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672B1 -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 Google Patents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672B1 KR102504672B1 KR1020210004894A KR20210004894A KR102504672B1 KR 102504672 B1 KR102504672 B1 KR 102504672B1 KR 1020210004894 A KR1020210004894 A KR 1020210004894A KR 20210004894 A KR20210004894 A KR 20210004894A KR 102504672 B1 KR102504672 B1 KR 102504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end wall
- injection
- injection needle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396—Specific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characteris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26—Curved or bent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길이방향의 채널이 형성되는 바늘 몸체 및 바늘 몸체의 원위단에 구비되는 바늘 단부를 포함하며, 바늘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면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단부 벽 및 단부 벽의 내측 곡면상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단부 벽의 원위단측 첨단부로부터 바늘 몸체 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사 바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은 돌출부가 구비되어 바늘 단부를 작게 구성하더라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첨단부위의 특이적인 형상으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바늘의 몸체의 직경이 단부에서 최소화되어 채혈, 천자, 주사 시 유체 흐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edle body having a longitudinal channel formed therein, and a needle end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needle body, wherein the needle end is formed in a slo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harp tip. An injection needle comprising an end wall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urved surface of the end wall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distal tip of the end wall toward a needle body.
The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art so that stability can be improved even though the needle end is made small, and pain can be minimized due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tip.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injection needle is minimized at the e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luid flow during blood collection, puncture, and inj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일반적으로, 검사를 위해 채혈을 하거나 척수천자를 하는 경우, 그리고 치료를 위해 약물이 주입되는 경우나 수혈을 하는 경우 주사 바늘이 필요하다. 소아 뿐 아니라 성인도 백신, 인슐린 등을 주입하는 주사나, 채혈하거나 헌혈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사에 대하여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흔하게 있다.In general, a needle is needed when blood is drawn for testing or spinal tap, and when drugs are injected or when blood is transfused for treatment. It is common for adults as well as children to feel aversion to injections for injecting vaccines, insulin, or the like, or injections used for blood collection or blood donation.
특히, 당뇨병 환자와 같이, 주사에 의한 인슐린 주입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경우, 바늘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주사를 이용하여 찌르는 고통과 심리적 불안감으로 인해, 질병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 바늘을 이용한 주사, 천자, 채혈, 수혈 등에 있어서, 통증을 감소시켜서 환자의 거부감 및 고통을 완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주사 기술은 매우 드문 편이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604 (2009.11.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3661호 (2012.09.19.) 등에서 부분적으로, 무통 주사 또는 주사 바늘을 개시하고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면서 주사, 천자, 채혈, 수혈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은 개시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또한, 척수천자의 경우 체내에 삽입되는 부위가 길어져 주사 바늘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이 증가할 뿐 아니라, 천자 후에 천자부위가 신속하게 닫히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두통으로 blood patch를 시술해야 하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In particular, when insulin injection by injection is frequently required, such as in a diabetic patient, no matter how small the needle size, the pain and psychological anxiety caused by being stabbed with an injection can affect proper management of the disease. there is.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important to alleviate a patient's discomfort and pain by reducing pain in injection using an injection needle, puncture, blood collection, blood transfusion, and the like. Nevertheless, injection technology for reducing pain is very rare,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11604 (2009.11.1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3661 (2012.09.19) .), etc. partially discloses a painless injection or injection needle, but there is a limit that is not disclosed in a technique that can more easily perform injection, puncture, blood collection, blood transfusion, etc. while reducing the patient's pain. In addition, in the case of spinal cord puncture, the pain caused by the injection needle increases as the area inserted into the body becomes longer, and it is often necessary to apply a blood patch due to the headache caused by the puncture site not closing quickly after the puncture. do.
