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4879B1 -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879B1
KR102504879B1 KR1020200143377A KR20200143377A KR102504879B1 KR 102504879 B1 KR102504879 B1 KR 102504879B1 KR 1020200143377 A KR1020200143377 A KR 1020200143377A KR 20200143377 A KR20200143377 A KR 20200143377A KR 102504879 B1 KR102504879 B1 KR 10250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tank
chamb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070A (ko
Inventor
강건덕
Original Assignee
가나엔텍 (주)
강건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엔텍 (주), 강건덕 filed Critical 가나엔텍 (주)
Priority to KR102020014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8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의 고도화에 의하여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유해가스가 포함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악취를 다수의 세정액과 다단 챔버 구조에 의하여 제거하는 탈취장치의 세정조 바닥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강력한 회오리성 세척수를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 세척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세정액의 순도와 세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세정조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강력한 유속의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므로써 적은 용량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넓은 면적의 슬러지를 빠르며 적은 비용으로 제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유입챔버와 유입챔버 상부에 다단 적층되고 상측 일부에 세정액살포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각 세정챔버와 각 세정챔버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서로 다른 세정액을 공급하는 각 세정액탱크와 각 세정챔버의 바닥과 각 세정액탱크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드레인배관을 포함하는 역세척 구조 탈취장치에 있어서, 세정액탱크의 일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세정수를 일측단으로 입력하고 회오리성 유속으로 변환하여 타측단으로 배출하는 회오리유속부; 회오리유속부의 타측단에 연결 설치되고 부채꼴 형상을 하여 일측으로 유입되는 회오리성 유속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 배출시키는 부채꼴분산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강력한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정조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세척하므로써 적은 용량의 세척수로 넓은 면적의 슬러지를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제거하고, 1 단 세정조에서 비산되는 약품의 양을 저감시켜 시상수 사용량을 줄이고, 3 단에서 버려지는 세정액을 줄여 사용되는 약품량을 감소시키며, 세정조 내 팽창된 압력을 감소 시키고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는 1 단, 2 단, 3 단의 세정조 압력증가를 감소시켜 안정된 탈취효율을 가져오며 세정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고, 약품투입 타이머를 설치하여 세정조내 약품이 지속적이며.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여 부하악취유입에 대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Deodorization system with automatic wat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의 고도화에 의하여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유해가스가 포함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악취를 다수(다종)의 세정액(탈취액)과 다단 챔버 구조에 의하여 제거하는 탈취장치의 세정조 바닥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부채꼴 형상으로 강력한 유속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로 세척하므로써 적은 비용으로 슬러지를 신속하게 제거하면서 탈취시키고 세정조의 청결을 유지시켜 세정액의 순도와 세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에 의하여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악취가스가 포함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기준을 종래에는 용량기준 또는 시설기준 등에 의하여 단순하게 규제하였었으나 산업화에 따른 배출가스 기준이 세계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유해물질이 포함된 악취로 인한 오염 역시 심각한 사회 공해 문제로 취급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악취에 유해물질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며, 세정액과 탈취액과 세정수를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악취와 관련된 각종 민원은 날로 늘어나는 상황이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은 현실적으로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어, 선진국에서는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내용을 법률로서 제정하여 악취 발생을 최소화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과 피혁가공 공장,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처리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중에는 삭스(SOx), 녹스(NOx), 포름알데히드, H2S, O3, VOCs 등의 유해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종 음식물 부패, 단세포 포자균(악취성균)의 생멸에 따른 가스 등이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가스와 악취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방법으로, 현재에는 습식에 의한 탈취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습식 탈취방법의 경우, 세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종류의 약액(탈취액, 세정액)이 탈취 과정 전반에 걸쳐 골고루 사용되기 어려워 악취의 탈취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096126호의 "공기 청정 장치"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4호의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가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악취가스에 포함된 성분이 다른 다수 악취가스를 모두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2615호(2015. 03. 09.)에 의한 것으로 ‘탈취장치’가 있다.
