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5945B1 - 믹싱팁 - Google Patents

믹싱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45B1
KR102505945B1 KR1020170145113A KR20170145113A KR102505945B1 KR 102505945 B1 KR102505945 B1 KR 102505945B1 KR 1020170145113 A KR1020170145113 A KR 1020170145113A KR 20170145113 A KR20170145113 A KR 20170145113A KR 102505945 B1 KR102505945 B1 KR 10250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asing
mixing
lower cas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032A (ko
Inventor
정두락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엠 filed Critical (주)디엑스엠
Priority to KR102017014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2Mixing compositions or mixers in the medical or veterinary fie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싱팁에 관한 것으로서,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과 연통되게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의 배출을 안내하는 믹싱케이싱이 일체로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배출관과 상기 경화제배출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믹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케이싱의 측면에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은 나선형태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경로상에 상기 제1플랜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의 단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상태를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믹싱팁{MIXING TIP}
본 발명은 믹싱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카트리지에 착탈되게 결합되어 인상재를 치아로 배출하는 믹싱팁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치아 인상을 얻기 위해 액상의 실리콘 베이스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신속하게 경화되도록 한 치과용 인상재가 사용된다. 치과용 인상재는 통상 인상재 카트리지 조립체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인상재 카트리지 조립체는 실리콘 베이스와 경화제를 각각 수용하는 인상재 카트리지에, 두 가지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믹싱팁을 부착하여 사용된다.
종래 믹싱팁의 일례가 등록특허 10-1916405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믹싱팁은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베이스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치아로 배출한다. 이 때, 종래 믹싱팁은 카트리지에 결합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믹싱관과, 케이싱과 믹싱관 내부에 삽입되어 베이스와 경화제의 혼합을 돕는 믹서와, 믹싱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상재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배출팁을 포함한다.
이에 믹싱관과 케이싱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믹싱관과 케이싱이 일체로 결합된 경우, 시술자가 인상재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배출팁을 회전시켜 배출팁의 각도를 조절할 때 믹싱관에 일체로 결합된 케이싱이 카트리지로부터 회전되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되어 시술중에 인상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배출팁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더라도 카트리지와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믹싱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된 인상재를 배출하는 믹싱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는 베이스배출관이 구비된 베이스실린더와, 경화제배출관이 구비된 경화제실린더와, 상기 베이스배출관과 상기 경화제배출관의 주변으로 구비된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믹싱팁은,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과 연통되게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의 배출을 안내하는 믹싱케이싱이 일체로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배출관과 상기 경화제배출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믹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케이싱의 측면에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은 나선형태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경로상에 상기 제1플랜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의 단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상태를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플랜지에는 삽입홈이 일정 면적 관통형성되고,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과 상기 제2플랜지결합벽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위치표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믹싱케이싱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케이싱 내부에서 혼합된 인상재를 치아로 배출하는 배출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은 하부케이싱과 믹싱케이싱이 일체로 하나의 케이싱으로 형성되므로 전체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회전제한돌기와 걸림돌기에 의해 하부케이싱이 카트리지의 플랜지에 위치가 구속되므로 배출팁의 위치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아 시술동안 인상재의 외부 누설없이 안정적인 인상재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이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의 구성을 분해하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과 카트리지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과 카트리지의 결합 전과 결합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이 카트리지(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믹싱팁(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은 카트리지(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리콘 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된 인상재를 인상트레이 또는 치아를 향해 배출한다. 믹싱팁(100)은 카트리지(200)에 결합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되어 실리콘 베이스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믹서(120)와, 케이싱(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상재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배출팁(13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카트리지(20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싱(111)과, 하부케이싱(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믹서(120)를 수용하는 믹싱케이싱(113)을 포함한다.
종래 믹싱팁이 케이싱과 믹싱관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은 하부케이싱(111)과 믹싱케이싱(113)이 일체로 결합되어 케이싱(110)을 형성된다. 이에 의해 믹싱팁(100)을 이루는 전체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하부케이싱(111)은 하부가 개방된 캡 형태로 형성되어 카트리지(200)의 베이스배출관(211)과 경화제배출관(221)을 덮도록 배치된다. 하부케이싱(111)의 내부에는 믹서(120)의 소켓(121)이 수용된다.
하부케이싱(111)의 하단부에는 결합위치표시돌기(112)가 구비되고, 외벽면을 따라 제1플랜지결합벽(115)과 제2플랜지결합벽(117)이 일정 각도 이격되게 구비된다.
