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서 말하는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하의: 하반신에 착용하는 의복이며, 예를 들면 스커트 및 슬랙스, 데님 바지, 치노 팬츠, 카고 팬츠, 반바지 등의 바지가 있다.
허리 둘레 부분: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척추의 하부로부터 골반까지의 부분의 체표면 둘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닿는 하의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이 허리 둘레 부분은 벨트 루프, 옆솔기 포켓, 뒤 포켓, 전후 파스너를 포함하는 웨스트 부분, 및 바지의 밑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배면 부분: 착용자의 배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닿는 하의의 일부.
통형상부: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 배면 부분에 있는 통형상의 부분. 하의 본체의 배면 부분의 전방부에 있다. 반드시 단면이 원인 필요는 없고, 단면이 중공 또는 중공이 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찌그러져 있어도 좋고, 접혀서 거의 면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통형상부의 축 방향은 통형상부의 길이 방향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부: 하의 베이스생지와, 그 생지와는 상이한 면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부: 하의 베이스생지와는 상이한 면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제 1 실시형태의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발명.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 통형상부는 그 상부에서 하의와 결합한다. 결합하고 있는 선과 통형상부가 가장 아래가 되는 선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부분 중 착용자로부터 먼 부분.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통형상부의 후방 부분(15')」. 이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 통형상부는 그 상부에서 하의와 결합한다. 결합하고 있는 선과 통형상부가 가장 아래가 되는 선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 그 부분 중 착용자에 가까운 부분.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6)」.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15)」. 이하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전방: 하의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앞의 방향(도 12에서는 부호 19).
후방: 하의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뒤의 방향(도 12에서는 부호 20).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개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예가 되는 하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이며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의(1)는 그 주위에 허리 둘레부(2)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하의(1)가 갖는 허리 둘레부(2)는 그 배면 부분(18)에 통형상부(3)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는 그 축 방향이 허리 둘레부의 허리 둘레 방향(4)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 통형상부(3)의 내부에는 요부 보호 벨트(9)를 통형상부(3) 중에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A-A' 단면도이다. 도 1의 통형상부(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 둘레부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면상물은 하의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의 생지(5)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은 면상물이 사용되어 있다. 그 결과, 하의 베이스생지와 그 생지와는 상이한 면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면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의 상단은 하의 생지(5)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록킹부(7)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의 형태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의 상단이 허리 둘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발끝 등이 면상물과 하의 생지(5) 사이에서 걸려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상물의 상단보다 조금 아래 부분(면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상방에 면상물의 상단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도 3에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의 하단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단속되어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와 록킹부(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면상물의 하단부를 하의 베이스생지의 내면을 따르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요부 벨트를 통형상부 내부에 통과시켰을 때의 수습이 좋다. 또한, 면상물의 하단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면상물이 하의의 내측에서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하의를 입은 채로도 스무드하게 요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상물의 하단보다 조금 위의 부분(면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하방에 포백의 하단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도 3과 같은 단면을 갖는 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는 록킹부(7) 및 록킹부(8)는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포백(면상물)의 상방부 및 하방부는 각각 허리 둘레 방향으로 단속되어 각각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은 단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연결은 통형상체를 구성하고 있는 곳의 면상물의 상단 및 하단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단속된 록킹부로서는 봉제나 접착제나 융착, 면 파스너나 버튼에 의한 록킹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반면에, 연속된 록킹부로서는 봉제나 융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봉제는 통상의 로크 스티치 외 사람으로의 촉감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플랫심 봉제나 이봉 바늘, 삼봉 바늘 봉제 등의 체인 스티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속된 록킹부의 형태예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하의가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형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양단부의 하단에 각각 1점만 설치되는 것과 같은 록킹부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의 하의 베이스생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베이스생지란 하의를 구성하는 부재 중 통형상부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면상물 이외의 생지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하의의 외관도이다. 도 13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파선으로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실선으로 하의 베이스생지(24)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2는 도 2에 나타내는 하의의 E-E'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하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가 허리 둘레 부분에서의 배면 부분(18)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의 내부의 공간, 즉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와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6) 사이의 공간은 요부 보호 벨트 배치용 공간(21)이며, 벨트가 장착된 벨트가 부착된 하의의 상태에서는 이 요부 보호 벨트 배치용 공간(21)에는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가 수납된다.
