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090B1 -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 Google Patents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1090B1 KR102511090B1 KR1020210120287A KR20210120287A KR102511090B1 KR 102511090 B1 KR102511090 B1 KR 102511090B1 KR 1020210120287 A KR1020210120287 A KR 1020210120287A KR 20210120287 A KR20210120287 A KR 20210120287A KR 102511090 B1 KR102511090 B1 KR 102511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lectric vehicle
- adjusting member
- horizontal
- height adju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행을 위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바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상고를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가 마련되는 전기차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frame forming a floor;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on top of a pair of wheel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for driving;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may be provided in which a height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frame to increase the ground clear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상고가 높아져서 안정성이 향상된 전기차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due to an increased ground clearance.
최근에 각광받는 전기차는 기존의 화석연료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샤시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기차에는 고유의 특성에 맞는 독자적인 샤시 플랫폼을 새롭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Electric vehicles, which have recently been in the limelight, often share the chassis of vehicles that run on fossil fue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newly design an independent chassis platform suitabl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vehicles.
전기차에 최적화된 샤시 설계는 구동부의 연결 구조, 바퀴의 연결 구조, 배터리의 연결 구조 등을 감안하여 경량화와 무게 중심 배분에 있어서, 화석 연료 자동차와 다른 설계를 필요로 한다.Chassis design optimized for electric vehicles requires a different design from fossil fuel vehicles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taking into accoun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rive uni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heels,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이러한 전기차중 특히 소형 전기차인 경우, 지면으로부터 차체의 하부까지의 높이인 지상고도 낮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행시 과속 방지턱 또는 도로 여건에 따라 차체의 저면에 부딪쳐서 손상받을 가능성이 많아질 수 있다.Among these electric vehicles, especially small electric vehicles, since they have a structure with a low ground clearance, which is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by hitting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depending on speed bumps or road conditions during driving.
또한, 오프로드를 달릴때에는 더욱 더 차체의 저면이 손상받기 쉽다. In addition, when running off-road,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is more likely to be damaged.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부재를 통해 전기차의 지상고를 높여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전기차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capable of improving stability by increasing the ground height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height adjusting member.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바닥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행을 위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바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상고를 높이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가 마련되는 전기차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to form a floor;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on top of a pair of wheel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for driving;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may be provided in which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increasing the ground clearance is provided under the second fr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을 이루고 바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의 하부에 높이 조절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기차 플랫폼의 차체 프레임을 이루는 제1 프레임과 지면과의 높이인 지상고를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주행 도중에 과속 방지턱 또는 도로상의 각종 장애물과의 충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vehicle body frame and provi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rame provided between the wheels, thereby increasing the ground clearance, which is the height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ground, which constitutes the body frame of the electric vehicle platform, , Accordingly, collisions with speed bumps or various obstacles on the roa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driving.
또한, 전기차의 지상고를 높이도록 마련되는 높이 조절 부재는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측면을 이루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이루어지질 수 있고, 차체 프레임을 이루는 제2 프레임의 수평 프레임의 하부와 바퀴의 내측에 마련되는 서스펜션부의 스프링 사이에 마련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to increase the ground clearance of the electric vehicle has first and second surfac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and form a side surface,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t may consist of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formed on, and may be provided and suppor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econd frame constituting the body frame and the spring of the suspension part provided inside the wheel.
