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5612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612B1
KR102505612B1 KR1020180012424A KR20180012424A KR102505612B1 KR 102505612 B1 KR102505612 B1 KR 102505612B1 KR 1020180012424 A KR1020180012424 A KR 1020180012424A KR 20180012424 A KR20180012424 A KR 20180012424A KR 102505612 B1 KR102505612 B1 KR 10250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lectrode terminal
coupling
units
open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008A (ko
Inventor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612B1/ko
Priority to CN201880083492.1A priority patent/CN111512467B/zh
Priority to US16/966,174 priority patent/US11942660B2/en
Priority to EP18903478.8A priority patent/EP3748715A4/en
Priority to PCT/KR2018/012338 priority patent/WO2019151609A1/ko
Publication of KR2019009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에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베어 셀들과, 상기 양단 각각에 배치되어 인접한 베어 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퓨즈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접한 배터리 셀들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PDA 등의 모바일 전자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회로와 합쳐져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며, 배터리 모듈의 외부 단자를 통해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기 자동차, 전동 자전거, 전동 공구 등과 같이 비교적 고출력 대전류가 요구되는 경우, 이차 전지가 복수개 구비된 배터리 팩을 전원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은 리드나 탭과 같은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이차 전지들 중 어느 하나에 쇼트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이차 전지에 과전류가 유입되어 배터리 팩이 파열되거나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배터리 셀들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단에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베어 셀들 및 상기 양단 각각에 배치되어 인접한 베어 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퓨즈부들 및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은,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 결합되는 용접 영역과,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용접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 영역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용접 영역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의 발열에 의해 용단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을 덮도록 상기 전극탭 상에 배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의 적어도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쪽 면인 제2 면을 갖는 하우징, 제1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제1 베어 셀들을 포함하는, 제1 베어 셀 유닛,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제1 베어 셀들을 포함하는, 제2 베어 셀 유닛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과 상기 제2 베어 셀 유닛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복수개의 제1 베어 셀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퓨즈부들 및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과, 상기 제1 전극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 퓨즈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 퓨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제1 퓨즈부들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제2 퓨즈부들로부터 연장된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행 결합부들 및 복수개의 제2행 결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행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행 퓨즈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행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행 퓨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행 퓨즈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2행 퓨즈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과 상기 제2 베어 셀 유닛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배터리 셀들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배터리 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의 운반 또는 조립 작업 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일부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터리 팩의 일부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 및 전극탭(130)(140)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 받고 방전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하우징(120)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하우징(120)에 z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20)에는 베어 셀(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20)에 삽입된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을 감싸는 케이스(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서로 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병렬 연결을 조합하여 정격 충전전압 및 충전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 셀(110)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 전극 단자(111)와 제2 전극 단자(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단자들(111, 112)은 베어 셀(110) 내부에 저장된 방전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한다. 도 1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어 셀(110) 내부에는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와 연결된 양극판 및 음극판, 그리고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적층체 형태의 전극 조립체, 또는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와 연결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세퍼테이터가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다.
베어 셀(110)의 일단에는 제1 전극 단자(111)가 구비되어 제1 극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베어 셀(110)의 타단에는 제2 전극 단자(112)가 구비되어 제2 극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극성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으며, 제2 극성은 제1 극성의 반대 극성인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극성은 양극이고, 제2 극성은 음극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20)에는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이 수용되는데,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양단이 하우징(120)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복수개의 베어 셀 유닛들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은 제1 베어 셀 유닛(U1) 및 제2 베어 셀 유닛(U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어 셀 유닛(U1)은 하우징(120)의 제1 면에는 제1 전극 단자(111)가 배치되고, 하우징(120)의 제2 면에는 제2 전극 단자(112)가 배치되도록, 하우징(120) 내에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이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베어 셀 유닛(U1)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을 제1 베어 셀이라 한다.
또한, 제2 베어 셀 유닛(U2)은 하우징(120)의 제1 면에는 제2 전극 단자(112)가 배치되고, 하우징(120)의 제2 면에는 제1 전극 단자(111)가 배치되도록, 하우징(120) 내에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이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베어 셀 유닛(U2)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을 제2 베어 셀이라 한다.