이어서, 도 4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중 어느 하의에도 장착할 수 있는 요부 보호 벨트의 일례로서, 한쪽의 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그 요부 보호 벨트의 배면도이다. 이 요부 보호 벨트(9)는 요부 보호부(10), 이 요부 보호부(10)의 좌우에 배치된 벨트부(11), 요부 보호 벨트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된 제 1 고정용 부재(12), 요부 보호 벨트의 다른 쪽의 단부에 배치된 제 2 고정용 부재(13), 및 요부 보호부(10)의 중앙에 배치된 본(14)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요부 보호 벨트(9)의 요부 보호부(10)는 폭이 커져 있는 띠상의 것이다. 이와 같이 커져 있는 것이 본을 배치함에 있어서 적합하다. 도시한 바와 상위하여 요부 보호부가 벨트부와 동일한 폭이거나, 또한 벨트부보다 좁아도 좋다. 요부 보호부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의 폭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 폭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요부의 체결압이 협폭 부분에 집중되어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혈관 등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요부 보호부의 배치 시의 위치 결정에 있어서 요부 보호부가 골반의 상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폭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장시간의 착용 시의 무더움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가동 제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장시간의 착용이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부 보호부의 폭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점으로부터 폭은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한편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부 보호부는 벨트부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상이한 소재를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요부 보호부나 벨트부의 소재로서는 포백이나 합성 가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요부 보호 벨트를 선택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상기 소재는 포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백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나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백의 소재로서 상기 섬유를 복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요부 보호부는 척추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의 소재는 금속 및 수지 등으로 비교적 굽힘 응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형상도 스파이럴상 및 스트립상 본인 것이 예시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요부 보호부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요부 보호 벨트를 본 발명의 하의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이 요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제 1 고정용 부재와 제 2 고정용 부재를 착용자의 전방에서 접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착압을 높일 수 있다.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착압의 조정 폭을 크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제 1 고정용 부재 및 제 2 고정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요부 보호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착압을 조정하는 폭을 크게 하는 목적으로 띠상의 평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벨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이 요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제 1 고정용 부재 및 제 2 고정용 부재는 서로를 록킹시키기 위해 재료로서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면 파스너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하의 베이스생지를 손상함으로써 하의 베이스생지에 필링이 발생해버리는 것을 고려하면 숫면의 돌기부의 선단 부분이 둥그스름한 버섯형의 형태의 면 파스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부 보호 벨트에 사용하는 면 파스너의 숫면과 암면이 록킹되어 있을 때, 전단 강도는 상기 요부 보호 벨트를 착용 중에 요부 보호 벨트의 록킹부가 분리되어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4.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0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단 강도는 착탈 시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1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전단 강도를 갖는 면 파스너를 요부 보호 벨트에 사용함으로써 서로 겹치는 2개의 단부끼리가 당기는 힘이 적당한 것이 되어 요부의 착용성도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도 6은 도 1의 하의에 도 4에 나타내는 요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이며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하의 및 그것에 장착한 요부 보호 벨트의 B-B'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3)의 내부에 요부 보호 벨트(9)가 이 요부 보호 벨트(9)의 길이 방향이 통형상부(3)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요부 보호 벨트의 본이 설치된 측의 면(이하, 요부 보호 벨트의 이 면을 「요부 보호 벨트의 면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측이 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나타내는 곳의 이 통형상부(3)의 우측의 통형상부의 외부에는 요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의 좌측의 통형상부 외부에는 요부 보호 벨트의 좌측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요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요부 보호부는 통형상부에 덮여 있으며,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은 요부 보호 벨트의 면 A의 반대측의 면(이하, 요부 보호 벨트의 이 면을 요부 보호 벨트의 면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과 접하고 있다. 즉, 요부 보호 벨트의 면 B는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의 내면과 접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부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가 통형상부 후방 부분에 상당한다. 그렇게 되면 그 내면(22)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1.0이다.
또한, 도 3의 통형상부 전방 부분(6)을 구성하는 면상물의 폭 방향(이하, 방향(I)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 이하이다. 여기에서 방향(I)이란 하의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신장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기도 한다.
