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4365B1 - Lockin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65B1
KR102514365B1 KR1020150187307A KR20150187307A KR102514365B1 KR 102514365 B1 KR102514365 B1 KR 102514365B1 KR 1020150187307 A KR1020150187307 A KR 1020150187307A KR 20150187307 A KR20150187307 A KR 20150187307A KR 102514365 B1 KR102514365 B1 KR 10251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lease lever
snow
fork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7430A (en
Inventor
신익재
하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디 에스
Priority to KR102015018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365B1/en
Publication of KR2017007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6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릴리스 레버;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과 걸림됨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며, 스트라이커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포크부; 상기 릴리스 레버 및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릴리스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포크부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릴리스 레버가 원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제한하고, 탄성을 갖는 스노우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노우 레버는, 상기 릴리스 레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release lever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by an input signal; a fork portion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being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striker; a cover housing accommodating the release lever and the fork; and a snow lever having elasticity and limiting restor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an original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rotates to release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unit, wherein the snow lever is released by the release lever. It includes a holding part for possibly being coupled.

Description

차량용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vehicle}Locking device for vehicle {Loc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ilgate or trunk lid locking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승합차나 SUV, RV 차량의 경우 차량 내부에 짐을 싣거나 꺼낼 때 사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Tail gate)가 차량 후미에 설치되며, 테일 게이트에는 차체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vans, SUVs, and RVs, a tailgate for loading or unloading luggag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loc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tailgate to be locked or unlocked from the vehicle body.

또한,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 차량 후미에 트렁크 공간이 제공되며, 이 트렁크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리드가 설치되는데, 트렁크 리드 또한 차체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ypical passenger car, a trunk spa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trunk lid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trunk space. A locking device is also installed to lock or unlock the trunk lid from the vehicle body.

이러한 종래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는,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는 개방 스위치의 조작 또는 리모콘트롤러의 조작 또는 자동차키의 직접 삽입에 따른 조작으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tailgate or trunk lid to the vehicle body is opened by manipulating an opening switch disposed around a driver's seat, manipulating a remote control controller, or manipulating a car key by directly inserting the car key.

그런데, 종래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개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conventional tailgate or trunk l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ning oper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by the above manipulation.

예를 들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측에 다량의 눈이 쌓이거나, 개방 작동을 방해할 정도의 하중을 갖는 짐이 놓여진 경우,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snow accumulates on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or a load having a load that interferes with the opening operation is place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not unlocked.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직접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어 올림과 동시에 리모콘트롤러 또는 자동차키를 이용하여 개방시켜야 함으로써,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if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not unlocked smoothly,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holds the tailgate or trunk with his hand, lifts it upwards, and simultaneously opens it using the remote controller or car key. By doing so,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inconvenienc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539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5395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상관 없이 원활하게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ock that can be open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are doing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로부터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는 다시 잠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at i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tailgate or trunk lid from being locked again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state is released to open, until the tail gate or trunk lid is completely opened by rotating from the vehicle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driver or the like by easily opening a tailgate or a trunk lid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hereto.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릴리스 레버;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과 걸림됨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며, 스트라이커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포크부; 상기 릴리스 레버 및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릴리스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포크부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릴리스 레버가 원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제한하고, 탄성을 갖는 스노우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노우 레버는, 상기 릴리스 레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노우 레버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release lever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by an input signal; a fork portion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being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striker; a cover housing accommodating the release lever and the fork; and a snow lever having elasticity and limiting restor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an original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rotates to release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unit, wherein the snow lever is released by the release lever. It may include a holding part for possibly coupling, and the snow lever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상기 스노우 레버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틱부와; 상기 스틱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snow lever may include a stick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tick part may be included, and the holding part may have an inclination.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가 지지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릴리스 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가 안착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step for supporting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and a slot for seating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lease lever.

상기 릴리스 레버가 잠금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 턱을 타고 넘은 후, 상기 슬롯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release lever is restricted from being restored to the locking position,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may be seated in the slot after riding over the locking jaw by elasticity.

