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6082B1 -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082B1
KR102506082B1 KR1020220003857A KR20220003857A KR102506082B1 KR 102506082 B1 KR102506082 B1 KR 102506082B1 KR 1020220003857 A KR1020220003857 A KR 1020220003857A KR 20220003857 A KR20220003857 A KR 20220003857A KR 102506082 B1 KR102506082 B1 KR 10250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penetrating material
storage unit
agricultural produc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8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농산물과 농산물에 투입하기 위한 침투물질을 함께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침투 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Agricultural products penetrating material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원발명은 농산물인 과일 또는 채소에 다른 첨가물을 과일 또는 기타농산물에 첨가하는 발명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도9에 도시한 바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감 과일주 제조공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실시예는 홍국균의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와; 감 파쇄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유기산과 SO2를 첨가하여 멸균하는 단계와; 포도당을 사용하는 가당공정 단계와; 모나스커스 퍼프리우스 홍국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1차 홍국 발효공정 단계와; 착츱 및 박분리공정 단계와;
2차 효모 발효공정 단계와; 복분자와 산머루 10~20%를 첨가하여 14일간 발효하는 단계와; 여과 및 숙성 단계와; 장기 저장공정 단계로 구성된다.
배경이 되는 기술의 다른 실시예는 홍국균의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와;
감 파쇄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유기산과 SO2를 첨가하여 멸균하는 단계와;
포도당을 사용하는 가당공정 단계와;
모나스커스 퍼프리우스 홍국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1차 홍국 발효공정 단계와; 착츱 및 박분리공정 단계와;
2차 효모 발효공정 단계와;여과 및 숙성 단계와;
산머루, 복분자를 95% 주정에 침지시켜 얻은 안토시안 추출물을 직접 첨가하는 단계와; 장기 저장공정 단계로 구성된다.
배경이 되는 기술의 홍국균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은 모나스커스 퍼프리우스(Monascus purpureus) KCCM60170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배양한 것을 종균으로 사용하고 효모균은 독일에서 수입판매되는 wine용 시중 효모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과일 또는 과일즙을 다른 식품첨가물로 삽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이에 대하여 다른 첨가물을 과일 등에 첨가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40342(2018.03.20)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0928461(2009.1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산물 식품의 내부로 농산물 식품의 함유된 성분 또는 이외에 부족한 성분 또는 첨가된 기능성 성분인 맛을 내는 성분, 향을 내는 성분, 색을 내는 성분,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물질 ,식품 첨가물 등을 침투시켜 기존에 식품보다 부족한 성분 또는 좋은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농산물과 농산물에 투입하기 위한 침투물질을 함께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침투 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를 구성한다.
제2실시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농산물을 저장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구성하는 주입액저장부;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는 동안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에 초음파발생부를 더 구성하여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입액저장부에 초음파발생부를 더 구성하여 주입액인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입액저장부에 초음파발생부를 더 구성하여 주입액인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농산물에 투입되지 않고 남은 여분의 상기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회수용저장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입액저장부는 상기 침투물질을 저장하는 주입액원료저장부와 상기 주입액원료저장부에 상기 침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고 액체화 하는데 사용하는 원수저장부를 더 구성하여 자동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주입액저장부에 상기 침투물질을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수저장부에 초음파 발생부 및/또는 버블발생부를 구성하여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로는 하기와 같은 방법을 가진다.
농산물과 농산물에 투입하기 위한 침투물질을 함께 챔버트레이에 넣고 챔버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진공단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목표 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 후에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저감수단을 통하여 진공도를 저감하는 감압단계;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침투단계;
상기 침투단계 후에 상기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상기 진공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상기 감압단계 및 상기 침투단계를 반복하여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을 가진다.
제4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농산물을 챔버트레이에 넣고 챔버에 저장하는 농산물저장단계;
상기 챔버에 주입액저장부를 통하여 침투물질을 상기 농산물에 공급하는 주입액공급단계;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진공단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목표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 후에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저감수단을 통하여 진공도를 저감하는 감압단계;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침투단계;
상기 침투단계 후에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상기 진공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상기 감압단계 및 상기 침투단계를 반복하여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산물 식품의 내부로 농산물 식품의 함유된 성분 또는 이외에 부족한 성분 또는 첨가된 기능성 성분인 맛을 내는 성분, 향을 내는 성분, 색을 내는 성분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물질 ,식품 첨가물 등을 침투시켜 기존에 식품보다 부족한 성분 또는 좋은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원발명의 전체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챔버의 내부에 트레이로 쌓아올리는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진공펌프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나노버불기 및 원수저장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초음파발생기를 보이는 도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원발명의 방법발명에 대한 순서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농산물과 농산물에 투입하기 위한 침투물질(170)을 함께 저장하는 챔버(100)를 구성한다.