물론, 각 베어 셀 유닛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의 개수 및 베어 셀 유닛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 팩(10)의 작동 조건 및 작동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베어 셀 유닛은 12개의 베어 셀(110)을 구비하고 배터리 팩(10)은 2개의 베어 셀 유닛들(U1, U2)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의 양단에는 각각 전극탭(130)(14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극탭(130)(140)은 제1 전극탭(130) 및 제2 전극탭(140)을 포함하며, 제1 전극탭(130)은 하우징(120)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에 결합되고, 제2 전극탭(140)은 하우징(120)의 제2 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에 결합된다. 이로써 전극탭(130)(140)은 인접한 베어 셀(110)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와 같이 연결된 베어 셀(110)들을 외부 단자(미도시)에 접속시켜 충전전력을 공급 받고 방전전력을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극탭(130)(140)은 보호회로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의해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전극탭(130)(140)은 베어 셀 유닛들(U1, U2)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전극탭(130)을 예로 들면, 제1 전극탭(130)은 제1 영역(130U1) 및 제2 영역(130U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30U1)은 제1 베어 셀 유닛(U1)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들을 상호 간에 병렬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제2 영역(130U2)은 제2 베어 셀 유닛(U2)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들을 상호 간에 병렬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베어 셀 유닛들(U1, U2) 각각을 구성하는 베어 셀(110)들을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팩(10)의 수명을 늘리고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탭(130)(140)은 베어 셀 유닛들(U1, U2) 중 어느 하나의 베어 셀 유닛을 다른 베어 셀 유닛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베어 셀 유닛(U1)과 제2 베어 셀 유닛(U2)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탭(130)을 예로 들면, 상술한 제1 영역(130U1)과 제2 영역(130U2)이 연결됨에 따라 제1 베어 셀 유닛(U1)과 제2 베어 셀 유닛(U2)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30U1)과 제2 영역(130U2)은 도 1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도전성의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베어 셀 유닛들을 상호 간에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전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배터리 팩(10)의 사용 목적에 맞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구동장치의 점화 플러그나 구동 플러그의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생성하여야 하는바, 이 경우 복수개의 베어 셀 유닛들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높은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탭(130) 및 제2 전극탭(140) 각각은 플레이트(131)(141), 복수개의 퓨즈부(132)(142)들 및 복수개의 결합부(133)(143)들로 구성된다. 즉, 제1 전극탭(130) 및 제2 전극탭(14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전극탭(130)을 중심으로 전극탭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제1 전극탭" 대신에 포괄적으로 "전극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일부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극탭(130)은 플레이트(131), 복수개의 퓨즈부(132)들 및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을 구비한다.
플레이트(131)는 복수개의 베어 셀들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은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의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이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결합부(133)들과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의 가장자리 사이에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은 복수개의 베어 셀들의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베어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쇼트가 발생할 시 나머지 베어 셀에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은 용해되기 쉽도록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퓨즈부(13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130op)의 일 가장자리(E1)로부터 개구부(130op)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퓨즈부(132)의 연장 방향은 제1 방향(+x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y 방향)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제2 방향(+y 방향)은 제1 방향(+x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퓨즈부(132)가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이 일렬로 배치된 제1 방향(+x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퓨즈부(132)의 기구적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퓨즈부(132)가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이러한 제1 방향(+x 방향)은 전극탭(130)의 장변 방향으로서 굽힘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이로써 퓨즈부(132)는 상기와 같은 굽힘 등으로 인해 더 쉽게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퓨즈부(132)를 제1 방향(+x 방향)보다 굽힘 등에 덜 취약한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퓨즈부(132)의 단선을 방지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에는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은 복수개의 퓨즈부(132)들로부터 절곡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구부(130op)들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은 용접 영역(133a)과 연결 영역(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 영역(133a)은 베어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 결합되는 영역으로, 상기 전극 단자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대략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용접 영역(133a)에는 용접점(W)이 구비될 수 있다. 용접점(W)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 셀 쪽 방향인 -z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어 셀의 전극 단자에 직접 접촉하며, 용접점(W) 상부에 용접봉이 배치되어 상기 용접봉에 흐르는 용접 전류에 의해 용접점(W)은 베어 셀의 전극 단자에 접합되게 된다. 즉, 용접점(W)은 용접 작업을 위한 기준점으로 기능하여,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의 일정 위치에 용접봉을 안내할 수 있다.
