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194B1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Google Patents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6194B1 KR102506194B1 KR1020220111934A KR20220111934A KR102506194B1 KR 102506194 B1 KR102506194 B1 KR 102506194B1 KR 1020220111934 A KR1020220111934 A KR 1020220111934A KR 20220111934 A KR20220111934 A KR 20220111934A KR 102506194 B1 KR102506194 B1 KR 102506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urved
- elastic
- backrest
- lum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61549 Sensation of foreign bod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프레임에 곡선형 가로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로지지대에는 곡선형 지지체결부와 한 쌍의 탄력받침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요추받침구를 결합 형성하되, 곡선형 지지체결부와 탄력받침부는 서로 다른 형태의 상측곡률선과 하측곡률선을 갖는 탄력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받이 및 요추받침구에 사용자의 체중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추 각도 혹은 하중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요추받침구가 입체적으로 탄력 변형되면서 가장 최선의 형태로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므로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등받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요추 및 측부에 요추받침구가 전체적인 밀착 형태로 탄력지지되므로 불필요한 압박감이나 통증 혹은 이물감이 전혀없어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요추받침구 자체는 물론 요추받침구가 장착되는 등받이체의 가로지지대가 모두 일체로 성형 및 제작되는 구조로 인해 전체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umbar support in which a curved horizontal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ackrest frame, and a curved support fastening portion and a pair of elastic support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on the horizontal support. The coupling is formed, but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and the elastic supporting part ar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and formed by an elastic connecting part having a different shape of the upper curvature line and the lower curvature line,
In the process of the user's weight acting on the backrest and lumbar support, the lumbar suppor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user's lumbar spine or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load, supporting the user's lumbar spine in the best form, providing more comfort and comfor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use the chair with a backrest, the lumbar suppor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ser's lumbar spine and side, so there is no unnecessary pressure, pain, or foreign body sensation, which induces the correct posture and further improves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both the lumbar support itself and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backres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is mounted are integrally molded and manufactured,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resulting in cost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s well as greatly extending the service life. It has an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용 등받이체에 구비되는 요추받침구에 대한 구조적 개선 및 등받이체와 요추받침구 간의 상호 결합구조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의 하중 작용시 요추받침구의 입체적인 탄력 지지가 실현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 변화 및 하중 변화에 대응하여 더욱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등받이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rest for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lumbar support provided in the backrest for a chair and improvement of the mutual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lumbar support, when a user's load is applied to the lumbar spine As the three-dimensional elastic support of the support is configured to be realized, it is about a backrest for a chair that can be used more comfortably and comfortabl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s posture and load, while also inducing the correct posture.
일반적으로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에 수직하게 위치되되 좌판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의 일부인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받침구를 포함한다.In general, a chair with a backrest includes a seat portion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user, a back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back which is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seat portion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back portion or a separate support for the user's It includes a lumbar support that supports the lumbar spine, which is part of the back.
나아가, 사용자의 등을 편하게 지지하기 위해 등받이부를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가 좌판부의 하단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틸팅 장치가 더 구비될 경우 등받이부의 하단은 틸팅 장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부의 상단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가 기지개를 펴거나 휴식을 위해 등을 뒤로 젖힐 때 등받이부가 이에 따라 전,후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back, a tilting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the backre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chair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 and when such a tilting apparatus is further provided, the backrest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tilting device. Therefor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lower part as the center, when the user stretches or reclines his back for rest, the backrest par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ly to stably support the user's weight. can do.
이와 같은 기존의 등받이 의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0508호와 같이, 흉추와 요추가 굽어 있는 만곡상태를 받쳐주도록 절곡 구조의 좌,우측 척추 등판부와, 상기 좌,우측 척추 등판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중앙에 가로지지대를 구성하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경추를 받쳐주는 경판대와, 상기 세로지지대를 의자시트의 하단에 장착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체의 기둥인 척추 경추, 흉추, 요추를 굽어있는 만곡상태 그대로 받쳐줌으로써, 척추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척추의 변위로 인해 자연 만곡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척추를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는 척추커브를 만들어 줌으로써, 편안하고 건강한 척추를 유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의자가 등록된 바 있다.Such an existing back chair has the left and right spine back plates of a bending structure to support the curved state in which the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are bent, as shown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0508, and the vertical support for the left and right spine back plates. A support, a horizontal suppor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pport, and a neck plate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hair seat to form the spine, which is a pillar of the human body. By supporting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as they are in their curved state, it not only improves spinal health, but also creates a spinal curve that maintains a normal curve for the spine, which is not maintained in its natural curve due to displacement of the spine. There is a bar registered for a chair that has excellent effects in maintaining a healthy spine.
