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4404B1 -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 Google Patents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404B1
KR102514404B1 KR1020220002298A KR20220002298A KR102514404B1 KR 102514404 B1 KR102514404 B1 KR 102514404B1 KR 1020220002298 A KR1020220002298 A KR 1020220002298A KR 20220002298 A KR20220002298 A KR 20220002298A KR 102514404 B1 KR102514404 B1 KR 10251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artial wig
attached
partial
t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799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144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102022000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풍성하게 증모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머리카락을 상하로 가르고, 갈라진 부위의 하측부분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이 노출되도록 갈라진 부위의 상측부분 머리카락을 위로 들어 올려놓는 제1과정; 상기 과정에서 노출된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에 상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프(12)와 상단부가 상기 테이프(12)의 저면에 부착된 가모(14)를 포함하는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의 일부를 아래로 빗어 내려서 상기 부분가발(10)의 접착면에 부착시키는 제3과정; 다른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3과정에서 머리카락이 부착된 부분가발(10) 위에 부착시키는 제4과정; 및 상기 제1과정에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을 빗어 내리고,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Operating method for increasing volume with hairpiece}
본 발명은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증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증모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프에 가모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은 M자 탈모용으로서, 테이프의 접착면을 피시술자의 이마부위의 헤어라인부분에 부착시켜서 M자 탈모로 인해 넓어진 이마를 좁아 보이도록 시술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을 이용한 종래의 시술방법으로는 후퇴된 헤어라인을 이마쪽으로 내려서 이마를 좁아 보이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탈모로 인해 숱이 없어진 머리숱을 전체적으로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는 미미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2323호(2008. 03. 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048호(2016. 05. 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풍성하게 증모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프(12)와, 상단부가 상기 테이프(12)의 저면에 부착되어 테이프(12)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모(14)를 포함하는 부분가발(10)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으로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머리카락을 상하로 가르고, 갈라진 부위의 하측부분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이 노출되도록 갈라진 부위의 상측부분 머리카락을 위로 들어 올려놓는 제1과정; 상기 과정에서 노출된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에 상기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의 일부를 아래로 빗어 내려서 상기 부분가발(10)의 접착면에 부착시키는 제3과정; 다른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3과정에서 머리카락이 부착된 부분가발(10) 위에 부착시키는 제4과정; 및 상기 제1과정에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을 빗어 내리고,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분가발을 양단부가 V형상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티커타입의 부분가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자연스럽고 풍성하게 증모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부분가발이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부착되기 때문에 상당히 풍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술가능한 부위가 한정되지 않고 앞머리부위는 물론이고, 뒷머리부위, 옆머리부위 등 다양한 부위에 시술이 가능하므로, 피시술자의 탈모양상이나 연출하고자 하는 헤어스타일에 따라 원하는 부위에 증모하여 만족스러운 증모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티커타입 부분가발의 사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시술과정을 보인 사진
도 10은 시술 전후의 비교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접착식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분가발(10)은 도 1,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프(12)와, 상단부가 상기 테이프(12)의 저면에 부착되어 테이프(12)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모(1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12)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성분의 의료용 점착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 부호 11은 상기 테이프(12)의 접착면에는 접착면을 보호하는 이형지(11)가 부착되며, 도 1은 테이프(12)에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부분가발(10)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이형지가 제거되어 접착면이 노출된 상태의 부분가발(10)을 보인 것이다.
1) 제1과정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머리카락을 상하로 가르고, 갈라진 부위의 상측부분의 머리카락을 위로 들어 올려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집게핀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갈라진 부위의 하측 부분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이 노출되어 보인다.
2) 제2과정
상기 부분가발의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접착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접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과정에서 노출된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에 부분가발을 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손으로 부분가발을 피시술자의 머리에 눌러서 부분가발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사람의 머리가 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부위를 시술하는 경우에 부분가발의 상단부, 즉, 테이프가 좌우로 긴 일자형태로 된 경우에 비해 부분가발의 상단부가 좌우로 완만하게 벌어진 V형태를 된 것이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을 따라 시술하는 것이 용이하고, 부분가발의 상단부가 쭈그러지지 않고 편편하게 부착되어 시술된 상태가 자연스럽다. 따라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즉, 테이프가 좌우로 완만하게 벌어진 V형태의 부분가발을 사용하여 시술한다.
3) 제3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의 일부를 아래로 빗어 내려서 상기 제2과정에서 배치시킨 부분가발의 접착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머리카락을 많은 양 빗어내서 부분가발에 부착시키면 부분가발을 시술한 상태가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머리카락을 소량 접착면에 부착시킨다. 머리카락이 부분가발의 접착면에 접착되어 접착면이 머리카락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면 후술하는 제4과정에서 추가로 부착되는 부분가발과 본 과정에서 부착되는 부분가발이 상호 부착되지 못하고 분리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분가발의 접착면에 붙이는 머리카락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부분가발(10)이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에 1차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된다. 도 5는 부분가발에 머리카락을 부착시키는 과정을 보인 사진이고, 도 6은 부분가발에 머리카락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4) 제4과정
다른 부분가발(10)을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접착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접착면을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3과정에서 머리카락이 부착된 부분가발 위에 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과정에서 부분가발에 부착되는 머리카락의 양이 조절되어 부분가발의 접착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므로 제3과정에서 부착된 부분가발과 본 과정에서 부착되는 부분가발의 접착면이 맞닿게 되므로 2개의 부분가발이 상호 부착된다. 도 7은 다른 부분가발을 상기 제3과정에서 부착된 부분가발 위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보인 사진이고, 도 8은 2개의 부분가발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5) 제5과정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가발을 부착시킨 다음,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을 빗어 내리고, 연출하고자 하는 헤어스타일에 따라 부분가발의 가모를 컷트하여 헤어스타일을 연출한다. 도 9는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을 아래로 빗어 내린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술을 하면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2개의 부분가발이 부착되므로 상당히 풍성하게 증모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연스럽고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앞머리부위를 증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시술방법을 옆머리부위, 뒷머리부위 또는 정수리부위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탈모양상이나 연출하고자 하는 헤어스타일에 따라 원하는 부위를 증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이 시술한 후 부분가발을 제거하거나 새로 시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용 리무버를 부분가발이 시술된 부위에 스프레이하여 부분가발을 제거한다.