특히, 서스펜션부의 스프링 상단에는 패드를 마련하고, 수평 프레임과의 사이에 높이 조절 부재를 대면되게 하여 지지하므로, 보다 안정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충격 흡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a pa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pring of the suspension unit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faces the horizontal frame for support, a more stable support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shock absorption function by the spr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차 플랫폼의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고를 높이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부재에 의해 지상고가 높아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installed on a frame of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increasing ground clea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clearance is increased by the height adjus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차 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차 플랫폼(100)은, 바닥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110), 제1 프레임(110)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행을 위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바퀴(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installed on an electric vehicl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제2 프레임(120)은 수평 상태의 수평 프레임(121), 수평 프레임(121)의 단부로부터 하향 배치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측면 프레임(122)은 하부 경사진 경사면(122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22a)으로 인해 측면 프레임(122)의 상부는 횡방향 길이가 길고 하부로 갈 수록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측면 프레임(122)은 보다 큰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The
전기차 플랫폼(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쌍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퀴(200)의 사이에는 크로스 멤버(210), 서스펜션부(220), 스테빌라이저(230), 아암(2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220)는 쇽업소버 조립체(221), 범퍼(222), 스트럿(223), 스프링(224), 스프링(224)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패드(225) 등이 갖추어질 수 있다. A
여기서, 본 발명은 제2 프레임(120)의 하부에 지상고(H)를 높일 수 있는 높이조절 부재(300)가 갖추어질 수 있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높이 조절 부재(300)는 중공형을 이루고 단면상 4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측면을 이루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면(310) 및 제2 면(312), 제1 면(310)과 제2 면(312)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면(320) 및 제4 면(3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높이 조절 부재(300)의 일측에는 절개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면(320) 및 제4 면(322)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구조의 절개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높이 조절 부재(300)는 제2 프레임(120)의 하부이고, 서스펜션부(220)의 스프링(224) 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높이 조절 부재(300)는 제2 프레임(120)의 수평 프레임(121)과 제3 면(320)이 대면되고, 높이 조절 부재(300)의 제4 면(322)은 서스펜션부(220)의 스프링(224) 위에 마련된 패드(225)에 대면되어 지지될 수 있다. In the
높이 조절 부재(300)의 설치시,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볼팅(볼트 및 너트 결합)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When installing the
따라서, 높이 조절 부재(300)의 높이를 형성하는 제1 면(310) 및 제2 면(312)에 의해 차체 프레임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높아질 수 있다. Therefore, the height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부재(300)는 평면을 이루는 제4 면(322)을 통해 스프링(224)이 지지하는 패드(225)와 대면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높이 조절 부재(300)는 내부가 빈 공간부를 가지는 중공형 구조로서, 일측에 절개부(300)가 형성되어서 제2 프레임(120)에 설치시, 제1 프레임(110)으로부터 경사면을 가지는 제2 프레임(120)의 측면 프레임(122)과 간섭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The
높이 조절 부재(300)는 패드(225)에 마련된 구조이므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패드(225) 아래의 스프링(224)에 의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져서 설치되더라도 전기차 주행시에 진동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Since the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부재(300)의 설치에 의해 지상고(H)가 높아지게 되므로, 전기차 플랫폼(100)의 운행시, 도로상의 과속 방지턱 등으로부터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ound clearance H is increa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다시 말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지상고(H)는 지면으로부터 차체 프레임까지의 높이이므로, 차체 프레임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0)의 밑면까지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4 , since the ground clearance H is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body frame, the height to the bottom of the
또한, 전기차 플랫폼(100)의 차체 프레임의 상부에는 배터리, 모터 등 여러가지 부품이 장착되는데,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지상고(H)가 낮은 경우, 전기차 플랫폼(100)의 주행 도중에 지면에 있는 각종 장애물 또는 과속 방지턱 등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지상고(H)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차체 프레임이 설계되어 제작되므로, 주행시에 지면에 있는 각종 장애물 또는 과속 방지턱 등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parts such as batteries and motors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rame of the
100... 전기차 플랫폼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21... 수평 프레임
122... 측면 프레임
200... 바퀴
210... 크로스 멤버 220... 서스펜션부
221... 쇽업소버 조립체 222... 범퍼
223... 스트럿 224... 스프링
225... 패드 230... 스테빌라이저
240... 아암
300... 높이 조절 부재 310... 제1 면
312... 제2 면 320... 제3 면
322... 제4 면 330... 절개부100...
120...
122... side frame
200... wheels
210... cross member 220... suspension part
221...
223
225
240... arm
300...
312...
322...