용접점(W)의 주위에는 관통홀(TH)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TH)은 용접 작업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팽창 현상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통홀(TH)은 통상 용접점(W)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의 열팽창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용접 영역(133a)은 도 2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용접 영역(133a)에 결합되는 베어 셀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어 셀이 원통형 전지인 경우 용접 영역(133a)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접 영역(133a)에는 연결 영역(133b)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영역(133b)은 퓨즈부(132)와 용접 영역(133a)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 영역(133b)을 퓨즈부(132)에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32)로부터 베어 셀 쪽 방향인 -z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영역(133b)이 -z 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용접 영역(133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31)와 상이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용접 영역(133a)의 용접점(W)이 베어 셀의 전극 단자에 접합되는 점을 고려할 때, 용접 영역(133a)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플레이트(131)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131)에 연결 영역(133b)을 연결시키는 퓨즈부(132)는 플레이트(131)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용접 영역(133a)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퓨즈부(132)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퓨즈부(132)들과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이 상이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 영역(133b)들이 절곡됨으로써, 복수개의 연결 영역(133b)들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연결 영역(133b)들이 완충 작용 등을 하게 되어, 쇼트에 의한 용단이 용이하도록 가늘게 형성된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이 기구적으로 단선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 팩의 운반 또는 조립 작업 시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와 이전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어 셀 유닛(U1)에 구비된 제1 전극 단자(111)에는 전극탭(130)의 제1 영역(130U1)이 연결되고, 제2 베어 셀 유닛(U2)에 구비된 제2 전극 단자(112)에는 전극탭(130)의 제2 영역(130U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극탭(130)의 제1 영역(130U1) 및 제2 영역(130U2) 각각은 복수개의 결합부(133)들 및 복수개의 퓨즈부(132)들을 구비하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역(130U1)에 구비된 결합부를 제1 결합부라 하고, 제2 영역(130U2)에 구비된 결합부를 제2 결합부라 한다. 아울러, 제1 영역(130U1)에 구비된 퓨즈부를 제1 퓨즈부라 하고, 제2 영역(130U2)에 구비된 퓨즈부를 제2 퓨즈부라 한다.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30U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제1 퓨즈부로부터 연장된 방향(-x 방향)과, 제2 영역(130U2)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제2 퓨즈부로부터 연장된 방향(+x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30U1)의 경우,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행(R1)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제1행 결합부들이 위치하고,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행(R1)과 상이한 제2행(R2)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제2행 결합부들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행 결합부에 연결된 퓨즈부를 제1행 퓨즈부라 하고, 상기 제2행 결합부에 연결된 퓨즈부를 제2행 퓨즈부라 하면, 제1행(R1)에 위치한 제1행 퓨즈부가 개구부(130op)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y 방향)과 제2행(R2)에 위치한 제2행 퓨즈부가 개구부(130op)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y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130U2)의 경우에도,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3행(R3)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제3행 결합부들이 위치하고, 제3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3행(R3)과 상이한 제4행(R4)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제4행 결합부들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3행 결합부에 연결된 퓨즈부를 제3행 퓨즈부라 하고, 제4행 결합부에 연결된 퓨즈부를 제4행 퓨즈부라 하면, 제3행(R3)에 위치한 제3행 퓨즈부가 개구부(130op)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y 방향)과 제4행(R4)에 위치한 제4행 퓨즈부가 개구부(130op)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y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영역(130U1) 및 제2 영역(130U2)에는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이 대략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웃하는 결합부(133)들의 연장 방향 및 이웃하는 퓨즈부(132)들의 연장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거나, 이웃하는 결합부(133)들 및 이웃하는 퓨즈부(132)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전극탭(130)에 작용하는 응력들의 방향을 상쇄시켜 전극탭(13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터리 팩의 일부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은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 전극탭(130)(140) 및 보강 플레이트(1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베어 셀(110) 및 전극탭(130)(140)의 구조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베어 셀(110) 및 전극탭(130)(14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며, 이하 보강 플레이트(15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강 플레이트(150)는 전극탭(130) 상에 배치되며, 이로써 배터리 팩(20)은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과 보강 플레이트(150) 사이에 전극탭(130)이 개재된 구조를 갖게 된다.