또한, 등록특허 제10-1044430호와 같이 사용자의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와, 등판부를 지지하는 등판부 지지대와, 등판부의 상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등판부의 상부를 등판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과, 등판부의 하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등판부에 가해지면 등판부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유닛과,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등판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요추받이와; 그리고 요추받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된 의자의 등 지지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as in Patent No. 10-1044430, it is provided between a one-bag type climbing part that suppor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back at once, a climbing part support for supporting the climbing part, and an upper part of the climbing part and a climbing part support. A fixing unit that fixes the upper part of the climbing part to the climbing part suppor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limbing part and the climbing part suppor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limbing part,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limbing part can mov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part support. an elastic unit provided, and a lumbar support that is provided on the backrest support and presses the backrest to support the user's lumbar spine; In addition, a back support device for a chair including a forward and backward moving unit that moves the lumbar support back and forth has been registered.
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422122호의 경우 두개의 등받이 외판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외판의 아래에 안락을 도모하는 요추를 받쳐주는 2개의 요추받이가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외판은 중간가로대에 탄성요소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 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탄성요소는 의자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의자등받이 중앙지점에서 상단이 고정되고, 의자등받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 중앙 하단지점에서 하단이 고정되며 중간가로대의 가로이동고정용 장공과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Then, in the case of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2122, the two backrest shell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wo lumbar supports supporting the lumbar spine promoting comfort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under the shell plate, and the backrest shell plates is coupled to the middle crosspiece by bolts as an elastic element, a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are shaped to cover the back of both sides of the waist axis of the human body, and the ball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perpendicular to the seat surface When viewed as a whole, the two backrest outer plates have a round shape like an ellipse so that the back can be supported in a row. The curved part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spine part of each shape of the outer plate of the backres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elastic element is in a trapezoidal shape to fix the chair back.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chair back, the lower end is fix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chair back, and the middle crossbar is fixed by a long hole and a bolt for fixing horizontal movement. and has been registered.
이어, 등록특허 제10-2057900호의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특정 구조의 요추지지체를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신체조건에 맞춰 요추지지체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안정적으로 인체의 요추부분이 지지된 상태로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case of Registered Patent No. 10-2057900, as a lumbar support of a specific structure is applied to the back of a chair,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and then the chair is stably supported by the lumbar part of the human body. The lumbar support structure of the back of a chair that allows people to sit on it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그러나, 기존의 등받이 의자용 요추받침구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고 제작되어 등받이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대부분 요추를 지지하는 평평한 받침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신체 구조별 혹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서의 요추 받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유동 구조의 채택으로 인해 상호 개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갖춰야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existing lumbar supports for back chairs are manufactured with a very complex structure and mounted on the back body. Since it is made so that the lumbar support can be made for each user's body structure or at the user's preferred position, the adoption of such a complex flow structure makes the configuration of mutual objects very complicated and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have high assembly and productivity. .
따라서, 요추받침구의 본질적인 역할인 효과적인 요추의 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요추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탄력적이고 가변적인 지지력을 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이 단순 유동성에 국한되어 개선되고 있어 오히려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감과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기능과 작용에는 방해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Therefore, effective lumbar support, which is the essential role of the lumbar support, has not been achieved, and although the lumbar spine should show elastic and variable support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t is limited to simple mobility as described above and is improved, rather comfortable and comfortable It is true that it interferes with the function and action of inducing a sense of use and correct posture.
특히, 요추받침구는 사용자의 요추부분에 가장 밀착하여 체중 및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는 량 혹은 각도에 따라 요추받침부도 유기적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요추 전체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야 할 것이나, 기존의 요추받침구는 대부분 플랫한 외형과 움직임을 갖고 있어 등받이의 틸팅 각도 혹은 사용자의 자세와 대응하지 못한 지지구조로 인해 오히려 이물감이나 통증 혹은 요추받침구와의 간섭으로 인한 불편함을 받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lumbar support supports the user's body weight and loa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umbar spin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lumbar supports have a flat appearance and movement, so the tilting angle of the backrest or the support structur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er's posture causes discomfort due to foreign body sensation, pain, or interference with the lumbar support. .