한편, 상기 포크부의 일측에는, 상기 포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돌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노우 레버를 자체 탄성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들어 올리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k unit to contact the protrusion of the snow lever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ork unit and to lift the snow lever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its own elasticity.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돌기부와 접촉되는 선단 부위가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평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ding part may be formed as a flat part by a certain length from the inclined part, and the front end portion contacting the protruding part of the snow lever is formed as an inclined part.

또한, 상기 포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돌기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 끝단은 상기 걸림 턱 끝단과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높이만큼 들어 올려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snow lev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ork part, the end of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may be lifted to a height at which the end of the hooking jaw and the hooking do not occur.

그리고,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 끝단이 상기 걸림 턱과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릴리스 레버는 잠금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포크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d of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and the locking step are released, the release lever is restored to a locked posi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fork.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에 의하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원활하게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of smoothly opening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can be provided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에 의하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로부터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는 다시 잠금 상태가 되지 않음으로써,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운전자 등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to open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is not locked again until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is completely opened by rotating from the vehicle body.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opened even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에서, 커버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된 후, 다시 잠금 상태가 되는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었으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하중에 의해 개방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B-B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6의 C-C선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Figure 2;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ver housing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in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pla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in which 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from a lock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and then to a locked state agai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locked state;
11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housing is excluded in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0;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vehicle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but a tailgate or a trunk lid is not opened by a load;
14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housing is excluded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13;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vehicle lock device is unlocked and a tailgate or a trunk lid is fully opened by rotating with respect to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housing is excluded in FIG. 16;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ing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operatio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use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es. In addition,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hown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또한, 도 4는 도 2의 저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에서, 커버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FIG. 2, and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ver housing in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100)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잠금 유닛과, 차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vehicle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king unit installed on a tailgate or trunk lid of a vehicle and a striker 160 installed on a vehicle body.

차체에 대하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닫힌 상태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면, 잠금 유닛이 스트라이커(160)와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차체에 대하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열고자 잠금을 해제하게 되면, 잠금 유닛이 스트라이커(160)와 결합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차체에 대하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When locking is performed with the tailgate or trunk lid clos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the locking unit forms a state coupled with the striker 160, and when the lock is released to open the tailgate or trunk li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locking When the unit is disengaged from the striker 160, the tailgate or trunk lid can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잠금 유닛은, 전기적 신호 또는 기계적 구동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는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Detent)(122)와,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160)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는 포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which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an electrical signal or mechanical drive, and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It may include a striker 160 and a fork unit 130 that is engaged or unhung.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와 포크부(130)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연동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각각 힌지(124,138)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lease lever 120, the detent 122, and the fork part 130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terlocked, and ar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by hinges 124 and 138, respectively, so that they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his can be done

즉,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는 제1 힌지(12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되고, 포크부(130)는 제2 힌지(138)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 토션 스프링(126,140)에 의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부여 받게 된다.That is,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ar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by a first hinge 124, and the fork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by a second hinge 138. It can be coupled with, and is given a force to rotate in either direction by the torsion springs 126 and 14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에서는, 릴리스 레버(120)와 연동하는 별도 구성의 디텐트(122)가 구비되고, 이 디텐트(122)가 후술되는 포크부(130)의 걸림부(132)과 접촉 또는 해제됨에 따라 포크부(13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한 구성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차종에 따라서는 디텐트(122)의 구성이 배제되고, 릴리스 레버(120)의 일측이 직접 포크부(130)의 걸림부(132) 일측과 접촉 또는 해제됨에 따라 포크부(13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vehicl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nt 122 of a separate configuration interlocking with the release lever 120 is provided, and the detent 122 is a locking portion of the fork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132),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fork unit 130 according to contact or rele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nt 122 is excluded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and the release lever 120 It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fork part 130 as one side directly contacts or releases one side of the hooking part 132 of the fork part 130 .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와 결합되기 위한 마운팅부(112)가 설치되고,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할 모터, 웜기어 및 웜휠이 배치될 수 있다.A mounting part 112 for coupling with a tailgate or a trunk lid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and a motor, a worm gear, and a worm wheel,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모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모터의 축에 연결된 웜기어가 회전하여 웜휠을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The motor is driven by an electrical signal, and when the worm gear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to rotate the worm wheel in the crossing direction,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rotate by a certain angle will do

이러한 모터와, 웜기어 및 웜휠의 작동 관계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Since the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the worm gear, and the worm wheel is already known,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separately sho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vehicle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릴리스 레버(120)의 일측에는 접촉단부(128)가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접촉단부(128)와 접촉된 상태에서 단락되는 경우,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 방향으로 들어 올리도록 신호를 인가하는 접촉 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A contact end 128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120, and when the base plate 110 is short-circui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128, a signal to lift the tail gate or trunk lid in the opening direction A contact sensor 150 applying may be disposed.

