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46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6464B1 KR102506464B1 KR1020190058410A KR20190058410A KR102506464B1 KR 102506464 B1 KR102506464 B1 KR 102506464B1 KR 1020190058410 A KR1020190058410 A KR 1020190058410A KR 20190058410 A KR20190058410 A KR 20190058410A KR 102506464 B1 KR102506464 B1 KR 102506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packet
- buffer
- expected
- siz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1—Shortest path evaluation by minimising de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DC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DC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분리된 기지국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DC를 구성하는 노드들 간의 시그널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의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노드의 상태 정보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노드에서 버퍼 상태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노드의 버퍼 상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노드가 제1 노드 또는 제2 노드로의 패킷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3 노드가 패킷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노드의 트리거 조건에 따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2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3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노드에 대한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제2 노드에 대한 제2 버퍼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노드에서의 제1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를 통한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노드에서의 제2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노드를 통한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 및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서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노드를 통해 단말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는 분할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될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노드로 전송될 제2 잔여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잔여 데이터를 상기 패킷의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잔여 데이터만이 상기 패킷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선택된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잔여 데이터가 모두 상기 패킷의 크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 및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이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선택된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2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는 상기 제1 노드에서 데이터를 버퍼링 하기 위한 기준 버퍼 크기 및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을 대기하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는 상기 제2 노드에서 데이터를 버퍼링 하기 위한 기준 버퍼 크기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전송을 대기하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잔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평균 패킷 처리량에 기초하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제3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노드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패킷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분할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3 노드가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단말에서의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노드를 통한 단말에서의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과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선택 된 경우에는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 및 상기 제1 노드에서 패킷의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버퍼 상태와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패킷 처리량 확보를 위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기준 버퍼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을 기다리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 버퍼 크기 내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서 패킷의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될 제1 잔여 데이터,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주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3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노드에 대한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제2 노드에 대한 제2 버퍼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노드에서의 제1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며 상기 제1 노드를 통한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노드에서의 제2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노드를 통한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 및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노드를 통해 단말로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는 분할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될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노드로 전송될 제2 잔여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잔여 데이터를 상기 패킷의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잔여 데이터만이 상기 패킷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선택된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잔여 데이터가 모두 상기 패킷의 크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 및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이 상기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선택된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2 잔여 데이터 및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는 상기 제1 노드에서 데이터를 버퍼링 하기 위한 기준 버퍼 크기 및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을 대기하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는 상기 제2 노드에서 데이터를 버퍼링 하기 위한 기준 버퍼 크기 및 상기 제2 노드에서 전송을 대기하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1 잔여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잔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평균 패킷 처리량에 기초하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제3 노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3 노드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패킷을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분할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3 노드가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단말에서의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노드를 통한 단말에서의 제2 예상 패킷 도착 시간과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선택 된 경우에는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제1 예상 패킷 도착 시간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의 링크 지연 및 상기 제1 노드에서 패킷의 예상 버퍼링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노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패킷 처리량 확보를 위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기준 버퍼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노드에서 전송을 기다리는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준 버퍼 크기 내에서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이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 삭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서의 상기 패킷의 예상 버퍼링 시간은 상기 제3 노드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될 제1 잔여 데이터, 상기 제1 버퍼 상태 정보 및 버퍼 상태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전송되는 주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410A KR102506464B1 (ko) | 2019-05-17 | 2019-05-17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US16/872,667 US11284461B2 (en) | 2019-05-17 | 2020-05-1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 for reducing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PCT/KR2020/006270 WO2020235851A1 (en) | 2019-05-17 | 2020-05-13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 for reducing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EP20174801.9A EP3739946B1 (en) | 2019-05-17 | 2020-05-14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 for reducing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202010411608.9A CN111954262B (zh) | 2019-05-17 | 2020-05-15 | 无线通信系统中用于控制分组传输以减少时延的方法和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410A KR102506464B1 (ko) | 2019-05-17 | 2019-05-17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606A KR20200132606A (ko) | 2020-11-25 |
