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271B1 - Portable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Portable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271B1 KR102503271B1 KR1020200131962A KR20200131962A KR102503271B1 KR 102503271 B1 KR102503271 B1 KR 102503271B1 KR 1020200131962 A KR1020200131962 A KR 1020200131962A KR 20200131962 A KR20200131962 A KR 20200131962A KR 102503271 B1 KR102503271 B1 KR 102503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water
- disposed
- storage space
- top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FOIXSVOLVBLSDH-UHFFFAOYSA-N Silver ion Chemical compound [Ag+] FOIXSVOLVBLS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PVYNHNXODAKFH-UHFFFAOYSA-N Cu2+ Chemical compound [Cu+2] JPVYNHNXODAK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31 copper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한다.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제1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된 제1여과수를 강제여과장치를 구동하여 제2여과수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having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into a first storage space and a second storage space; a top case assembled with the water tank; a first filter assembly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and a forced filtration device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irculating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wherein the partition wall comprises: a vertical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opening surface into a first opening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a horizontal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vertical partition wall and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bulkhead and communicating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wherein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top cas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surface; a second filter assembly assembled to the top case; and a pump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ssembly, wherein the pump sucks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and the filter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water be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 assembly in a natural fil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te of raw water, but also the first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assembly can be purified into second filtered water by driving a forced filtration devic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오염의 일례로 물에 대한 오염도 증가하고 있다. In general, environmental pollution is progress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water pollution is also increasing as an example of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정수시설을 통해 정수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이 증가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most facilities are supplied with purified tap water through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but distrust of tap water is increasing as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s.
또한, 최근들어 레저 열풍과 함께 야외로 외출시 약수, 지하수 또는 암반수와 같은 자연수를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연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In addition, recently, along with the leisure craze, cases of drinking natural water such as mineral water, underground water, or bedrock water are increasing when going out outdoors, but the stability of such natural water cannot be guarante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고다니면서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that allows a user to purify water while carrying it conveniently.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중력을 통해 자연여과 방식으로 물을 여과하거나 전기 장치에 의해 물을 정수하기 때문에, 취수원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filter water in a natural filtration method through gravity or purify water by an electric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respon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water intake sources.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하더나 강제여과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ater purifier capable of filtering water in a natural filtration method or using a forced filtration metho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raw water.
본 발명은 알카리수 또는 산성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functional water such as alkaline water or acidic water.
본 발명은 여과된 기능수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ater purifier capable of clearly informing a user of filtered functional water.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having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into a first storage space and a second storage space; a top case assembled with the water tank; a first filter assembly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and a forced filtration device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irculating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wherein the partition wall comprises: a vertical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opening surface into a first opening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a horizontal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vertical partition wall and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bulkhead and communicating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wherein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top cas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surface; a second filter assembly assembled to the top case; and a pump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ssembly, wherein the pump sucks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and the filter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는, 제1필터, 제2필터 및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이 형성된 제1필터하우징;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이 흡입되는 제1필터흡입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토출부; 상기 제1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이 형성된 제2필터하우징;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제1필터여과수가 흡입되는 제2필터흡입부;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필터토출부; 상기 제2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필터토출부 및 제2필터흡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토출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assembly includes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nd the first filter includes a first filter housing having a first filter space formed therein. ; a first filter suction unit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housing and sucking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space; a first filter discharge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filter housing; and a first filler disposed in the first filter space, wherein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second filter housing having a second filter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filter suction unit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and sucking in the first filter filtr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discharge unit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and a second filler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space, wherein the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and the first filter suction part is submerged in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second filter discharge part may be submerged in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may be assembled to the top case,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may be assembled to the top case.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설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케이스 상측에 상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 하측에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A pump installation unit disposed on the top case and in which the pump is installed; wherein the pump installation unit is concave downward, the pump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case, and the pump installation un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ase. A first filter and a second filter may be disposed.
