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66B1 - Vacuum blender - Google Patents
Vacuum ble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7566B1 KR102507566B1 KR1020210165582A KR20210165582A KR102507566B1 KR 102507566 B1 KR102507566 B1 KR 102507566B1 KR 1020210165582 A KR1020210165582 A KR 1020210165582A KR 20210165582 A KR20210165582 A KR 20210165582A KR 102507566 B1 KR102507566 B1 KR 102507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object
- receiving member
- object receiving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 등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in particular,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blender, food fines or moisture ar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vacuum pump, while vacuuming and grinding work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o reduce operating time. It relates to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pable of
블렌더(믹서기)는 오늘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제품 중 하나로서, 믹서용기의 내부에 과일, 야채, 곡물 등의 음식물을 넣고, 저장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A blender (mixer) is one of the most used electrical appliances at home today. Foods such as fruits, vegetables, grains, etc. are put inside the mixer container, and the food is blended using a rotary blade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t is finely ground so that it can be consumed.
일반적인 블렌더는 저장 용기 내에 분쇄 대상인 음식물을 넣은 후에 뚜껑을 닫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분쇄 용기 내의 공기와 분쇄된 음식물 알갱이가 고속으로 혼합되면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였다.A typical blender puts food to be pulverized into a storage container, closes the lid, and rotates a rotary blade by a motor that rotates at high speed. .
예를 들어, 바나나, 토마토와 같은 과일을 블렌더에 넣고 분쇄시키면, 과일 주스의 상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fruits such as bananas and tomatoes are put in a blender and crushed, a large amount of bubbles are generated at the top of the fruit juice.
이는 과일 주스를 마실 때에 맛과 식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섬유질이 분쇄 과정에서 이미 산화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not only reduces the taste and texture when drinking fruit juice, but also means that the fruit fiber has already been oxidized during the crushing process, and thus a significant portion of nutrients are destroyed.
또한,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음식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In addition, when food is to be stored without being consumed immediately after grinding, when stored in a state exposed to the air, the oxidation process proceeds more rapidly, which accelerates the destruction of fiber and nutrients, and the color is discolored, reducing freshness, and air A layer separation occurs between the food and the food.
이처럼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store the food pulverized by the blender for a long period of time unless eaten immediate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의 진공 블렌더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cuum blenders having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recently.
진공 블렌더는 분쇄용기의 내부에 액상의 음식물을 넣고 분쇄할 경우, 음식 미세물이 진공흡입력 등에 의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In a vacuum blender, when liquid food is put into a grinding container and pulverized, food fines are introduced into the vacuum pump by a vacuum suction force, and the vacuum pump and pressure sensor often fail.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들은 압력센서 없이 분쇄용기 내부 압력을 미리 계산하여 시간으로 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양에 관계없이 진공시간이 일률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most products calculate the pressure inside the grinding container in advance without a pressure sensor and control it with time, so that the vacuum time is uniformly se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ontent.
또한, 종래의 진공블렌더는 위와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 분쇄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액체 등)을 가득 채우지 못하고, 분쇄용기 크기의 약 40%정도만 음식물을 넣고 분쇄하도록 되어 있어, 진공 블렌더의 효율성이 떨어졌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cuum blender cannot fully fill the inside of the grinding vessel with food (liquid, etc.) due to the above problems, and only about 40% of the size of the grinding vessel is put and ground, so the efficiency of the vacuum blender is reduced. .
미세물의 유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9-0019690 등에서는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이물받이부재 등)을 장착하여 음식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inflow problem of fine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19690, etc., a backflow prevention means (foreign collection member, etc.)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over to prevent fines from flowing back into the vacuum pump. is appearing
그러나,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을 장착할 경우에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미세물을 수용하는 양이 적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내용물(미세물)이 역류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진공호스 안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over, there is a limit to the size, so the amount to accommodate the fines is small, and it is not easy to assemble. It was not easy, so mold was generated inside the vacuum hose when used for a long time, resulting in many hygiene problems.
