서 무결성 및 안정성 여부 검사(애플리케이션 위, 변조 여부 검사, 코드 사이닝 검사, 핑거 프린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노드(20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터널링 생성 완료 정보, 노드(201)에 설정된 인증서 및 프록시 설정 정보, 할당된 터널링 식별 정보(IP 정보)를 컨트롤러(20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애플리케이션 검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유효성 검사의 결과를 컨트롤러(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45에서,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정책(예: 도 3의 프록시 정책 데이터베이스(319)) 및 도메인 정책(예: 도 3의 도메인 정책 데이터베이스(318))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으로부터 수신된 터널링 생성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터널링 생성이 완료된 경우, 노드(201)에 할당된 터널링 IP 및 해당 터널링 생성 정보를 터널링 테이블(예: 도 3의 터널링 테이블(317))에 등록할 수 있고,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어 플로우에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정책에서 노드(201)가 접속한 게이트웨이(203)의 터널링 구간에 존재하는 프록시 서버를 식별할 수 있고, 노드(201)에 프록시 설정을 하여 모든 서비스 요청을 프록시를 통해서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야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프록시 정책(319)에 기반하여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프록시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가 다른 경우 또는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설정 여부, 프록시 서버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노드(201)에게 반환할 수 있다(동작 755).
또한, 컨트롤러(202)는 접속 정책(311) 및 도메인 정책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서버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인증서 정보와 비교하여 노드(201)에 설정해야할 추가 인증서 또는 갱신 인증서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인증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 인증서 정보를 노드(201)로 반환할 수 있다(동작 755).
또한, 컨트롤러(202)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고,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201)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접속 정책 및 터널 정책에서 노드(201)가 위치한 게이트웨이(203)를 확인하고, 노드(201)가 네트워크 접속 요청 절차 없이 데이터 패킷을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출발지 IP, 도착지 IP 및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를 게이트웨이(203) 및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750, 755).
동작 76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수신된 응답에 따른 결과값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수신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컨트롤러 접속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 접속이 완료되면, 노드(201)의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컨트롤러(2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 및/또는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2)는 동작 715에서 제어 플로우를 생성하지 않고, 동작 725에서 컨트롤러 접속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동작 730 내지 동작 755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 접속의 재시도가 필요로 한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다시 동작 705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노드(201)의 데이터 플로우를 갱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시 사전에 허용된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로우를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패킷 전송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프록시 설정 정보 또는 인증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 프록시 설정 및 인증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노드(201)가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한 접속 권한을 부여 받기 위해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노드(201)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설치된 도 2의 인증 노드(2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노드(20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은 보다 강화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805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노드(201)와 컨트롤러(202) 간 제어 플로우가 이미 생성된 상태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 정보를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또는 강화된 인증 정보와, 컨트롤러(202)의 메모리에 포함된 데이터 베이스(예: 도 3의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 또는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314))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접속 정책에 따라 접속 가능한지 여부 및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되면, 동작 815에서, 컨트롤러(202)는 제어 플로우의 식별 정보에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 사용자 ID)를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인증된 사용자의 컨트롤러 접속 또는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컨트롤러(202)는 식별된 정보(예: 노드(201), 노드(201)가 속하는 출발지 네트워크 정보)와 대응되는 접속 정책 데이터 베이스(311) 및 터널 정책 데이터 베이스(312)에서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화이트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202)는 식별된 정보, 접속 정책 데이터베이스(311) 및 터널 정책 데이터베이스(312)에 기반하여, 현재 접속 요청한 노드(201)가 기본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2)는 동작 825에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접속이 가능한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연결될 수 있는 터널링 종류 