Claims (5)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행을 위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바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상고를 높이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수평 상태의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 하부로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주행시 충격을 흡수해주는 서스펜션부가 마련되고,
상기 서스펜션부는 상기 바퀴의 내측에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마련되는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측면을 이루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기 수평 프레임에 대면되며,
상기 제4 면은 상기 패드에 대면되어 지지되는 전기차 플랫폼.
A first frame forming a floor;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on top of a pair of wheel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for driving; includ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increasing the ground clearanc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rame,
The second frame,
horizontal frame in a horizontal state,
Including a side frame coupled to the lower orthogo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 suspension unit that absorbs shock during driving is provided,
The suspension unit includes a spring supported inside the wheel and a pad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spring,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t consists of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and form a side surface, and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formed above and below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he third surface faces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ide frame,
The fourth surface is supported by facing the pad.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행을 위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바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상고를 높이기 위한 높이 조절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수평 상태의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 하부로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쪽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중공형 구조를 가지고,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간섭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전기차 플랫폼. A first frame forming a floor;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provided on top of a pair of wheel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for driving; includ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increasing the ground clearanc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rame,
The second frame,
horizontal frame in a horizontal state,
Including a side frame coupled to the lower orthogo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he side frame ha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has a hollow structure, and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having a cutout formed on one side to be suppor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clined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287A KR102511090B1 (en) | 2021-09-09 | 2021-09-09 |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287A KR102511090B1 (en) | 2021-09-09 | 2021-09-09 |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1090B1 true KR102511090B1 (en) | 2023-03-16 |
Family
ID=8598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0287A Active KR102511090B1 (en) | 2021-09-09 | 2021-09-09 |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109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884A (en) * | 2001-04-18 | 2002-10-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automotive height lift up device |
JP2007008369A (en) * | 2005-07-01 | 2007-01-18 | Toyota Motor Corp | Lower body structure |
JP2016112901A (en) * | 2014-12-10 | 2016-06-23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
JP2020090214A (en) * | 2018-12-06 | 2020-06-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Car body structure |
-
2021
- 2021-09-09 KR KR1020210120287A patent/KR1025110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884A (en) * | 2001-04-18 | 2002-10-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automotive height lift up device |
JP2007008369A (en) * | 2005-07-01 | 2007-01-18 | Toyota Motor Corp | Lower body structure |
JP2016112901A (en) * | 2014-12-10 | 2016-06-23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
JP2020090214A (en) * | 2018-12-06 | 2020-06-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Car body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5069B1 (en) | Vehicle suspension device | |
CN205573522U (en) | Horizontal shock attenuation arm independent suspension of multi -link | |
KR101315489B1 (en) |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 |
US6676160B2 (en) |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 |
CN102923202B (en) | Suspension device for heavy-duty truck cab | |
CN106167068B (en) | Independent suspension mechanism with rear wheel capable of vertically jumping for motor vehicle | |
CN114701571A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unmanned drive-by-wire chassis | |
KR102511090B1 (en) |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with Improved Stability | |
CN111791909B (en) | Bogie and straddle-type monorail vehicle having the same | |
CN212289852U (en) | Bogie and straddle type monorail vehicle with same | |
CN111775644A (en) | Thrust rod assembly, balanced suspension and vehicle | |
KR20120007608U (en) | brakets for shock absorber | |
CN212447010U (en) | Thrust rod assembly, balanced suspension and vehicle | |
KR20110075830A (en) | Rear suspension | |
KR101154690B1 (en) | Trailing arm bush of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system | |
KR100901578B1 (en) |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 |
CN216139770U (en) | Vehicle chassis and road sweeper | |
CN217863599U (en) | Dependent suspension and vehicle | |
CN212890587U (en) | Torsion beam mounting assembly and vehicle | |
CN215751783U (en) | Rear suspension of vehicle and vehicle that has it | |
KR100439965B1 (en) | Rear Suspension Mounting parts reinforcement structure | |
CN219947815U (en) | Axle structure | |
WO2018066608A1 (en) | Trunnion bracket and trunnion-type suspension | |
JPH0924716A (en) | Rear suspension | |
CN217260289U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unmanned drive-by-wire chas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