또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면, 분쇄된 미세물이 진공압에 의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로 습기 또는 미세한 알갱이가 유입되게 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진공펌프에 의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을 먼저 수행하고, 진공작업 이후에 칼날에 의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vacuum work inside the grinding container and the grinding work are performed together, moisture or fine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vacuum pump and the pressure sensor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pulverized fine materials, resulting in failure of the vacuum pump and pressure sensor.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ior art, a vacuum operation inside the grinding container is first performed by a vacuum pump, and then a grinding operation by a blade is performed after the vacuum operation.
따라서 종래에는 진공작업시간과 분쇄작업시간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다는 불만이 많았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the vacuum operation time and the grinding operation time are separately configured, the operation time of the vacuum blender becomes long, and thus, there are many complaints from consumers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vacuum blender is long.
또한, 이물받이부재를 장착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장착공의 내주면에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since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there is difficulty in clean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받이부재를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 장착하여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부분을 쉽게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instead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so that assembly and cleaning are easy,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n be made large, and the in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can be easily cleaned. Even when vacuuming and grinding work are performed together when crushing food, it prevents failure of the vacuum pump or pressure sensor due to reverse flow of fine matters generated during grinding of fo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at can be shortened to , and can easily clean a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receiving fines generated when grinding food is receiv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formed.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s formed respectively; A connection pass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opened upward,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while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When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art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a movem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a moving gap.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한다.A moving groove concave up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moving groove forms the moving gap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sidewall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the side wall of the.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연통공 및 중공돌기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A hollow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fin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hollow protrusion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y the hollow protrusion. It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inside of the grinding vessel through the ball.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member is rotatably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hinge poin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with respect to a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whe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이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n accommoda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mounting hole and accommodating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pulveriz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respectively formed. formed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 connection pass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which the mounting hole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re is an outer surf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 sealed chamber flow path is formed there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disposed below,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rough the chamber flow path.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하부가스켓과;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상부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과 상부가스켓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가 형성된다.a lower gasket dis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a gap therebetween; An upper gask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or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the gap therebetween;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the chamber passage seal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by the lower gasket and the upper gasket.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passes through the chamber passag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또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Alternatively,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open toward the mounting hol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the chamber passage.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whe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crushed are stor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fines from entering the vacuum pump.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서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을 많이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grinding vessel, no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assembly and cleaning are easy,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n be made large, so that a lot of fines can be removed. Acceptable.
또한,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acuum work and the grinding work are performed together when grinding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grinding container, the back flow of the fine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of the food prevents the vacuum pump or the pressure sensor from malfunctioning, and the vacuum work and grinding work This can drastically reduce operating time.
또한, 이물받이부재의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이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member, cleaning and the like are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연통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
3 is a partial structur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lowered and raised in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rotating state of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연통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of the vacuum bl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ble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mber is rotated. is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진공블렌더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쇄용기(20)와, 용기커버(30)와, 연통부재(40)와, 이물받이부재(50)와, 연결유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vacuum bl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10)에는 모터(11)와 진공펌프(12)와 압력해제밸브 등이 장착되어 있다.The