또한, 지나치게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원가 상승은 물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강력한 하중 및 체중이 요추받침구에 집중되는 관계로 요추받침구 자체는 물론 등받이체와의 상호 결합부의 수명이 단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상호 체결부의 느슨함이나 이격 혹은 마찰 소음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excessively complex and many components, which acts as a cause of cost increase as well as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since a relatively strong load and weight are concentrated on the lumbar support, not only the lumbar support itself but also the backrest and It is true that the lifespan of the interconnection part is shorten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oseness, separation or frictional noise of the interconnection unit continuously occurs.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등받이프레임에 곡선형 가로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로지지대에는 곡선형 지지체결부와 한 쌍의 탄력받침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요추받침구를 결합 형성하되, 곡선형 지지체결부와 탄력받침부는 서로 다른 형태의 상측곡률선과 하측곡률선을 갖는 탄력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urved horizontal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ackrest frame, and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and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umbar support in the horizontal support. However, by configuring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to be integrally connected and formed by the elastic connection part having the upper curvature line and the lower curvature line of different shapes,
매우 단순한 구조로의 개선과 함께 요추받침구에 사용자의 체중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탄력받침부가 사용자의 요추 각도 및 하중 방향이나 크기에 따라 유기적으로 탄력적인 변형과 움직임을 보이면서 가장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의 밀착 지지는 물론 사용자의 요추에 대한 가장 최선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Along with the improvement to a very simple structure, in the process of the user's weight acting on the lumbar support, the elastic support organically and elastically transforms and move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user's lumbar spine and the direction or size of the load, resulting in the most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rest for a chair having a segmented lumbar support of a 3D elastic structure, which allows the best support for the user's lumbar spine as well as close suppor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받이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사용자의 요추를 향하는 요추받침구가 장착된 의자용 등받이체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rest for a chair equipped with a lumbar support facing the user's lumbar spine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ackrest frame,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양측의 수직부 사이에 후측 방향으로 절곡된 곡선형 가로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형 가로지지대의 전면 전체에는 곡선형 가로지지대의 곡률과 대응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되, 수용홈부의 중앙에는 체결공을 갖는 결합돌출구가 형성되고 체결공의 양측에는 사각슬릿홈을 갖는 끼움안내부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The backrest frame; A curved horizontal support bent in the rearward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on both sides, and an accommoda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ved horizontal support is formed o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horizontal support, but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groove is fastene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ball is formed and fitting guides having square slit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요추받침구는; 가로지지대의 수용홈부와 대응하는 곡률과 크기를 갖는 곡선형 지지체결부가 구비되고, 곡선형 지지체결부의 전면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력받침부가 구비되며, 지지체결부와 탄력받침부는 각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탄력연결부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곡선형 지지체결부의 후측 중앙에는 전기한 결합돌출구가 삽입되게 한 결합안내홈 및 관통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결합안내홈의 양측에는 전기한 사각슬릿홈으로 삽입되게 한 슬립계지구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lumbar support; A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having a curvatur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horizontal support is provided, and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spaced apart on both sides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and the support fastening part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are attached to each end.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connection part connecting to each other, but at the center of the rear side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a coupling guide groove into which the aforementioned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penetrating fastening hole are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coupling guide groove are formed with the aforementioned square. It is formed by protruding the slip locking tool to be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본 발명은, 등받이 및 요추받침구에 사용자의 체중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추 각도 혹은 하중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요추받침구가 입체적으로 탄력 변형되면서 가장 최선의 형태로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므로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등받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요추 및 측부에 요추받침구가 전체적인 밀착 형태로 탄력지지되므로 불필요한 압박감이나 통증 혹은 이물감이 전혀없어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요추받침구 자체는 물론 요추받침구가 장착되는 등받이체의 가로지지대가 모두 일체로 성형 및 제작되는 구조로 인해 전체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user's lumbar spine in the best form while the lumbar suppor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user's lumbar spine or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load in the process of the user's body weight acting on the backrest and the lumbar suppor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use the back chair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te, the lumbar suppor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ser's lumbar spine and side, so there is no unnecessary pressure, pain, or foreign body sensation, leading to correct posture and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us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both the lumbar support itself and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backrest to which the lumbar support is mounted are integrally molded and manufactured,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as well as extending service life.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prolonging it.
또한, 양측으로 분할된 탄력받침부는 각기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지지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몸을 비틀거나 측부로 기울이는 등 일측의 탄력받침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탄력 지지해주는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바른 자세로 등을 기대거나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도 양측의 분할된 탄력받침부가 이를 균형있게 지지해주므로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part divided into two sides can support each independently and individually, so that even if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elastic support part on one side, such as when the user twists or leans to the side, it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it elastically, as well as having an upright posture. Even when leaning on the back or applying a load, the split elastic support on both sides supports it in a balanced way, so it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inducing correct posture.