여기에서 면상물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범용성이 우수하다는 이유에 의해 포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직물 또는 편물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포백에 사용되는 섬유로서는 합성 섬유나 천연 섬유를 들 수 있고, 복수의 섬유가 사용되어도 좋다. 내세탁성이나 원사·편직 설계의 범용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 등의 합성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 레이온 섬유, 아크릴 섬유, 및 면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과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도 7에서는 부호 6)의 면상물의 폭 방향, 즉 방향(I)에서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 이하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포백은 경사 위사의 양쪽 또는 경사 위사 중 어느 하나의 실에 신축성이 있는 실을 사용한 직물, 직물에 비교해서 신장되기 쉬운 편물이다. 편물에 있어서는 신축성이 있는 실과 비신축성의 실의 배합률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 이하인 포백으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I) 비단이나 울 등의 천연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아크릴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에 탄성 섬유(폴리우레탄 섬유 등)를 혼용한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
(Ⅱ) 비단이나 울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아크릴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에 탄성 섬유(폴리우레탄 섬유 등)를 혼용한 섬유로 구성되는 편물.
(Ⅲ) 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한쪽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다른 쪽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섬유 길이를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합한 복합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의 적어도 한쪽에 사용한 직물.
(Ⅳ) 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한쪽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다른 쪽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섬유 길이를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합한 복합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 편물.
(V) 파워 네트.
여기에서 파워 네트란 나일론 섬유 등과 탄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섬유)로부터 생성된 눈이 세세한 네트형상의 생지를 말한다. 단위 중량 100g/㎡ 정도의 비교적 박지의 것이어도 잘 신장되고, 킥백성도 우수하며, 하의의 배면 부분에 구비하는 통형상부의 기능을 담보하면서 이 통형상부를 콤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이유에 의해 통형상체 전방 부분(6)(즉, 면상체)은 파워 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 후방 부분(도 7에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가 해당)의 내면(22)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 이상 1.0 이하이다. 또한, 이 정지 마찰 계수가 선택되는 이유는 후술과 같다. 여기에서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22)의 정지 마찰 계수를 0.2~1.0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하의 베이스생지를 직물이나 편물로 하고, 이 생지의 표면의 요철 상태나 이 생지를 구성하는 실의 종류에 의해 정지 마찰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직물에서는 표면의 돌출이 적은 평직에서는 정지 마찰 계수는 작아지고, 반대로 직물 표면에 비스듬한 이랑이 나타나는 능직이나, 비스듬한 이랑은 나타나지 않지만 일정 간격으로 조직점을 배치한 주자직에서는 정지 마찰 계수가 커진다. 또한, 생지의 표면에 파일을 형성하거나 표면을 기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정지 마찰 계수를 높인다. 편물에서는 위편이어도 경편이어도 좋고, 편지의 소밀(粗密)에 의해 정지 마찰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단, 코가 절단되어도 올풀림을 일으키기 어렵고, 그 결과 내구성이 높아진다는 관점으로부터 경편이 바람직하다. 직물 또는 편물에 사용하는 실의 형상에 의해서도 정지 마찰 계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라멘트사인 편이 방적사에 비해서 섬유 표면의 요철이 작으므로 이 실을 사용한 생지의 정지 마찰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의 소재에 의해서도 정지 마찰 계수는 조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PTFE 섬유)는 그 자체가 정지 마찰 계수가 낮고, 반대로 고무나 폴리우레탄사는 그 자체가 정지 마찰 계수가 높다. 생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이와 같은 실을 사용함으로써 생지로서의 정지 마찰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지 마찰 계수는 생지의 표면과 이면에서 상이한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양면 편조직(트리코)의 편면은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하여 경편지가 구성되고, 또 다른 쪽 면은 탄성사와 비탄성사의 병용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됨으로써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한 면에 대해서는 높은 마찰 계수가 발현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23)(즉, 상기 통형상부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지 마찰 계수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의 조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직편조직의 표면의 요철이나 실의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1.0임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수반하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에서의 슬라이딩을 억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계속해서,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를 갖는 하의에 대해서 이하 설명을 행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는 하의 베이스생지와는 상이한 면상물로 구성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하의를 정면이며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의 C-C' 종단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의(1)는 허리 둘레부(2)를 갖고 있으며, 그리고 허리 둘레부(2)의 등 부분에는 통형상부(3)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3)는 그 축 방향이 허리 둘레부의 허리 둘레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통형상부는 하의 베이스생지와는 상이한 면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15) 및 통형상부 후방 부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부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록킹부(16) 및 록킹부(17)에 의해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하의 외관도이다. 