상기 분쇄용기(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되어 있다.The grinding
상기 용기커버(3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는다.The
상기 용기커버(30)에는 상기 믹싱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A
그리고, 상기 배출공(31)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상기 연통부재(4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상기 연통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커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는 장착공(41)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커버(3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1)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 , the foreign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foreign
상기 장착공(41)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42)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A plurality of engaging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는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54)과 제2연통공(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2 , a
상기 제1연통공(54)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54)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51)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5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52)로 이루어져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oreign
상기 제1연통공(54)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51)와 상부이물받이부(52)의 결합부위의 간극 또는 별도의 홀을 통해 형성된다.The
상기 하부이물받이부(51)와 상부이물받이부(52)의 결합부위에는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홀이 상기 제2연통공(55)을 형성하게 된다.A gasket is installed at a joint between the lower
상기 연결유로(6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연통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장착공(41)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60)은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을 통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상기 연결유로(60)는 튜브만으로 이루어거나, 튜브와 사출물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즉, 상기 연결유로(60)는 상기 진공펌프(12)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외부를 서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것이면 충분하다.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에는 체크밸브 또는 립씰 등이 장착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막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기구물을 설치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check valve or a lip seal is mounted o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상기 장착공(41)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54)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60)와 연통된다.As shown in FIG. 2 ,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이로 인해,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는 상기 배출공(31), 제1연통공(54), 수용부, 제2연통공(55), 연결유로(60)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와 연통되게 된다.Due to this, the inside of the grinding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연결유로(60의 타단은 사출물을 통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가 통하는 형태면 모두 가능하다.In some cases, the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53)가 형성되어 있다.A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측면에서 어느 일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측면 전체의 둘레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상기 장착공(41)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55)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41)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는 하부가스켓(71)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71)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장착공(41)의 하부 내측면 사이의 간극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A
상기 하부가스켓(71)은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면과 접하여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 사이의 간극에는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 사이의 간극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In addition, a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를 덮는 상기 플랜지부(53)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도록 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상기 하부가스켓(71)과 상부가스켓(72)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41)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75)가 형성되게 된다.With the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챔버유로(75)는 상기 하부가스켓(71)과 상부가스켓(72)의 위치 및 존재여부 등을 변경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41)의 내주면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the
상기 챔버유로(75)는 상기 제2연통공(55) 및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된다.The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외부와 차단되면서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55)과 연통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reign
위와 같이 상기 제2연통공(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직접 접하여 연통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55)을 통과하였을 때 곧바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제2연통공(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직접 접하여 연통되지 않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공(4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됨으로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55)을 통과하였을 때 여러방향으로 고불고불하게 꺽인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챔버유로(75)로 유입된 미세물이 상기 챔버유로(75)에 머물러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챔버유로(75)의 간극은 공기만 이동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 간격을 아주 작게 하여도 무방하고, 이럴 경우 간극이 작은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유체 상태의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p between th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2연통공(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링 형상의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연통공(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정확하게 접촉하여 맞지 않아도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연통되도록 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상기 제2연통공(55)의 연통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In order to make communication between the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55)과 보다 쉽게 연통되게 된다.Accordingly,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56)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53)가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56)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a moving
이러한 상기 이동홈(56)은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무 방향에서나 상기 이동홈(56)이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The
경우에 따라 상기 이동홈(56)은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54)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중공돌기(57)는 튜브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그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1연통공(54) 및 중공돌기(57)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57)의 높이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54)을 통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면 또는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Fine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한편,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될 수도 있고,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의 도면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힌지점의 가까운 방향이 아닌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 when the