및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목적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제어 플로우에 포함된 노드(201)의 종류, 위치 정보, 환경 및 노드(201)가 포함되어있는 네트워크 정보, 컨트롤러(202)를 통해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노드(201)에서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연결할 수 있는 터널링 종류와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목적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제어 플로우에 포함된 노드(201)의 종류, 위치 정보, 환경 및 노드(201)가 포함되어있는 네트워크 정보, 컨트롤러(202)를 통해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노드(201)에서 식별된 노드(201)의 식별 정보 중 둘 이상의 조합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연결할 수 있는 터널링 종류와 게이트웨이를 목록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목록화된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목록화된 게이트웨이 중에서 노드(201)에 최적화된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를 한 개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에 접속 가능한 터널링 및 게이트웨이(203)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터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웨이(203) 및 터널링 인증 정보 등의 터널링 생성 정보를 노드(201)로 전송할 수 있다(동작 825).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 사이에 터널링이 생성되는 구조가 아니고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203)와 목적지 네트워크 경계에 존재하는 사전에 연결된 터널링을 통해서 접속하는 구조인 경우 또는 노드(201)와 목적지 네트워크 경계 사이에 다른 터널링 기술을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터널링 생성 정보를 노드(201)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컨트롤러(202)는 사용자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가 인증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노드(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터널링 생성이 필요한 경우(예: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터널링 생성을 위한 정보(예: 게이트웨이(203) 및 터널링 인증 정보 등 터널링 생성에 필요한 일련의 정보)에 기반하여 게이트웨이(203)에게 터널링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3)는 노드(201)의 터널링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터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에 의해 터널링 생성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예: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또는 컨트롤러(202)로부터 터널링 생성 불필요 정보가 수신된 경우 등)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동작 830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835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터널링 생성 결과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는 게이트웨이(203)와 터널 생성을 완료한 경우, 터널링시 지정된 DNS 서버가 할당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서 수신된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 리스트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접속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이 노드(201)에 존재하는지(설치 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유효성 검사 정책에 따라서 무결성 및 안정성 여부 검사(애플리케이션 위, 변조 여부 검사, 코드 사이닝 검사, 핑거 프린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노드(20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터널링 생성 완료 정보, 노드(201)에 설정된 인증서 및 프록시 설정 정보, 할당된 터널링 식별 정보(IP 정보)를 컨트롤러(20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애플리케이션 검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유효성 검사의 결과를 컨트롤러(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45에서,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정책(예: 도 3의 프록시 정책 데이터베이스(319)) 및 도메인 정책(예: 도 3의 도메인 정책 데이터베이스(318))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2)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으로부터 수신된 터널링 생성 완료 정보에 기반하여 터널링 생성이 완료된 경우, 노드(201)에 할당된 터널링 IP 및 해당 터널링 생성 정보를 터널링 테이블(예: 도 3의 터널링 테이블(317))에 등록할 수 있고,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어 플로우에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정책에서 노드(201)가 접속한 게이트웨이(203)의 터널링 구간에 존재하는 프록시 서버를 식별할 수 있고, 노드(201)에 프록시 설정을 하여 모든 서비스 요청을 프록시를 통해서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야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프록시 정책(319)에 기반하여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프록시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와 설정해야할 프록시 서버 정보가 다른 경우 또는 수신된 프록시 서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프록시 설정 여부, 프록시 서버 식별 정보(예: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노드(201)에게 반환할 수 있다(동작 855).
또한, 컨트롤러(202)는 접속 정책(311) 및 도메인 정책에 기반하여 노드(201)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서버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로부터 수신된 인증서 정보와 비교하여 노드(201)에 설정해야할 추가 인증서 또는 갱신 인증서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인증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 인증서 정보를 노드(201)로 반환할 수 있다(동작 855).
또한, 컨트롤러(202)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고,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201)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접속 정책 및 터널 정책에서 노드(201)가 위치한 게이트웨이(203)를 확인하고, 노드(201)가 네트워크 접속 요청 절차 없이 데이터 패킷을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출발지 IP, 도착지 IP 및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를 게이트웨이(203) 및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850, 855).
