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34B1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7234B1 KR102507234B1 KR1020180025382A KR20180025382A KR102507234B1 KR 102507234 B1 KR102507234 B1 KR 102507234B1 KR 1020180025382 A KR1020180025382 A KR 1020180025382A KR 20180025382 A KR20180025382 A KR 20180025382A KR 102507234 B1 KR102507234 B1 KR 1025072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crew nut
- motor
- bearing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고 조절 장치는, 자동차 서스펜션에 설치되어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 조절 장치로서, 휠과 차체 사이를 매개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소버, 상기 쇽업소버의 둘레에 설치된 코일스프링, 차체와 연결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나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쇽업소버와 결합되는 탑마운트 및 상기 탑마운트와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탑마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차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A he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ight control device that is installed on a vehicle suspension to adjust a height, and includes a shock absorber that mediates between a wheel and a vehicle body and absorbs shock, a coil spring installed around the shock absorber,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 top mount that is formed including a flange portion and a pipe-shaped thr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shock absorber and mediates between the top mount and the coil spring, wherein the and a driving module that change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moving the top mount in a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스펜션에 설치되어 휠과 차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installed on a suspens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by adjusting a gap between a wheel and a body. .
주행 중 노면 상태가 불량하거나 커브를 주행할 때에는 실내공간에 충격이 전해지거나,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서스펜션(suspension)은 이러한 충격 및 쏠림 현상을 흡수 및 완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된다.When driving on poor road conditions or driving on a curve during driving, an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interior space or a leaning phenomenon occurs. Suspension is installed to improve riding comfort and reduce noise introduced into a room by absorbing and alleviating such shock and leaning phenomena.
한편, 차량이 고속 주행할 때에는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체 높이를 낮추는 것이 유리하고, 차량이 거친 노면을 주행할 때에는 차체 하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높이를 높이는 것이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it is advantageous to lower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to reduce air resistance, an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rough road surface,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to prevent damag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따라서, 다양한 주행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차체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고 조절 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Accordingly, a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capable of variably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body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종래에는 주로 엔진의 동력으로 형성된 공압을 이용하여 차체 높이를 조절하는 공압 차고 조절 장치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압 서스펜션 구조는 엔진의 동력을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비 및 출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부품의 불량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공압이 누출되면 차체의 높이를 유지할 수 없어 주저앉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Conventionally, a pneumatic vehicle height control device that adjusts a vehicle body height using air pressure generated mainly by engine power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since this pneumatic suspension structure directly uses the power of the engine, it can reduce fuel economy and power output, and if air pressure leaks due to defective or damaged part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cannot be maintained, causing a collapse problem. .
또한, 공압을 형성시키고 유지하기 위한 부품들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멀티링크 방식의 서스펜션에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소형 또는 중형 자동차에 널리 설치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이 설치된 차량에는 상기 공압 차고 조절 장치를 적용하지 못하거나, 적용하더라도 부품 레이아웃을 설계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parts for forming and maintaining pneumatic pressure is large, there is a limit applicable only to multi-link type suspensio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neumatic height control device cannot be appli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which is widely installed in small or medium-sized vehicles, or it is not easy to design a component layout even when applied.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이 설치된 차량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고 조절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height control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 가능한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pplicable to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에 설치되어 차고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휠과 차체를 연결하는 쇽업소버; 상기 쇽업소버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상기 쇽업소버와 함께 차체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산이 형성된 탑마운트; 및 상기 탑마운트의 나사산에 체결되고 코일스프링에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차고 조절을 위해 탑마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to adjust a height, and includes a shock absorber connecting a wheel and a vehicle body; a coil spring coupled to the shock absorber; a top mount coupled to a vehicle body together with the shock absorber and having a screw thread extending vertically; and a driving module that is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top mount and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and moves the top mou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상기 탑마운트는 차체와 결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p mount includes a flange portion coupled to a vehicle body; and a pipe-shaped threaded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thread extending vertical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구동모듈은 코일스프링에 지지되면서 나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케이스와 연결되고 로터는 스크류너트와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case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hreaded por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a screw nut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and rotated by a motor, wherein a stator of the motor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and a rotor may be connected to the screw nut.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와 나사부를 연결하여 모터 구동시 케이스가 나사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nti-rotation nut connecting the case and the threaded portion to prevent the case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eaded por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상기 회전방지너트는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는 링 모양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에는 나사산의 산과 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회전방지너트의 돌기가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anti-rotation nut includes a ring-shaped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and the screw portion has peaks and valleys of the screw threa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are formed, and the protrusions of the anti-rotation nut may be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s.
