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5644B1 - 정밀 두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정밀 두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644B1
KR102505644B1 KR1020220104676A KR20220104676A KR102505644B1 KR 102505644 B1 KR102505644 B1 KR 102505644B1 KR 1020220104676 A KR1020220104676 A KR 1020220104676A KR 20220104676 A KR20220104676 A KR 20220104676A KR 102505644 B1 KR102505644 B1 KR 10250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hickness
fixing ring
washer
coupling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두현
가호남
Original Assignee
가두현
가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두현, 가호남 filed Critical 가두현
Priority to KR102022010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측정물을 수평 유지한 상태로 두께를 정밀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영점으로 잡고 동일한 다수개의 피측정물의 두께가 동일한지를 반복하여 오차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현장의 가공 작업을 쉽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피측정물에 맞춰 하부 지지점의 센터를 조절하여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는, 후단측에 승강대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단측에 구비된 받침대, 상기 승강대와 받침대 사이에 입설된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센터 조절수단을 구비한 지지대, 상기 승강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핀의 직상부에 배열된 두께 측정용 게이지가 장착된 측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밀 두께 측정 장치{THICKNESS GAUGE}
본 발명은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측정물을 수평 유지한 상태로 두께를 정밀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영점으로 잡고 동일한 다수개의 피측정물의 두께가 동일한지를 반복하여 오차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현장의 가공 작업을 쉽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피측정물에 맞춰 하부 지지점의 센터를 조절하여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필름, 시트 종이, 직물, 금속판 등 그 두께가 얇은 피 측정물의 두께 측정 장치는 소형화되어 휴대가 가능하고 그 조작이 점점 간편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이류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 상하 2개의 원판 사이에 피측정물을 삽입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측정하는 마이크로메타(Micrometers)가 있다.
그런데 상기 마이크로메타는 측정자에 따라 측정 오차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합성수지 필름, 시트 종이, 직물, 금속판 등 그 두께가 얇은 피측정물의 경우, 측정 단위 자체가 ㎛와 같은 매우 작은 단위로써, 측정 오차가 아무리 작더라도 그 오차를 무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측정기가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고도의 정밀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휴대용 측정 장치는 피측정물의 편차나 측정자의 흔들림 오차가 문제되고 있다.
이에 고도의 정밀 측정이 필요한 경우, 휴대용 대신 고정형 측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260096호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피측정물이 베이스의 조정패널을 덮어야 하므로, 측정자가 지지대에 지지된 측정기구로 피측정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피측정물을 고정시킨 후, 피측정물의 하단부를 들어 올려서 조정패널을 조작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자가 피측정물의 일부 위치를 이동시켜 측정하는 경우, 피측정물의 흔들림으로 인해 정밀 측정의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번거로운 조작으로 인해 반복 측정 시 정밀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받침대와 지지대를 이용해 피측정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게이지의 조작으로 정밀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영점으로 하여 다수개의 피측정물을 반복 측정하면서 측정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핀의 센터 조절을 통해 측정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는,
후단측에 승강대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단측에 구비된 받침대,
상기 승강대와 받침대 사이에 입설된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센터 조절수단을 구비한 지지대,
상기 승강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핀의 직상부에 배열된 두께 측정용 게이지가 장착된 측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서,
상기 받침대는 끼움홈을 갖는 받침기둥과,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바로 구성되되, 전후로 2세트의 받침기둥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받침바를 전후 받침기둥들 중 하나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서,
상기 측정대는 상기 승강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승강대는 상기 측정대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서,
상기 센터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링,
상기 고정링을 내외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나사공,
상기 고정링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서 상기 고정링의 중공부 상에 입설되고 상기 지지핀이 장착된 지지기둥 및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지지기둥에 접촉하는 센터 조절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는,
피측정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핀과 게이지를 일직선 상으로 맞추어 피측정물의 두께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지지핀의 센터를 조절하여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피측정물의 크기에 맞춰 정밀 측정이 가능함과 함께, 측정된 두께를 영점으로 삼아 다수개의 피측정물에 대한 반복 측정을 실시하여도 측정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다수개의 피측정물의 두께가 동일한지를 반복하여 오차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현장의 가공 작업을 쉽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지지핀의 센터 자체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어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지지핀의 센터 조절의 기준점이 대는 지지대가 풀리지 않고 보다 견고하고 고정되기 때문에 측정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용 와셔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밀 두께 측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 두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10), 받침대(20), 지지대(30), 측정대(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소정 너비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후단측에 승강대(11)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11)는 상단부 전면에 가이드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1)에 상기 측정대(40)가 슬라이딩 결합하여 높이 조절된다.