동작 86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수신된 응답에 따른 결과값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수신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노드(201)의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컨트롤러(2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사용자 인증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1) 및/또는 노드(201)가 속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블랙리스트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면 컨트롤러(202)는 노드(201)가 접속 불가능 및 사용자 인증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2)는 동작 815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동작 825에서 컨트롤러 접속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동작 830 내지 동작 855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노드(201)의 데이터 플로우를 갱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시 사전에 허용된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로우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프록시 설정 정보 또는 인증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 프록시 설정 및 인증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노드(201)가 컨트롤러(202)로부터 인가된 이후에, 노드(201)는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통해 노드(201) 내에 저장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함으로서 신뢰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이 설치된 도 2의 인증 노드(2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노드(201) 내에 저장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예: 도 2의 제1 타겟 애플리케이션(212))의 네트워크 접속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네트워크 접속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목적지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플로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만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데이터 패킷을 드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동작 910을 수행하지 않고 동작 915에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거나 인증 시각이 만료되어 갱신이 필요한 경우 등 데이터 플로우를 갱신해야 하는 경우, 동작 915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컨트롤러(202)는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된 정보(예: 노드, 사용자, 출발지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접속 정책에서, 접속 요청한 식별 정보(예: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포트 정보)의 포함 여부 및 목적지 네트워크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2)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게이트웨이(203) 또는 서비스 서버(205)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202)는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접속 불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동작 935).
접속 가능한 경우, 동작 925에서, 컨트롤러(202)는 터널 테이블 및 도메인 정책에 기반하여 노드(201)와 게이트웨이(203) 간의 터널링이 생성되었는지 여부 및 도메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이 생성되어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02)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에게 접속 불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동작 935).
터널링이 생성되어있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에서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플로우 테이블에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해당 데이터 플로우를 게이트웨이(203) 및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930, 동작 935).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도메인 정책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접속 요청한 목적지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매핑된 도메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메인 목록이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202)는 각각의 도메인 정보로 접속하기 위한 인증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해당 도메인 정보로 접속하기 위한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 컨트롤러(202) 노드(201)의 제어 플로우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서가 노드(201)에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접속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도록 노드(201)의 식별 정보,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플로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2)는 도메인 목록이 존재하는 경우, 도메인 정보를 데이터 플로우에 추가할 수 있고, 인증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 인증서 정보를 데이터 플로우에 추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를 노드(201) 및 게이트웨이(203)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930, 935).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작 935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940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대한 결과값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불가 결과를 수신한 경우,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패킷을 드랍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데이터 플로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성공하고 인증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 플로우에 포함된 인증서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서를 설정하고, 인증서 설정된 이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910을 수행한 후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유효성 검사 정책에 따라서 접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접속 애플리케이션의 무결성 및 안정성 여부 검사(애플리케이션 위조, 변조 여부 검사, 코드 사이닝 검사 및 핑거 프린트 검사 등)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유효성 검사 결과가 성공인 경우 동작 915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의 게이트웨이(20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005에서 게이트웨이(203)는 서비스 처리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처리 요청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프록시 서버는 데이터 패킷 또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함으로서, 서비스 처리 요청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게이트웨이(203)의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처리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IP, 도착지 IP 및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게이트웨이(203)는 동작 1025에서 서비스 처리 요청 실패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에 포함된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처리 정책에 따라 지정된 경로로 서비스 처리 요청을 포워딩 또는 리다이렉션하기 위한 정보를 반환하거나 서비스 요청 실패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고, 데이터 플로우에 도메인 정보가 미포함되어있는 경우, 게이트웨이(203)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포워딩할 수 있다(동작 1020).