포크부(130)는 디텐트(122)의 단부와 걸림되어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부(132)와, 스트라이커(16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134) 및 수용홈(134)에 스트라이커(160)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됨을 예방하도록 하는 파울(Pawl)(13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능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k part 130 has a locking part 132 that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detent 122 to limit rotation, an accommodating groove 134 for accommodating the striker 160, and a striker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34 ( 160)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pawl 136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being accommodated, and the func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됨에 따라, 릴리스 레버(120)와 포크부(130)를 덮게 되는 커버 하우징(2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노우 레버(Snow Lever)(30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ver housing 200 that covers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fork portion 130 as i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as shown in FIGS. 4 and 5, a snow lever (Snow Lever) ( 300) may be formed.

여기서, 스노우 레버(300)는 커버 하우징(200) 일측에 대하여 그 일 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커버 하우징(200)과 일체로 연결된 일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될 수 있다.Here, the snow lever 300 has one en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200 and has a rod shap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one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200 is predetermined. can have the elasticity of

즉, 커버 하우징(200)과 스노우 레버(30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것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스노우 레버(300)는 커버 하우징(200)과 일체로 연결되는 일 단부를 기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게 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ver housing 200 and the snow lever 300 may be provided mold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now lever 300 is const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starting from one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housing 200. It may have elasticity so that it can flow as much as the angle.

참고로, 스노우 레버(300)는 POM(Poly Oxy Methylene : 폴리옥시메틸렌), PBT(Poly Butylene terephthalate), PP(Poly Propylene), PA66, PA6 등의 재질로 성형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now lever 3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M (Poly Oxy Methylene: Polyoxymethylene),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 PP (Poly Propylene), PA66, or PA6.

스노우 레버(3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스틱부(310)와, 이 스틱부(310)의 끝단 부위에서 일정 각도로 밴딩(Bending)되는 홀딩부(320)와, 스틱부(310)의 일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스노우 레버(300)의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now lever 300 includes a stick portion 310 extending to a certain length, a holding portion 320 bent at an angle at an end of the stick portion 310, and one surface of the stick portion 310 I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trusion 330 formed by protruding at a certain height, and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is snow lev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여기서, 홀딩부(320)는 스틱부(3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 각도는 스틱부(310)에 대하여 0도~90도 범위일 수 있다.Here, the holding part 320 may be inclined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stick part 310 and may have an inclination.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in the range of 0 degrees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tick part 310 .

한편, 릴리스 레버(120)의 일 면에는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 끝단이 지지됨에 따라 릴리스 레버(120)가 원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 턱(120c)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end of the holding portion 320 of the snow lever 300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120, a locking jaw 120c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can be formed.