특히 상기 승강대(11)는 상기 측정대(40)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볼트(12)는 상기 측정대(40)의 나사홀(미도시)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대(11)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양방향 회전 시 상기 측정대(40)가 상기 가이드부(111)를 따라 승강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단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대(20)는 피측정물의 전단부를 받치는 것으로, 받침기둥(21)과 받침바(22)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좌우 2개의 받침기둥(21)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전후로 2개의 받침기둥(21) 세트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20)는 끼움홈(211)을 갖는 받침기둥(21)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바(22)로 구성되되, 전후로 2세트의 받침기둥(2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받침바(22)를 전후 받침기둥(21) 세트들 중 하나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
좌우의 받침기둥(21)은 각 끼움홈(211)이 좌우 동일선 상에 배열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끼움홈(211)은 상면과 좌우면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받침기둥(21)은 상기 끼움홈(211)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체결홀이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212)를 통해 상기 받침바(22)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바(22)는 상기 끼움홈(211)에 수직으로 끼워져 입설되는 것으로 상단에 첨단부가 형성되어 피측정물의 전단부 저면을 받친다.
특히 본 발명은 좌우의 받침기둥(21)으로 이루어진 세트 2개가 전후로 이열 배열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212)를 이용해 받침바(22)를 전후 받침기둥(21) 세트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0)의 중단부에 위치한 받침기둥(21) 세트는 각 받침기둥(21)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필요 시 2개의 받침기둥(21) 세트 중 하나만 사용하거나 또는 절곡형 받침바(미도시)를 받침기둥(21)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승강대(11)와 받침대(20) 사이에 입설된 지지핀(321)과, 상기 지지핀(321)의 센터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핀(321)은 상기 받침바(22)의 상단 끝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수직하게 입설된 것으로, 상단 끝단의 첨단부에 피측정물의 후단부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핀(321)은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게이지(41)의 측정자(411)와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배열되어 그 측정 정밀도를 높이는데, 본 발명은 상기 센터 조절수단을 추가하여 측정자(411)와의 센터를 더욱 정밀하게 맞추면서 필요 시 지지핀(321)의 위치를 변경하여 두께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고정링(31),
상기 고정링(31)을 내외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1)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나사공(311),
상기 고정링(3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서 상기 고정링(31)의 중공부 상에 입설되고 상기 지지핀(321)이 장착된 지지기둥(32) 및
상기 나사공(311)에 체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지지기둥(32)에 접촉하는 센터 조절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31)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결합볼트(34)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나사공(311)은 전후좌우 총 4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고정링(31)의 중공부와 연통하여 있다.
상기 지지기둥(32)은 상기 고정링(31)의 중공부에 입설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지지핀(321)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핀(321)의 전방측에 원호 형상의 지지부(322)가 지지핀(321)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센터 조절 볼트는 상기 나사공(311)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기둥(32)의 사면에 접촉하여 지지기둥(32)의 위치를 고정한다.
특히 상기 센터 조절 볼트는 무두볼트(33)로 구성되어, 지지기둥(32)에 대한 고정력을 높인다.