특히, 기존의 요추받침구의 경우 사용자의 척추 및 좌,우 부분이 요추받침대에 직접 맞닿아 이물감이나 압박으로 인한 피로감이 있는데 반하여, 분할된 탄력받침부는 사용자의 척부 부분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어 이물감이나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경우 양측의 탄력받침부는 척추의 양측부 혹은 척추기립근을 뛰어난 탄력성으로 인한 반력을 통해 밀어주는 역할을 하여 지압 효과 및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lumbar support, the user's spine and left and right parts directly contact the lumbar support, causing a feeling of foreign body or fatigue due to pressure, whereas the divided elastic support can avoid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pine.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eeling of foreign body or fatigu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when the user leans his back, the elastic supports on both sides push the both sides of the spine or the erector spinae muscles through the reaction force due to their excellent elasticity, so that the acupressure effect And a massage effec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등받이프레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요추받침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요추받침구의 또 다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요추받침구의 하중별 작용 설명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 frame of the back suppor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support of the back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support of the back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coupling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ack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eparatio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ack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ction of the lumbar support for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등받이프레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요추받침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등받이체 중 요추받침구의 또 다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분리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rest frame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support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umbar part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eparation of the lumbar part.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체는 다양한 구조의 등받이 의자에 적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등받이 의자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가스실린더와 승강축 및 사방으로의 지지각을 갖는 하부지지체와; 쿠션재 혹은 메쉬형 좌판과; 상기 좌판의 후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 장착되는 등받이체와; 상기 좌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팔걸이체와; 상기 하부지지체 및 좌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체의 하단이 장착되는 록킹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체에 결합되는 요추받침구 자체의 구조적 개선 및 등받이체와 요추받침구 상호 간의 결합구조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특정 구조의 등받이 의자에 제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ackres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of the backrest chair. Looking at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ckrest chair, a lower support body having a gas cylinder, an elevation shaft, and support angles in all directions; a cushion material or mesh seat; a backrest body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seat plate; armrest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eat; It is composed of a locking device located between the lower support and the seat plate and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is mount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lumbar support itself coupled to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nd the lumbar support It is an improvement o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pheres, and it will not be applied to a chair with a specific structure.
이에 본 발명의 등받이체는, 등받이프레임(100)의 전면 하측에 사용자의 요추를 향하는 요추받침구(200)가 장착된 의자용 등받이체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100)은; 양측의 수직부(101)(101') 사이에 후측 방향으로 절곡된 곡선형 가로지지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전면 전체에는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곡률과 대응하는 수용홈부(111)가 형성되되, 수용홈부(111)의 중앙에는 체결공(112)을 갖는 결합돌출구(113)가 형성되고 체결공(112)의 양측에는 사각슬릿홈(114)을 갖는 끼움안내부(115)(115')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ckrest for a chair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등받이프레임(100)은 양측으로 이격된 수직부(101)(101')와 이들 수직부(101)(101')의 상,하단에 위치하는 수평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로 이루어진 사각틀체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들 수직부(101)(101')의 사이 하측에 위치하는 가로지지대(110)는 요추받침구(200)를 장착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고, 가로지지대(110) 내에 형성된 결합돌출구(113)와 끼움안내부(115)(115')는 가로지지대(110)에 요추받침구(200)를 안정적으로 결합 및 결합 상태에서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요추받침구(200)는; 가로지지대(110)의 수용홈부(111)와 대응하는 곡률과 크기를 갖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가 구비되고,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전면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력받침부(220)(220')가 구비되며,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는 각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후측 중앙에는 전기한 결합돌출구(113)가 삽입되게 한 결합안내홈(211) 및 관통의 체결공(212)이 형성되고, 결합안내홈(211)의 양측에는 전기한 사각슬릿홈(114)으로 삽입되게 한 슬립계지구(213)(213')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때, 요추받침구(200)의 지지체결부(210)는 등받이프레임(100)과 요추받침구(200)를 상호 결합 고정하는 역할과 동시에 하중이 작용하는 요추받침구(200)에 부가적인 탄력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한 쌍의 분할된 탄력받침부(220)(22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 