즉, 릴리스 레버(120)의 일 면에는 일정 높이만큼 걸림 턱(120c)이 형성되고, 이 걸림 턱(120c) 안쪽에는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가 슬라이드 되기 위한 일정 간격의 슬롯(12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롯(120a)과 걸림 턱(120c) 사이에는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 끝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지지홈(120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걸림 턱(120c)과 슬롯(120a) 및 지지홈(120b)과 상기 스노우 레버(300)의 상호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lever 120, a locking jaw 120c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side the locking jaw 120c, slots at regular intervals for sliding the holding portion 320 of the snow lever 300. (120a) may be formed, and a support groove (120b) may be formed between the slot (120a) and the locking jaw (120c) for the end of the holding portion 320 of the snow lever 300 to be seated and support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ooking jaw 120c, the slot 120a, the support groove 120b, and the snow leve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또한, 포크부(130)의 일 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170)는 포크부(130)의 회전에 따라 스노우 레버(300)의 일 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30)와 접촉됨에 따라 스노우 레버(300)를 자체 탄성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들어 올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도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rotrusion 170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rk part 130, and the protrusion 17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now lever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rk part 130.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rmed protrusion 330,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lifting the snow lever 300 by a certain height by its own elasticity, which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여기서, 포크부(130)에 형성되는 돌출부(170)는 포크부(130)의 회전에 따라 스노우 레버(300)의 돌기부(330)와 접촉하게 되는 선단 부위가 경사면부(172)로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부(172)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평면부(174)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ding portion 170 formed on the fork portion 130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172 at a tip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30 of the snow lever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rk portion 130. And, it may be formed as a plane portion 174 by a certain length from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7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100)의 구체적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에 앞서, 잠금 장치(100)를 이루는 잠금 유닛과 스트라이커(16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to 9 for a locking or unlocking process of the locking unit and the striker 160 constituting the locking device 100 prior to describing a specific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vehicle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된 후, 다시 잠금 상태가 되는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6 to 9 are pla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in which 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from a lock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and then to a locked state again.

도 6은 잠금 유닛이 스트라이커와 결합되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coupled to the striker an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도 6을 참조하면, 릴리스 레버(120)와 연동되는 디텐트(122)의 일단이 포크부(130)의 걸림부(132)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포크부(130)는 제2 힌지(138)를 기점으로 회전됨이 제한된다. 이때,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에는 스트라이커(160)가 배치되는데, 스트라이커(160)는 포크부(130)의 파울(136)에 의해 수용홈(134)에 갇힌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잠금 유닛과 스트라이커(160)의 결합에 의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는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Referring to FIG. 6 , as one end of the detent 122 interlocked with the release lever 120 is engaged in the hooking portion 132 of the fork portion 130, the fork portion 130 is a second hinge Rotation from (138) is limited. At this time, the striker 16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and the striker 160 is trapp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by the foul 136 of the fork part 130. , the tail gate or the trunk li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combination of the locking unit and the striker 160 .

이 때,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122)트는 토션 스프링(126)에 의해 제1 힌지(12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부여 받게 되고, 포크부(130) 또한 토션 스프링(140)에 의해 제2 힌지(138)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부여 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are given a force to rotate clockwise around the first hinge 124 by the torsion spring 126, and the fork part 130 also torsion spring ( 140), a force to be rotated clockwise about the second hinge 138 is given.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와 포크부(130)는 각각 토션 스프링(126,140)들에 의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부여 받게 되나, 토션 스프링(126,140)의 장력 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반대 방향으로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크부(130)는 그 걸림부(132)가 디텐트(122)에 의해 걸림된 상태이므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됨이 제한된다.The release lever 120, the detent 122, and the fork part 130 are given a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by the torsion springs 126 and 140, respectively, but a force greater than the tension of the torsion springs 126 and 140 When applied, rotation can be mad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ell.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oking part 132 of the fork part 130 is caught by the detent 122, rotation is limit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디텐트(122)에 의한 포크부(130)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결합되어 잠금된 상태에서, 접촉단부(128)는 접촉 센서(150)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s the rotation of the fork part 130 by the detent 122 is restricted, the contact end 12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150 when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locked. do.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결합되어 잠금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대하여 개방시키고자 잠금 유닛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12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함에 따라 포크부(130)가 스트라이커(160)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차체에 대하여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locking unit to open the tailgate or trunk lid to the vehicle body in a state where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coupled to and locked from the vehicle body, FIGS. 7 and 8 show As described above, as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by a certain angle, the fork 130 is disengaged from the striker 160, so that the tailgate or trunk lid can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도 7은 잠금 유닛이 스트라이커와 결합이 해제되는 중간 단계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잠금 유닛이 스트라이커와 완전히 결합 해제되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llustrates an intermediate stag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disengaged from the striker, and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completely disengaged from the striker an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릴리스 레버(120)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디텐트(122) 또한 릴리스 레버(12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됨에 따라 포크부(130)의 걸림부(132)와 걸림이 해제된다.When the release lever 1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detent 122 also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lease lever 120, so that the fork part The locking portion 132 of 130 and the locking are released.