유효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고, 데이터 플로우에 도메인 정보가 포함되어있는 경우, 동작 1015에서, 게이트웨이(203)의 프록시 서버는 도메인 정보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의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가 데이터 플로우 내의 도메인 정보에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예 따라서,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가 데이터 플로우 내의 도메인 정보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경우, 노드(201)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프록시 서버는 서비스 처리 요청 실패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동작 1025).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가 데이터 플로우 내의 도메인 정보에 포함되어있는 경우, 프록시 서버는 도메인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IP 및 포트에 기반하여 서비스 처리 요청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다(동작 1020).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플로우 갱신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105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어 플로우 갱신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러(202)에게 제어 플로우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115에서, 컨트롤러(202)는 수신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어 플로우 테이블(예: 도 3의 제어 플로우 테이블(315))에서 제어 플로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 타 보안 시스템에 의하여 접속 해제된 경우, 자체적인 위험 탐지 등에 의하여 접속 해제된 경우), 컨트롤러(202)는 노드(201)의 접속이 유효하지 않으므로 접속 불가 결과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1120).
컨트롤러(202)는 제어 플로우 테이블(예: 도 3의 제어 플로우 테이블(315))에서 제어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갱신 시각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02)는 갱신된 제어 플로우의 식별 정보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1120).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2)는 식별된 제어 플로우에 종속된 데이터 플로우 중 재인증을 수행해야하거나, 더 이상 접속이 불가능한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플로우에 관한 정보를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동작 1120).
동작 1125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대한 결과값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어 플로우 갱신 결과가 불가능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어 플로우 갱신 결과가 정상이고, 갱신된 데이터 플로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플로우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 해제를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205에서 노드(201)는 노드(201)의 종료,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의 종료,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더 이상 네트워크 접속을 사용하지 않음 및 연동 시스템으로부터 식별된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종료 요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1210에서, 노드(201) 또는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제어 플로우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215에서, 컨트롤러(202)는 수신된 제어 플로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제어 플로우를 제거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컨트롤러(202)는 제거된 제어 플로우에 종속된 모든 데이터 플로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201)는 제거된 데이터 플로우를 기반으로 목적지 네트워크에 더 이상 접속할 수 없다.
동작 1225에서 컨트롤러(202)는 제거된 제어 플로우에 종속된 모든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거 요청을 게이트웨이(203)에게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3)는 데이터 플로우를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제거된 데이터 플로우에 포함된 출발지 네트워크, 도착지 네트워크 및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패킷은 더 이상 전송될 수 없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종료를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305에서, 노드(201)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종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종료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PID(Process ID 및 Child Process ID Tree)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31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컨트롤러(202)에게 데이터 플로우 제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 플로우의 식별 정보를 컨트롤러(202)에게 전송하며 데이터 플로우 제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15에서, 컨트롤러(202)는 제거 요청된 데이터 플로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2)는 제거된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거 요청을 게이트웨이(203)에게 수행할 수 있다(동작 1320). 게이트웨이(203)는 데이터 플로우를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제거된 데이터 플로우에 포함된 출발지 네트워크, 도착지 네트워크 및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패킷은 더 이상 전송될 수 없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드에 설치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405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외부 서버에게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요청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410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 플로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플로우는 목적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415에서,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에 기반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플로우에 기반하여 인증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211)은 인증서 설정하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의 컨트롤러(20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작 1505에서, 컨트롤러(202)는 노드의 접속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0에서, 컨트롤러(202)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접속 정책,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15에서, 컨트롤러(202)는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플로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20에서, 컨트롤러(202)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도메인 정책에 기반하여 목적지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25에서, 컨트롤러(202)는 도메인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서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30에서, 컨트롤러(202)는 도메인 정보 및 인증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535에서, 컨트롤러(202)는 생성된 데이터 플로우를 노드 및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의 게이트웨이(20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동작 1605에서, 게이트웨이(203)는 노드로부터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처리 요청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610에서, 게이트웨이(203)는 서비스 처리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 플로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3)의 프록시 서버는 데이터 플로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615에서, 게이트웨이(203)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면, 데이터 플로우에 도메인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서비스 처리 요청에 포함된 도메인 정보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결과가 성공인 경우 서비스 처리 요청을 포워딩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203)는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검사 결과가 실패인 경우 서비스 처리 요청 실패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203)는 데이터 플로우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비스 처리 요청 실패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