도 14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파선으로 통형상부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실선으로 하의 베이스생지(24)가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인 도 8에 나타내는 하의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요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이며 또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요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도 10에 나타내는 하의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3)의 내부에 요부 보호 벨트(9)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 요부 보호 벨트(9)의 길이 방향이 통형상부(3)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또한 요부 보호 벨트의 면 A가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측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형상부(3)의 우측의 요부 보호 벨트의 우측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이 통형상부의 좌측의 통형상부 외부에는 요부 보호 벨트의 좌측단부가 통형상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요부 보호 벨트가 구비하는 요부 보호부는 통형상부에 덮여 있으며,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은 요부 보호 벨트의 면 B와 접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요부 보호 벨트의 면 B는 통형상의 포백(15)의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의 내면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과 접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제 2 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도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도 9에 있어서 부호 22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1.0이다. 이 정지 마찰 계수가 선택되는 이유는 후술과 같다. 그리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폭 방향(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 이하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면상물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것은 포백이다. 이러한 정지 마찰 계수를 갖는 소재 및 신장 시의 응력을 갖는 소재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포백을 접어서 상방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추가하여 포백을 2장 이상 봉합하는 방법이나 환편물을 그대로 사용하여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대로 사용해서 통형상부로 해도 좋다.
그리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15)과 후방 부분(15')으로 구성되는 통형상부는 상단에서 하의 생지(5)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록킹부(16)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형상물의 상단이 허리 둘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발끝 등이 통형상물과 하의 생지(5) 사이에서 걸려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상물의 상단보다 조금 아래의 부분(면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상방에 면상물의 상단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도 9에서는 통형상부의 하단은 허리 둘레 방향으로 단속되어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5)와 록킹부(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통형상부의 하단부를 하의 베이스생지의 내면을 따르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요부 벨트를 통형상부 내부에 통과시켰을 때의 수습이 좋다. 또한, 통형상부의 하단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형상부가 하의의 내측에서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하의를 입은 채로도 스무드하게 요부 보호 벨트를 통형상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상물의 하단보다 조금 위의 부분(면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록킹부의 하방에 포백의 하단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도 9와 같은 단면을 갖는 형태의 하의에 있어서는 록킹부(16) 및 록킹부(17)에 의해 통형상부는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다. 단, 포백의 상단 또는 하단은 연속해서 이 하의 생지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단속 또는 연속된 록킹부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단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으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즉, 통형상부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의 전방 부분을 구성하는 면상물의 인체에 가까운 쪽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면상물의 인체에 가까운 쪽의 면이란,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하의에 있어서, 이 하의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신체나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 등과 접할 수 있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15)의 면이다. 또한, 포백의 정지 마찰 계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와 같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1.0임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수반하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착용자의 요부에 대한 착용자의 신장 방향에서의 슬라이딩을 억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공통으로 정지 마찰 계수 및 신장 시 응력이 특정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하의가 구비하는 허리 둘레 부분이 갖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1.0이며, 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0N/25㎜ 이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의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굴신 등의 운동에 따라 착용자의 속옷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는 현상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효과가 나타내어지는 상정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다고 생각한다.
즉, 착용자가 요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하의를 착용하고, 상기 요부 보호 벨트로 착용자의 요부를 체결하고 있을 경우, 상기 요부 보호 벨트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을 개재하여 착용자의 요부에 강하게 밀착하는 것이 되며,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의가 구비하는 허리 둘레 부분이 갖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 이상 1.0 이하로 작음으로써 요부 보호 벨트가 착용자의 굴신 등의 운동에 수반하는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의 상방으로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요부 보호 벨트가 통형상부 안을 상방으로 적절히 미끄러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 상방으로 적절히 신장됨으로써 적절한 위치, 예를 들면 골반에 핏되는 위치를 유지하면서 요부 보호 벨트가 추종한다. 그리고 이후 굴곡으로부터 선 자세로 되돌아왔을 때에는 벨트가 통형상부 안을 하방으로 적절히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은 수축하여 원래의 사이즈로 되돌아온다. 사람의 몸은 굴곡했을 때에 복부 둘레가 굵어져 요부 보호 벨트로의 압력도 강해진다. 포인트가 되는 것은 이 굴곡으로부터 선 자세로 되돌아올 때의 요부 보호 벨트의 움직임이다. 굴곡으로부터 선 자세로 되돌아오면 인체의 몸은 복부 둘레가 굵은 상태로부터 가늘어진다. 그때 인체는 요부로부터 웨스트 라인에 걸쳐서 가늘어져 있다. 요부 보호 벨트를 장착한 후에 통형상부를 갖지 않는 하의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 웨스트 라인을 향해 요부 보호 벨트가 밀려 올라가 그대로 되어버린다.