변화에 따라 입체적으로 가변되면서 뛰어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요추 받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양측의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는 지지체결부(210)와 탄력지지부(210)(2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하중이 작용하는 탄력받침부(220)(220')가 지지체결부(210)와 연계하여 유기적으로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체중 및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전기한 요추받침구(200)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에 형성된 슬립계지구(213)(213')의 상면과 저면에는 마찰저감돌조(214)(214')를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의 슬립계지구(213)(213')는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수용홈부(111)에 형성된 끼움안내부(115)(115')의 사각슬릿홈(114)으로 삽입되어 요추받침구(200)에 작용하는 하중 변화에 따라 사각슬릿홈(114)으로부터 슬립계지구(213)(213')가 삽탈되는 바, 이러한 삽탈 과정에서 슬립계지구(213)(213')의 외면과 사각슬릿홈(114)의 내면 간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한 간섭을 감소시키고자 상기의 마찰저감돌조(214)(214')를 더 형성하여 이들 상호 간의 부드럽고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특히, 전기한 요추받침구(200)에 있어 탄력받침부(220)(220')의 상,하단은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상,하단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확장된 높이로 구성하여 보다 넓고 평평한 면을 갖고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 간 상호 높이 차는 각 선단이 단차없이 연속되게 한 상측곡률선(231)과 하측곡률선(232)을 갖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aforementioned
따라서, 본 발명의 요추받침구(200)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가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에 의해 상호 단차없이 연속되는 미려한 곡선을 갖고 일체 성형되는 것이고, 탄력받침부(220)(22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은 구간 집중 현상이나 특정 부분에서의 부하없이 요추받침구(20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지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refore, in the
이때,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의 하측곡률선(232)은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양측 하부와 탄력받침부(220)(220')의 측단 하부 사이의 공간으로 더 확장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탄력받침부(220)(220')의 지지력이 상,하부에서 각기 달리 작용하도록 형성한 것으로, 탄력받침부(220)(220')에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탄력받침부(220)(220')는 외측단의 탄력연결부(230)(230')를 기점으로 내측단이 후측으로 밀리면서 탄력 변형을 하게 될 것인데,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 선단과 지지체결부(210)의 외측 선단을 단순히 곡선 형태로 연결한 상측곡률선(231)과 달리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 하단과 지지체결부(210)의 외측 하단은 상대적으로 두껍고 내측으로 융출된 형태의 하측곡률선(232)으로 연결되어 있어, 탄력받침부(220)(220')에 하중이 작용하면 탄력받침부(220)(220')의 하측에 비해 상측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젖혀지는 형태의 움직임을 갖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는, 사용자가 상체를 후측으로 젖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등 각도에 맞춰 탄력받침부(220)(220')의 상측이 좀 더 쉽게 젖혀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 상,하부 전체가 고른 탄력성을 갖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다양한 요추받침구는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면 요추받침구 전체에서의 균일한 반력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요추 하부에 비하여 요추 상부가 더욱 심한 반력을 받을 수 밖에 없어 그로 인한 압박이나 통증이 집중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므로, 상기와 같이 상측곡률선(231)에 비해 하측곡률선(232)이 더 확장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탄력받침부(220)(22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체 각도에 따라 탄력받침부(220)(220')의 상측이 좀 더 쉽게 젖혀지면서 사용자의 요추 상,하부에 대한 탄력받침부(220)(220')의 탄력적인 지지 반력이 더욱 고르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upper part of the
이어, 상기 탄력받침부(220)(220')의 하단 전체에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의 하측곡률선(232)과 연결되는 보강리브부(221')(221')를 하측으로 더 돌출 형성하여 탄력받침부(220)(220')의 하측이 횡방향으로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보강리브부(221)(221')에 의해 탄력받침부(220)(220')의 하단 가로 부분은 상단 가로 부분에 비하여 탄력도가 떨어질 것이므로 역설적으로 사용자의 체중 및 하중이 탄력받침부(220)(220')에 작용하게 되면 탄력받침부(220)(220')의 상단 즉, 이와 맞닿는 사용자의 요추 상부는 부드러운 변형을 갖는 탄력받침부(220)(220')의 상단에 의해 상대적으로 물렁하게 탄력 지지되고 사용자의 요추 하부는 상대적으로 강력한 탄력 지지력을 갖는 탄력받침부(220)(220')의 하단에 의해 좀 더 하드하게 탄력 지지될 것이다.Subsequently, reinforcing ribs 221' and 221' connected to the
따라서, 곡선형 지지체력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를 이어주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의 하측곡률선(232)과 상기의 보강리브부(221)(221')는 평판 형태로 된 탄력받침부(220)(220')에 사용자의 상체 젖힘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허리와 가까운 동시에 움직임이 크지 않은 사용자의 요추 하부는 좀 더 강력한 탄력 지지력을 받게 하고 허리와 먼 동시에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큰 사용자의 요추 상부는 부드러운 탄력 지지력이 점진적으로 상승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형태의 탄력 지지력이 요추 전체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또한, 양측 끝단이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를 통해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에 연결 성형된 형태로 구성된 한 쌍의 탄력받침부(220)(220')는 상호 대향측 끝단이 이격된 분할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양측 탄력받침부(220)(220')에 체중 및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분할된 탄력받침부(220)(220')의 내측단이 가장 빠르게 후측으로 밀리게 될 것이고 이러한 내측단의 후퇴 변형은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단이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에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가 상체를 젖히거나 하중을 가하는 경우 한 쌍의 탄력받침부(220)(220')는 본 발명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요추 부분 전체에 고른 형태의 탄력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요추 전체를 감싸듯 안정적인 밀착력을 동시에 제공하므로 더욱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air of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요추받침구(200)의 탄력받침부(220)(220') 상호 대향측 끝단에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를 향하는 굴곡단부(222)(222')를 더 형성함에 따라 탄력받침부(220)(220')의 끝단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뾰족하게 가압하여 이물감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Subsequently, at the mutually opposite ends of the elastic supporting