개선된 종래기술은 악취 가스를 하나의 세정 타워(탑) 내에 구비된 다단 세정챔버 구조를 이용하고 각 챔버에는 성분이 다른 세정액을 투입하여 순차 세정하면서 탈취 기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선된 종래기술은 악취가스로부터 악취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을 원활히 공급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조의 바닥에 시간이 지날수록 축적되는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므로 오염된 세정액에 의하여 탈취작용이 낮아지고, 탈취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더 많은 세정액을 사용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세정타워의 세정조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신속하고 빠르게 제거하여 세정액의 순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07-096126호(1995. 04. 11.) ‘공기 청정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6224호(2004. 10. 08.)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2615호(2015. 03. 09.) ‘탈취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세정조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강력한 유속의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정수(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므로써 적은 용량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넓은 면적의 슬러지를 빠르며 적은 비용으로 제거하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단 세정조에서 비산되는 약품의 양을 저감시켜 시상수 사용량을 줄이고, 3 단에서 버려지는 세정액을 줄여 사용되는 약품량을 감소시키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세정조 내 팽창된 압력을 감소 시키고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는 1 단, 2 단, 3 단의 세정조 압력증가를 감소시켜 안정된 탈취효율을 가져오며 세정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세정조에 약품투입타이머를 설치하여 약품이 지속적이고 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하므로 부하악취유입을 대비하고, 드레인타이머를 설치하여 세정조의 세정액이 포화되지 않도록 하므로 세정액 교환에 의한 탈취효율을 높이는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은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0)와 상기 유입챔버(100) 상부에 다단 적층되고 상측 일부에 세정액살포장치(220)를 각각 구비하는 각 세정챔버(200)와 상기 각 세정챔버(200)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서로 다른 세정액을 공급하는 각 세정액탱크(300)와 상기 각 세정챔버(200)의 바닥과 상기 각 세정액탱크(30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드레인배관(400)을 포함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탱크(300)의 일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일측단으로 유입시켜 타측단으로 공급하는 세정수펌프(800); 상기 세정수펌프(800)의 타측단에 연결 설치되고 일측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부채꼴 형상과 같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 배출시키는 부채꼴분산부(7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탱크(300)의 타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밸브제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오니배출관(90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채꼴분산부(700)는 상기 세정수펌프(80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유입하고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출부(710); 상기 압출부(710)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세정수를 가로방향 부채꼴 형상으로 평면 확장시켜 배출하는 부채꼴확장부(7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은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1); 상기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121); 상기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과 연통되도록 바닥에 악취토출부(211)가 설치되고 상기 악취토출부(211)를 통해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상기 악취토출부(211)를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의 세정챔버(201); 상기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상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로 이루어지는 세정액탱크(301);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121)의 일측단과 상기 유입챔버(101) 일측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팬(121)이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외부공기와 악취가스를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에 공급시키는 흡기덕트(111);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탱크(301)의 각각과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배관(501)의 중간 일부분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세정액탱크(301)에 저장된 각 세정액을 각각 상기 공급배관(501)을 통하여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각각 공급하는 펌프(511);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탱크(301)의 3단 세정조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에 의하여 3단 세정조의 세정액을 1단 세정조에 이송시켜 세정액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6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은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1); 상기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121); 상기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의 세정챔버(201); 상기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상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로 이루어지는 세정액탱크(301); 상기 세정액탱크(301)의 각각에 설치된 각 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610); 상기 압력조절밸브(61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탱크(301)의 각각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 압력을 각각 감소시키고 외부로 유출시키는 압력조절펌프(6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은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1); 상기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121); 상기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의 세정챔버(201); 상기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상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로 이루어지는 세정액탱크(301); 상기 세정액탱크(301)에 연결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세정액 약품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약액펌프(630); 상기 세정액탱크(301)에 연결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수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거나 차단하는 드레인 밸브(640); 상기 약액펌프(630)와 드레인 밸브(640)에 각각 연결되고 설정된 타이머 시간에 의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타이머제어부(65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강력한 회오리성과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정조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세척하므로써 적은 용량의 세척수로 넓은 면적의 슬러지를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단 세정조에서 비산되는 약품의 양을 저감시켜 시상수 사용량을 줄이고, 3 단에서 버려지는 세정액을 줄여 사용되는 약품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정조 내 팽창된 압력을 감소 시키고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는 1 단, 2 단, 3 단의 세정조 압력증가를 감소시켜 안정된 탈취효율을 가져오며 세정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조에 약품투입타이머를 설치하여 약품이 지속적이고 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하므로 부하악취유입을 대비하고, 드레인타이머를 설치하여 세정조의 세정액이 포화되지 않도록 하므로 세정액 교환에 의한 탈취효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선 등록된 탈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악취토출부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선 등록된 높이조절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세정액탱크의 세정액여과망과 펌프 배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세정액여과망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채꼴분산부를 설명하는 사시 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 전체의 정면도,
도 11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 전체의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 전체의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 전체의 평면도,
그리고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약품투입과 전동드레인밸브 타이머 장치의 정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세정수와 탈취액과 세정액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출원인의 선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2615호(2015. 03. 09.) ‘탈취장치’ 기술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선 등록된 내용을 그대로 다시 기재하되, 후반부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기재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선 등록된 탈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 도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악취토출부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단면 사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선 등록된 높이조절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도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세정액탱크의 세정액여과망과 펌프 배치 구성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선 등록된 세정액여과망의 구성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탈취장치는 크게 유입챔버(100)와 복수의 세정챔버(200)와 복수의 세정액탱크(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0); 유입챔버(100)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과 연통되도록 바닥에 악취토출부(210)가 설치되고 악취토출부(210)를 통해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0)가 설치되어 악취토출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의 세정챔버(200) 및 성분이 서로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세정챔버(200)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0)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세정액을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세정액탱크(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입챔버(100)에 유입된 악취 가스(공기)가 악취토출부(210)를 통해 다단 적층된 세정챔버(200)에 순차 유입되면, 세정액탱크(300)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은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의해 각 세정챔버(200)의 내부에서 세정액(탈취액)을 살포한다. 이때, 각 세정챔버(200)에서 살포되는 세정액은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탈취액)이 살포된다.