이는 천자부위의 단면이 넓고 이로 인하여 신속하게 닫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천자부위의 단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사 바늘의 단면적이 좁아야 하는데, 종래의 주사 바늘은 첨단부위가 작아 1) 천자가 잘 되지 않거나 2) 채혈, 천자 혹은 약물주입이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3) 주사 바늘이 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is occurs because the cross section of the puncture site is wide and therefore does not close quickly. In order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uncture sit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jection needle must be narrow. Conventional injection needles have a small tip, so 1) puncture does not work well, 2) blood collection, puncture, or drug injection does not work smoothly, or 3) the needle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caused it to warp.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주사 바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conventional injection needle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내측에 길이방향의 채널이 형성되는 바늘 몸체 및 바늘 몸체의 원위단에 구비되는 바늘 단부를 포함하며, 바늘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면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단부 벽 및 단부 벽의 내측 곡면상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단부 벽의 원위단측 첨단부로부터 바늘 몸체 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주사 바늘이 제공될 수 있다.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needle body having a longitudinal channel formed therein, and a needle end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needle body, wherein the needle end is formed in a slo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arp tip is formed. An injection needl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n end wall configured to b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on an inner curved surface of the end wall and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distal tip of the end wall toward the needle body.
한편, 돌출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소정각도를 두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s are composed of a pair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each other.
또한, 한 쌍의 돌출부는, 첨단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pair of protrus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p.
나아가, 한 쌍의 돌출부는, 단부 벽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air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half the length of the end wall.
또한, 한 쌍의 돌출부는, 직선 또는 곡선상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protrusions may be extended straight or curved to a predetermined length.
한편, 한 쌍의 돌출부는,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air of protrusions, at least a portion of cross sections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한편, 단부 벽은,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외측면이 한 쌍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end wall may include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so that an outer surface of a point where the pair of protrusions are formed corresponds to the pair of protrusions.
한편, 한 쌍의 돌출부는, 단부 벽의 첨단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air of protrusions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tips of the end walls.
한편, 단부 벽은 적어도 일부가 첨단부가 바늘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wall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tip towar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eedle body.
또한, 바늘 몸체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면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타원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eedle body, at least a part of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along an elliptical path.
나아가, 바늘 몸체는, 단부 벽의 외면이 길이방향과 수직인 면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바늘 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needle body may include a second concave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shape of a cross s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an end wall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cave in a direction of a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ody.
한편, 바늘 몸체는, 적어도 일부의 내경이 근위단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needle body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proximal end.
본 발명에 따른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은 돌출부가 구비되어 바늘 단부를 작게 구성하더라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첨단부위의 특이적인 형상으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art so that stability can be improved even though the needle end is made small, and pain can be minimized due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tip.
또한 주사 바늘의 몸체의 직경이 단부에서 최소화되어 채혈, 천자, 주사 시 유체 흐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injection needle is minimized at the e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luid flow during blood collection, puncture, and inj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바늘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바늘 단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바늘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which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eedle end.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hape of the needle e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edl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d of a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needl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name of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 different name in the art. However, if they have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even if a modified embodiment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n addition, signs added to each component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in which these symbols are written do not limit each component to the scope in the drawings. Likewise, even i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in the drawings is partially modified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f there is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In addition, in light of the level of a general technician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if i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that should be includ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주사기(1)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1 which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1)는 실린더(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바늘(10)은 종래의 실린더(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종래의 주사기(1)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주사, 체혈, 척수 천자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실린더(20)와 함께 체결되어 사용되거나, 독립적으로 주사 바늘(10)만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yrin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with a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1)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주사 바늘(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yrin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주사 바늘(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늘 몸체(100)와 원위단부에 형성되는 바늘 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An
바늘 몸체(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근위단부는 실린더(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원위단부는 인체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바늘 몸체(100)는 적어도 일부분이 근위단부로부터 바늘 단부(원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연스럽게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경 또한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바늘 단부는 첨단부(220)로 향할수록 점차 날카로워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 단부에는 돌출부(230)가 내면(211)에 구비되어 특이한 형상으로 조직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늘에 대하여는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end of the needle may be gradually sharper toward the
도 2는 바늘 단부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eedle end.