따라서, 양측으로 분할된 탄력받침부(220)(220')는 각기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체중 및 하중 지지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몸을 비틀거나 측부로 기울이는 등 일측의 탄력받침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탄력 지지해주는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바른 자세로 등을 기대거나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도 양측의 분할된 탄력받침부(220)(220')가 이를 균형있게 지지해주므로 척추 측만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에 본 발명의 등받이체에 사용자의 체중 및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하중의 초기 작용 상태에서는 도 8의 (a)와 같이 가장 탄력도가 우수한 탄력받침부(220)(220')의 내측 끝단이 후측으로 밀리면서 변형을 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탄력받침부(220)(220')는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포함하여 허리 전체를 감싸듯 밀착되기 시작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s body weight and load act on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itial state of application of the load, the inner ends of the
이어, 사용자가 상체를 등받이에 더욱 밀착시키거나 상체를 후측으로 젖히게 되면 탄력받침부(220)(220')에는 더욱 강력한 하중이 작용하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탄력받침부(220)(220')의 내측 끝단이 더욱 후측으로 밀리게 될 것인데, 탄력받침부(220)(220')의 내측 끝단이 후측으로 밀려나갈수록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 끝단은 오히려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형태의 움직임을 갖게 되는 것으로 이는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평면상 만곡 형상으로 인해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 단부에 대한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력이 증대될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brings the upper body more closely to the backrest or tilts the upper body to the rear side, a stronger load will be applied to the elastic supporting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 및 하중이 작용하는 초기 시점에서의 탄력받침부(220)(220')는 상호 대향측 끝단이 단순히 후퇴하면서 탄력적인 지지력을 점진적으로 증대시키다가 사용자의 체중이 강력하게 작용하거나 사용자의 상체가 후측으로 젖혀지는 형태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탄력받침부(220)(220')의 상호 대향 내측 끝단은 더욱 후퇴하는 동시에 탄력받침부(220)(220')의 외측 끝단부는 도 8의 (b)와 같이 오히려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형태의 작용을 보이면서 사용자의 요추 전체를 둘러싸듯 감싸면서 탄력적인 반력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initial point in time when the user's weight and load act, the
이때, 요추받침구(200)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에 돌출 형성된 슬립계지구(213)(213')는 등받이프레임(100)의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에 형성된 사각슬릿홈(114) 내에 상호 이탈없이 슬라이딩되면서 곡선형 지지체결부(210)가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고, 요추받침구(200)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 자체는 등받이프레임(100)의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에 형성된 수용홈부(111) 내에서 상호 이탈없이 전,후 방향으로만 변형되는 것으로, 중앙 단일 지점의 체결공(112) 및 체결공(212)에 의해 가로지지대(110)에 지지체결부(210)가 결합되어 있더라도 지지체결부(210)가 수용홈부(111) 내에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지지체결부(210)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지지체결부(210)는 수용홈부(111)로부터 이탈되어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없는 결합 상태를 연출하는 동시에 상호 체결부를 제외하고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 양끝단에서 전방 내측으로의 자유로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lip locking strips 213 and 213' protruding from the curved
여기서, 등받이프레임(100)의 곡선형 가로지지대(110) 수용홈부(111) 중앙에 형성된 결합돌출구(113)는 요추받침구(200)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 중앙에 형성된 결합안내홈(211)으로 삽입되어 이들 결합돌출구(113)에 형성된 체결공(112)으로 결합안내홈(211)에 형성된 체결공(212)을 통해 별도 구비의 고정볼트(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등받이프레임(100)에 대한 요추받침구(200)의 간단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결합돌출구(113)와 결합안내홈(211)의 상호 계지 결합력에 의해 요추받침구(200)는 가로지지대(110)에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조립 및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탄력받침부(220)(220') 및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순차적이고 유기적인 변형으로 인한 입체적인 탄력 지지력과 동시에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를 연결하는 상측곡률선(231) 및 하측곡률선(232)과 보강리브부(221)(221')로 인해 상기의 탄력받침부(220)(220')는 상측이 하측에 비해 보다 부드럽고 쉽게 젖혀지면서 사용자의 상체 각도와 대응하여 탄력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탄력받침부(220)(220')는 사용자의 요추 전체를 압박하듯 감싸며 탄력받침부(220)(220') 전체면에서 고른 반력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체중 및 하중의 크기와 비례하는 형태의 탄력성을 연출할 것이므로 사용자는 더욱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추 전체에 대한 고른 상태의 탄력 지지력으로 인해 더욱 올바른 자세로 등받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elastic supporting force due to the sequential and organ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supporting
또한, 본 발명의 요추받침구(200)는 단일 개체의 성형물로 이루어져 있어 단일 개체의 요추받침구(200)를 등받이프레임(100)의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에 단순히 원포인트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요추받침구(200)에 대한 장착 및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조립 생산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등받이체 혹은 의자 전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특히, 기존의 요추받침구의 경우 사용자의 척추 및 좌,우 부분이 요추받침대에 직접 맞닿아 이물감이나 압박으로 인한 피로감이 있는데 반하여, 분할된 탄력받침부(220)(220')는 사용자의 척추 부분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어 척추 부분에서의 이물감이나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경우 양측의 탄력받침부(220)(220')는 척추의 양측부 혹은 척추기립근을 탄력받침부(220)(220')가 갖는 고도의 탄력성으로 인한 반력을 통해 반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척부 부분 전체에 대한 지압 효과 및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lumbar support, the user's spine and left and right par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umbar support, and there is a feeling of foreign body or fatigue due to pressure, whereas the divide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0 : 등받이프레임 101,101' : 수직부