상기 모터 구동시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의 깊이는 골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가이드홈에 끼워진 돌기의 선단은 골보다 더 깊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case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valley, and the tip of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valley.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와 스크류너트 사이에 설치된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베어링은 스크류너트의 하단을 지지하여 모터 구동시 스크류너트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베어링은 스크류너트의 상단을 지지하여 모터 구동시 스크류너트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first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case and the screw nut; and a second bearing, wherein the first bearing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crew nut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crew nut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the second bearing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screw nut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upward movement of the screw nut can be limited.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2베어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ring coupled to the ca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bearing.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어퍼패드 및 구동모듈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조향 작동시 쇽업소버와 코일스프링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는 마운트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ount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and the case of the driving module and enabling rotation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coil spring during steering operation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cas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전동식으로 차체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electric power.
둘째, 차체 높이를 조절할 때 엔진의 동력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연비 향상이 가능하다.Second, it is possible to improve fuel efficiency because engine power is not directly used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셋째, 차고 조절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차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ird, even if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ails, the vehicle body height can be kept const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회전방지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회전방지너트가 탑마운트의 나사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tation nut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ti-rotation nut of a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height control device is mounted on a threaded portion of a top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on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는 쇽업소버(20), 코일스프링(30), 탑마운트(100) 및 구동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ck absorber 20, a
쇽업소버(20)는 휠에서 차체(10)로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시키는 서스펜션의 핵심 부품이다.The shock absorber 20 is a key component of a suspension that blocks or reduces shock,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from wheels to the
쇽업소버(20)는 실린더(21), 스트럿 로드(22) 및 헤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휠과 차체(10)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할 때 스트럿 로드(22)가 실린더(21)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헤드(23)는 스트럿 로드(22)의 상단에 결합되고 스트럿 로드(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할 탑마운트(100)와 결합된다.The shock absorber 20 includes a
코일스프링(30)은 쇽업소버(20)와 함께 충격,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거나 저감시키는 서스펜션의 핵심 부품으로서, 쇽업소버(2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 로워패드(31)와,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하측에 설치된 어퍼패드(32) 사이에 개재되어 두 구성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30)과 쇽업소버(20)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탑마운트(100)는 차체(10)에 연결되는 플랜지부(110)와, 플랜지부(1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나사산(124)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나사부(120)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플랜지부(110)와 나사부(120) 사이에는 스트럿 로드(22)의 직경보다 크고 헤드(23)의 직경보다 작은 홀이 형성된다.The
앞서 설명한 스트럿 로드(22)는 나사부(12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플랜지부(110)까지 관통되고, 스트럿 로드(22)의 단부에 헤드(23)가 결합됨으로써, 헤드(23)가 플랜지부(110)와 나사부(120) 사이의 홀에 걸려 스트럿 로드(22)가 나사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e
플랜지부(1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차체(10)와 연결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립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조립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111)를 이용하여 차체(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부(120)와 연통되는 홀 주변에 헤드(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을 형성시켜, 헤드(23)가 플랜지부(1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hape of the
나사부(1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12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동모듈(200)과 체결된다. 나사부(120)의 구체적인 형상과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구동모듈(200)은 탑마운트(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탑마운트(100)와 결합되어 있는 차체(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The
구동모듈(200)은 나사부(120)와 체결되는 스크류너트(210), 스크류너트를 회전시키는 모터(220),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고 나사부(120)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230)를 포함하고, 케이스(230)가 나사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너트(240), 스크류너트(210)와 케이스(23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고 스크류너트(21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베어링(250) 및 제2베어링(260), 제2베어링(260)을 케이스(230)에 고정시키는 고정링(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스크류너트(210)는 나사부(120)의 나사산(124)에 체결된다. 스크류너트(2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너트(210)와 나사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너트(210)의 높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너트(210)를 회전시키면 나사부(120)를 포함한 탑마운트(100)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차체(10)의 높이가 조절된다.The