도 2를 참조하면, 바늘 단부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바늘 단부는 상측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단부의 첨단부(220)가 침투시 중심축에 가까워짐으로서 일측의 조직이 과도하게 절개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바늘의 침투시 고통을 경감하거나 바늘의 제거 후 조직의 회복에 도움을 주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needle end may be configured in a bent form towar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That is, based on FIG. 2 , the needle end may be formed to be bent upward. Therefore, as the
바늘 단부는 첨단부(220)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경사진 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면은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로 형성된 가상의 곡면으로 바늘 단부를 절개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의 초기 삽입시, 조직의 확장 및 절개양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바늘 단부가 조직에 삽입이 완료될 때 까지 점진적으로 조직의 확장 및 절개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e needle end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lope that becomes sharper toward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주사 바늘(10)은 바늘 몸체(100)로부터 바늘 단부가 원위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바늘 단부는 단부 벽(210)과 돌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eedle end may comprise an
단부 벽(210)은 첨단부(220)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절개될 수 있다.The
단부 벽(210)은 일부가 손실된 원통형 구조의 측면이 되며, 상측에서 보면 단부 멱의 내면(211)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면에서 보면 단부 벽(210)의 일측이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어 사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돌출부(230)는 바늘 단부의 첨단부(220)를 강화하며, 첨단부(220)가 조직내로 침투시 독특한 형상으로 관통하게 되어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otruding
돌출부(230)는 단부 벽(210)의 내측 곡면상, 즉 바늘 몸체(100)의 내면과 연장되는 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30)는 첨단부(220)로부터 바늘 몸체(100)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0)는 일 예로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돌출부(230)는 첨단부(220)에서 서로 연결되며, 바늘 몸체(100)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즉 서로 소정 각도를 두어 형성될 수 있다.The
각각의 돌출부(230)의 형상은 단부 벽(210)의 내면(211)상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며, 바늘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수직한 평면으로 절개하였을 때 적어도 일부가 원형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완만한 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단부를 조직내로 삽입함에 따라 불필요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조직의 확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shape of each
한편, 돌출부(2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첨단부(220)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형상에서 첨단부(220)에 일측이 연결되므로 첨단부(22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첨단부(220)를 삽입할 때 바늘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형성되어 발생되는 전단력에 대하여 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돌출부(230)의 길이는 바늘 단부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돌출부(230)는 바늘 단부가 조직 내로 삽입된 이후에는 조직의 절개 및 확장이 이루어지고, 또한 단부 벽(210)의 면적이 바늘 몸체(100)측으로 갈수록 증가됨에 따라 안정성 및 확장의 필요성이 커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이하의 도 4 내지 도 6은 바늘 단부의 각 부분에서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수직한 평면으로 절개한 단면의 형상이 나타나 있다. 한편, 바늘 단부가 조직 내로 침투함에 따라 절개 및 확장되는 조직의 형성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늘 단부의 단면 형상과 유사해지게 되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난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단면의 형상과 조직의 절개 및 확장 형상을 설명하도록 한다.4 to 6 below show cross-sectional shapes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each part of the needle end. On the other hand, as the needle end penetrates into the tissue, the formation of the incised and expanded tissue becomes similar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eedle end shown in FIGS. 4 to 6, and sequentially changes to the shape shown in FIGS. 4 to 6 . Hereinafter,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each part and the incision and expansion shape of the tissu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
도 4를 참조하면, 첨단부(220)에서 바늘 몸체(100)측(후방)의 일 지점에서 절개한 단면의 형상이 나타나 있으며, 단부 멱의 내면(211)상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230)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 나타나 있다. 이때 돌출부(230)가 돌출되어 있어 절개된 조직 중 접촉되는 조직을 서서히 상측으로 확장시키면서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cut at a point on the
도 5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
도 5를 참조하면, 첨단부(220)로부터 멀어진 지점에서는 돌출부(230)가 도 4에 나타난 돌출부(230)의 직경보다 다소 커지게 되며, 한 쌍의 돌출부(23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다소 이격된 지점에 배치된다. 또한, 단부 벽(210)의 크기도 점차 커지게 된다. 이때 조직은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절개 및 확장이 이루어지며, 도 5 상에서 상하측 방향으로 조직이 돌출부(230)의 상측과 단부 벽(210)의 하측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t a point away from the
도 6은 도 2의 Ⅲ-Ⅲ'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두 개의 돌출부(230)는 전술한 도 5의 상태보다 서로간의 간격이 더욱 멀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단부 벽(210) 또한 그 단면적이 증가된다. 이 경우 도 6 상에서 조직은 좌우 방향으로 충분히 절개된다. The two
도 7은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늘 몸체(100)의 단면, 즉 길이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절개한 경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는 타원형의 경로를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좌우측이 장축(a)로 구성되며, 상하축이 단축(b)을 갖는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늘 몸체(100)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오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10)에 의해 바늘 몸체(100)는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적절한 강성, 특히 전단력에 의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결국, 바늘 몸체(100)가 타원형으로 구성되는 단면형상 및 제1 오목부(240)에 의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구성되며, 바늘 몸체(100)가 원형으로 구성될 때보다 절개 및 확장 면적이 넓지 않도록 구성되어 환자의 고통 경감 및 침투 조직의 회복에 도움을 주게 된다.As a result, the
도 8은 바늘 단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hape of the needle end.