상기 탑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설치홀 및 제2설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조립되며, 상기 제1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A first installation hole and a second installation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re further included,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is assembl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assembled, the first installation hole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pump installation unit, and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may connect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pump installation unit.
상기 연결관이 상기 펌프설치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may be disposed in the pump installation space.
첫째,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제1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된 제1여과수를 강제여과장치를 구동하여 제2여과수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filtered in a natural filtration method through a first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state of raw water, and the first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assembly is converted into second filtered water by driving a forced filtering devic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purify.
둘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에 연결된 제1필터의 제1충진재 또는 제2필터의 제2충진재를 통해 알카리수 또는 산성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functional water such as alkaline water or acidic water can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filler of the first filter or the second filler of the second filter connected to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셋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의 작동 시 여과된 기능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rly inform the user of the functional water filtered during operation of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through a display.
넷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의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제2저장공간에 잠기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2필터어셈블리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econd filter assembly because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of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are arranged to be lock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다섯째, 본 발명은 적어도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탑케이스를 관통하여 탑케이스 상측에 배치된 펌프와 연결되기 때문에, 강제여과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pass through the top case and are connected to the pump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3에 도시된 강제여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제여과장치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rced filtering device shown in Figure 3;
4 is a side view of the forced filtering device shown in FIG. 2;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물탱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FIG. 1 ,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am.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으로 구분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와, 상기 물탱크(10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200)와, 상기 물탱크(10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2여과공간(102)의 물을 순환 및 여과시키는 강제여과장치(30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상기 물탱크(100)는 상측이 개구된 아우터탱크(110)와,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내부를 연통가능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120)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개구된 상측을 개구면(111)이라 정의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월(115)과,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월(116)을 포함한다. The
상기 격벽(120)은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으로 구획한다. The
상기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의 상측이 상기 개구면(111)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면(111)은 제1여과공간(101)과 연통된 제1개구면(111a)과, 상기 제2여과공간(102)가 연통된 제2개구면(111b)을 포함한다. Upper sides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여과공간(101)의 부피가 제2여과공간(102) 보다 작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volume of the
상기 격벽(120)은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122)과, 상기 수직격벽(122)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격벽(124)와, 상기 수평격벽(124)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12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25)를 포함한다. The
상기 수평격벽(124)은 상기 수직격벽(122) 및 사이드월(115)을 연결한다. The
상기 수평격벽(124)은 상기 바텀월(116)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월(116)과 이격된다. The
상기 수직격벽(122)의 상단은 후술하는 탑케이스(360)에 결합될 수 있다. An upper end of the
상기 관통구(125)는 제1개구면(111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125) 및 제1개구면(111a)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through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서 제1개구면(111a)을 통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수평격벽(124)에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의 평단면은 상기 제1여과공간(101)의 평단면을 꽉 채우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의 측면이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내측면 또는 수직격벽(122)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개구면(111a)을 통해 공급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structu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a may pass through the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112)과,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따를 수 있는 스파우트(114)를 포함한다.The
상기 핸들(112)은 상기 제1저장공간(101)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핸들(112)과 반대편에 배치된다. The
상기 수직격벽(122)은 상기 핸들(112) 및 스파우트(114)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사용자가 물을 따를 때 상기 스파우트(114) 측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공간(101)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114)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Since the height of the 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사이드월(115)의 상측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탱크(11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여 상기 스파우트(114)를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okay to form the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여과재(201)(202)(203)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재들(201)(202)(203)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The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원수 중에 포함된 중금속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활성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부직포에는 은나노 입자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은나도 입자를 통해 원수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상기 여과재(201)(202)(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에 공급되는 물을 원수라 정의하고,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통과한 물을 제1여과수라 정의한다. Water supplied to the