모터(220)는 스크류너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테이터(221)와 로터(222)로 구성된 중공모터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모터의 설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서스펜션 구조의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케이스(230)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30)과 일정한 상대위치를 갖도록 고정된다. 케이스(230)는 나사부(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케이스(230)의 내부에는 상술한 모터(220)가 설치어 스크류너트(21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한편, 케이스(230)는 스크류너트(21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되어, 모터(220)가 스크류너트(210)를 회전시킬 때 탑마운트(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케이스(23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케이스(231) 및 하부 케이스(232)로 구분되어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231)의 내측에 모터(220)를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를 한몸으로 형성시키거나, 모터를 하부 케이스(232)의 내측에 설치하는 등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도 3에는 회전방지너트(24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회전방지너트(240)와 나사부(120)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3 shows the shape of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너트(240)는 케이스(230)가 나사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회전방지너트(240)는 케이스(230)의 외측 상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본체(241)와, 본체(241)의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기(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한편, 나사부(120)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산(121) 및 골(12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홈(123)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123)에 상기 돌기(242)가 삽입됨으로써, 회전방지너트(240) 및 이와 결합된 케이스(230)가 나사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제한된다. 다만 가이드홈(12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너트(210)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방지너트(240)와 나사부(120)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guide
이때 특히 가이드홈(123)의 깊이는, 골(122)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홈(123)의 깊이가 골(122)의 깊이와 같거나 골(122)보다 낮은 깊이를 갖는다면, 돌기(242)가 골(122)을 따라 나사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제1베어링(250)은 케이스(230)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로터(222)의 아래 방향에 설치된다. 제1베어링(250)은 스크류너트(21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면서 스크류너트(210)와 케이스(23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스크류너트(210)의 하부 측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베어링(25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크류너트(21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베어링(250)은 볼베어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 베어링, 니들 베어링, 플레인 베어링 등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2베어링(260)은 케이스(230)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로터(222)의 위 방향에 설치된다. 제2베어링(260)은 스크류너트(210)의 상부 측면을 지지하면서 스크류너트(210)와 케이스(23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제2베어링(260)은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인 베어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베어링(260)의 양면은 케이스(230)의 내측면 및 스크류너트(210)의 외측면과 각각 면접촉되게 된다.The
제2베어링(260)의 상단은 스크류너트(210)의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스크류너트(210)가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제2베어링(260)은 케이스(230)의 내부에 압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베어링(26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베어링(260)의 하측 단부에 고정링(270)을 설치하여 제2베어링(260)이 케이스(2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230)의 내측면에는 고정링(270)을 설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가 차량의 전륜 서스펜션에 설치된다면, 조향시 쇽업소버(20) 및 코일스프링(3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30)이 회전하면서 케이스(23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코일스프링(30)과 케이스(230) 사이에 마운트베어링(40)을 설치할 수 있다.I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e shock absorber 20 and the
마운트베어링(40)은 코일스프링(30)의 상단이 결합되는 어퍼패드(32)와 케이스(230) 사이에 설치되어, 조향시 코일스프링(30)이 회전하더라도 케이스(230)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작동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5 show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의 세부 형상을 참고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는 탑마운트(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체(10)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shape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shown in FIGS. 1 to 4,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mount (10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of the
즉, 도 5(b)와 같이 구동모듈(200)이 탑마운트(100)의 나사부(120)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구동모듈(200)의 모터(220)가 스크류너트(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탑마운트(100)가 위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차체(10)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도 5(c)와 같이 구동모듈(200)의 모터(220)가 스크류너트(2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탑마운트(100)가 아래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차체(10)가 하강하게 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모듈(200)이 탑마운트(100)를 승강시키면서 차체(10)를 승강시키는 바, 컴팩트한 구조로 차체(10)를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를 사용할 경우, 모터(220)의 작동을 통해 차체(10)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질 경우에도 모터(220)를 잠금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차체(10)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차체 20: 쇽업소버
21: 실린더 22: 스트럿 로드
23: 헤드 30: 코일스프링
31: 로워패드 32: 어퍼패드
40: 마운트베어링 100: 탑마운트
110: 플랜지부 120: 나사부
200: 구동모듈 210: 스크류너트
220: 모터 230: 케이스
240: 회전방지너트 250: 제1베어링
260: 제2베어링 270: 고정링10: body 20: shock absorber
21: cylinder 22: strut rod
23: head 30: coil spring
31: lower pad 32: upper pad
40: mount bearing 100: top mount
110: flange part 120: thread part
200: drive module 210: screw nut
220: motor 230: case
240: anti-rotation nut 250: first bearing
260: second bearing 270: fixed ring
Claims (9)
휠과 차체를 연결하는 쇽업소버;
상기 쇽업소버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차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나사부가 포함된 탑마운트; 및
코일스프링에 지지되면서 나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너트로 구성되어 차고 조절을 위해 탑마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와 나사부를 연결하여 모터 구동시 케이스가 나사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A device installed on a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to adjust the height,
Shock absorbers connecting the wheels and the body;
a coil spring coupled to the shock absorber;
a top mount including a flange portion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a pipe-shaped screw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thread extending vertical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t consists of a case supported by a coil spring and install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threaded part,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a screw nut fastened to the threaded part and rotated by the motor, and moves the top mount vertically to adjust the height. Including; drive module to do,
The drive module further comprises an anti-rotation nut connecting the case and the threaded portion to prevent the case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readed por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케이스와 연결되고 로터는 스크류너트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or of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case and the rotor is connected to the screw nut.