이에 따라 포크부(130)는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ork unit 130 can be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와 포크부(130)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명함은,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한 것일 뿐, 이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vehicle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release lever 120, the detent 122, and the fork 130 are described a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t is only express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direction of viewing the drawing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so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rection.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릴리스 레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접촉단부(128)는 접촉 센서(150)와 단락되며, 접촉 센서(150)는 이 신호를 승강장치(미도시됨)에 인가함으로써, 승강장치로 하여금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로부터 일정 부분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When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the contact end 128 form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120 is shorted with the contact sensor 150, The contact sensor 150 applies this signal to an elevating device (not shown) to cause the elevating device to partially lift the tailgate or trunk lid from the vehicle body.

이와 같이 승강장치에 의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대하여 들어 올려짐에 따라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60)는 회전 제한이 풀린 포크부(130)의 파울(136)을 밀면서 포크부(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As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lifte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by the lifting device, the striker 160 fixed to the vehicle body pushes the pawl 136 of the fork unit 130 whose rotation is released, and lifts the fork unit 130. As shown in FIGS. 7 and 8 by rotat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can com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60)가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 잠금 유닛과 스트라이커(160)의 결합은 해제됨에 따라 차체에 대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다른 사람은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차체로부터 회전시켜서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striker 160 comes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the locking unit and the striker 160 are disengaged, so that the tailgate or trunk lid of the vehicle body is unlocked, and in this state, other people including the driver can completely open the tailgate or trunk lid by rotating it from the vehicle body.

도 8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160)가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 포크부(130)는 토션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 또한 토션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122)는 포크부(130)의 걸림부(132)에 다시 걸림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striker 160 comes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the fork part 130 rotates clockwise aga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40, As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are also rotated clockwise aga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26, as shown in FIG. 9, the detent 122 catches the fork 130 The part 132 is hooked again.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용 잠금 장치(100)의 작동 관계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 특별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locking device 100 can be made smoothly when a special load is not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그러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 많은 눈이 쌓이거나 또는 일정 하중 이상의 짐이 올려진 상태에서는 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in a state where a lot of snow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or a load exceeding a certain load is placed.

예를 들어,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단부(128)가 접촉 센서(150)와 단락됨으로써, 승강장치가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차체로부터 일정 부분 들어 올리게 될 때,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일정 하중의 눈이 쌓이거나 짐이 올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중에 의하여 승강 장치가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들어 올리지 못하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rotate counterclockwise by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the contact end 128 is short-circuited with the contact sensor 150, so that the lifting device is operated in the tailgate or trunk. When a certain portion of the lid is lifted from the vehicle body, in a state where a certain load of snow is accumulated or a load is placed on the tailgate or trunk lid, the lifting device may not be able to lift the tailgate or trunk lid due to the load. .