자연여과 방식의 여과재들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natural filtration type filter media is a common techniqu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개구면(111)를 커버하는 탑케이스(360)와,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되고, 직렬로 배열되어 물이 유동되는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물을 펌핑하는 펌프(370)와, 상기 필터(310)(320)(330)(340)들을 연결하는 연결관(305)(306)(307)을 포함한다. The forced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에 연결된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들을 제2필터어셈블리라 한다. The plurality of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를 거쳐 토출된 물을 제2여과수라 정의한다.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가 공존할 수 있다.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orced
상기 강제여과장치(300)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가 구동될 경우,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가 공존할 수 있다.When the forced
상기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를 물리적으로 확연하게 구분할 수는 없지만,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구동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제2여과수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filtered water and the second filtered water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physically, the ratio of the second filtered water may increase as the operating time of the forced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필터(310)(320)(330)(340)를 제1여과수에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증가될 수록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기능성분이 증가될 수 있다. The forced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작동시간, 여과수의 PH 농도, 기능수와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rc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310)(320)(330)(34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펌프(370)의 작동 시 제2저장공간(102)에서 흡입된 물은 상기 필터(310)(320)(330)(34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필터(310)(320)(330)(340)들은 직렬로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310)(320)(330)(340)는 4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four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이 흡입되어 이동되는 순서로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라 한다. The
상기 제4필터(340)를 통과한 물은 다시 상기 제2저장공간(102)으로 토출된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증가할 수록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기능성 및 여과도가 증가할 수 있다.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의 구조는 동일하고,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를 구성하는 재질 또는 성분이 다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s of the
상기 제1필터(310)는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흡입한다. The
상기 제1필터(310)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31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12)과,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13)와,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연결관(305)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14)와, 상기 제1필터공간(311)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315)를 포함한다. The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의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도면번호가 상이하나 동일한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configurations of the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이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제2", "제3" 또는 "제4"로 구분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필터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평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평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충진재(315)가 배치된다. The flat cross-section of the
상기 필터흡입부(31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1충진재(31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13)는 물은 통과되되 상기 제1충진재(315)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토출부(314)에도 상기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Water sucked through the
구분을 위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을 흡입투과부재(316)라 하고, 상부에 배치된 것을 토출투과부재(317)라 한다. For distinction, the mesh net or permeable membran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is referred to as a suction
상기 제1충진재(315)는 부직포 및 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충진재(315)는 상기 게르마늄을 통해 미네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또는 나트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게르마늄은 상기 제1충진재(315)의 15% 내지 49%의 비율일 수 있다. The germanium may be in a ratio of 15% to 49% of the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의 총 부피가 3리터이고, 상기 게르마늄이 15%이며,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사용자에게 충분한 미네랄워터를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total volume of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is 3 liters, the germanium is 15%, and 1 liter of water is circulated per minute by the forced
상기 필터토출부(31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5)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관(305)(306)(307)은 탄성 및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혀엉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필터(320)는 제1필터(310)에서 토출된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필터(310)에서 토출된 물을 제1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The
상기 제2필터(320)는 상기 제1필터(3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필터(320) 및 제1필터(310)는 연결관(305)을 통해 연결된다. The
상기 제2필터(320)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32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22)과, 상기 필터하우징(322)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23)와, 상기 필터하우징(322)에 배치되고, 연결관(306)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24)와, 상기 제2필터공간(321)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325)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3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하우징(3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충진재(325)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1필터(31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23)는 필터하우징(322)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24)는 필터하우징(322)의 하부에 배치된다.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상기 필터흡입부(323) 및 필터토출부(32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6)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흡입부(32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2충진재(32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23)에 흡입투과부재(32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24)에 토출투과부재(327)가 배치될 수 있다. Water sucked through the
상기 제2충진재(325)는 부직포 및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리는 상기 제2충진재(325)의 27% 내지 53%의 비율일 수 있다. The
상기 구리가 27%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진재(325)에서 용출된 구리이온을 통해 순환되는 물의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the copper is 27% and 1 liter of water is circulated per minute by the forced