결합위치표시돌기(112)는 하부케이싱(1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위치표시돌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팁(100)과 카트리지(200)의 결합시 제2플랜지(223)의 돌기삽입홈(225)에 삽입되어 믹싱팁(100)의 결합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준다.
결합위치표시돌기(112)와 돌기삽입홈(225)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원, 또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랜지결합벽(115)과 제2플랜지결합벽(117)은 카트리지(200)의 제1플랜지(213)와 제2플랜지(223)에 각각 삽입되어 믹싱팁(100)과 카트리지(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카트리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베이스가 수용되는 베이스실린더(210)와, 경화제가 수용되는 경화제실린더(220)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베이스실린더(210)와 경화제실린더(220)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결합된다. 베이스실린더(210)의 상부에는 실리콘베이스를 배출하는 베이스배출관(211)이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경화제실린더(220)의 상부에는 경화제를 배출하는 경화제배출관(221)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배출관(211)과 경화제배출관(221)의 일측에는 제1플랜지(213)와 제2플랜지(223)가 원호 형태로 일정 길이 형성된다.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제1플랜지(213)에 결합되고, 제2플랜지결합벽(117)은 제2플랜지(223)에 결합된다.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하부케이싱(111)의 측벽에 일정 두께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h<h1). 높이가 낮은 타단이 제1플랜지(213) 내부에 먼저 삽입되고 사용자가 하부케이싱(11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플랜지(213) 내부에 제1플랜지결합벽(115)이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제1플랜지결합벽(115)의 일단에는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하부케이싱(11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돌기(115a)가 구비되고, 제1플랜지결합벽(115)의 경로상에는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제1플랜지(213)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115b)가 구비된다.
회전제한돌기(11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벽(115)이 제1플랜지(213)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제1플랜지(213)의 일측벽과 접촉된다. 회전제한돌기(115a)는 제1플랜지(213) 보다 높게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회전제한돌기(115a)가 제1플랜지(213)의 일측벽과 접촉되면 사용자가 하부케이싱(111)을 회전시키려고 해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제한돌기(115a)에 의해 하부케이싱(111)의 결합위치가 제한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걸림돌기(115b)는 제1플랜지결합벽(115)의 상면에 제1플랜지(213)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벽(115)이 제1플랜지(213)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제1플랜지(213)의 일측벽이 회전제한돌기(115a)와 접촉될 때, 걸림돌기(115b)는 제1플랜지(213)의 타측벽에 걸림지지된다.
즉, 하부케이싱(111)과 카트리지(2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213)는 회전제한돌기(115a)와 걸림돌기(115b) 사이에 구속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팁(130)의 방향을 조절하려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하부케이싱(111)과 카트리지(20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인상재가 치아로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115b)는 제1플랜지결합벽(115)의 상면에 삼각형 형태로 돌출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111)과 카트리지(200)가 결합을 시작할 때는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제1플랜지(213)와 제2플랜지(223) 사이에 위치된다.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하부케이싱(111)을 회전시키면 제1플랜지결합벽(115)의 높이가 낮은 타단부부터 제1플랜지(213)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점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걸림돌기(115b)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타단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15b) 부분은 제1플랜지(213) 내부에서 사용자의 회전가압력에 의해 억지로 회전삽입된다. 제1플랜지(213) 외부로 노출되면 걸림돌기(115b)가 상부로 돌출되며 제1플랜지(213)의 타측벽을 걸림지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믹싱팁(100)을 카트리지(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하부케이싱(11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의 회전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115b)가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제1플랜지(213) 내부로 삽입되며 외부로 분리된다.
하부케이싱(111)은 수지에 의해 사출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115b)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걸림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반면, 배출팁(130)의 분리를 위해 믹싱케이싱(113)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는 걸림돌기(115b)가 탄성변형되지 않으므로 하부케이싱(111)과 카트리지(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플랜지결합벽(117)은 제1플랜지결합벽(115)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제2플랜지(223) 내부에 삽입된다. 제2플랜지결합벽(117)은 제1플랜지결합벽(1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걸림돌기(115b)의 구성이 없다.
믹싱케이싱(113)은 내부에 믹싱스크류(123)를 수용하여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믹싱케이싱(113)의 단부에는 직경이 좁은 팁삽입공(113a)가 구비된다.
믹서(12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200)로부터 독립적으로 각각 배출되는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한다. 믹서(120)는 하부케이싱(111) 내부에 수용되는 소켓(121)과, 소켓(121)의 상면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믹싱스크류(123)와, 소켓(12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각각 베이스배출관(211)과 경화제배출관(221)에 연결되는 베이스유입관(125) 및 경화제유입관(127)을 포함한다.