이에 전후좌우 무두볼트(33) 각각의 나사 결합 정도를 미세 조절하면 상기 지지기둥(32)의 전후좌우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지지핀(321)의 센터 조절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지(41)의 측정자(411)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핀(321)이 우측으로 미세하게 치우쳐 있으면, 좌측의 무두볼트(33)를 풀고 우측의 무두볼트(33)를 조여서 측정자(411)와 센터를 맞춘 후 전후 무두볼트(33)를 조여서 지지기둥(32), 즉 지지핀(32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핀(321)과 측정자(411)의 센터가 맞춰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지지핀(321)의 위치를 미세하게 틀어서 측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에 맞춰 무두볼트(33)들을 이용해 지지핀(32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피측정물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대(40)는 상기 승강대(1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핀(321)의 직상부에 배열된 두께 측정용 게이지(41)가 장착된다.
상기 측정대(40)는 상기 승강대(11)의 가이드부(111)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한 나사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높이 조절 볼트(12)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이드부(111)를 타고 승강하여 상기 게이지(41)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정대(40)는 전방으로 돌출된 장착바(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바(42)에 상기 게이지(41)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게이지(41)의 측정자(411)가 상기 장착바(42)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핀(321)과 센터를 맞추게 된다.
상기 게이지(41)는 공지된 다이얼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디지털 게이지와 같은 다양한 게이지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지(41)는 상기 장착바(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센터 조절수단을 이용해 지지핀(321)과 게이지(41)의 측정자(411)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맞춰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이용한 두께 측정 방법을 설면하면,
먼저 상기 높이 조절 볼트(12)를 회전시켜서 상기 측정대(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게 게이지(41)의 측정자(411)를 소정 높이에 맞춰서 상기 지지핀(321)과의 동일한 높이 또는 소정의 높이 차를 갖도록 조작하여, 이를 게이지(41)의 영점으로 세팅한다.
이 상태에서 피측정물을 받침바(22)의 상단에 올려놓고 후방으로 밀어서 지지핀(321)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게이지(41)의 측정자(411)는 영점을 기준으로 피측정물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메타를 이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이용해 최초 피측정물의 두께를 영점으로 맞추면, 동일한 종류의 피측정물들을 상기한 방식을 통해 정밀하게 두께를 측정하여 피측정물의 두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쉽게 판별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센터 조절수단으로 지지핀(321)의 센터 변경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이 고정링(31)이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상면에 결합볼트(34)로 결합된 고정링(31) 자체의 위치가 틀어질 경우, 즉, 반복된 작업에 의한 접촉, 충격, 마찰, 진동 등에 의해 결합볼트(34)가 풀어질 경우, 가공 오차로 인해 고정링(31)의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져 지지핀(321)의 센터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풀림 방지용 와셔(35)를 추가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 방지용 와셔(35)는 상기 고정링(31)의 상면과 결합볼트(34)의 헤드 사이에 개재되되, 2개의 와셔(35A)(35)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각 와셔(35A)(35)의 접면에 결합볼트(34)의 나사산 피치보다 각이 큰 캠(351)(352)들이 형성되면서 그 반대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1)의 상면에 접하는 받침 와셔(35A)와 상기 결합볼트(34)의 헤드에 접하는 고정 와셔(35B)의 각 캠(351)(352)은,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캠(351)(352)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으로써, 각 캠(351)(352)의 각도가 결합볼트(34)의 나사 피치 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볼트(34)의 헤드가 조여짐에 따라 캠(351)(352)들이 맞춰지면서 억지 끼움되어, 결합볼트(34)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여 결합볼트(3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풀림 방지용 와셔(35)는 받침 와셔(35A)의 캠(351)들 중 복수개의 오목 모서리부에 출몰공(3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몰공(353)에는 반구형 가압부(354a)를 갖는 가압핀(354)이 압축 스프링(35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출몰공(353)은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을 향해 사선 경사지게 확장된 제1 확장부(353a)와, 결합볼트(34)의 조임 반대 방향을 향해 사선 경사지게 확장된 제2 확장부(353b)를 포함하여,
고정 와셔(35B)의 돌출 모서리부가 상기 가압핀(354)을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으로 밀어서 회동시키고,
회동한 가압핀(354)은 출몰공(353)에 삽입된 후 상기 압축 스프링(355)에 의해 직립되면서 인출 압력을 받아 고정 와셔(35B)의 돌출 모서리부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출몰공(353)은 하부 캠(351)의 오목 모서리부에 개구구되어 천공된 형태로써, 삼간 단면 형상을 갖는 제1 확장부(353a)와 제2 확장부(353b)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상하로 서로 다른 높이에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가압핀(354)은 상기 출몰공(353)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355)으로 탄성 지지되어, 반구형 가압부(354a)의 일부가 하부 캠(351)의 오목 모서리부로 노출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구형 가압부(354a)는 자유회전 가능한 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볼트(34)가 조여지기 전 받침 와셔(35A)와 고정 와셔(35B)는 각 캠(351)(352)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이격하여 중첩되어 있으며,
결합볼트(34)가 조여지면, 상부 캠(352)이 하부 캠(351)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조여져, 상부 캠(352)의 돌출 모서리부가 하부 캠(351)의 오목 모서리부에 맞물린다.