상기 제2필터(320)에서 토출된 물을 제2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Wate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제3필터(330)는 내부에 제3필터공간(33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32)과, 상기 필터하우징(332)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33)와, 상기 필터하우징(332)에 배치되고, 연결관(307)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34)와, 상기 제3필터공간(331)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335)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3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하우징(3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3충진재(335)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2필터(32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33)는 필터하우징(33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34)는 필터하우징(332)의 상부에 배치된다.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상기 필터흡입부(333) 및 필터토출부(33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7)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흡입부(33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3충진재(33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33)에 흡입투과부재(33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34)에 토출투과부재(337)가 배치될 수 있다. Water sucked through the
상기 제3충진재(335)는 부직포 및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켈은 상기 제3충진재(335)의 35% 내지 62%의 비율일 수 있다. The
상기 니켈이 27%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nickel is 27% and 1 liter of water is circulated per minute by the forced
상기 제3필터(330)에서 토출된 물을 제3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Wate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제4필터(340)는 내부에 제4필터공간(34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42)과, 상기 필터하우징(342)에 배치되고, 상기 제3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43)와, 상기 필터하우징(342)에 배치되는 필터토출부(344)와, 상기 제4필터공간(341)에 배치되는 제4충진재(345)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3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하우징(3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4충진재(345)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3필터(33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43)는 필터하우징(342)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44)는 필터하우징(342)의 하부에 배치된다.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상기 필터흡입부(343)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7)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suction part 343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which a hose-shaped
상기 필터흡입부(34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4충진재(34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43)에 흡입투과부재(34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44)에 토출투과부재(347)가 배치될 수 있다. Water sucked through the filter suction part 34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상기 제4충진재(345)는 부직포, 니켈 및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상기 제4충진재(345)의 35% 내지 62%의 비율일 수 있다. The
상기 니켈이 16%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nickel is 16% and 1 liter of water is circulated per minute by the forced
상기 제4필터(340)에서 토출된 물을 제2여과수라 정의한다.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실시예의 제1충진재(315), 제2충진재(325), 제3충진재(335) 또는 제4충진재(345)의 구성 및 성분비는 저장공간의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and component ratio of the
상기 펌프(370)는 제1필터(310) 및 제2필터(320) 사이, 제2필터(320) 및 제3필터(330) 사이,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에 상기 펌프(370)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에 상기 펌프(370)가 배치될 경우, 상기 제4필터(340)에서 토출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대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4필터토출부(344)는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텀월(116)을 향하게 배치된다.The fourth filter discharge part 344 is disposed toward the lower side and is disposed toward the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중 상기 제4필터(340)가 상기 스파우트(114)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Among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배치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의 전체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또한, 상기 제4필터(340)의 필터토출구(344)가 제2저장공간(102)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여과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호스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outlet 344 of the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개구면(111)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물탱크(100)와 결합되고, 상기 물탱크(100)의 개구면(111) 전체를 커버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탑케이스(360)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격벽(112)의 상단과 결합되는 격벽결합부(36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결합부(369)는 상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일 수 있다. A partition
그리고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제1저장공간(101) 및 제2저장공간(102)의 상부를 커버하여 물이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탑케이스(360)는 원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1개구면(111a)과 연통된 원수공급부(36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부(361)는 상기 제1개구면(111a)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36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The
상기 원수공급부(361)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커버(38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커버(38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1커버(38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원수공급부(361)를 개방할 수 있다. A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펌프(370)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설치부(362)는 상기 탑케이스(360) 내부에 배치된다. The
상기 펌프설치부(36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펌프설치부(362) 내부에 상기 펌프(370)가 수납된다. 상기 펌프(37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커버(3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2커버(39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2커버(39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펌프설치부(362)를 개방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커버(380) 및 제2커버(390)는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탑케이스(360)에 상기 휴대용 정수기를 작동시키는 입력버튼(39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버튼(391)의 의도치 않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커버(390)의 하측에 상기 입력버튼(391)이 배치된다. An input button 391 for operating the portable water purifier may be disposed on the
상기 입력버튼(391)는 택트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펌프(370)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input button 391 can use a tact switch and can control power delivered to the
상기 펌프(37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도 있다.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펌프(370)는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The
상기 배터리는 상기 탑케이스(3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및 펌프(37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370)는 배터리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펌프(370) 및 배터리를 일체화할 경우,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 및 펌프(370)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등의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battery may be disposed inside the