Claims (2)

  1. 상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프(12)와, 상단부가 상기 테이프(12)의 저면에 부착되어 테이프(12)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모(14)를 포함하는 부분가발(10)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으로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머리카락을 상하로 가르고, 갈라진 부위의 하측부분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이 노출되도록 갈라진 부위의 상측부분 머리카락을 위로 들어 올려놓는 제1과정;
    상기 과정에서 노출된 머리카락의 모근부분에 상기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위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의 일부를 아래로 빗어 내려서 상기 부분가발(10)의 접착면에 부착시키는 제3과정;
    다른 부분가발(10)을 접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3과정에서 머리카락이 부착된 부분가발(10) 위에 부착시키는 제4과정; 및
    상기 제1과정에서 들어 올려놓은 머리카락을 빗어 내리고,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가발은 양단부가 V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2. 삭제
KR1020220002298A 2022-01-06 2022-01-06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Active KR10251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98A KR102514404B1 (ko) 2022-01-06 2022-01-06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98A KR102514404B1 (ko) 2022-01-06 2022-01-06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404B1 true KR102514404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98A Active KR102514404B1 (ko) 2022-01-06 2022-01-06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4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323A (ko) 2006-09-06 2008-03-11 하수한 증모용 가발의 부착방법 및 증모용 가발
KR101252658B1 (ko) * 2011-04-01 2013-04-10 (주)코리아위그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625048B1 (ko) 2014-08-06 2016-06-02 (주)핑크에이지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20190082380A (ko) * 2017-12-30 2019-07-10 이성민 가발
JP2020105679A (ja) * 2018-12-28 2020-07-09 隆喜 平野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323A (ko) 2006-09-06 2008-03-11 하수한 증모용 가발의 부착방법 및 증모용 가발
KR101252658B1 (ko) * 2011-04-01 2013-04-10 (주)코리아위그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625048B1 (ko) 2014-08-06 2016-06-02 (주)핑크에이지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20190082380A (ko) * 2017-12-30 2019-07-10 이성민 가발
JP2020105679A (ja) * 2018-12-28 2020-07-09 隆喜 平野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760B1 (ja) まつげ矯正方法
KR101169194B1 (ko) 안면으로부터 목끝의 3d에 대응하는 다기능 팩용 시트
KR100629404B1 (ko) 눈꺼풀 정형용 스트레치 테이프
WO1987005783A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yling hair
JP5342056B1 (ja) 3dに対応するシート及びその製法
JP7398140B2 (ja) まつげパーマ施術方法及びその方法の実行のためのまつげパーマ施術セット
JP2019039127A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KR102514404B1 (ko) 부분가발을 이용한 증모시술방법
KR101697959B1 (ko)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JP5477876B2 (ja) 人工まつげの取り付け方法
KR102376674B1 (ko)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JP2013128518A (ja) パック用シート
CA3059459A1 (en) Processing method of hair for wig, manufacturing method for wig and wig
US9179723B1 (en) Method of reforming eyelashes
KR102033577B1 (ko) 속눈썹 연장 방법
KR101935998B1 (ko) 이질감이 줄어드는 붙임머리
KR102049017B1 (ko) 전통 머리형상 적용대상 제품의 쪽머리 형성방법
WO2013058153A1 (ja) パック用シート及びその用法
KR102487698B1 (ko) 두피 보호 펌 방법
KR102826907B1 (ko) 피부자극 없이 편리하게 시술 가능한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및 시술도구
KR20230012194A (ko) 가로 세개 권역, 세로 다섯개 권역의 조합에 따른 두상 분할식 헤어 커트 방법
Ellenbogen Avoiding visual tipoffs to face lift surgery: A troubleshooting guide
JPH02264005A (ja) 増毛用毛髪
JP6847508B2 (ja) 毛髪方向付け方法及び毛髪方向付け器具
KR20130053019A (ko) 아이라인이 형성된 인조속눈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30210

Appeal identifier: 2022101001977

Request date: 202210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9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028

Effective date: 2023021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3021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21028

Decision date: 20230210

Appeal identifier: 202210100197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3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Z0301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Z03011R01D

Appeal kind category: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Appeal identifier: 2023106000132

Request date: 20230905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3106000132

PZ0701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Comment text: Written Transmittal of Certified Copy of Decision

Patent event code: PZ07011R01D

Patent event date: 20241017

PZ1301 Decision on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Revocation (Decision on Request for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Z13011R01D

Patent event date: 20241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32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50416

Appeal identifier: 20251000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