KR102506464B1 true KR102506464B1 (ko) | 2023-03-06 |
Family
ID=7073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8410A Active KR102506464B1 (ko) | 2019-05-17 | 2019-05-17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284461B2 (ko) |
EP (1) | EP3739946B1 (ko) |
KR (1) | KR102506464B1 (ko) |
CN (1) | CN111954262B (ko) |
WO (1) | WO202023585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6464B1 (ko) * | 2019-05-17 | 2023-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CN112788698B (zh) * | 2020-12-23 | 2023-04-07 | 展讯半导体(成都)有限公司 |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
CN112996038A (zh) * | 2021-03-03 | 2021-06-18 | 浪潮软件科技有限公司 | 一种f1时延的动态分流方法 |
US12238808B2 (en) * | 2022-09-21 | 2025-02-25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on/off determination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41023A1 (en) * | 2013-05-15 | 2014-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7076454A1 (en) * | 2015-11-05 | 2017-05-11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Initiating measuring, reporting and/or use of secondary path delay to allocate packets or bearers among primary path and secondary path in wireless network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01496B1 (en) * | 2002-10-04 | 2005-05-31 | Adaptec, Inc. | Line rate buffer using single ported memories for variable length packets |
US7003597B2 (en) * | 2003-07-09 | 2006-02-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ynamic reallocation of data stored in buffers based on packet size |
CN1910870B (zh) * | 2004-01-09 | 2013-03-27 | 日本电气株式会社 | 负载分散方法、节点和控制程序 |
CN101534230B (zh) * | 2009-04-15 | 2012-02-01 | 中控科技集团有限公司 | 基于以太网的发送数据的方法、以太网节点及控制系统 |
KR101831281B1 (ko) | 2010-04-06 | 2018-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1873273A (zh) * | 2010-07-08 | 2010-10-27 | 华为技术有限公司 | 路由转发方法、路由节点及无线通信网络 |
CN104812003A (zh) | 2014-01-28 | 2015-07-29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用于主基站和辅基站的流控制方法和设备 |
US10237911B2 (en) | 2014-01-30 | 2019-03-19 | Intel IP Corporation |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hancements in dual-connectivity networks |
US9838282B2 (en) | 2014-05-09 | 2017-12-0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DCP and flow control for split bearer |
US9954790B2 (en) | 2014-11-04 | 2018-04-24 |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flow control in network |
PT3257321T (pt) * | 2015-03-13 | 2020-03-06 | Huawei Tech Co Ltd | Aparelho e métodos numa rede de comunicação sem fios para receção descontínua e receção de dados |
KR102411188B1 (ko) * | 2015-11-30 | 2022-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혼잡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2195546B1 (ko) * | 2016-02-12 | 2020-12-2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이중연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
US10045360B2 (en) | 2016-04-15 | 2018-08-07 | Mediatek Inc. | Macro-assisted multi-connectivity scheme in multi-RAT cellular systems |
EP3446426B1 (en) | 2016-04-19 | 2024-05-29 | Nokia Technologies Oy | Split bearer dual/multiple connectivity retransmission diversity |
CN108282825B (zh) * | 2017-01-05 | 2019-12-20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
CN110351160B (zh) * | 2018-04-08 | 2021-12-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监测业务质量的方法和装置 |
KR102506464B1 (ko) * | 2019-05-17 | 2023-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
2019
- 2019-05-17 KR KR1020190058410A patent/KR102506464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5-12 US US16/872,667 patent/US11284461B2/en active Active
- 2020-05-13 WO PCT/KR2020/006270 patent/WO202023585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5-14 EP EP20174801.9A patent/EP3739946B1/en active Active
- 2020-05-15 CN CN202010411608.9A patent/CN11195426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41023A1 (en) * | 2013-05-15 | 2014-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7076454A1 (en) * | 2015-11-05 | 2017-05-11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Initiating measuring, reporting and/or use of secondary path delay to allocate packets or bearers among primary path and secondary path in wireless network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 R2-181436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84461B2 (en) | 2022-03-22 |
CN111954262A (zh) | 2020-11-17 |
EP3739946B1 (en) | 2022-07-13 |
KR20200132606A (ko) | 2020-11-25 |
EP3739946A1 (en) | 2020-11-18 |
CN111954262B (zh) | 2024-03-15 |
WO2020235851A1 (en) | 2020-11-26 |
US20200367301A1 (en) | 2020-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0544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2022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30410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38135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wireless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75529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능력 보고 방법 및 장치 | |
US1202875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8692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506464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패킷 전송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20200045766A1 (en) | Wireless nod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74850B1 (ko) | Nr 시스템에서 mr-dc에 대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711430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조사 기반의 단말능력 식별자를 이용해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150351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for conditional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223195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UE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03256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EP355613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03316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8060674A1 (en) | Arq and harq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 |
EP413851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nditional pscell change procedur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13260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전송 경로 결정 방법 및 장치 | |
US1217104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terminal capability for multiple radio transmission schem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1005749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
EP3824663B1 (en) | Wireless nod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2771918A (zh) | 用于无线通信系统中无线节点的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 |
US20240121688A1 (en) | User equipment triggered l1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l1/l2 inter-cell mobility | |
US2025005633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 delivering ai models dur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