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92B1 -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0592B1 KR102510592B1 KR1020160086433A KR20160086433A KR102510592B1 KR 102510592 B1 KR102510592 B1 KR 102510592B1 KR 1020160086433 A KR1020160086433 A KR 1020160086433A KR 20160086433 A KR20160086433 A KR 20160086433A KR 102510592 B1 KR102510592 B1 KR 102510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control
- state
- distance information
- dr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4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방향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2)
- 조향휠의 회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 차선과의 거리정보,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 및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 상기 차선과의 거리정보,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 및 상기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제1상태인지 또는 상기 운전자의 주의력이 상기 제1상태보다 낮은 제2상태인지를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조향휠의 회전정보에 기초하여 제동장치를 편제어하는 제1제어 및 조향을 제어하는 제2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제1상태로 추정되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2상태로 추정되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파지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상태로 추정된 상황에서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파지정보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여 상기 제1상태로 추정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연된 후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차선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정보변화량 미만이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차선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기 임계거리정보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차선과의 이격거리정보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이격거리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차선과의 이격거리정보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상기 임계이격거리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자차량의 충돌위험이 존재하는 상태인 제3상태인지를 더 추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상태로 추정되면 상기 조향휠의 회전정보보다 더 큰 회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 및 상기 제2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파지정보 이상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정보변화량 미만이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이상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기 임계거리정보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미만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기 임계거리정보변화량 미만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며,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미만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기 임계거리정보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제3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파지정보 이상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이격거리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이상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상기 임계이격거리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미만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상기 임계이격거리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며,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가 상기 임계파지정보 미만이고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이격거리정보가 상기 임계이격거리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3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가 미리 설정된 전방주시 안면인식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1상태로 추정하고, 상기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전방주시 안면인식정보에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제2상태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자차량의 속도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량의 속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더 증가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더 감소시키며, 상기 자차량의 속도정보가 상기 임계속도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더 감소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가속페달의 눌림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의 눌림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눌림정보 이상이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더 증가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더 감소시키며, 상기 가속페달의 눌림정보가 상기 임계눌림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더 감소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제어장치. - 조향휠의 회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 차선과의 거리정보,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 및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조향휠의 파지정보, 상기 차선과의 거리정보, 상기 도로구조물과의 거리정보 및 상기 운전자의 안면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제1상태인지 또는 상기 운전자의 주의력이 상기 제1상태보다 낮은 제2상태인지를 추정하는 추정단계; 및
상기 조향휠의 회전정보에 기초하여 제동장치를 편제어하는 제1제어 및 조향을 제어하는 제2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제1상태로 추정되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2상태로 추정되면 상기 제1제어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제어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횡방향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433A KR102510592B1 (ko) | 2016-07-07 | 2016-07-07 |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433A KR102510592B1 (ko) | 2016-07-07 | 2016-07-07 |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003A KR20180006003A (ko) | 2018-01-17 |
KR102510592B1 true KR102510592B1 (ko) | 2023-03-16 |
Family
ID=6102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6433A Active KR102510592B1 (ko) | 2016-07-07 | 2016-07-07 |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05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83898B (en) * | 2019-04-17 | 2021-09-08 | Jaguar Land Rover Ltd | Control system for driver monitoring and steering contro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5303A (ja) | 2002-11-06 | 2004-06-03 | Toyota Motor Corp | 車輌用制動力制御装置 |
JP2008285013A (ja) | 2007-05-17 | 2008-11-27 | Toyota Motor Corp | 車線維持支援装置 |
JP2011057037A (ja) | 2009-09-08 | 2011-03-24 | Fuji Heavy Ind Ltd | 車両の操舵支援制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1330B1 (ko) * | 2010-12-07 | 2016-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곡선로 이탈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KR20140092451A (ko) * | 2012-12-28 | 2014-07-24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차선이탈 경보장치 및 방법 |
-
2016
- 2016-07-07 KR KR1020160086433A patent/KR1025105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5303A (ja) | 2002-11-06 | 2004-06-03 | Toyota Motor Corp | 車輌用制動力制御装置 |
JP2008285013A (ja) | 2007-05-17 | 2008-11-27 | Toyota Motor Corp | 車線維持支援装置 |
JP2011057037A (ja) | 2009-09-08 | 2011-03-24 | Fuji Heavy Ind Ltd | 車両の操舵支援制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003A (ko) | 201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8186B2 (en) | Vehicle derailing prevention device | |
JP6177666B2 (ja) | 移動体の駆動制御装置 | |
KR101616653B1 (ko) | 차량의 운전 지원 시스템 | |
CN103459225B (zh) | 驾驶支援系统 | |
WO2016045365A1 (zh) | 一种含有驾驶员模型的智能驾驶系统 | |
JP3896993B2 (ja) |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 |
KR102183049B1 (ko) | Lkas와 연동하는 적응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정속 제어 방법 | |
JP6137979B2 (ja) | 車線逸脱防止支援装置 | |
US10994731B2 (en) | Steering assistance device and steering assistance method | |
JP6981196B2 (ja) | 車両の走行支援装置 | |
JP2009120116A (ja) | 車両衝突回避支援装置 | |
JP5853552B2 (ja) | 車両用走行制御装置 | |
US20140379244A1 (en) | Avoidance maneuver assistant for motor vehicles | |
KR102463722B1 (ko) | 차량의 속도 설정 장치 및 방법 | |
JP2017117192A (ja) | 運転支援装置 | |
KR102510592B1 (ko) | 횡방향제어장치 및 횡방향제어방법 | |
JP2020163966A (ja) | 車両制御装置 | |
JP2008024107A (ja) |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 |
WO2024069709A1 (ja) | 運転支援装置、車両、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運転支援方法 | |
JP2014159249A (ja) | 車両の運転支援装置 | |
JP4770859B2 (ja) | 車両逸脱防止装置 | |
JP6623082B2 (ja) | 車両制御装置 | |
KR101486230B1 (ko) | 차량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자세 제어 방법 | |
KR101364391B1 (ko) | 주차 보조 센서를 이용한 조향 보조 주행 방법 및 시스템 | |
JP2020006891A (ja) | 運転支援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4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