세정챔버(200)에서 살포되는 세정액(탈취액)이 악취 가스(공기)와 반응하면서 악취 공기를 세정시키므로 악취 공기의 탈취작용(정화작용)이 이루어진다. 특히, 세정챔버(200)가 상하로 적층 구비되고, 유해물질이 포함된 악취 공기가 각 세정챔버(200)에 순차 거치면서 세정되므로 악취 정화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유입챔버(100)는 탈취장치의 외부로부터 악취(악취 가스)와 외부 공기를 유입하며 유입챔버(100)의 측부에 팬(120)이 마련되어 유입챔버(100)의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챔버(100)의 내부로 유입한다.
유입챔버(100)의 측부에 흡기덕트(110)의 일단이 연결되며 흡기덕트(110)의 타단에는 팬(120)이 구비된다. 팬(120)은 외기를 흡입하여 흡기덕트(110)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것으로, 팬(120)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외부공기)가 흡기덕트(110)를 통해 유입챔버(100)의 내부로 송풍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악취토출부(210)는 하단이 세정챔버(200)의 바닥에 관통 설치되어 하부 층의 악취가 유입되는 연결관(212); 연결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연결관(212)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며, 둘레에 토출공(도 3의 216 참조)이 복수 형성되어 저장된 악취가 토출공(216)을 통해 세정챔버(200)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저류박스(2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연결관(212)을 통해 해당 세정챔버(200)의 하부 층에서 악취가 유입되면 저류 박스(214)에 일시 저장되고, 저류박스(214) 내부에 저장된 악취가스의 압력이 높아지면 토출공(216)을 통해 세정챔버(200)에 토출 된다. 저류박스(214)는 챔버 형식이며 악취가스가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배출되는 가스는 순간적으로 입자가 터지면서 입자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 저류박스(214)는 도면과 같이 측벽 중 어느 한 면 혹은 적어도 2개 면 이상에 토출공(216)을 구비하되 상부측에는 대구경 토출공(216a)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대구경 토출공(216a) 보다 작은 직경의 소구경 토출공(216b)이 구비되어 최초 유입된 악취 가스는 하부측 소구경 토출공(216b)을 통해 서서히 배출된다. 악취가스의 유입량이 많아지고 소구경 토출공(216b)으로 배출되는 배출용량을 넘어 저류박스(214)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대구경 토출공(216a)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대구경 토출공(216a)의 전면에 박막(218)이 설치되고 박막(218)은 저류박스(214)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상부의 접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개방된다. 즉, 악취가스의 유입량이 많아지면서 저류박스(214)의 내부압력이 증가하고 어느 순간 압력이 박막(218)을 순간적으로 밀어내며 악취가스가 분출되는데, 이때 분출되는 가스는 대구경 토출공(216a)과 박막(218)에 부딪히면서 입자가 작아지고 다시 이 악취가스와 하부의 소구경 토출공(216b)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가스가 충돌하여 입자가 깨지면서 작아진다. 대구경 토출공(216a)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분출 압력에 의해 인접한 저류박스의 벽면에 부딪쳐 입자가 깨질 수 있도록 한다.
저류박스(214)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관(212)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나팔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저류박스(214)와 세정챔버(200)의 바닥 사이를 연통시켜 악취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며, 점차 좁아지는 상부는 악취가스의 유입 속도를 증가시켜 입자가 작아지도록 하고, 또 이 속도에 의해 저류박스(214)의 내부 벽면에 악취가스가 부딪쳐 입자가 깨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악취토출부(210)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833653호의 "탈취장치"에 기술된 악취가스 공급부의 구성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와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정액탱크(300)는 산성세정액과 중성세정액과 염기성세정액이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세정챔버(200)는 산성세정액과 중성세정액과 염기성세정액에 의해 악취가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세정되도록 복수 구비된다. 산성세정액, 중성세정액, 염기성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도록 세 개의 세정액탱크(300)가 각각 구비되고, 세정챔버(200)는 상하 방향으로 세 개의 세정챔버(200)가 순차 적층 구비되며, 각 세정챔버(200)에서 산성세정액과 중성세정액과 염기성세정액에 의해 악취 공기의 세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세정챔버(200)와 세정액탱크(300)는 내부식성과 고강도 특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FRP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세정챔버(200)의 바닥과 각 세정액탱크(300) 사이에는 드레인배관(도 3의 400 참조)이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세정챔버(200)의 바닥에 고이는 세정액을 각 세정액탱크(300)에 구분하여 드레인 되도록 구성한다.
세정액탱크(300)는 세정챔버(200)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세정챔버(200)에 고인 세정액이 자중에 의해 세정액탱크(300)에 드레인 된다.