챔버에는 챔버트레이(180)를 구성하여 공간안에 농산물이 자체 농산물로 인하여 하중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많은 양의 농산물을 한꺼번에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농산물은 포도, 대추,사과, 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침투물질(170)은 농산물이 맛이 없는 경우에 더 맛을 내는 성분을 의미한다.뿐만 아니라, 향을내는 성분, 색을 내는 성분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물질 ,기타 식품 첨가물 등을 의미한다.
상기 챔버(100)의 농산물에 침투 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0)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300)를 구성한다.
상기 진공펌프(300)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도록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를 구성한다.
제2실시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농산물을 저장하는 챔버(100)를 구성한다.
상기 챔버(100)에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도록 주입액저장부(500)를 구성하여 자동으로 농산물에 주입액을 챔버(100)에 주입하는 것이다.
상기 챔버(100)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0)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300)를 구성한다. 진공을 시키는 이유는 농산물이 확장되어 침투물질(170)이 투입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진공펌프(300)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을 가진다.
진공저감수단은 밸브를 통하여 공기를 서서히 주입하여 진공압력을 점차 대기압에 이르기 까지 밸브를 일정한 정도로 개방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100)에 초음파발생부(900)를 더 구성하여 상기 침투물질(170)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입액저장부(500)에 초음파발생부(900)를 구성한다.
원수저장부(700)에는 버블발생부(800)를 더 구성하여 주입액인 상기 침투물질(170)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주입액저장부(500)에 버불발생부를 둘 경우에는 버블이 너무 많이 발생하여 침투물질(170)이 농산물에 침투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농산물에 투입되지 않고 남은 여분의 상기 침투물질(170)을 회수하는 회수용저장부(400)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액저장부(500)는 상기 침투물질(170)을 저장하는 주입액원료저장부(600)와 상기 주입액원료저장부(600)에 상기 침투물질(170)의 농도를 조절하고 액체화 하는데 사용하는 원수저장부(700)를 더 구성하여 자동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주입액저장부(500)에 상기 침투물질(170)을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수저장부(700)에 버블발생부(800)를 구성하여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를 구성한다.
도면4 내지 도면6에서는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실제구성의 일부를 보인다.
제4도는 진공펌프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나노버불기 및 원수저장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초음파발생기를 보이는 도이다.
제3실시예로는 하기와 같은 방법을 가진다.
농산물과 농산물에 투입하기 위한 침투물질(170)을 함께 챔버트레이에 넣고 챔버(1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50)를 가진다.
상기 챔버(100)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0)를 진공펌프(300)로 진공시키는 진공단계(S300)를 가진다.
상기 진공펌프(300)의 가동 후에 목표 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S400)를 가진다.
상기 진공유지단계(S400) 후에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저감수단을 통하여 진공도를 저감하는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가짐으로써 침투물질(170)이 서서히 침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170)을 더 잘 투입하도록 하는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가진다.
상기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 후에 상기 진공펌프(300)로 진공시키는 상기 진공단계(S300), 상기 진공유지단계(S400),상기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반복하여 농산물에 원하는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을 가진다.
제4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제4실시예는 주입액저장부에서 침투물질(170)을 자동으로 주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농산물을 챔버트레이에 넣고 챔버(100)에 저장하는 농산물저장단계(S100)를 가진다.
상기 챔버(100)에 주입액저장부(500)를 통하여 침투물질(170)을 상기 농산물에 공급하는 주입액공급단계(S200)를 가진다.
원수저장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침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침투물질농도조정단계(S220)를 가진다.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원수저장부에 초음파발생기와 버블발생부를 부가하는 초음파 및 버블발생단계(S240)를 가진다.
상기 챔버(100)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0)를 진공펌프(300)로 진공시키는 진공단계(S300)를 가진다.
상기 진공펌프(300)의 가동 후에 목표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S400)
상기 진공유지단계(S400) 후에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저감수단을 통하여 진공도를 저감하는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가진다.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도록 하는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가진다.
상기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 후에 진공펌프(300)로 진공시키는 상기 진공단계(S300)와 상기 진공유지단계(S400), 상기 감압단계 및 침투단계(S500)를 반복하여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170)이 투입하도록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을 가진다.