상기 회전방지너트는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는 링 모양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에는 나사산의 산과 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회전방지너트의 돌기가 끼워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rotation nut includes a ring-shaped bod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toward the cente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he screw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penetrating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screw threa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of the anti-rotation nut is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상기 모터 구동시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의 깊이는 골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가이드홈에 끼워진 돌기의 선단은 골보다 더 깊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5,
MacPherson strut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valley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case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the tip of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valley Height adjuster for suspension.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와 스크류너트 사이에 설치된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베어링은 스크류너트의 하단을 지지하여 모터 구동시 스크류너트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베어링은 스크류너트의 상단을 지지하여 모터 구동시 스크류너트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first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case and the screw nut; And a second bearing;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bearing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crew nut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crew nut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second bearing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screw nut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crew nut when the motor is driven.
상기 구동모듈은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2베어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driving module is coupled to the ca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cond bearing;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vehicle heigh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어퍼패드 및 구동모듈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조향 작동시 쇽업소버와 코일스프링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는 마운트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용 차고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and the case of the drive module, and a mount bearing that enables rotation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coil spring and prevents rotation of the case during steering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5382A KR102507234B1 (en) | 2018-03-02 | 2018-03-02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5382A KR102507234B1 (en) | 2018-03-02 | 2018-03-02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4814A KR20190104814A (en) | 2019-09-11 |
KR102507234B1 true KR102507234B1 (en) | 2023-03-07 |
Family
ID=6794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5382A Active KR102507234B1 (en) | 2018-03-02 | 2018-03-02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723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111739B3 (en) * | 2018-05-16 | 2019-04-2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Device for level adjustment of a vehicle body |
EP4010212A1 (en) | 2019-10-25 | 2022-06-15 | Iljin Motion & Control GmbH | Electromechanical vehicle height adjustment unit and vehicle height adjustment method |
KR102397406B1 (en) * | 2020-11-16 | 2022-05-12 | 주식회사 세나스 | Height-adjustable mount for car suspension |
KR20220096282A (en) *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일진 | Vehic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
CN117227381B (en) * | 2023-11-08 | 2024-03-19 | 宁波拓普集团股份有限公司 | Linear driving type active suspension system |
CN117261518B (en) * | 2023-11-09 | 2024-03-15 | 宁波拓普集团股份有限公司 | Electric control type active suspension system |
CN117886257A (en) * | 2024-02-18 | 2024-04-16 |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 Lift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2525A (en) | 1999-09-17 | 2001-03-27 | Takahiro Taketomi | Car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bile suspension |
JP2006044482A (en) | 2004-08-05 | 2006-02-16 | Sumitomo Rubber Ind Ltd | Suspension device |
JP2006064101A (en) * | 2004-08-27 | 2006-03-09 | Kayaba Ind Co Ltd | Vehicle height adjuster and shock absorb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7277B1 (en) * | 2001-07-14 | 2003-11-2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hock Absorber of Automobile-Suspension |
KR20130041676A (en) | 2011-10-17 | 2013-04-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eight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
-
2018
- 2018-03-02 KR KR1020180025382A patent/KR1025072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2525A (en) | 1999-09-17 | 2001-03-27 | Takahiro Taketomi | Car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utomobile suspension |
JP2006044482A (en) | 2004-08-05 | 2006-02-16 | Sumitomo Rubber Ind Ltd | Suspension device |
JP2006064101A (en) * | 2004-08-27 | 2006-03-09 | Kayaba Ind Co Ltd | Vehicle height adjuster and shock absor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4814A (en) | 2019-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7234B1 (en)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
KR102635917B1 (en) | Apparatus of adjusting vehicle height for suspension | |
US8668060B2 (en) |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 |
US20090057969A1 (en) | Strut for a Wheel Suspension of Motor Vehicles | |
US20100007103A1 (en) | Actuator for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KR102550519B1 (en) | suspension | |
CN108215699B (en) | Vehicle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vehicle height | |
CN109654155B (en) | Full-length variable shock absorber vehicle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shock absorber | |
JP2008143436A (en) |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s | |
JP2011122644A (en) | Electromagnetic damper | |
US20240066939A1 (en) |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 |
JP4708392B2 (en) |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 |
KR100570336B1 (en) |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stroke | |
KR102473566B1 (en) | Magnetic Suspension with Pillow ball | |
JP2010025139A (en)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
KR101272753B1 (en) | Damping force variable apparatus | |
JP2008256179A (en) | Electromagnetic absorber for vehicles | |
TWM597231U (en) | Full-length height adjustable mechanism for shock absorber | |
CN219082160U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 | |
CN100387864C (en) |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s for vehicles | |
KR20180065176A (en) | Macpherson strut suspension | |
KR20090030080A (en) | Rotary Shock Absorber | |
KR20160097067A (en) | Rod guide assembly | |
KR101294500B1 (en) | Side load decreasing typed Mcphason strut suspension | |
KR100199764B1 (en) | Variable spring device for suspens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