산성세정액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정챔버(200)와 산성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탱크(300) 사이에 드레인배관(400)이 연결되고 중성세정액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정챔버(200)와 중성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탱크(300) 사이에 드레인배관(400)이 연결되며 염기성세정액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정챔버(200)와 염기성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탱크(300) 사이에 드레인배관(400)이 연결된다.
각 드레인배관(400)의 상단은 해당 세정챔버(200)의 바닥을 관통하여 세정챔버(200)의 내부와 연통되며 드레인배관(400)의 하단은 해당 세정액탱크(300)의 상부 내부에 위치되어 세정액탱크(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드레인배관(400)에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어 드레인배관(40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드레인배관(400)의 최상단 높이를 조절하여 세정챔버(200) 내부에 고이는 세정액의 수위를 조절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높이조절장치는 드레인배관(400)의 측면에 고정된 랙기어(410), 회전축(430)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랙기어(410)에 치합되고 회전축(430)의 회전 시 랙기어(410)와 함께 드레인배관(4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피니언(420), 회전축(430)의 단부에 마련되어 피니언(4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4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높이조절장치는 세정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유입챔버(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산성세정액, 중성세정액, 염기성세정액이 드레인 되는 모든 드레인배관(400)에 설치되거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성세정액이 드레인 되는 드레인배관(400)에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로서, 중성세정액을 이용한 세정이 최하단의 세정챔버(20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회전력제공수단(440)은 회전축(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동으로 회전이 가능한 핸들이 장착되거나, 전동으로 회전이 가능한 액추에이터와 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력제공수단(440)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430)이 회전되면, 피니언(420)이 함께 회전되고, 피니언(420)과 치합된 랙기어(4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이 되면서 랙기어(410)와 고정된 드레인배관(40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드레인배관(400)의 최상단 위치가 세정챔버(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세정챔버(200)에 고인 세정액의 수위를 조절하고 세정액의 수위가 높아지면 세정액과 악취 공기와의 접촉효율이 높아지면서 정화성능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세정액탱크(300)와 각각의 세정액 살포장치(220) 사이에는 공급배관(500)이 연결되며; 공급배관(500)에는 펌프(510)가 설치되어 세정액탱크(300)에 저장된 세정액을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공급한다.
공급배관(500)의 일단이 세정챔버(200)를 관통하여 세정챔버(200) 내에 내장된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연결되며 공급배관(500)의 타단은 세정액탱크(300) 내부에 연결된다. 세정액탱크(300)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은 펌프(510)에 의한 펌핑 작동으로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공급되고 세정액 살포장치(220)를 통해 세정액이 세정챔버(200)의 내부로 살포된다. 공급배관(500)에는 밸브(520)가 설치되며 밸브(520)는 악취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 수동,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개방되어 약액(세정액)을 공급한다. 세정액 살포장치(220)는 세정챔버(20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공급배관(500)을 통해 세정액이 공급되고 세정챔버(200)의 내부 상단 중심 위치에 원형의 파이프(230)가 설치되며 원형 파이프(23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살포관(도시생략)이 설치되고 살포관의 저면에 다수의 살포노즐(234)이 설치된다.
원형 파이프(230)는 세정챔버(200)의 평면 너비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지며 세정액 살포장치(220)의 상세한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833653호의 "탈취장치"에 기술된 약액 공급부의 구성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정액 살포장치(220)의 구조는 세정챔버(200)에 세정액을 골고루 살포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세정액탱크(300)의 내부에는 세정액여과망(310)이 설치되며 공급배관(500)의 단부는 세정액여과망(310)의 일측에 구획된 세정액탱크(300)의 공간에 연결되어 세정액여과망(310)을 거쳐 여과된 세정액이 공급배관(500)을 통해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공급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은 내부식성의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은 세정액탱크(300)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끼움되며 세정액여과망(310)은 세정액탱크(30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은 도 4 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세정액탱크(3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략 'ㄱ' 형태로서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세정액탱크(300)의 내벽면과 세정액여과망(310)의 사이에 공급배관이 인입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이 세정액탱크(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세정액여과망(310)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5 는 세정액여과망(3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세정액여과망(310)은 복수의 망(310a,310b)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겹쳐지는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망(310a,310b)은 메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일례로 일면에 설치된 망(310a)이 8 메시 크기로 형성된 경우, 타면에 설치된 망(310b)은 이 보다 작은 5 메시의 크기로 형성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의 하측부에는 배출공(312)이 마련되어 망 사이에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한다. 세정액여과망(310)이 세정액탱크(300)로부터 대략 서랍의 끼움 구조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세정액여과망(310)을 세정액탱크(300)로부터 분리한 후, 세정액여과망(310)에 걸려진 이물질을 배출공(312)을 통해 배출 된다.
세정액여과망(310)의 상단은 세정액탱크(300)의 최상단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세정액여과망(310)의 상측부에는 손잡이(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세정액여과망(310)의 결합과 분리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세정액여과망(310)에 걸려진 이물질을 보다 쉽게 청소한다.