휴대용 정수기의 경우 외부 환경이 나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펌프(370) 및 배터리를 일체화할 경우, 방진 및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청소 시 전력계통의 제품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it can be used in a bad external environment. a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상기 제2커버(390)는 상기 펌프설치부(362) 및 입력버튼(391)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펌프설치부(362) 및 입력버튼(391)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커버(390)가 닫힐 경우, 상기 탑케이스(360) 밖으로는 디스플레이(350)만 노출된다. When the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에 따른 제2여과수의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산성수 또는 알카리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중 상부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되고, 나머지는 탑케이스(360)의 하부에 배치된다. Meanwhile, the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의 조립을 위해 상기 탑케이스(360)에 각각의 설치홀이 배치된다. Each installation hole is disposed in the
상기 탑케이스(360)는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제1필터(310)의 상부가 상기 제1설치홀(37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2필터(320)의 상부가 상기 제2설치홀(37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3필터(330)의 상부가 상기 제3설치홀(37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4필터(340)의 상부가 상기 제4설치홀(374)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An upper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은 상기 펌프설치부(362)와 연통된다. 상기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은 상기 탑케이스(36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상부가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되기 때문에 연결관(305)(307)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Since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상부가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305)(307)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portions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필터(310)의 필터토출부(314), 제2필터(320)의 필터흡입부(323), 제3필터(330)의 필터토출부(334) 및 제4필터(340)의 필터흡입부(343)가 탑케이스(360)의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배치되고,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을 통해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을 통해 상기 연결관(305)(307)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305)(307)는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배치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상부 일부는 탑케이스(360)의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조립된다. Upper portions of the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상부 일부는 각 설치홀(371)(372)(373)(374)의 내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삽입되는 부분을 필터조립부(318)(328)(338)(348)이라 한다. Upper portions of the
상기 각 필터조립부(318)(328)(338)(348)는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조립부(318)(328)(338)(348)의 외경은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의 내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 물탱크 110 : 아우터탱크
101 : 제1저장공간 102 : 제2저장공간
120 : 격벽 200 : 제1필터어셈블리
300 : 강제여과장치 310 : 제1필터
320 : 제2필터 330 : 제3필터
340 : 제4필터 350 : 디스플레이
360 : 탑케이스 370 : 펌프
380 : 제1커버 390 : 제2커버100: water tank 110: outer tank
101: first storage space 102: second storage space
120: bulkhead 200: first filter assembly
300: forced filtration device 310: first filter
320: second filter 330: third filter
340: fourth filter 350: display
360: top case 370: pump
380: first cover 390: second cover
Claims (5)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는, 제1필터, 제2필터 및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이 형성된 제1필터하우징;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이 흡입되는 제1필터흡입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토출부; 상기 제1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이 형성된 제2필터하우징;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제1필터여과수가 흡입되는 제2필터흡입부;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필터토출부; 상기 제2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필터토출부 및 제2필터흡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토출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휴대용 정수기. a water tank having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into a first storage space and a second storage space;
a top case assembled with the water tank;
a first filter assembly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A forced filtration device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irculating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vertical partition wall dividing the opening surface into a first opening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a horizontal partition wall connecting the vertical partition wall and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bulkhead and communicating the first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forced filtration device,
a top cas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surface; a second filter assembly assembled to the top case; A pump disposed in the top cas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ssembly;
The pump sucks water in the second storage space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and discharges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second filter assembly includes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The first filter may include a first filter housing having a first filter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filter suction unit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housing and sucking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space; a first filter discharge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filter housing; Including; a first filler disposed in the first filter space,
The second filter may include a second filter housing having a second filter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filter suction unit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and sucking in the first filter filtr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discharge unit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It includes a second filler disposed in the second filter space,
The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The first filter suction part is disposed to be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ilter discharge part is disposed to be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is assembled to the top case,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is assembled to the top case.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설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케이스 상측에 상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 하측에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배치된 휴대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It is disposed on the top case and further includes a pump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pump is installed, wherein the pump installation part is formed concave downward,
A portabl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pump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case, and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ase.