그러나 요부 보호 벨트가 하의의 통형상부를 통과하고 있으며, 또한 이 통형상부의 각 부의 정지 마찰 계수 및 응력이 상기 범위이면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방향(I)의 방향으로 요부 보호 벨트가 적절히 잡아당겨지면서 요부 보호 벨트는 통형상부의 내부를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수습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밀려 올라간 채로 되기 어렵다.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으로 본 발명의 하의가 구비하는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1.0인 것은 상기와 같다.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1.0 이하임으로써 요부 보호 벨트가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2 이상임으로써 다음의 작용 효과도 있다. 즉, 요부 보호 벨트가 과도하게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과 독립해서 과도하게 움직이며, 그리고 요부 보호 벨트의 위치가 요부 보호에 적합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이 정지 마찰 계수는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이 정지 마찰 계수는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먼 부분의 면(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반대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이 착용자의 요부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한다는 본 발명의 효과에 사실상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고 생각한다. 즉,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굴신 운동에 따라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와 통형상부 후방 부분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기 쉬운 상태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착용자가 본 발명의 하의와 요부 보호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은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에 의해 착용자의 요부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그렇게 하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먼 부분의 면과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의 정지 마찰 계수가 만약 낮을 경우에도 통형상부 전방 부분은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에 의해 착용자의 요부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부 전방 부분에 대하여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는 슬라이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는 착용자의 요부에 강하게 밀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착용자의 굴신 운동에 따라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와 통형상부 후방 부분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먼 부분의 면과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의 정지 마찰 계수가 높을 경우에는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는 보다 강하게 착용자의 요부에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착용자의 굴신 운동에 따라 요부 보호 벨트의 요부 보호부와 통형상부 후방 부분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으로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의 면, 즉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착용자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면의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과, 이 통형상부 전방 부분이 접촉하지만, 정지 마찰 계수가 1.0 이하임으로써 하의가 속옷의 움직임에 추종해 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속옷과 하의의 위치 관계가 그다지 저항 없이 움직이면 위화감을 느낄 경우도 있는 점에서 이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2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이 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이 정지 마찰 계수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6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공통으로 본 발명의 하의에 있어서는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 이하이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이 10N/25㎜ 이하임으로써 착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이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에 추종해서 움직이는 것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상기와 같다. 