세정액탱크(300)에 공급되는 세정액은 세정액여과망(310)의 타측에 구획된 세정액탱크(300)의 공간에 공급되어 세정액여과망(310)을 거친 후에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공급된다. 세정액탱크(300) 내부에 세정액여과망(310)을 사이에 두고 그 일측 공간에 드레인배관(400)의 단부가 연결되며 그 타측 공간에 공급배관(50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드레인배관(400)으로 배출된 세정액이 세정액여과망(310)을 거쳐 여과된 후에 공급배관(500)을 통해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공급된다. 세정액 살포장치(220)를 통해 살포되는 세정액 내에 이물질이 함유량을 최소화시켜 세정액 살포장치(220)의 살포노즐(23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최상단 세정챔버(200)의 상부에 연통 설치되며 세정챔버(200)들을 거쳐 세정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탑(240); 배출탑(240) 내부에 설치되며 배출탑(240)을 향해 유입되는 세정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시키는 필터(250)를 더 포함 구성된다. 세정챔버(200)에서 여러 차례 순차 세정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필터(250)를 통과하여 여과되므로 배출탑(240)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정화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의 작용과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살펴보면, 팬(120)이 구동되어 유입챔버(100)로 악취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면 악취토출부(210)를 통해 유입챔버(100)의 상부에 적층 구비된 세정챔버(200)에 순차 유입되고, 펌프(510)가 구동되어 각 세정챔버(200)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0)에 산성세정액과 중성세정액과 염기성세정액이 각각 개별 공급됨으로써 각 세정챔버(200) 내부에 산성세정액과 중성세정액과 염기성세정액이 살포된다.
세정챔버(200)에 유입되는 공기 중의 악취가스는 세정액과 화학적인 중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세정과 탈취된다. 세정작용은 최하단의 세정챔버(200)로부터 최상단의 세정챔버(200)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성분이 서로 상이한 여러 세정액으로 악취 공기를 여러 번 세정하여 배출하여 악취 공기의 탈취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출원인의 선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2615호(2015. 03. 09.) ‘탈취장치’ 기술은 다단 세정챔버 구조를 이용하고 각 챔버에는 성분이 다른 세정액을 각각 투입하여 순차 세정하므로 탈취 기능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세정조 바닥에 슬러지가 누적되면서 세정액의 순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영시간이 누적되면서 세정조 바닥에 침착 누적되는 슬러지의 양이 늘어나면서 수용되는 세정액의 용량이 줄어들어 세정액의 용량을 수시로 확인하여야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세정조 바닥에 누적 침착되는 슬러지를 강력한 회오리성의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적은 용량의 세정수로 넓은 면적의 세정조 바닥을 빠르고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 설명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한 정면도 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한 평면도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채꼴분산부를 설명하는 사시 투시도 이다.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90)은 유입챔버(100)와 흡기덕트(110)와 팬(120)과 다단의 세정챔버(200)와 악취토출부(210)와 세정액살포장치(220)와 세정액탱크(300)와 세정액여과망(310)과 배출공(312)과 드레인배관(400)과 랙기어(410)와 피니언(420)과 회전축(430)과 공급배관(500)과 펌프(510)와 부채꼴분산부(700)와 세정수펌프(800)와 오니배출관(9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유입챔버(100)와 흡기덕트(110)와 팬(120)과 악취토출부(210)와 세정액살포장치(220)와 세정액탱크(300)와 세정액여과망(310)과 배출공(312)과 드레인배관(400)과 랙기어(410)와 피니언(420)과 회전축(430)과 공급배관(500)과 펌프(510)는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하여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6 이하에서 언급될 수 있는 세정액탱크(300)등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이미 언급한 명칭 및 도면부호와 동일하며, 도 6 이하에서 그 명칭과 도면 부호, 그리고 기능 또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도면부호 300은 세정액탱크로서, 도 6에서는 1단세정조, 2단세정조, 3단세정조 명칭으로서 나란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 있고, 도 6에서 도면부호 200은 세정챔버로서, 도 6에서는 하부로부터 1단챔버, 2단챔버, 3단챔버 명칭으로서 적층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면부호 300은 세정액탱크로서, 도 7에서는 세정조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고, 도 8에서는 1단세정조, 2단세정조, 3단세정조라는 명칭으로 나타나 있다.
도 7에서 도면부호 200은 세정챔버로서 도 7에서는 하부로부터 1단세정부, 2단세정부, 3단세정부라는 명칭으로 적층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편, 부채꼴분산부(700)와 세정수펌프(800)와 오니배출관(9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채꼴분산부(700)는 세정수펌프(800)의 타측단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의 일부분이 부채꼴 형상을 하여 일측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부채꼴과 같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 배출시킨다.