소켓(121)은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이 하부케이싱(111)의 내벽면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상재의 외부 누설이 방지된다.
베이스유입관(125) 및 경화제유입관(127)은 각각 소켓(121)의 하부로 연장된다. 이 때, 소켓(121)의 판면에는 베이스유입관(125)과 연통되게 관통된 베이스배출공(125a)과, 경화제유입관(127)과 연통되게 관통된 경화제배출공(127a)이 형성된다.
베이스배출공(125a)과 경화제배출공(127a)을 통해 각각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믹싱케이싱(113) 내부로 유입되고, 믹싱스크류(123)를 따라 이동되며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된다.
믹싱스크류(123)는 베이스배출공(125a)과 경화제배출공(127a)으로부터 배출된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한다. 믹싱스크류(123)는 중심축에 대해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스크류날개를 포함한다.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는 배출압력에 의해 믹싱스크류(123)를 따라 이동되며 혼합되고, 혼합된 인상재는 배출팁(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팁(130)은 믹싱케이싱(113)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상재가 치아로 배출되는 각도와 두께를 조절한다. 배출팁(130)의 하부에는 믹싱케이싱(113)의 팁삽입공(113a)로 삽입되는 삽입부(13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믹싱케이싱(113)으로 믹싱스크류(123)를 삽입하고, 하부케이싱(111)으로 소켓(121)을 삽입하여 케이싱(110)과 믹서(120)를 결합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하부케이싱(111)의 결합위치표시돌기(112)가 제2플랜지(223)의 돌기삽입홈(215)에 삽입되도록 하부케이싱(111)을 카트리지(200)에 위치시킨다.
이 때, 믹서(120)의 베이스유입관(125)과 경화제유입관(127)은 각각 베이스배출관(211)과 경화제배출관(221)에 연결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부케이싱(11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벽(115)은 제1플랜지(213) 내부로 삽입되고, 제2플랜지결합벽(117)은 제2플랜지(223) 내부로 삽입된다. 사용자는 회전제한돌기(115a,117a)가 각각 제1플랜지(213)와 제2플랜지(223)에 접촉지지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하부케이싱(111)을 회전시킨다.
회전하며 힘을 가하면, 걸림돌기(115b)가 제1플랜지(213) 밖으로 배출되며 제1플랜지(213)의 타측벽을 접촉지지하는 "딸깍"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이에 의해 하부케이싱(111)이 카트리지(200)에 결합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213)는 회전제한돌기(115a)와 걸림돌기(115b) 사이에 구속되고, 하부케이싱(111)은 카트리지(200)에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치아 시술을 위해 베이스실린더(210)와 경화제실린더(220)에 피스톤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압하면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가 베이스배출관(211)과 경화제배출관(221)을 통해 배출된다. 실리콘베이스와 경화제는 베이스유입관(125)과 경화제유입관(127)을 통해 믹싱케이싱(113) 내부로 유입되고, 믹싱스크류(123)를 따라 이동되며 서로 혼합된다.
혼합된 인상재는 배출팁(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사용자는 시술할 치아의 위치에 따라 배출팁(130)을 회전하게 된다. 배출팁(130)을 손으로 회전조작하기 위해 힘을 가할 때, 배출팁(130)이 결합된 믹싱케이싱(113)은 하부케이싱(111)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케이싱(111)은 걸림돌기(115b)와 회전제한돌기(115a)에 의해 제1플랜지(213)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케이싱(110)은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 배출팁의 조작에 의해 케이싱까지 함께 회전되며 인상재가 외부로 배출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싱팁은 하부케이싱과 믹싱케이싱이 일체로 하나의 케이싱으로 형성되므로 전체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회전제한돌기와 걸림돌기에 의해 하부케이싱이 카트리지의 플랜지에 위치가 구속되므로 배출팁의 위치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아 시술동안 인상재의 외부 누설없이 안정적인 인상재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믹싱팁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믹싱팁 110 : 케이싱
111: 하부케이싱 112 : 결합위치표시돌기
113 : 믹싱케이싱 113a : 팁삽입공
115 : 제1플랜지결합벽 115a : 회전제한돌기
115b : 걸림돌기 117 : 제2플랜지결합벽
120 : 믹서 121 : 소켓
123 : 믹싱스크류 125 : 베이스유입관
125a : 베이스배출공 125b : 베이스분할바
127 : 경화제유입관 127a : 경화제배출공
127b : 경화제분할바 130 : 배출팁
200 : 카트리지 210 : 베이스실린더
211: 베이스배출관 213 : 제1플랜지
215 : 삽입홈 220 : 경화제실린더
221 : 경화제배출관 223 : 제2플랜지
225 : 돌기삽입홈

Claims (3)

  1. 카트리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와 경화제가 혼합된 인상재를 배출하는 믹싱팁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베이스배출관이 구비된 베이스실린더와, 경화제배출관이 구비된 경화제실린더와, 상기 베이스배출관과 상기 경화제배출관의 주변으로 구비된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과 연통되게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의 배출을 안내하는 믹싱케이싱이 일체로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배출관과 상기 경화제배출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믹서와;
    상기 믹싱케이싱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케이싱 내부에서 혼합된 인상재를 치아로 배출하는 배출팁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케이싱의 측면에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 및 제2플랜지결합벽은 나선형태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의 경로상에 상기 제1플랜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의 단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상태를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에는 삽입홈이 일정 면적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결합벽과 상기 제2플랜지결합벽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싱과 상기 카트리지의 결합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위치표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팁은 하부에 상기 믹싱케이싱의 팁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치아의 위치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믹싱케이싱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배출팁이 회전 조작되어도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기 카트리지에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싱팁.