110 : 곡선형 가로지지대 111 : 수용홈부
112 : 체결공 113 : 결합돌출구
114 : 사각슬릿홈 115,115' : 끼움안내부
200 : 요추받침구
210 : 곡선형 지지체결부 211 : 결합안내홈
212 : 체결공 213,213' : 슬립계지구
214,214' : 마찰저감돌조
220,220' : 탄력받침부 221,221' : 보강리브부
222,222' : 굴곡단부
230,230' : 곡선형 탄력연결부 231 : 상측곡률선
232 : 하측곡률선100: back frame 101,101 ': vertical part
110: curved horizontal support 111: receiving groove
112: fastening hole 113: coupling protrusion
114: square slit groove 115,115': fitting guide
200: lumbar support
210: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1: coupling guide groove
212: fastening hole 213,213': slip system district
214,214': friction reduction protrusion
220,220': elastic supporting part 221,221': reinforcing rib part
222,222': bent end
230,230': curved elastic connection part 231: upper curvature line
232: lower curvature line
Claims (5)
상기 등받이프레임(100)은; 양측의 수직부(101)(101') 사이에 후측 방향으로 절곡된 곡선형 가로지지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전면 전체에는 곡선형 가로지지대(110)의 곡률과 대응하는 수용홈부(111)가 형성되되, 수용홈부(111)의 중앙에는 체결공(112)을 갖는 결합돌출구(113)가 형성되고 체결공(112)의 양측에는 사각슬릿홈(114)을 갖는 끼움안내부(115)(115')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요추받침구(200)는; 가로지지대(110)의 수용홈부(111)와 대응하는 곡률과 크기를 갖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가 구비되고,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전면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탄력받침부(220)(220')가 구비되며,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는 각 끝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후측 중앙에는 전기한 결합돌출구(113)가 삽입되게 한 결합안내홈(211) 및 관통의 체결공(212)이 형성되고, 결합안내홈(211)의 양측에는 전기한 사각슬릿홈(114)으로 삽입되게 한 슬립계지구(213)(213')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In the backrest for a chair in which the lumbar support 200 facing the user's lumbar spine is mount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ackrest frame 100,
The backrest frame 100; The curved crossbar 110 bent in the rearward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101 and 101' on both sides, and the curved crossbar 110 is formed o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crossbar 110. An accommodating groove 111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is formed, and a coupling protrusion 113 having a fastening hole 11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and a square slit groove 11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112. The fitting guides 115 and 115' having a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umbar support 200; A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having a curvatur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of the horizontal support 110 is provided, and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spaced apart on both sides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220) (220') is provided, and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220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urved elastic connection part 230 (230') connecting each end to each other. It is integrally formed, but at the center of the rear side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a coupling guide groove 211 into which the aforementioned coupling protrusion 113 is inserted and a through-through coupling hole 212 are formed, and the coupling guide groove ( 211), a backrest for a chair having a divided type lumbar support of a 3D elastic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locking strips 213 and 213' inserted into the aforementioned square slit groove 114 are formed protrudingly. sifter.
요추받침구(200)의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에 형성된 슬립계지구(213)(213')는, 상면과 저면에 마찰저감돌조(214)(214')를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lip restraints 213 and 213' formed in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of the lumbar support 200 are configured by further protruding the friction reducing protrusions 214 and 214'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backrest for a chair having a split type lumbar support with a 3D elastic structure.
탄력받침부(220)(220')의 상,하단은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상,하단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확장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상호 높이 차를 갖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와 탄력받침부(220)(220')는 각 선단이 단차없이 연속되게 한 상측곡률선(231)과 하측곡률선(232)을 갖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되,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의 하측곡률선(232)은 곡선형 지지체결부(210)의 양측 하부와 탄력받침부(220)(220')의 측단 하부 사이의 공간으로 더 확장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supports 220 and 220' are configured to have heights extend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compar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and the curved support having such a mutual height difference.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elastic supporting part 220, 220' are curved elastic connecting parts 230, 230' having an upper curvature line 231 and a lower curvature line 232 so that each tip is continuous without a step. To be mutually elastically connected by
The lower curvature lines 232 of the curved elastic connecting parts 230 and 230' further expand and connect 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and the lower parts of the side ends of the elastic supporting parts 220 and 220'. A backrest for a chair having a split type lumbar support of a 3D elastic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탄력받침부(220)(220')의 하단 전체에는 곡선형 탄력연결부(230)(230')의 하측곡률선(232)과 연결되는 보강리브부(221')(221')를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According to claim 3,