따라서, 스트라이커(160)는 포크부(130)의 파울(136)을 밀면서 수용홈(134) 바깥 쪽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와 포크부(130)가 각각 토션 스프링(126,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스트라이커(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에 갇힌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체에 대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striker 160 may not com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while pushing the foul 136 of the fork part 130, and in this state,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and the fork part When 1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orsion springs 126 and 140, the striker 160 remains trapp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13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unlocking of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from the vehicle body is not performed.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다른 사람이 직접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어 올림과 동시에 리모콘트롤러 또는 자동차키를 이용하여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When such a case occurs, as pointed out in the prior art, the driver or another person directly holds the tailgate or trunk with his hand and lifts it upward and opens it using the remote controller or car key at the same time. discomfort may result.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 일정 하중의 눈이 쌓이거나 짐이 놓여진 경우에도, 운전자 또는 다른 사람이 리모콘트롤러 또는 자동차키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위로 들어 올리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불식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를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certain load of snow or luggag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in a state where the driver or other person unlocks the locking device 100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a car key, the tail By maintaining the open state until the gate or the trunk lid is lifted upward, the above problem can be eliminated. The operation relationship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cked state, FIG. 11 i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housing is excluded in FIG. 10,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0 .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었으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하중에 의해 개방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ehicle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but the tailgate or the trunk lid is not opened by a load, and FIG. 14 is a plan view in which the cover housing is excluded from FIG. 13 It is a plan view of the state, and FIG. 15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커버 하우징이 배제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C-C선 단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ehicl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an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fully opened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ver housing in FIG. 16 It is a plan view of an excluded state,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에 스트라이커(160)가 배치된 상태에서, 포크부(130)의 걸림부(132)는 디텐트(122)에 의해 걸림되어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스트라이커(160)는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에 갇힌 상태가 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in a state where the striker 16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the hooking part 132 of the fork part 130 is detent 122 As rotation is restricted by being caught by the striker 160, the striker 160 is trapp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따라서, 잠금 유닛과 스트라이커(160)가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는 차체에 결합되어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locking unit and the striker 160 are couple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이 때, 잠금 유닛의 커버 하우징(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스노우 레버(300)는, 그 홀딩부(32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1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슬롯(120a)을 벗어나서 릴리스 레버(120)와 접촉되지 않는 외측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snow lever 300, which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over housing 200 of the locking unit, has a holding portion 3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lever 120 as shown in FIG. It is disposed outside the slot 120a and not in contact with the release lever 120.

이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대하여 개방시키고자 잠금 유닛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12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함에 따라 포크부(130)의 회전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locking unit to open the tailgate or trunk li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by a certain angle.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unit 130 may be released.

즉,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디텐트(122)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디텐트(122)의 단부는 포크부(130)의 걸림부(132)와 이격됨으로써, 포크부(130)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as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the detent 122 interlocks and rotates, so that the end of the detent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hooking part 132 of the fork part 130, so that the fork part 130 ) becomes possible to rotate.

이때,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 일정 하중 이상의 눈이 쌓이거나 짐이 올려진 상태이면, 접촉단부(128)와 접촉 센서(150)의 단락에 따른 신호에 의해 승강장치가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들어 올릴 수 없으므로, 스트라이커(160)는 포크부(130)의 파울(136)을 밀면서 회전시키지 못하여 수용홈(134) 바깥 쪽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16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130)의 수용홈(134)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if snow is accumulated over a certain load or a load is placed on the top of the tail gate or trunk lid, the lift device lifts the tail gate or trunk lid by a signal according to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tact end 128 and the contact sensor 150. Since it cannot be raised, the striker 160 cannot rotate while pushing the foul 136 of the fork part 130, so that it cannot com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and thus the striker 160,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as it is.

그런데, 릴리스 레버(120)가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텐트(122)가 포크부(130)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릴리스 레버(120)는 스노우 레버(300)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역 회전되지 않고 포크부(130)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However,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counterclockwise by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so that the detent 122 releases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130, the release lever 120 operates on the snow lever 300. ) As it is supported in a rotated state by the torsion spring 126, it does not rotate back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26, and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part 130 is released is maintained as it is.

즉, 릴리스 레버(120)가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는 릴리스 레버(120)의 걸림턱(120c)을 타고 넘으면서 걸림 턱(120c) 안쪽의 슬롯(120a)에 위치하게 되며,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가 걸림 턱(120c)을 완전히 타고 넘어서 슬롯(120a)에 위치하게 되면,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320)의 끝단이 걸림 턱(120c)과 슬롯(120a) 사이의 지지홈(120b)에 지지됨으로써, 릴리스 레버(1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되지 않고 포크부(130)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release lever 1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the holding portion 320 of the snow lever 300 rides over the locking jaw 120c of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locking jaw. (120c) is located in the slot 120a on the inside, and when the holding part 320 of the snow lever 300 completely rides over the hooking jaw 120c and is located in the slot 120a, in FIGS. 13 and 15 As shown, the end of the holding part 320 is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120b between the locking jaw 120c and the slot 120a, so that the release lever 120 is a torsion spring 126 as shown in FIG.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part 130 is released without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다른 사람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 쪽에 가해지는 하중 보다 더 큰 힘으로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들어 올리게 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60)가 파울(136)을 밀면서 포크부(130)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포크부(130)의 수용홈(134) 바깥 쪽으로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driver or another person lifts the tailgate or trunk lid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striker 160 As the fork part 130 is rotated while pushing the fowl 136, it can com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34 of the fork part 130.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160)가 파울(136)을 밀면서 포크부(130)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포크부(13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170) 또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돌출부(170)가 스노우 레버(300)의 스틱부(310)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330)와 접촉하게 되면, 스노우 레버(300)가 자체 탄성에 의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살짝 들어 올려지게 된다.In this way, as the striker 160 rotates the fork part 130 while pushing the foul 136, the protrusion 17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rk part 130 also rotates in conjunction, and the protrusion 170 Whe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3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ick portion 310 of the lever 300, the snow lever 300 is slightly lifted up as shown in FIG. 18 by its own elasticit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노우 레버(300)는 커버 하우징(200) 일측에 대하여 그 일 단부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됨으로써, 포크부(130)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170)가 돌기부(330)와 맞닿아 접촉하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now lever 300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as one end of the snow lever 30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200, so that the protrusion 170 is 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rk 130.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330, it is lifted up by its own elasticity.