보강 플레이트(150)는 전극탭(130)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 보강 플레이트(150)는 적어도 전극탭(130)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인 퓨즈부(132)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부(133)들과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 간에 용접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강 플레이트(150)는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의 적어도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홀(150op)들을 갖게 된다. 이로써 복수개의 홀(150op)들을 통해 노출된 복수개의 결합부(133)들 상의 용접점에 용접봉이 안내되어 복수개의 결합부(133)들을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의 전극 단자에 접합시키게 된다.
보강 플레이트(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전극탭(130) 상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50)는 접착성을 갖는 보강 테이프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보강 플레이트(150)가 제1 전극탭(130) 상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 플레이트(150)는 제2 전극탭(140)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팩(20)은 보강 플레이트(150)와 복수개의 베어 셀(110)들 사이에 제2 전극탭(140)이 개재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배터리 셀들 간의 쇼트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배터리 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의 운반 또는 조립 작업 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배터리 팩
110: 베어 셀
U1: 제1 베어 셀 유닛
U2: 제2 베어 셀 유닛
111: 제1 전극 단자
112: 제2 전극 단자
120: 하우징
130, 140: 전극탭
130U1: 제1 영역
130U2: 제2 영역
130op, 140op: 개구부
131, 141: 플레이트
132, 142: 퓨즈부
133, 143: 결합부
150: 보강 플레이트
150op: 홀

Claims (15)

  1. 양단에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베어 셀들; 및
    상기 양단 각각에 배치되어 인접한 베어 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퓨즈부들; 및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고,
    다수의 개구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다수의 퓨즈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개구부 내로 연장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은,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 결합되는 용접 영역과,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용접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영역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 낮은, 배터리 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영역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의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의 높이보다 낮은, 배터리 팩.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배터리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 셀들의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배터리 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을 덮도록 상기 전극탭 상에 배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의 적어도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홀들을 갖는, 배터리 팩.
  10.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쪽 면인 제2 면을 갖는 하우징;
    제1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제1 베어 셀들을 포함하는, 제1 베어 셀 유닛;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전극 단자가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제2 베어 셀들을 포함하는, 제2 베어 셀 유닛;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과 상기 제2 베어 셀 유닛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복수개의 제1 베어 셀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베어 셀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퓨즈부들; 및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고,
    다수의 개구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다수의 퓨즈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개구부 내로 연장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들은, 상기 제1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과, 상기 제1 전극 단자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전극 단자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 퓨즈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 퓨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제1 퓨즈부들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제2 퓨즈부들로부터 연장된 방향이 서로 반대인, 배터리 팩.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들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행 결합부들 및 복수개의 제2행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퓨즈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행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1행 퓨즈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행 결합부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2행 퓨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행 퓨즈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제2행 퓨즈부들의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들 내측으로 연장된 방향이 서로 반대인, 배터리 팩.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 셀 유닛과 상기 제2 베어 셀 유닛은 직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팩.