상기 효과가 극히 현저하게 된다는 이유로부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은 1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형상부의 방향(I)이란 착용자의 신장 방향이나 하의의 허리 둘레 부분의 상방에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의 10% 신장 시의 응력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너무 신장되면 완전히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오지 않고, 포백에 변형이 남기 쉬워 주름이나 허리 둘레의 빳빳한 감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회복률과의 관점으로부터 0.2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베이스생지가 통형상부 후방 부분이 되어 있는 것이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의 면상물은 상방부에서 연속 또는 단속되어 하의 베이스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상물의 상방부란 면상물의 상단과 면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상물은 하방부에서도 연속 또는 단속되어 하의 베이스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하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상물의 하방부란 면상물의 하단과 면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통형상부의 약 절반에 하의 베이스생지를 이용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 비해 콤팩트한 통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하의에서는 하의 베이스생지 이외의 면상물이 사용된다. 통형상부의 상방부에서 연속 또는 단속되어 하의 베이스생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상물의 상방부란 면상물의 상단과 면상물의 상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통형상부의 하방부에서도 상기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속 또는 단속되어 상기 허리 둘레 부분의 배면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연결은 통형상부의 폭 방향의 하단 또는 그 부근이 좋다. 또한, 면상물의 하방부란 면상물의 하단과 면상물의 하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통형상부를 통형상부의 상부로부터 매달아 통형상부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요부 보호 벨트를 하의에 삽입했을 때 뒷모습의 실루엣이 깔끔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 방법)
(정지 마찰 계수)
포백 샘플의 정지 마찰 계수를 JIS P8147:1994 3.2 경사 방법에 준하여 측정했다. 폭 25㎜, 길이 130㎜의 시험편을 3장 준비했다. 이어서, 이들 3장의 시험편 중의 1장의 시험편을 미끄럼 경사각 측정 장치의 872g의 추에 부착했다. 한편, 폭 120㎜×길이 200㎜의 피마찰체를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에 부착하고, 시험편을 부착한 추를 시험편의 측정면이 피마찰체에 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시험편의 길이 방향과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의 미끄럼 방향이 일치하도록 피마찰체 상에 상재(上載)하고, 경사 각도 3°/초의 조건에서 경사의 정도를 높게 해가서 추가 낙하했을 때의 경사각을 판독하여 상기 경사각의 정접(tanθ)을 정지 마찰 계수라고 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다른 2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하고, 그 3장분의 정지 마찰 계수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포백 샘플의 정지 마찰 계수라고 했다. 여기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피마찰체로서 사용하는 것은 표준면(3-1호: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제)으로 하고, 이 표준면의 포백의 방향은 경이어도 위이어도 상관없다.
(10% 신장 시의 응력)
포백 샘플의 10% 신장 시의 응력을 SHIMADZU CORPORATION제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25㎜, 길이 220㎜로 재단한 시험편을 5장 준비했다. 이어서, 5장의 시험편 중의 1장의 시험편을 척 간 거리 100㎜로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인장 속도 300㎜/min으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잡아당겼다. 마찬가지의 것을 다른 4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행하고, 5장의 시험편 각각에 대해서 10% 신장 시의 응력을 측정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10% 신장 시의 응력」이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5장의 포백의 신도가 10%일 때의 신장 응력의 평균값을 말한다. 여기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상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방향(I)과 동일하도록 시험편을 샘플링하는 것으로 한다.
(면 파스너 전단 강도)
요부 보호 벨트의 면 파스너 접착 시 최대 전단 강도를 JIS 3416에 준하여 SHIMADZU CORPORATION제 AUTOGRAPH AG-50kNG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요부 보호 벨트의 양단을 길이 150㎜로 재단한 시험편을 각각 5장씩 준비하고, 이어서 숫면 및 암면 각각 5장의 시험편 중의 1장을 끝의 면 파스너 숫면 설치 개소만 겹치도록 접착하고, 이 시험편을 척 간 거리 110㎜로 상기 측정 기기에 부착하고, 인장 속도 300㎜/min으로 시험편의 접착면이 박리될 때까지 잡아당겼다. 마찬가지의 것을 다른 4장의 시험편에 대해서도 행하고, 5장의 시험편 각각에 대해서 최대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면적의 값으로 나누어 면적당 최대 강도를 산출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전단 강도」란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5장의 면적당 최대 강도의 평균값을 말한다.
(평가 방법)
(밀려 올라감 억제성)
피험자 20명이 속옷의 위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의를 착용하고, 요부 보호 벨트를 하의에 삽입한 후에, 각자가 적당한 복압을 요부(골반 위치)에 느끼도록 조정했다. 그 후 착용자가 선 자세와 웅크린 자세를 10회 반복하여 앙케트로 요부 보호 벨트의 어긋나기 쉬움에 대해서 하기 기준으로 단계 평가를 행했다.
1: 상당히 어긋났다.
2: 어긋났다.
3: 그다지 어긋남이 신경쓰이지 않는다.
4: 거의 어긋나지 않았다.
5: 전혀 어긋나지 않았다.
피험자 20명 중 3~5 중 어느 하나의 평가점을 부여한 피험자의 수를 표 1~표 3에 나타냈다. 이 인원수가 10명 이상이었던 것을 밀려 올라감 억제 효과 있음이라고 판단해도 좋다.