이와 같이, 포크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70)가 스노우 레버(300)의 돌기부(330)와 접촉하게 될 때, 돌출부(170)의 경사면부(172)가 돌기부(330)와 먼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스노우 레버(300)는 서서히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protruding part 1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art 330 of the snow lever 300 as the fork part 130 rotates, the inclined surface part 172 of the protruding part 170 and the protruding part 330 first As they come into contact, the snow lever 300 can be lifted slowly.

그리고, 스노우 레버(300)의 돌기부(330)가 돌출부(170)의 평면부와 접촉하게 되면,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 끝단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120)에 형성된 걸림 턱(120c) 상단 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스노우 레버(300)가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키게 됨으로써, 릴리스 레버(120) 및 디텐트(122)는 토션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역 회전하게 될 수 있다.And, when the protrusion 330 of the snow lever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protrusion 170, the end of the holding portion 320 of the snow lever 300 is the release lever 120 as shown in FIG. It can be lif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top of the locking jaw 120c formed on, and accordingly, the snow lever 300 releases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hereby releasing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detent 122 ) may reverse rotate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26.

그리고, 포크부(130) 또한 토션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역 회전하게 됨에 따라, 디텐트(122)는 포크부(130)의 걸림부(132)에 다시 걸림된 상태가 됨으로써,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13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이때 스노우 레버(300)의 홀딩부(3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레버(1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슬롯(120a)을 벗어나서 릴리스 레버(120)와 접촉되지 않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ork part 130 is also reversely rotat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40, the detent 122 is caught again by the hooking part 132 of the fork part 130. By this,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rotation of the fork part 130 is limited, and at this time, the holding part 320 of the snow lever 300 is of the release lever 120, as shown in FIG. 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lot 120a formed on one surface and not in contact with the release lever 12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잠금 장치(100)는,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 상부에 일정 하중의 눈이 쌓이거나 짐이 올려진 경우, 하중에 의해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 부분 들려지지 않더라도 다시 잠금 상태가 되지 않고 잠금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load of snow is accumulated or a load is placed on the top of the tailgate or trunk lid, the tailgate or trunk lid is locked by the load. Even if a certain part is not lifted in the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unlocked state without being locked again, so that the tailgate or trunk lid can be opened more easil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잠금 장치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릴리스 레버 120a : 슬롯
120b : 지지홈 120c : 걸림 턱
122 : 디텐트 130 : 포크부
132 : 걸림부 134 : 수용홈
136 : 파울(Pawl) 160 : 스트라이커
170 : 돌출부 172 : 경사부
174 : 평면부 200 : 커버 하우징
300 : 스노우 레버 310 : 스틱부
320 : 홀딩부 330 : 돌기부
100: locking device 110: base plate
120: release lever 120a: slot
120b: support groove 120c: locking jaw
122: detent 130: fork part
132: hanging part 134: receiving groove
136: Foul 160: Striker
170: protrusion 172: inclined portion
174: flat part 200: cover housing
300: snow lever 310: stick part
320: holding part 330: protrusion part