KR1020180012424A 2018-01-31 2018-01-31 배터리 팩 Active KR10250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24A KR102505612B1 (ko) 2018-01-31 2018-01-31 배터리 팩
CN201880083492.1A CN111512467B (zh) 2018-01-31 2018-10-18 电池组
US16/966,174 US11942660B2 (en) 2018-01-31 2018-10-18 Battery pack
EP18903478.8A EP3748715A4 (en) 2018-01-31 2018-10-18 DRUMS
PCT/KR2018/012338 WO2019151609A1 (ko) 2018-01-31 2018-10-18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24A KR102505612B1 (ko) 2018-01-31 2018-01-31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08A KR20190093008A (ko) 2019-08-08
KR102505612B1 true KR102505612B1 (ko) 2023-03-03

Family

ID=6747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24A Active KR102505612B1 (ko) 2018-01-31 2018-01-31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2660B2 (ko)
EP (1) EP3748715A4 (ko)
KR (1) KR102505612B1 (ko)
CN (1) CN111512467B (ko)
WO (1) WO2019151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459B1 (ko) * 2017-12-07 2022-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KR102820678B1 (ko) 2019-09-24 2025-06-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10070078A (ko)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2758670B1 (ko) 2020-11-02 2025-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2189080B2 (en) 2022-05-24 2025-01-0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ata inversion to reduce motion effects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relaxation data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08Y2 (ko) 1976-08-18 1981-02-23
JPS5672294U (ko) 1979-11-06 1981-06-13
JPS5955695U (ja) 1982-10-06 1984-04-11 東洋刃物株式会社 丸刃工具
JP4036805B2 (ja) * 2003-08-05 2008-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CN104993077B (zh) * 2007-07-16 2017-09-01 株式会社Lg化学 用于二次电池的电连接构件
KR20090030711A (ko) 2007-09-20 2009-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베어 셀 및 이를 포함한 이차 전지
KR101057534B1 (ko) * 2009-07-06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481183B2 (en) 2008-12-23 2013-07-0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5328459B2 (ja) 2009-04-10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KR101108181B1 (ko) 2009-11-27 2012-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EP2608243B1 (en) * 2011-05-31 2015-12-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use board and battery block equipped with same
JP5955695B2 (ja) 2012-08-10 2016-07-2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672294B2 (ja) 2012-11-30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及び車両
KR101281045B1 (ko) 2012-12-07 2013-07-09 주식회사 리튜마 케이스 일체형 전원공급장치를 갖는 배터리 조립체
JP6006134B2 (ja) * 2013-02-08 2016-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続部材
US9985259B2 (en) 2013-03-29 2018-05-29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EP2988314B1 (en) 2013-04-17 2019-08-28 Pacific Engineering Corporation Multipolar fusible link
US9768425B2 (en) * 2013-10-31 2017-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module
US9147875B1 (en) 2014-09-10 2015-09-29 Cellink Corporation Interconnect for battery packs
JP6775109B2 (ja) * 2014-11-04 2020-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極部材および集電板、電池ブロック
KR102283959B1 (ko) 2015-03-05 2021-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15215598A1 (de) * 2015-08-14 2017-02-16 Audi Ag Stromsammeleinrichtung für eine Energiespeicheranordnung, Energiespeich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N205211838U (zh) 2015-12-25 2016-05-04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锂离子电池组的汇流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6300A1 (en) 2021-02-04
CN111512467B (zh) 2023-04-18
EP3748715A4 (en) 2021-10-27
CN111512467A (zh) 2020-08-07
KR20190093008A (ko) 2019-08-08
WO2019151609A1 (ko) 2019-08-08
US11942660B2 (en) 2024-03-26
EP3748715A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612B1 (ko) 배터리 팩
CN107851749B (zh) 具有其中电池管理系统直接连接至端子板的结构的电池模块
CN105914327B (zh) 电池组
CN109891627B (zh) 电池模块和包括所述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100890327B1 (ko) 도전성 탭 및 이를 갖는 전지 팩
US9178206B2 (en) Battery module
CN114651370B (zh) 具有汇流条的电池模块、电池组和车辆
US8440344B2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984314B1 (ko) 이차전지
KR20120048259A (ko) 전지 모듈
KR102283962B1 (ko) 배터리 모듈
EP2760064A2 (en) Battery pack
CN107799709B (zh) 可再充电电池
US20240291051A1 (en) Battery pack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106446B1 (ko) 배터리 모듈
US9997809B2 (en) Battery module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24626B1 (ko) 이차전지
EP4080664A2 (en) Battery module having flexible busbar
JP4660328B2 (ja) 電源装置
KR20200072458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96611A (ko) 배터리 팩
JP2025513911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20240047852A (ko) 전지팩 제조방법 및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