(필링성)
DAIEI KAGAKU SEIKI MFG. co., ltd.제의 평면 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여 하중 200g으로 상기 하의 베이스생지에 사용되는 포백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2장씩 폭 40㎜×길이 250㎜로 샘플링하고, 얻어진 샘플과 상기 요부 보호 벨트의 록킹부에 사용되는 면 파스너(수)로 평면 마모 처리(30회)를 행했다. 상기 평면 마모 처리 후의 샘플 각각에 대해서 JIS L1076(2012)에서 정해진 필링 시험의 시각 판정 방법에 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시각 판정을 행했다.
1: 밀집된 표면 보풀 일기 및/또는 심한 필링
2: 명료한 표면 보풀 일기 및/또는 명료한 필링
3: 중간 정도의 표면 보풀 일기 및/또는 중간 정도의 필링
4: 약간 표면 보풀 일기 및/또는 부분적으로 생긴 보풀
5: 변화 없음
여기에서 혹시 등급이 2개 등급의 중간일 경우에는 중간의 등급을 붙였다. 예를 들면, 「밀집된 표면 보풀 일기」(평가점 1에 상당) 및 「명료한 필링」(평가점 2에 상당)이 관찰될 경우에는 1-2라고 한다. 또한, 「필링성」이란 세로·가로 2장씩의 등급 판정 결과 중 가장 수치가 낮은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경사에 167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와, 폴리에스테르 65%, 면 35%의 방적사를 사용하고, 위사에 167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사를 사용해서 경사 밀도 154개/2.54㎝, 위사 밀도 64개/2.54㎝의 경이중능직으로 제직하여 폴리에스테르 90%, 면 10%의 하의 베이스생지용의 생지 A를 얻었다.
계속해서, 78dtex의 나일론사와 310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사용하여 편성하고, 나일론 82%, 폴리우레탄 18%의 파워 네트 생지(이하, 이 파워 네트 생지를 생지 D라고 칭한다)를 얻었다.
상기 하의 베이스생지용의 생지 A를 하의 베이스생지에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이며,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생지 D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를 작성하고, 그 록킹부에는 면 파스너 숫면으로서 압출 성형 타입인 MOLD MAGIC(등록상표)(Kuraray Fastening Co., Ltd.제), 암면으로서 링 파스너(SEIHO CO., LTD.제)를 사용하여 이것을 요부 보호 벨트 1이라고 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44dtex의 나일론사와 44dtex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를 사용하여 트리코로 편성하고, 나일론 70%, 폴리우레탄 30%의 트리코 생지(이하, 이 트리코 생지를 생지 E라고 칭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의 하의에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와, 생지 E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즉,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로 구성되는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이며,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E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3.3dtex의 PTFE 섬유를 경위에 사용해서 100% PTFE 능직물(단위 중량 522g/㎡)을 작성하고, 이것을 하의 베이스생지용의 생지 B라고 했다. 이 생지 B를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에 사용하고, 그 이외의 하의 베이스생지의 부분에는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B,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생지 D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84dtex의 PPT 복합 섬유와 면 100% 방적사를 사용해서 28G로 트리코를 편성하고, 트리코 생지(이하, 이 트리코 생지를 생지 F라고 칭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생지 F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및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상기 생지 F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지름 1㎜의 실리콘 도트 가공이 1㎜ 간격으로 실시된 면 100% 니트 생지(실리콘 도트 가공된 면의 정지 마찰 계수 0.91)를 생지 C라고 했다. 이 생지 C를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에서 등 부분에 있는 하의 생지에 사용하고, 그 이외의 하의 베이스생지의 부분에는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D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C,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생지 D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D를 사용하여 통형상부를 작성하여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생지 D를 도 9와 같이 하방부에서 되접어서 하의 베이스생지에 그 상방부를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그 하방부를 부분적으로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에 봉제하여 고정한 것이며, 도 9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도 생지 D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30게이지의 더블 트리코 편기를 사용하여 프런트 바디에 탄성사 33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준비하고, 백 바디에 나일론 원사 22dtex/7필라멘트를 준비하고, 다음의 조직으로 양면 편조직의 탄성사 함유율 53%의 경편지를 편성했다.