다음으로는 농산물에 투입되지 않고 남은 여분의 상기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회수용저장부를 더 구성하여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침투물질회수단계(S600)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산물 식품에 투입물질을 침투시키기 위해 압력과 초음파 및/또 는 나노버블을 이용하여 음파와 나노화된 입자를 만들어 용매가 물과 잘 희석 되게 해서 세포 조직 안으로 잘 침투될 수 있고 또한 각종 세균을 사멸하여 보전기간을 길게 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을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 실시예로는 물 1ton당 나노버블 압력은 0.1kg/㎠ ~ 0.8kg/㎠ 로 30분간 작동하고 초음파의 진동수는 10,000 ~ 15,000㎐ 범위내에서 30분동안 작동한다.
밀폐된 진공 챔버안에 있는 농산물 또는 식품에 기능성 성분을 호스 또는 노즐을 통해 1~3kgf/㎠ 수압으로 1 ~10회 수차례에 걸쳐 살포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이다.
진공펌프(300)를 통해 진공 챔버(100) 안에서 진공을 0.1bar 로 1~3분간 유지하는 단계를 가진다.
진공이 된 챔버(100)에서 드레인 밸브(미도시)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 압력을 대기압으로 점차 진공도를 없애는 단계로 구성한다.
진공챔버(130)는 진공펌프(300)로 챔버안을 원하는 진공도를 이루기 위하여 진공도측정기(350)을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에는 농산물을 진공챔버에 삽입하였다가 서서히 진공도를 낯추자가 대기압과 동일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시 진공펌프(300)로 진공도를 반복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밀폐된 진공 챔버안에 있는 농산물 또는 식품에 기능성 성분을 호스 또는 노즐을 통해 1~3kgf/㎠ 수압으로 1 ~10회 수차례에 걸쳐 살포하는 단계를 가진다.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 챔버(100) 안에서 진공도를 0.2bar 로 1~3분간 유지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1차례 또는 수차례 반복하게 된다.
진공단계에서 농산물에 침투물질이 투입이 되며,
이와 같이 진공단계와 대기압단계를 반복하면서 농산물에 침투물질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과일또는 타종류의 식품인 경우 예를 들면 대추일 경우와 사과일경우의 경도가 각각 상이하여 침투물질(170)을 투입하는 양이 달라질 수 있고 진공도는 각각 식품에 따라 달라진다.
진공도를 너무 높이면 침투물질(170)이 침투되기에는 용이한 상태로 변화되지만 식품의 보존기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침투물질(170)이 침투하기에 용이한 점이 있다.
보존기간, 침투물질(170)의 양과 식품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압력과 진공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진공 챔버에서 드레인 밸브(15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점차 대기압으로 내리는 단계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챔버 130:진공챔버 150:드레인밸브
160:농산물 170:침투물질 180:챔버트레이
300:진공펌프 350:진공도측정기
400:회수용저장부 500:주입액저장부 600:주입액원료저장부
700:원수저장부 800:버블발생부 900:초음파발생부

Claims (5)

  1. 농산물을 저장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주입액저장부를 구성하며,
    상기 챔버에는 챔버트레이를 복수개 구성하여 상기 챔버트레이의 공간 안에 농산물이 자체 농산물로 인하여 하중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많은 양의 농산물을 한꺼번에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주입액저장부는 상기 침투물질을 저장하는 주입액원료저장부와 상기 주입액원료저장부에 상기 침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고 액체화하는데 사용하는 원수저장부를 더 구성하여 자동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주입액저장부에 상기 침투물질을 저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원수저장부에 초음파발생기와 버블발생부를 구성하여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진공도를 유지하고 그후에는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면서 진공도를 저감하는 진공저감수단과
    상기 진공저감수단으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하면서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구성하며,
    농산물에 투입되지 않고 남은 여분의 상기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회수용저장부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초음파발생부를 더 구성하여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액저장부에 초음파발생부를 더 구성하여 주입액인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잘 투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장치.