도 8을 참조하면, 바늘 단부의 외면(212)에는 돌출부(230)에 대응하여 오목한 면, 즉 돌출부(230)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오목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240)는 특이적으로 굴곡이 있는 조직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230)가 형성된 지점의 단부 벽(2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오목부(240)는 바늘의 제조시 단부 벽(210)의 일부에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하게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도 9는 바늘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edl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9를 참조하면, 바늘 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위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된다. 일예로, 바늘 단부측의 내경(D0)가 가장 작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늘 몸체(100)의 각 부분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 결국 내경도 점차 근위단부로 갈수록 D1에서 D2로 증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9,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iameter of the
전술한 바늘 몸체(100)는 도 7에서 설명한 단면의 형상과, 도 8에서 설명한 내경의 변화로 구조적으로 양수압에서 안정적이며, 천자에 필요한 조직 절개를 최소화하고, 바늘 몸체(100)가 조직으로 삽입됨에 따라 절개된 조직을 확장하면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The above-described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주사 바늘(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also include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of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and only configurations wit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d of a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주사 바늘(10)은 바늘 단부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늘 몸체(100)로부터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첨단부(220)는 바늘 몸체(100)와 직선상으로 연장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돌출부(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230) 또한 첨단부(220)로부터 단부 벽(210)의 내면(211)에 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바늘의 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of a needl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돌출부(230)가 첨단부(220)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돌출부(230)의 원위단측 단부는 각각 날카로운 원뿔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지점에서 끝단이 서로 만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조직은 먼저 돌출부(230)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지며, 이후 첨단부(220)에 의해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경우 천자시 한 지점부터 천자가 이루어지게 되어 조직의 절개면이 거칠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11 ,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증감소와 안정성증가를 위한 주사 바늘은 돌출부가 구비되어 바늘 단부를 작게 구성하더라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첨단부위의 특이적인 형상으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needle for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that stability can be improved even if the tip of the needle is made small, and pain can be minimized due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tip. .
또한 주사 바늘의 몸체의 직경이 단부에서 최소화되어 채혈, 천자, 주사 시 유체 흐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injection needle is minimized at the e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luid flow during blood collection, puncture, and injection.
1: 주사기
10: 주사 바늘
20: 실린더
100: 바늘 몸체
110: 제2 오목부
200: 바늘 단부
210: 단부 벽
211: 내면
212: 외면
220: 첨단부
230: 돌출부
240: 제1 오목부1: Syringe
10: injection needle
20: cylinder
100: needle body
110: second concave portion
200: needle end
210: end wall
211: inside
212: turn away
220: tip
230: protrusion
240: first concave portion
Claims (12)
상기 바늘 몸체의 원위단에 구비되는 바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 단부는,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면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단부 벽; 및
상기 단부 벽의 내측 곡면상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단부 벽의 원위단측 첨단부로부터 상기 바늘 몸체 측으로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소정각도를 두어 배치되는 주사 바늘.A needle body having a longitudinal channel formed therein, and
And a needle end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needle body,
The needle end,
an end wall formed in a slo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form a pointed tip;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end wall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distal tip of the end wall toward the needle body;
The protrud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injection needl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protrusions,
Injection needles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ps.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단부 벽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3,
The pair of protrusions,
An injection needle formed at less than half the length of the end wall.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직선 또는 곡선상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4,
The pair of protrusions,
An injection needl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5,
The pair of protrusions, the injection needl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단부 벽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외측면이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오목부가 구비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6,
the end wall,
An injection needle having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so that an outer surface of a point where the pair of protrusions are formed is concave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protrusions.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단부 벽의 첨단부보다 상기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protrusions,
An injection needle protruding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tip of the end wall.
상기 단부 벽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첨단부가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구부러져 형성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needl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wall is formed by bending the tip toward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eedle body.
상기 바늘 몸체는,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인 면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타원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8,
The needle body,
An injection needl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long an elliptical path.