상기 탑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설치홀 및 제2설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조립되며,
상기 제1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결시키는 휴대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stallation hole and a second installation hole penetrating the top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ilter discharge part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and the second filter suction part is assembl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The first install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pump installation unit,
A portabl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connects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pump installation part.
상기 연결관이 상기 펌프설치부에 배치된 휴대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A portabl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is disposed in the pump installation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1962A KR102503271B1 (en) | 2020-10-13 | 2020-10-13 | Portable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1962A KR102503271B1 (en) | 2020-10-13 | 2020-10-13 | Portable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8733A KR20220048733A (en) | 2022-04-20 |
KR102503271B1 true KR102503271B1 (en) | 2023-02-24 |
Family
ID=8140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1962A Active KR102503271B1 (en) | 2020-10-13 | 2020-10-13 | Portable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27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34804A1 (en) * | 2022-05-31 | 2023-12-07 | Сергей Игоревич ОЗЕРОВ | Device for automatically sanitizing drinking water dispenser tanks |
KR102740939B1 (en) * | 2022-06-03 | 2024-12-10 | 김태욱 | 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near-infrared rays and mineral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9933A (en) * | 1996-03-14 | 1997-11-25 | Yoshio Harada | Simple stand type water purifier |
KR200188540Y1 (en) | 2000-01-21 | 2000-07-15 | 최광순 | Portable water purifiers |
KR100336990B1 (en) * | 2000-03-13 | 2002-05-17 | 서정주 | A portable water purifier |
KR100567251B1 (en) * | 2004-03-22 | 2006-04-03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20120031826A (en) | 2010-09-27 | 2012-04-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Portable water purifier |
-
2020
- 2020-10-13 KR KR1020200131962A patent/KR10250327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8733A (en) | 2022-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3271B1 (en) | Portable water purifier | |
US5626747A (en) | Aquarium overflow filter system having a pre-overflow wall | |
JP2015506683A (en) | Water tank with filtration function | |
KR101992133B1 (en) | Water tank system | |
KR101552394B1 (en) | Aquarium with circulating filtration tank | |
KR101068556B1 (en) |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 |
US8017007B2 (en) | Filtering unit for an aquarium | |
CN110550768A (en) | Water treatment machine | |
KR20120002855A (en) | Integrated Filter | |
CN220098661U (en) | Skid-mounted integrated 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integrated water treatment system | |
CN201439039U (en) | water filter | |
CN216533332U (en) | An integrated filter system | |
KR101266959B1 (en) | Sea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CN202688106U (en) | Water purification filter cylinder and tank-type water purifier | |
CN213231752U (en) | Built-in fish excrement separating filter | |
CN210580537U (en) | Novel aquarium of making an uproar falls based on water circulating system realizes | |
JP2715244B2 (en) | Receiving-type well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 |
KR102457677B1 (en) | Portable water purifier with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motor | |
CN214344711U (en) | Sewage recovery system and washing machine | |
CN211987486U (en) | Integrated filter element of water purifier | |
CN209853932U (en) | Water purifier for purifying sewage | |
US20110079555A1 (en) | Aquarium Filter | |
CN208292751U (en) | A kind of box-shaped drinking water filter | |
KR101159649B1 (en) | A water bottle with the water cleaning function | |
CN216837387U (en) | Sewage grading and filte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