상기 제2연통공(55)이 상기 힌지점의 가까운 쪽에 형성되게 되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연통공(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유입되게 되고, 이는 결국 진공펌프(12)로 유입되어 진공펌프(12)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When the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2연통공(55)이 상기 힌지점의 먼 위치 즉 이물받이부재(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상기 중공돌기(57)가 없는 경우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1연통공(54)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 또는 내부로 낙하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할 경우 이물받이부재(50)에 존재하는 음식물의 미세물(잔유물)이 분쇄용기(20)의 내부로 낙하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매번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청소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중공돌기(5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통공(55)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할 경우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존재하는 음식물의 미세물(잔유물)이 상기 중공돌기(57)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축적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해 상기 연통부재(40)를 여러번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존재하는 미세물이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이로 인해 본원발명은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매번 청소하지 않고 미세물이 일정 높이만큼 채워졌을 때 청소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청소, 관리 작업 등에 편의성을 줄 수 있다.Due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give convenience to the user's cleaning and management work because the foreign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물이 상기 중공돌기(57)의 상단보다 밑에 있으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여러번 사용하더라도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fine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물의 양을 사용자가 쉽게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eign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상기 장착공(41)의 내부가 아닌 상기 연통부재(40)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1)에서 분리하였을 때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외부로 잘 노출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보다 쉽게 청소할 수 있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 및 연결유로(60)를 통해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물이 상기 연결유로(60)를 통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진공챔버(75)를 이용하여 더욱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since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crushed are accommodated in the foreign
그리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동시에 하여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서 미세물을 수납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acuum operation and the crushing operat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no problem occurs because the foreig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eign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제2연통공(55)과 연통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이 더욱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58)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blocking
본 실시예에 상기 차단벽(58)은 상부이물받이부(52)의 내측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상기 차단벽(58)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51)의 상단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2연통공(55)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55)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The blocking
이러한 상기 차단벽(58)을 형성함으로서,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55)으로 넘어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blocking
제2실시예Example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50)와 연통부재(40)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oreign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2연통공(55)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1)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55)과 연통된다.When the foreign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3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상부가스켓(72)의 위치 및 연결유로의 타단(65)의 위치가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posi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41)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부 부위는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이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foreig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과 상기 장착공(41)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상기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되어 밀폐됨으로서, 상기 챔버유로(75)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경우에 따라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부 부위 즉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플랜지부(53)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upper part of the foreign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장착공(41)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있다.And, the
따라서, 상기 제2연통공(55)은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상기 장착공(41)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되게 된다.Accordingly, the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1 : 모터, 12 : 진공펌프,
20 : 분쇄용기,
30 : 용기커버, 31 : 배출공,
40 : 연통부재, 41 : 장착공, 42 : 결합돌기
50 : 이물받이부재, 51 : 하부이물받이부, 52 : 상부이물받이부, 53 : 플랜지부, 54 : 제1연통공, 55 : 제2연통공, 56 : 이동홈, 57 : 중공돌기, 58 : 차단벽,
60 : 연결유로, 65 : 연결유로의 타단
71 : 하부가스켓, 72 : 상부가스켓, 75 : 챔버유로.10: main body, 11: motor, 12: vacuum pump,
20: grinding vessel,
30: container cover, 31: discharge hole,
40: communication member, 41: mounting hole, 42: coupling protrusion
50: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1: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52: upp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53: flange portion, 54: first communication hole, 55: second communication hole, 56: moving groove, 57: hollow projection, 58: blocking wall,
60: connection passage, 65: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71: lower gasket, 72: upper gasket, 75: chamber flow path.
Claims (17)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연통부재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n accommoda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mounting hole and accommodating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pulveriz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respectively formed. formed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t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pen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mounting hol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 flange portion protru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disposed below,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when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op.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3,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a movem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the movement gap.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통부재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4,
A concave mov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in an upward direction,
The vacuum blender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groove forms the moving gap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the side wall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member.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연통공 및 중공돌기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A hollow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hollow protrusion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grinding contain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y the hollow protrusion. vacuum blender.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The communication member is mount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oint,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is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In claim 1,