부채꼴분산부(700)는 단면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하며, 내부에 압출부(710)와 부채꼴확장부(720)의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압출부(710)는 세정수펌프(800)의 타측단에 연결 설치되어 세정수를 유입(입력)하고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배출한다. 압출부(71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의 높이와 폭 값이 배출되는 부분의 높이와 폭 값에 대비하여 2 내지 4 배수로 큰 값을 갖되, 바람직하게는 2 배수의 큰 값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큰 유속 저항 없이 유입되는 회오리성 유속의 세정수를 압출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출부(710)는 세정수가 진행하는 방향의 길이 값을 짧게 구성하는 것이 세정수의 유속 저항을 최소로 줄이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부채꼴확장부(720)는 압출부(710)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세정수를 가로방향 부채꼴 형상으로 평면 확장시켜 배출한다. 부채꼴확장부(72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부분의 상하 높이 값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가로방향 길이 값과 세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부분의 가로방향 길이 값을 10 배수로 크게 구성하는 것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확산시키는 장점이 있다. 즉, 유입되는 세정수를 가로 방향으로 매우 넓게 확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부채꼴확장부(720)는 세정수가 진행하는 방향의 길이 값을 길게 구성하되 배출구의 가로 길이 값과 같은 값으로 구성하는 것이 세정수의 유속을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세정수펌프(800)는 세정액탱크(300)의 일측단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유입하고 강제고 공급한다. 세정수펌프(8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를 대기압의 3 배수 이상으로 높여 공급하여 유속을 높이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세정액탱크(300)에 하나의 부채꼴분산부(700)가 접속되되 필요에 의하여 2 개 이상 다수의 부채꼴분산부(700)가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수의 부채꼴분산부(700)를 접속하는 방식은 가로방향으로 연속 접속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함은 매우 당연하며, 일반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각각의 세정액탱크(300)에는 부채꼴분산부(700)가 하나씩 설치되되 필요에 의하여 하나 이상 다수가 셜치될 수 있다.
오니배출관(900)은 세정액탱크(300)의 타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해당 밸브 제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성이다. 밸브는 수동방식과 자동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 또는 모두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세척되는 슬러지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직경 5 센티미터 이상의 오니배출관(900)으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세정액탱크(300)는 세정수펌프(80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바닥면이 더 높고, 오니배출관(900)이 설치되는 부분의 바닥면은 상대적으로 낮도록 구성하되, 최소 100 분의 1 에 의한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오니 또는 슬러지 배출에 비교적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중복 설명과 도면의 중복도시를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강조하여 기재하고 도면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 전체의 정면도 이고, 도 11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 전체의 평면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정도 수위조절장치는 탈취기를 가동하게 되면 1단 챔버의 세정액이 멀티노즐을 통하여 2단 챔버로 비산되고 비산된 세정액은 2단 세정액과 같이 내부드레인을 통하여 2단 세정조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2단 세정액도 3단으로 비산되어 3단 세정조로 들어간다. 정상적인 세정조는 1단, 2단, 3단이 일정한 순위를 유지한채 순환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이유로 1단 세정조 물은 줄어들고 3단의 세정조는 물이 넘치게 된다. 세정조내 1단, 3단내 상부 고수위지점에 배관 및 밸브를 두어 1 단에서부터 비산되어 넘어오는 세정액을 3 단에서 다시 1 단으로 보내어 1 단과 2 단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는 1단의 세정조의 비산되는 양을 저감시켜 시상수 사용량을 줄일수 있고, 3단에서 버려지는 세정액을 줄이게 되므로 약품량이 감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입챔버(101)와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팬(121)과 흡기덕트(111)와 펌프(511)는 일 실시 예에서의 유입챔버(100)와 세정챔버(200)와 세정액탱크(300)와 팬(120)과 흡기덕트(110)와 펌프(510)와 동일한 구성이며,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 부호만 다르게 표시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301은 세정액탱크로서, 도 10에서는 세정조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고, 도면부호 201은 세정챔버로서 도 10에서는 하부로부터 1단세정부, 2단세정부, 3단세정부라는 명칭으로 적층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1에서 301은 세정액탱크로서, 도 11에서는 1단세정조, 2단세정조, 3단세정조라는 명칭으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조 수위 조절장치는 유입챔버(101)와 팬(121)과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흡기덕트(111)와 펌프(511)와 수위조절밸브(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입챔버(101)는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된다.
팬(121)은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세정챔버(201)는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 또는 3개로 이루어진다.
세정액탱크(301)는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상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 또는 3 개로 이루어진다.
흡기덕트(111)는 팬(121)의 일측단과 상기 유입챔버(101) 일측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팬(121)이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외부공기와 악취가스를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에 공급시킨다.
펌프(511)는 세정액탱크(301)의 각각과 세정액 살포장치(221)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배관(501)의 중간 일부분에 연결설치되어 세정액탱크(301)에 저장된 각 세정액을 각각 공급배관(501)을 통하여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각각 공급한다.
수위조절밸브(600)는 세정액탱크(301)의 3단 세정조에 연결 설치되고 제어에 의하여 3단 세정조의 세정액을 1단 세정조에 이송시켜 세정액 수위를 조절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 전체의 정면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 전체의 평면도 이다.