Claims (11)

입력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릴리스 레버;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과 걸림됨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며, 스트라이커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포크부;
상기 릴리스 레버 및 상기 포크부를 수용하는 커버 하우징; 및
상기 릴리스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포크부의 회전 제한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릴리스 레버가 원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제한하고, 탄성을 갖는 스노우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노우 레버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틱부;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릴리스 레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딩부; 및
상기 스틱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의 일측에는,
상기 포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노우 레버를 일정 높이만큼 들어 올리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 release lever rotatable by a certain angle by an input signal;
a fork portion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being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striker;
a cover housing accommodating the release lever and the fork;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rotates to release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fork part, the release lever limits restoration to its original state, and includes a snow lever having elasticity,
The snow lever,
a stick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a hold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tick part and releasably coupled to the release lever; and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ick portion,
On one side of the fork part,
A vehicle locking device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s the fork rotates to lift the snow lever by a predetermined h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경사를 가지고 있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portion has an inclination, the vehicle lock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가 지지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a locking jaw is formed to support the holding portion of the snow lev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가 안착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5,
On the other side of the release lever,
A vehicle lock device in which a slot is formed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of the snow lever is sea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가 잠금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 턱을 타고 넘은 후, 상기 슬롯에 안착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release lever restricts the return to the locked position,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is seated in the slot after riding over the locking jaw by elasticit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돌기부와 접촉되는 선단 부위가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평면부로 형성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The vehicle lock device, wherein the front end portion contacting the protrusion of the snow lever is formed as an inclined portion, and is formed as a flat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cline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돌기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 끝단은 상기 릴리스 레버의 일측에 상기 홀딩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걸림 턱과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높이만큼 들어 올려지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snow lever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tation of the fork,
The holding portion end of the snow lever is lifted to a height at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not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formed to support the hold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 레버의 상기 홀딩부 끝단이 상기 걸림 턱과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릴리스 레버는 잠금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포크부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차량용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end of the holding part of the snow lever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step,
The release lever is restored to a locked posi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fork part.
KR1020150187307A 2015-12-28 2015-12-28 Locking device for vehicle Active KR102514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07A KR102514365B1 (en) 2015-12-28 2015-12-28 Lock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07A KR102514365B1 (en) 2015-12-28 2015-12-28 Locking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30A KR20170077430A (en) 2017-07-06
KR102514365B1 true KR102514365B1 (en) 2023-03-27

Family

ID=5935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07A Active KR102514365B1 (en) 2015-12-28 2015-12-28 Locking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520B (en) * 2017-10-23 2021-01-1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Rear-end collision protection tail-gate and have its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88B1 (en) * 2011-09-07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Unlock structure of tail gate ratchet gear for vehicle
DE102012017677A1 (en) 2012-09-07 2014-03-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30A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310B2 (en) Hold open lever integrated to latch housing
KR102804909B1 (en) Electric door latch for vehicle
KR102287273B1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tailgate
CN108625693B (en) Vehicle closing latch assembly with anti-slap latch mechanism
CN102084076B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US10519700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662518B1 (en) Latch struture of tail-gate
US11180937B2 (en)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US20160024816A1 (en) Vehicle console security system with electrically lockable cover
KR20020015468A (en) tailgate fold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KR102630466B1 (en) vehicle latch
CN108688582A (en) Load carrying floor latch and latch assembly and vehicle with latch assembly
CN113815509A (en) Vehicle-mounted accommodating device
KR20210055827A (en) Half sliding/swing composite door of the vehicle
KR102514365B1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CN107150724B (en) Pop-up structure of back door
CN201777179U (en) Storage system capable of being mounted on truck hopper
US20100219673A1 (en) Loading flap for a vehicle seat
KR20170081483A (en) Locking apparatus for cargo gate of truck
CN204552363U (en) Latch mechanism
KR100969034B1 (en) Car Door Inside Handle Unit
KR100579641B1 (en) Center Passer Tray Lock
KR100551779B1 (en) Table structure of rear seatback for car
KR100535008B1 (en) Sliding door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in commercial vehicle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