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op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vacuum blender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ly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이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a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n accommoda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mounting hole and accommodating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pulveriz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respectively formed. formed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 connection pass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which the mounting hole is mounte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a chamber flow path seal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hole.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rough the chamber passage.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하부가스켓과;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상부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과 상부가스켓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The method of claim 11,
a lower gasket dis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a gap therebetween;
An upper gask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or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the gap between them;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the chamber flow path seal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by the lower gasket and the upper gasket.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The method of claim 11,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A vacuum blender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the chamber passag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The method of claim 11,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open toward the mounting hol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the chamber passage.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The method of claim 11,
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op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vacuum blender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ly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시 그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The method of claim 11,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n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is coupled.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member is mount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oint,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5582A KR102507566B1 (en) | 2021-11-26 | 2021-11-26 | Vacuum blender |
EP22804994.6A EP4338646A4 (en) | 2021-05-20 | 2022-05-19 |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
CN202280035441.8A CN117377417A (en) | 2021-05-20 | 2022-05-19 | Vacuum wall breaking machine for assembling foreign matter receiving piece |
PCT/KR2022/007148 WO2022245141A1 (en) | 2021-05-20 | 2022-05-19 |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
KR1020230011709A KR20230078593A (en) | 2021-11-26 | 2023-01-30 | Vacuum blender |
US18/510,615 US20240090707A1 (en) | 2021-05-20 | 2023-11-15 |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and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for vacuum ble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5582A KR102507566B1 (en) | 2021-11-26 | 2021-11-26 | Vacuum blend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1709A Division KR20230078593A (en) | 2021-11-26 | 2023-01-30 | Vacuum blen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7566B1 true KR102507566B1 (en) | 2023-03-09 |
Family
ID=855116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5582A Active KR102507566B1 (en) | 2021-05-20 | 2021-11-26 | Vacuum blender |
KR1020230011709A Pending KR20230078593A (en) | 2021-11-26 | 2023-01-30 | Vacuum blend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1709A Pending KR20230078593A (en) | 2021-11-26 | 2023-01-30 | Vacuum blend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07566B1 (en) |
CN (1) | CN117377417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5163A (en) * | 2014-06-18 | 2015-12-29 | 씨티엠(주) | Vaccum blender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804162B1 (en) * | 2016-11-17 | 2017-12-04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Blender |
KR20190019690A (en) | 2017-08-18 | 2019-02-27 | 씨티엠(주) | Container of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KR102102978B1 (en) * | 2018-09-05 | 2020-04-21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Apparatus for trapping foreign materials and an food processor using the same |
KR20210048914A (en) * | 2019-10-24 | 2021-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ender |
-
2021
- 2021-11-26 KR KR1020210165582A patent/KR102507566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19 CN CN202280035441.8A patent/CN117377417A/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1-30 KR KR1020230011709A patent/KR2023007859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5163A (en) * | 2014-06-18 | 2015-12-29 | 씨티엠(주) | Vaccum blender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18729B1 (en) * | 2014-06-18 | 2016-05-09 | 씨티엠(주) | Vaccum blender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804162B1 (en) * | 2016-11-17 | 2017-12-04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Blender |
KR20190019690A (en) | 2017-08-18 | 2019-02-27 | 씨티엠(주) | Container of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KR102102978B1 (en) * | 2018-09-05 | 2020-04-21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Apparatus for trapping foreign materials and an food processor using the same |
KR20210048914A (en) * | 2019-10-24 | 2021-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en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8593A (en) | 2023-06-02 |
CN117377417A (en) | 202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5571B1 (en) | Vacuum blender | |
KR102096518B1 (en) | Container of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
JP5535335B2 (en) | Smoothie maker juicer | |
US10524495B2 (en) |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 |
KR101102902B1 (en) | Smoothie combined juicer | |
KR101674164B1 (en) | Vaccum blender | |
US20240090707A1 (en) |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and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for vacuum blender | |
KR101207231B1 (en) | Food processor | |
KR101278596B1 (en) | A juicer having pushing blades | |
KR102507566B1 (en) | Vacuum blender | |
KR102489974B1 (en) | Vacuum blender | |
KR20190047678A (en) |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
KR20140001804A (en) | A juicer having opening and closing unit | |
KR102165314B1 (en) | Vacuum blender | |
KR102275784B1 (en) | Vacuum mixer | |
KR20240010863A (en) | Vacuum blender | |
KR102826862B1 (en) | A vacuum blender with a lid that improves vacuum dfficiency | |
KR101978810B1 (en) |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
KR102489976B1 (en) | Vacuum blender | |
KR102467192B1 (en) | Vacuum blender for reducting operating time | |
KR102349993B1 (en) | Vacuum blend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ing) | |
KR100310154B1 (en) | Juicer cup having filter | |
KR20130032884A (en) | A juicer having pushing blades | |
JPH0598Y2 (en) | ||
KR100500789B1 (en) | structure of prevention mixture outflow for mix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2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