프런트 바디: 1-0/1-2/2-3/2-1//
백 바디: 2-3/1-1/1-0/2-2//
이어서, 얻어진 경편지를 정련했다. 이와 같이 해서 양면 편조직의 편면은 탄성사만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하여 경편지가 구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은 탄성사와 비탄성사의 병용에 의한 니트 루프를 형성해서 경편지가 구성되는 표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0.60, 이면이 0.39인 표리에서 상이한 정지 마찰 계수를 갖는 트리코 생지(이하, 이 트리코 생지를 생지 G라고 칭한다)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 생지 G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생지 G를 되접어서 통형상부가 되는 부재를 얻었다. 그 생지 G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단부와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을 연속적으로 봉제해서 결합했다. 또한, 생지 G의 되접은 곳과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을 단속적으로 봉제해서 결합했다. 그 결과, 통형상부가 얻어진다. 전자의 결합 부분은 후자의 결합 부분보다 하의에 있어서 위에 위치한다. 상기 생지의 특성에 의해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에는 생지 G의 정지 마찰 계수가 0.39인 면이 배치되고,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외면에는 생지 G의 정지 마찰 계수가 0.60인 면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7의 하의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G를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통형상부를 작성했다. 단, 생지의 표리를 반대로 배치하여 생지의 특성에 의해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내면에는 생지 C의 정지 마찰 계수가 0.60인 면이 배치되고, 통형상부의 전방부의 외면에는 생지 G의 정지 마찰 계수가 0.39인 면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생지 D를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통형상부를 작성하여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를 작성하고, 그 록킹부에는 면 파스너 숫면으로서 압출 성형 타입인 1QELSX-50J(YKK CORPORATION제), 암면으로서 2WAY 기모 생지를 사용하여 이것을 요부 보호 벨트 2라고 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요부 보호 벨트 2를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생지 D를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통형상부를 작성하여 외관이 도 8, 도 2, 내부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D,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도 생지 D이다. 또한,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를 작성하고, 그 록킹부에는 면 파스너 숫면으로서 직물 테이프 타입인 1QSK(YKK CORPORATION제), 암면으로서 2WAY 기모 생지를 사용하여 이것을 요부 보호 벨트 3이라고 했다. 상기 통형상부에 요부 보호 벨트 3를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각 통형상부 포백의 물성이나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를 사용하여 통형상부를 갖지 않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의를 작성했다.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착용한 착용자에게 추가로 요부 보호 벨트의 위로부터 상기 하의를 착용하게 해서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각 통형상부 포백의 물성이나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또한 생지 A를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상물로서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도 생지 A이다. 생지 A는 10% 신장 시의 응력이 12N이었다. 상기 통형상부에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각 통형상부 포백의 물성이나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길이 14㎝, 폭 25㎜의 천 테이프이며, 그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에 연속해서 배치된 2개의 고마찰대를 갖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Ando Tape제 800A 탄성사의 노출이 많은 면의 정지 마찰 계수 1.07)를 3장 준비했다. 이들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하의 베이스생지의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에 이 허리 둘레 부분의 등 부분의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좌우 8㎝의 부위의 합계 3개소에 봉착(縫着)했다. 미끄럼 방지 테이프의 길이 방향은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했다. 이 하의 베이스생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D를 사용하여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3장의 미끄럼 방지 테이프가 봉착된 생지 A,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생지 D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생지 A를 사용하여 하의 베이스생지를 작성하고, 추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생지 D를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면상물로서 사용했다. 또한,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인체에 가까운 부분(생지 D)의 면의 위에 생지 D(면상체)의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좌우 8㎝의 부위의 합계 3개소에 비교예 3에서 사용한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그 미끄럼 방지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방향(I)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봉착했다. 이때 미끄럼 방지 테이프의 면 위의 탄성사의 노출이 많은 면이 하의의 내측이 되도록 외관이 도 1, 도 2, 내부가 도 3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하의를 작성했다. 도 3의 통형상부 후방 부분의 포백은 생지 A, 통형상부 전방 부분의 포백(면상물)은 3장의 미끄럼 방지 테이프가 봉착된 생지 D이다. 상기 통형상부에 도 4,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형태의 요부 보호 벨트 1을 도 6과 같이 하의에 장착하여 밀려 올라감 억제성을 평가했다. 통형상부를 구성하는 각 포백의 물성 및 하의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