상기 바늘 몸체는,
상기 단부 벽의 외면이 길이방향과 수직인 면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늘 몸체의 길이방향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9,
The needle body,
An injection needle comprising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shape of a cross sec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is incised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ody to be concave in a direction of a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ody.
상기 바늘 몸체는,
적어도 일부의 내경이 근위단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확장되어 형성되는 주사 바늘.According to claim 10,
The needle body,
An injection needle formed by gradually expa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proximal e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894A KR102504672B1 (en) | 2021-01-13 | 2021-01-13 |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894A KR102504672B1 (en) | 2021-01-13 | 2021-01-13 |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497A KR20220102497A (en) | 2022-07-20 |
KR102504672B1 true KR102504672B1 (en) | 2023-03-02 |
Family
ID=8260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4894A Active KR102504672B1 (en) | 2021-01-13 | 2021-01-13 |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67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24623A (en) | 2007-04-25 | 2010-07-2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Needle for mechanically assisted insertion |
JP2016059427A (en) | 2014-09-13 | 2016-04-25 |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 Hollow needle, appliance with needle, and medical appliance |
WO2019008896A1 (en) * | 2017-07-05 | 2019-01-10 | テルモ株式会社 | Sensor, and sensor production method |
CN210992268U (en) | 2019-07-24 | 2020-07-14 | 河南曙光汇知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Puncture needle head for infusion port and puncture needle for infusion port manufactured by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25567B2 (en) * | 2002-03-29 | 2007-12-19 | テルモ株式会社 | Needle |
KR100915838B1 (en) * | 2007-07-30 | 2009-09-07 | 김윤성 | Needle structure of syringe |
KR20090011604U (en) | 2009-10-27 | 2009-11-16 | 최을오 | Painless intramuscular injection |
CN102762245A (en) | 2009-12-28 | 2012-10-31 | 斯坦利·金 | Painless Hypodermic Needles |
KR102165489B1 (en) * | 2019-02-18 | 2020-11-05 |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미라클니들 | Method for manufacturing painless injection needle and the painless injection needle |
-
2021
- 2021-01-13 KR KR1020210004894A patent/KR1025046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24623A (en) | 2007-04-25 | 2010-07-2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Needle for mechanically assisted insertion |
JP2016059427A (en) | 2014-09-13 | 2016-04-25 |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 Hollow needle, appliance with needle, and medical appliance |
WO2019008896A1 (en) * | 2017-07-05 | 2019-01-10 | テルモ株式会社 | Sensor, and sensor production method |
CN210992268U (en) | 2019-07-24 | 2020-07-14 | 河南曙光汇知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Puncture needle head for infusion port and puncture needle for infusion port manufactured by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497A (en) | 202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89529A (en) | Needle | |
AU2002331760B2 (en) | Collection needle | |
JP6404837B2 (en) | Puncture assist device and puncture device set | |
RU2114640C1 (en) | Cannula | |
US6702790B1 (en) | Hypodermic needle | |
CN109069737B (en) | Medical puncture nee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ncture needle | |
WO2002078772A1 (en) | Medical syrin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BRPI0711978A2 (en) | puncture needle and lancet having the same | |
AU2002331760A1 (en) | Collection needle | |
CN114504700B (en) | Puncture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 |
KR102504672B1 (en) | Injection needle for reduced pain and enhanced stability | |
JP2004358016A (en) | Puncture needle easily inserted along puncture route | |
JP4383908B2 (en) | Epidural needle | |
JP6697206B1 (en) | Ophthalmic instruments | |
US20160361086A1 (en) | Medical Instrument for Insertion into a Body Region of a Subject | |
KR20210106827A (en) | A thread inserter with a plurality of round cutting faces | |
JP6504446B2 (en) | Puncture needle for subcutaneous tunnel | |
KR102258513B1 (en) | Injection needle for injecting an injection solution into a jointcavity and syringe having the same | |
JP2012020042A (en) | Hypodermic injection needle | |
KR102524999B1 (en) | Multipurpose Injection Needle | |
KR20250085333A (en) | Painless injection needle with curved cutting surface | |
CN222676951U (en) | Five-bevel needle tube, injector assembly thereof and blood collection device | |
KR20210000668U (en) | Pentagram needle for injection | |
CN222676209U (en) | Six-bevel needle tube, injector assembly thereof and blood collection device | |
RU185796U1 (en) | Device for evacuation of serous fluid from the scrotum with hydroce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