도 12에서 301은 세정액탱크로서, 도 12에서는 세정조라는 명칭으로 표시된 것으로 나타나 있고, 도 13에서는 1단세정조, 2단세정조, 3단세정조라는 명칭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면부호 201은 세정챔버로서 도 12에서는 하부로부터 1단챔버, 2단챔버, 3단챔버라는 명칭으로 적층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정도 압력 조절장치는 탈취팬이 고압(300mmAq 이상)으로 탈취설비 내부에 풍량을 넣으므로 탈취기 하단 세정조는 양압이 발생되어 팽창을 하고 수위강하가 발생되어 탈취시설의 작동이 불안전한 상태가 된다. 세정조내 1 단, 2 단, 3 단의 상부에 배관과 밸브를 설치하고, 설치한 배관을 탈취팬의 앞단 유입배관에 연결 하여 공기를 빨아들여 세정조 내 팽창된 압력을 감소 시킨다.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는 1 단, 2 단, 3 단의 세정조 압력증가를 감소시켜 안정된 탈취효율을 가져오고, 세정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입챔버(101)와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팬(121)과 세정액 살포장치(221)는 일 실시 예에서의 유입챔버(100)와 세정챔버(200)와 세정액탱크(300)와 팬(120)과 세정액 살포장치(220)와 동일한 구성이며,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 부호만 다르게 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조 압력 조절장치는 유입챔버(101)와 팬(121)과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압력조절밸브(610)와 압력조절펌프(6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입챔버(101)는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된다.
팬(121)은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세정챔버(201)는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 또는 3개로 이루어진다.
세정액탱크(301)는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상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 또는 3 개로 이루어진다.
압력조절밸브(610); 세정액탱크(301)의 각각에 설치된 각 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압력조절펌프(620)는 압력조절밸브(61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세정액탱크(301)의 각각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 압력을 각각 감소시키고 외부로 유출시킨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약품투입과 전동드레인밸브 타이머 장치의 정면도 이다.
도 14에서 301은 세정액탱크이며, 도 14에서 도면부호 201은 세정챔버로서 도 14에서는 하부로부터 1단챔버, 2단챔버, 3단챔버라는 명칭으로 적층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약품투입과 전동드레인밸브 타이머 장치는 약품투입 타이머와 드레인 타이머로 구성된다.
약품투입 타이머는 현재 약품투입이 pH에 의한 자동투입이 가능하나, 이는 악취가 갑자기 고농도가 유입시 즉각적인 반응을 않게 되어 약품투입시기를 놓쳐 악취가 탈취기내 챔버에서 완전한 약품과의 반응을 하지 못해 외부로 유출되어 법적기준이상의 악취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약품투입용 타이머를 설치하여 세정조내 약품을 지속적이며 간헐적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여 부하적 악취유입에 대비하는 구성이다.
드레인 타이머는 세정조내 악취와 반응한 세정액은 자체에 악취가 발생되고, 약품을 투입되더라도 세정액이 포화상태가 되어 약품효과가 떨어진다. 이에 세정조내 세정액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전동밸브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전동밸브를 열어주므로써 내부의 세정액은 일부 빠져나가고 그만큼 볼탑에 의해 세정수가 유입되므로 세정액이 교환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어반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전동드레인 밸브와 약품펌프를 시간적으로 드레인과 약품 투입을 한다.
약품투입과 전동드레인밸브 타이머 장치는 유입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있을시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투입되어 탈취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드레인밸브의 경우 일정량을 지속적으로 드레인 시켜 줌으로써 탈취효율 향상과 유지관리에 편리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또 다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입챔버(101)와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팬(121)과 세정액 살포장치(221)는 일 실시 예에서의 유입챔버(100)와 세정챔버(200)와 세정액탱크(300)와 팬(120)과 세정액 살포장치(220)와 동일한 구성이며, 또 다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 부호만 다르게 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동드레인밸브 타이머 장치는 유입챔버(101)와 팬(121)과 세정챔버(201)와 세정액탱크(301)와 약액펌프(630)와 드레인 밸브(640)와 타이머제어부(6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입챔버(101)는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된다.
팬(121)은 유입챔버(101)의 일 측부에 일측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단으로부터 외부 공기와 악취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챔버(101)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세정챔버(201)는 유입챔버(101)의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하부층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며 내부에 세정액 살포장치(22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가 각층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세정과 탈취되는 복수 또는 3개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의하여 가감될 수 있다.
세정액탱크(301)는 세정챔버(201)에 설치된 세정액 살포장치(221)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성분이 각각 상이한 세정액이 각각 개별 저장되며 세정액을 세정액 살포장치(221)에 독립적으로 공급하고 복수 또는 3개로 이루어진다.
약액펌프(630)는 세정액탱크(301)에 연결되고 타이머제어부(6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세정액 약품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드레인 밸브(640)는 세정액탱크(301)에 연결되고 타이머제어부(65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수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거나 차단한다.