Reinforcing ribs 221' and 221' connected to the lower curvature line 232 of the curved elastic connection parts 230 and 230' are further protruded from the entire lower end of the elastic supporting part 220 and 220'. A backrest for a chair having a split-type lumbar support of a 3D elastic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ituted by
요추받침구(200)의 탄력받침부(220)(220') 상호 대향측 끝단에는 곡선형 지지체결부(210)를 향하는 굴곡단부(222)(222')를 더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s of the elastic supporting parts 220 and 220' of the lumbar support 200, curved ends 222 and 222' toward the curved support fastening part 210 are further formed and configured. A backrest for a chair with a split lumbar support of a 3D elastic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934A KR102506194B1 (en) | 2022-09-05 | 2022-09-05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934A KR102506194B1 (en) | 2022-09-05 | 2022-09-05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6194B1 true KR102506194B1 (en) | 2023-03-07 |
Family
ID=8551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1934A Active KR102506194B1 (en) | 2022-09-05 | 2022-09-05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61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025314A1 (en) * | 2022-07-21 | 2024-01-25 | Lear Corporation | Seat assembly and support portio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508Y1 (en) | 2001-02-08 | 2001-07-19 | 강규수 | Spine easing chair |
US20030111886A1 (en) * | 2000-09-28 | 2003-06-19 | Formway Furniture Limited | Lumbar support |
KR200422122Y1 (en) | 2006-04-27 | 2006-07-24 | 차석출 | Lumbar backrest |
KR200423242Y1 (en) * | 2006-03-06 | 2006-08-04 | 차석출 | Structure of chair back |
KR100840205B1 (en) * | 2007-01-12 | 2008-06-23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Back support device of chair |
KR20090114223A (en) * | 2008-04-29 | 2009-11-03 | 박영숙 | Backrest structure of chair |
KR101044430B1 (en) | 2009-09-25 | 2011-06-27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Back support device for chair including lumbar support |
JP2014188027A (en) * | 2013-03-26 | 2014-10-06 | Toyo Kogei:Kk | Chair |
KR101733982B1 (en) * | 2016-12-19 | 2017-05-10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including lumbar support |
KR102057900B1 (en) | 2019-07-22 | 2019-12-20 | 주식회사 듀오백 | Lumbar supporting structure for back-rest of chair |
KR102331113B1 (en) * | 2021-07-20 | 2021-12-01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
-
2022
- 2022-09-05 KR KR1020220111934A patent/KR1025061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1886A1 (en) * | 2000-09-28 | 2003-06-19 | Formway Furniture Limited | Lumbar support |
KR200230508Y1 (en) | 2001-02-08 | 2001-07-19 | 강규수 | Spine easing chair |
KR200423242Y1 (en) * | 2006-03-06 | 2006-08-04 | 차석출 | Structure of chair back |
KR200422122Y1 (en) | 2006-04-27 | 2006-07-24 | 차석출 | Lumbar backrest |
KR100840205B1 (en) * | 2007-01-12 | 2008-06-23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Back support device of chair |
KR20090114223A (en) * | 2008-04-29 | 2009-11-03 | 박영숙 | Backrest structure of chair |
KR101044430B1 (en) | 2009-09-25 | 2011-06-27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Back support device for chair including lumbar support |
JP2014188027A (en) * | 2013-03-26 | 2014-10-06 | Toyo Kogei:Kk | Chair |
KR101733982B1 (en) * | 2016-12-19 | 2017-05-10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including lumbar support |
KR102057900B1 (en) | 2019-07-22 | 2019-12-20 | 주식회사 듀오백 | Lumbar supporting structure for back-rest of chair |
KR102331113B1 (en) * | 2021-07-20 | 2021-12-01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025314A1 (en) * | 2022-07-21 | 2024-01-25 | Lear Corporation | Seat assembly and support portion |
US11958391B2 (en) * | 2022-07-21 | 2024-04-16 | Lear Corporation | Seat assembly and support por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72266B2 (en) | Chair | |
JP7594046B2 (en) | Posture support device | |
JP2017200599A5 (en) | ||
JP2016073692A5 (en) | ||
KR102506194B1 (en)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
KR101135969B1 (en) | Back for chair | |
JP2020058759A (en) | Chair | |
KR102023461B1 (en) | chair | |
KR200422122Y1 (en) | Lumbar backrest | |
CN112826263B (en) | Chair structure | |
KR102138836B1 (en) |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 |
KR20060125338A (en) | Chair back angle adjuster | |
KR100772167B1 (en) | Chair with auxiliary backrest | |
KR102296210B1 (en) | Backrest tilting chair | |
CN108471881A (en) | For chair or the movement backrest of seat | |
KR102506195B1 (en) |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 |
KR100734166B1 (en) | Adjustable chair according to body type | |
JP2007151582A (en) |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 |
KR102574254B1 (en) | Backrest frame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elastic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 |
JP2012143634A (en) |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 |
JP2013123453A (en) | Curvature changing mechanism of body support structure for chair | |
KR200445660Y1 (en) | chair | |
KR200428245Y1 (en) | Chair backrest | |
JP7693314B2 (en) | Chairs and their backs | |
KR200277733Y1 (en) | Finger-pressure type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