이때 상부 캠(352)의 돌출 모서리부가 반구형 가압부(354a)를 조임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누르는 바, 가압핀(354)은 제1 확장부(353a)와 제2 확장부(353b)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면서 압축 스프링(355)을 압축시켜 출몰공(353)으로 인입된다.
상부 캠(352)이 하부 캠(351)에 완전하게 맞물리게 되면, 출몰공(353)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된 가압핀(354)이 압축 스프링(355)의 탄성력에 의해 입설되면서, 반구형 가압부(354a)가 상부 캠(352)의 돌출 모서리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캠(351)(352)과 결합볼트(34)의 나사 피치 각도 차이보다 더 큰 인장력을 발생시켜 결합볼트(34)의 풀림이 더욱 강한 힘으로 방지되어, 고정링(31)의 틀어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정밀 두께 측정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베이스 11 : 승강대
12 : 높이 조절 볼트 20 : 받침대
21 : 받침기둥 22 : 받침바
30 : 지지대 31 : 고정링
32 : 지지기둥 33 : 무두볼트
34 : 결합볼트 40 : 측정대
41 : 게이지 42 : 장착바
111 : 가이드부 211 : 끼움홈
212 : 고정볼트 311 : 나사공
321 : 지지핀 322 : 지지부
411 : 측정자

Claims (4)

  1. 후단측에 승강대(11)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전단측에 구비된 받침대(20),
    상기 승강대(11)와 받침대(20) 사이에 입설된 지지핀(321)과, 상기 지지핀(321)의 센터 조절수단을 구비한 지지대(30),
    상기 승강대(1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핀(321)의 직상부에 배열된 두께 측정용 게이지(41)가 장착된 측정대(4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고정링(31),
    상기 고정링(31)을 내외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1)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나사공(311),
    상기 고정링(3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서 상기 고정링(31)의 중공부 상에 입설되고 상기 지지핀(321)이 장착된 지지기둥(32) 및
    상기 나사공(311)에 체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지지기둥(32)에 접촉하는 센터 조절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31)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결합볼트(34)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링(31)의 상면과 상기 결합볼트(34)의 헤드부 사이에 개재되는 풀림 방지용 와셔(35)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 방지용 와셔(34)는 2개의 와셔(35A)(35)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각 와셔(35A)(35)의 접면에 결합볼트(34)의 나사산 피치보다 각이 큰 캠(351)(352)들이 형성되면서 그 반대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1)의 상면에 접하는 받침 와셔(35A)와 상기 결합볼트(34)의 헤드에 접하는 고정 와셔(35B)의 각 캠(351)(352)은,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캠(351)(352)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각 캠(351)(352)의 각도가 결합볼트(34)의 나사 피치 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받침 와셔(35A)의 캠(351)들 중 복수개의 오목 모서리부에 출몰공(3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몰공(353)에는 반구형 가압부(354a)를 갖는 가압핀(354)이 압축 스프링(35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몰공(353)은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을 향해 사선 경사지게 확장된 제1 확장부(353a)와, 결합볼트(34)의 조임 반대 방향을 향해 사선 경사지게 확장된 제2 확장부(353b)를 포함하여,
    고정 와셔(35B)의 돌출 모서리부가 상기 가압핀(354)을 결합볼트(34)의 조임 방향으로 밀어서 회동시키고,