타이머제어부(650)는 약액펌프(630)와 드레인 밸브(640)에 각각 연결되고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계수하여 지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강력한 유속의 부채꼴 형상으로 배출되는 세정수(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정조의 바닥에 누적되는 슬러지를 세척하므로 적은 용량의 세척수로 넓은 면적에 축적된 다량의 슬러지를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 :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110 : 흡기덕트 120 : 팬
200 : 세정챔버 210 : 악취토출부
220 : 세정액 살포장치 300 : 세정액탱크
310 : 세정액여과망 312 : 배출공
400 : 드레인배관 410 : 랙기어
420 : 피니언 430 : 회전축
500 : 공급배관 510 : 펌프
600 : 수위조절밸브 610 : 압력조절밸브
620 : 압력조절펌프 630 : 약액펌프
640 : 드레인밸브 650 : 타이머제어부
700 : 부채꼴분산부 800 : 세정수펌프
900 : 오니배출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유입챔버(100)와 상기 유입챔버(100) 상부에 다단 적층되고 상측 일부에 세정액살포장치(220)를 각각 구비하는 각 세정챔버(200)와 상기 각 세정챔버(200)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서로 다른 세정액을 공급하는 각 세정액탱크(300)와 상기 각 세정챔버(200)의 바닥과 상기 각 세정액탱크(30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드레인배관(400)을 포함하는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탱크(300)의 일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일측단으로 유입시켜 타측단으로 공급하는 세정수펌프(800);
    상기 세정수펌프(800)의 타측단에 연결 설치되고 일측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부채꼴 형상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 배출시키는 부채꼴분산부(700);
    상기 세정액탱크(300)의 타측 벽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밸브제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오니배출관(900); 을 포함하고,
    상기 부채꼴분산부(700)는
    상기 세정수펌프(80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유입하고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출부(710);
    상기 압출부(710)에 연결되고 유입되는 세정수를 가로방향 부채꼴 형상으로 평면 확장시켜 배출하는 부채꼴확장부(720);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부(71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의 높이와 폭 값이 배출되는 부분의 높이와 폭 값에 대비하여 2 배수의 큰 값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채꼴확장부(72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부분의 상하 높이 값을 동일하게 유지하고,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부분의 가로방향 길이 값 대비 세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부분의 가로방향 길이 값을 10 배수로 크게 구성하고,
    상기 세정수펌프(800)는 유입되는 세정수를 대기압의 3 배수 이상으로 높여 공급하여 유속을 높이는 탈취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43377A 2020-10-30 2020-10-30 탈취시스템 Active KR102504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77A KR102504879B1 (ko) 2020-10-30 2020-10-30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77A KR102504879B1 (ko) 2020-10-30 2020-10-30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70A KR20220058070A (ko) 2022-05-09
KR102504879B1 true KR102504879B1 (ko) 2023-02-28

Family

ID=8158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377A Active KR102504879B1 (ko) 2020-10-30 2020-10-30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0184B (zh) * 2022-09-30 2024-04-09 中环煜森(北京)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压滤机排水压板
KR102610199B1 (ko) * 2023-06-12 2023-12-06 (주)케이씨엠테크 회전드럼 탈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01B1 (ko) * 2011-07-07 2011-10-10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유해가스 다단 정화장치
KR101502615B1 (ko) * 2013-08-13 2015-03-27 가나엔텍 주식회사 탈취장치
KR101882803B1 (ko) *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26A (ja) 1993-09-30 1995-04-11 Shin Nippon Kucho Kk 空気清浄装置
KR100600514B1 (ko) 2004-08-19 2006-07-13 코아텍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산 가스 및 분진을 처리하는 이동형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01B1 (ko) * 2011-07-07 2011-10-10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유해가스 다단 정화장치
KR101502615B1 (ko) * 2013-08-13 2015-03-27 가나엔텍 주식회사 탈취장치
KR101882803B1 (ko) *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70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502615B1 (ko) 탈취장치
KR101734185B1 (ko) 가변형 적층 흡수식 복합오염 악취물질 탈취 시스템,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KR101513682B1 (ko)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2504879B1 (ko) 탈취시스템
KR101986293B1 (ko) 모듈형미세분사부가 구비된 복합 탈취 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102504874B1 (ko) 역세척 구조를 겸비한 복합 탈취시스템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2183331B1 (ko) 다중 정화구조로 형성된 스크러버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KR101056687B1 (ko) 악취 처리 장치
KR100811247B1 (ko)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60000907A (ko) 이중 공기관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및 폐수처리 시스템
US20060185517A1 (en) Multi-stage odor scrubber
JP4923266B2 (ja) 汚染水処理装置
CN110302657A (zh) 一种新型集成生物除臭装置
KR102345774B1 (ko)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JP2005013789A (ja) 空気清浄機
KR101559427B1 (ko) 악취 제거 장치
KR102093481B1 (ko) 악취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크러버
KR101945216B1 (ko) 액적 분리 악취 저감장치
KR200425371Y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8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