  4. 삭제
  5. 농산물을 챔버트레이에 넣고 챔버에 저장하는 농산물저장단계;
    상기 챔버에 주입액저장부를 통하여 침투물질을 상기 농산물에 공급하는 주입액공급단계;
    원수저장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침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침투물질농도조정단계;
    상기 침투물질이 농산물에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원수저장부에 초음파발생기와 버블발생부를 부가하는 초음파 및 버블발생단계;
    상기 챔버의 농산물에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를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진공단계;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 후에 목표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 후에 서서히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저감수단을 통하여 진공도를 저감하는 감압단계;
    상기 감압단계로 인하여 대기압에 도달할 때까지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는 침투단계;
    상기 침투단계 후에 진공펌프로 진공시키는 상기 진공단계, 상기 진공유지단계,상기 감압단계 및 상기 침투단계를 반복하여 농산물에 원하는 상기 침투물질을 투입하도록 하되,
    농산물에 투입되지 않고 남은 여분의 상기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회수용저장부를 더 구성하여 침투물질을 회수하는 침투물질회수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KR1020220003857A 2022-01-11 2022-01-11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Active KR10250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57A KR102506082B1 (ko) 2022-01-11 2022-01-11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57A KR102506082B1 (ko) 2022-01-11 2022-01-11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082B1 true KR102506082B1 (ko) 2023-03-06

Family

ID=8551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57A Active KR102506082B1 (ko) 2022-01-11 2022-01-11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461B1 (ko) 2008-08-13 2009-11-25 양촌감 영농조합법인 복분자, 산머루를 첨가한 감 과일주와 그 제조방법
JP2011244807A (ja) * 2009-07-19 2011-12-08 Project Japan:Kk 調味液及び食品の調味方法
KR20130013897A (ko) * 2011-07-29 2013-02-06 배성원 역삼투압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기능성 과일 및 제조방법
KR20150039323A (ko) * 2013-10-02 2015-04-10 최연홍 소형 순간 절임 장치
KR101840342B1 (ko) 2015-12-01 2018-03-20 남광호 생과일 식감이 살아있는 떡의 제조방법
KR102153854B1 (ko) * 2020-03-26 2020-09-09 오영화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45079B1 (ko) * 2020-10-13 2021-04-26 오영화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58060B1 (ko) * 2021-10-19 2022-02-08 (주)에스엔피시스템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461B1 (ko) 2008-08-13 2009-11-25 양촌감 영농조합법인 복분자, 산머루를 첨가한 감 과일주와 그 제조방법
JP2011244807A (ja) * 2009-07-19 2011-12-08 Project Japan:Kk 調味液及び食品の調味方法
KR20130013897A (ko) * 2011-07-29 2013-02-06 배성원 역삼투압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기능성 과일 및 제조방법
KR20150039323A (ko) * 2013-10-02 2015-04-10 최연홍 소형 순간 절임 장치
KR101840342B1 (ko) 2015-12-01 2018-03-20 남광호 생과일 식감이 살아있는 떡의 제조방법
KR102153854B1 (ko) * 2020-03-26 2020-09-09 오영화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45079B1 (ko) * 2020-10-13 2021-04-26 오영화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58060B1 (ko) * 2021-10-19 2022-02-08 (주)에스엔피시스템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36B1 (ko)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US11992025B2 (en) Myceliated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myceliated products from cacao and other agricultural substrates
US12120987B2 (en)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myceliated high protein food compositions
EP2986159B1 (en) Myceliated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myceliated products from cacao and other agricultural substrates
CN104805023B (zh) 蜜环菌菌剂的制备方法及该方法制成的蜜环菌菌剂
US20150257405A1 (en) Myceliated Coffe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Myceliated Coffee Products
TWI629354B (zh) 活化發酵的製程及使用該製程製備發酵液和飲料
US20170342358A1 (en) Ferment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Hawthorn Fermented Beverage
CN103300330A (zh) 一种发酵泡辣椒的生产加工工艺
KR102506082B1 (ko)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KR20030026140A (ko) 발아곡물 및 식이섬유 원료를 이용한 버섯 균사체(菌絲體)생산방법
KR101995957B1 (ko) 과일 식초의 제조방법
KR101293499B1 (ko) 어류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식초
AU2010309705A1 (en) Vineyard culture method enabling the yeasts thereof to be obtained for high sugar and alcohol content fermentation
Eddy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 by submerged cultivation
CN112998245A (zh) 一种利用副干酪乳杆菌发酵的酸辣香菇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820571B1 (ko) 발효균 혼합체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JPH099928A (ja) 2段階発酵法による野菜発酵飲料の製造方法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101958171B1 (ko) 자연발효 식초를 원초로 한 과일식초 제조방법
EP2665379B1 (en) Method for processing non-pasteurized grape juices to prepare soft wines and the product obtained thereby
KR101478195B1 (ko) 허니식초의 제조방법
KR101645801B1 (ko) 버섯재배용 톱밥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95530A (ja) キノコ類酒と藻類酒とそれらの製造方法。
CN104004688A (zh) 一种用于泡辣椒的复合发酵菌曲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