    회동한 가압핀(354)은 출몰공(353)에 삽입된 후 상기 압축 스프링(355)에 의해 직립되면서 인출 압력을 받아 고정 와셔(35B)의 돌출 모서리부를 가압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는 끼움홈(211)을 갖는 받침기둥(21)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바(22)로 구성되되, 전후로 2세트의 받침기둥(2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받침바(22)를 전후 받침기둥(21)들 중 하나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40)는 상기 승강대(11)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승강대(11)는 상기 측정대(40)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기둥(21)은 상기 끼움홈(211)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체결홀이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212)를 통해 상기 받침바(22)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두께 측정 장치.
KR1020220104676A 2022-08-22 2022-08-22 정밀 두께 측정 장치 Active KR10250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76A KR102505644B1 (ko) 2022-08-22 2022-08-22 정밀 두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76A KR102505644B1 (ko) 2022-08-22 2022-08-22 정밀 두께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644B1 true KR102505644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76A Active KR102505644B1 (ko) 2022-08-22 2022-08-22 정밀 두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6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72B1 (ko) * 2009-06-03 2009-12-24 김영길 정밀기기 부품의 스핀들 클램핑용 지그
KR101328802B1 (ko) * 2013-05-28 2013-11-20 이연심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KR200480288Y1 (ko) * 2015-01-02 2016-05-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착대
KR20180107493A (ko) * 2017-03-22 2018-10-02 가두현 두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72B1 (ko) * 2009-06-03 2009-12-24 김영길 정밀기기 부품의 스핀들 클램핑용 지그
KR101328802B1 (ko) * 2013-05-28 2013-11-20 이연심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KR200480288Y1 (ko) * 2015-01-02 2016-05-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착대
KR20180107493A (ko) * 2017-03-22 2018-10-02 가두현 두께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6603A (zh) 支撑台的调平方法
KR102505644B1 (ko) 정밀 두께 측정 장치
CN103776354B (zh) 同心检测仪
CN213809767U (zh) 一种测量支撑装置
KR20180107493A (ko) 두께 측정장치
CN201255625Y (zh) 倒角直径测量仪
KR20240152209A (ko) 볼너트 위상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볼너트 위상 측정방법
CN217505602U (zh) 推力检测装置
CN207180644U (zh) 一种回转支承轴承隔离块的底厚的测量装置
CN105091827B (zh) 球体直径测量仪
WO2022068180A1 (zh) 一种轴类零件测量固定夹具
CN205066606U (zh) 一种旋转式量块固定支架
CN204854695U (zh) 球体直径测量仪
CN103203725A (zh) 精确控制位置的载物台
CN109059729B (zh) 一种带柄斜沟轴承径向游隙测量装置
CN104833284A (zh) 一种顶尖孔检测装置
CN220794202U (zh) 一种柔性多截面外圆检具
CN113857299A (zh) 一种丝杆校直装置及校直方法
CN217403353U (zh) 一种产品综合位置检测机构
CN218628021U (zh) 具有两种检测模组的出风口检具
CN110849301A (zh) 用于奥迪c8底座结构件加工的电子检测整形装置
CN223004766U (zh) 一种高度可调节的多工位测量装置
CN103206600A (zh) 三点支撑架
CN212963164U (zh) 一种扇形阀体内偏心孔的偏心距检测工装
CN218973375U (zh) 滑移门上铰链总成用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