  2. 삭제
  3. 삭제
KR1020170145113A 2017-11-02 2017-11-02 믹싱팁 Active KR10250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13A KR102505945B1 (ko) 2017-11-02 2017-11-02 믹싱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13A KR102505945B1 (ko) 2017-11-02 2017-11-02 믹싱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32A KR20190050032A (ko) 2019-05-10
KR102505945B1 true KR102505945B1 (ko) 2023-03-06

Family

ID=6658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113A Active KR102505945B1 (ko) 2017-11-02 2017-11-02 믹싱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187A1 (en) 2007-03-22 2008-09-25 Gc Corporation Mixing tip
JP4405678B2 (ja) * 1998-10-12 2010-01-27 ディスカス デンタル インプレッ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分離可能な固定式混合チップを備えた双胴型シリンジ
KR100954836B1 (ko) * 2009-12-18 2010-04-28 (주)세일글로발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 결합구조
KR101250620B1 (ko) * 2011-02-25 2013-04-03 (주)해피덴코프레이션 치과용 인상재 카트리지
KR101269010B1 (ko) 2011-11-29 2013-05-29 (주)디엑스엠 인상재 카트리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678B2 (ja) * 1998-10-12 2010-01-27 ディスカス デンタル インプレッ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分離可能な固定式混合チップを備えた双胴型シリンジ
US20080232187A1 (en) 2007-03-22 2008-09-25 Gc Corporation Mixing tip
KR100954836B1 (ko) * 2009-12-18 2010-04-28 (주)세일글로발 인상재 카트리지의 믹싱팁 결합구조
KR101250620B1 (ko) * 2011-02-25 2013-04-03 (주)해피덴코프레이션 치과용 인상재 카트리지
KR101269010B1 (ko) 2011-11-29 2013-05-29 (주)디엑스엠 인상재 카트리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32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730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mixing dispensing of a plurality of flowable components
CA2602217C (en) A multicomponent cartridge
EP1968751B1 (en) Dispensing device for single use
JP5433004B2 (ja) 放出装置用のコネクタ
KR101406068B1 (ko) 디스펜서용 믹싱팁
US8919609B2 (en) Dental mixing device having an auto-aligning tip mixing tip
US20100200614A1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storage container to a static mixer
JP2003112782A (ja) 2種の物質の分離貯蔵・混合容器
BR112014004109B1 (pt) misturador com um elemento de acoplamento e dispositivo de fornecimento com pelo menos dois contentores conectados
CN106714978B (zh) 分配设备、分配系统及分配方法
KR102505945B1 (ko) 믹싱팁
KR101269010B1 (ko) 인상재 카트리지 조립체
KR101355130B1 (ko) 인상재 믹싱팁
KR101599059B1 (ko) 폐 액형 재료를 줄일 수 있는 이액형 믹싱팁
TWI681761B (zh) 藥筒轉接器
CN110680740A (zh) 一种分药器
CN211382706U (zh) 一种分药器
KR101997810B1 (ko) 치과용 혼합팁 및 이를 카트리지에 조립하는 방법
EP3178548B1 (en) Latching member, mixing tip, and double syringe
CN210079280U (zh) 便携式混合器
GB2625278A (en) Mixer, cartridge and assembly
KR200472321Y1 (ko) 원터치식으로 착탈가능한 케미컬 앵커 주입대
DK172336B1 (da) Tokomponent-aerosoldåse
JP2000116675A (ja) ペースト練和装置
JP2020001805A (ja) 押出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