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3214B1 -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 Google Patents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214B1
KR102503214B1 KR1020200090749A KR20200090749A KR102503214B1 KR 102503214 B1 KR102503214 B1 KR 102503214B1 KR 1020200090749 A KR1020200090749 A KR 1020200090749A KR 20200090749 A KR20200090749 A KR 20200090749A KR 102503214 B1 KR102503214 B1 KR 10250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anoparticles
bacteria
metal
tribo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1913A (en
Inventor
류승환
정학근
김종훈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214B1/en
Publication of KR2022001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2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8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필터;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박테리아 또는 세균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필터; 및 형광체 물질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물질이 변환한 광을 나노 입자가 전달받고, 상기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3 필터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filter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generating triboelectricity and removing fine dust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one or more second filters including an ultraviolet lamp and removing bacteria or germ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amp; and at least one third filter including a phosphor material and nanoparticles, wherein the nanoparticles receive the light converted by the phosphor material, and transfer heat generated by the nanoparticles to remove viruses. can provide.

Figure R1020200090749
Figure R1020200090749

Description

광열효과에 의한 살균이 가능한 마찰전기 필터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Triboelectric filter capable of sterilization by photothermal effect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본 실시예는 가시광 또는 근적외선이 조사된 나노 입자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살균이 가능한 마찰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triboelectric filter capable of sterilization by heat generated by nanoparticles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rays.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PM(Particulate Matter) 2.5, PM(Particulate Matter) 10 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먼지와 달리 입자의 크기가 작아 체내로 쉽게 흡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몸 속 깊이까지 침투된 미세먼지는 기관지 또는 폐에 달라붙어 암을 발생시키는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미세먼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Fine dust is classified into PM (Particulate Matter) 2.5 and PM (Particulate Matter) 10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In particular, fine dust that has penetrated deep into the body is known to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sticking to the bronchi or lungs and causing cancer.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 등의 미립자를 여과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통해 제거하며, 일례로 종이 필터, 부직포 필터는 미세먼지 입자보다 작은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망보다 지름이 큰 미세먼지를 포집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막아 압력 강하에 따른 여과능력이 하락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general, fine particles such as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are removed through a filter having a filtering function. For example, paper filters and non-woven fabric filters use a filter net smaller than fine dust particles to capture fine dus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lter n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of air is blocked over time and the filtering ability decreases due to the pressure drop.

여과식 필터의 압력 강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체형 여과 필터 등을 사용하여 여과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해당 기술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제안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막는다는 여과식 필터의 본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As a way to solve the pressure drop problem of the filtration filter, attempts to improve the filtration capacity using a replaceable filtration filter have been continuously proposed in the art, but the filtration type that blocks the air flow over time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filter remains unresolved.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코로나 방전이 제안되었지만, 코로나 방전은 고압의 전원을 인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가정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오존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발생시켜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명확하다.Corona dischar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has been proposed, but corona discharge has a problem in that high-voltage power must be appli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at home and polluting the environment by generat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ozone.

종래의 공기청정필터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뿐이므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종래의 공기청정필터에 주로 사용되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는 섬유로 제작되어 세균 번식의 위험성이 높으며, 바이러스의 제거가 쉽지 않다. Conventional air cleaning filters have only the purpose of removing fine dust, so they do not have the effect of removing bacteria and viruses.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s, which are mainly used in conventional air cleaning filters, are made of fibers, so there is a high risk of bacterial propagation, and it is not easy to remove viruses.

또한, 헤파 필터의 등급이 H14인 경우 입자 포집률이 99.975%로 높아지는 등 미세먼지의 제거 성능은 높아지지만, 필터에 걸리는 차압이 높아져 펌프장치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HEPA filter has a grade of H14, the particle collection rate increases to 99.975%, and the removal performance of fine dust increases, but the differential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increases, overloading the pump device and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흡착면의 마찰전기 발전을 통해 대전된 표면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집진 또는 포집하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gainst this background,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one aspect, to provide a filter that collects or collec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by using a surface charged through triboelectric generation of an adsorption surface.

본 실시예의 목적은, 다른 측면에서,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로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filter that irradiates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rays and removes bacteria, viruses, and the like with heat generated by nanoparticles.

본 실시예의 목적은, 또 다른 측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 바이러스 등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로 잔존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filter that primarily removes bacteria, viruses, etc.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nd secondarily removes bacteria, viruses, etc. remaining with heat generated by nanoparticl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터; 및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나노 입자에 전달되고, 상기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광열 효과에 의해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살균 필터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it includes a polymer material that generates triboelectricity, and removes fine dust,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polymer filter; and at least one sterilizing filter that transmits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to the nanoparticles and transfers heat generated by the nanoparticles to remove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a photothermal effe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는,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필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필터; 및 형광체 물질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물질이 변환한 광을 나노 입자가 전달받고, 상기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3 필터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olymer material that generates triboelectricity, and removes fine dust, germs, bacteria or viruses by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The above first filter; one or more second filters that remove germs, bacteria, or viruse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nd one or more third filters including a phosphor material and nanoparticles, receiving the light converted by the phosphor material to the nanoparticles and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the nanoparticles to remove germs, bacteria or viruses. , may include a triboelectric filter.

미세먼지 필터에서 상기 제1 필터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에 하나 이상의 나노 입자가 분산되어 있거나 필터 속에 나노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fine dust filter, a triboelectric filt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filter includes one or more grooves on a surface, and one or more nano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third filter or nano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filter.

미세먼지 필터에서 상기 제2 필터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상기 제3 필터의 형광체 물질에 전달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fine dust fil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boelectric filter in which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an ultraviolet lamp of the second filter are transferred to a phosphor material of the third filter.

미세먼지 필터에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나일론(Nylon) 및 나피온(Naf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1) 금속 계열의 금, 은, 구리, 철 중 하나 이상, (2) 금속-절연체 계열의 SiO2-금속, SiN-금속 중 하나 이상, (3) 금속-반도체 계열의 TiO2-금속, ZnO-금속, SnO2-금속 중 하나 이상, (4) 반도체 계열의 Ge-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fine dust filter, the polymer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nylon and Nafion, and the The nanoparticles may include (1) at least one of gold, silver, copper, and iron in the metal series, (2) at least one of SiO2-metal and SiN-metal in the metal-insulator series, (3) TiO2- in the metal-semiconductor ser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metal, ZnO-metal, and SnO2-metal, at least one of (4) semiconductor-based Ge-T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측면에서, 정전기적으로 대전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찰부재;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마찰부재의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나노 파이버; 및 상기 나노 파이버 표면에 도포된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 물질에 의해 변환된 가시광에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nother aspect, a porous friction member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capable of being electrostatically charged and including one or more grooves on a surface thereof; nanofibers formed by electrospinning and irregular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and one or more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coated on a surface of the nanofiber and capable of generating heat in response to visible light converted by the fluorescent material. can

마찰전기 필터에서 상기 형광 물질은 야그(YAG) 형광체이고, 상기 폴리머 재료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나일론(Nylon) 및 나피온(Naf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In the triboelectric filter, the fluorescent material is a YAG phosphor, and the polymer material i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nylon and Nafion (Nafion),

상기 나노 입자는, (1) 금속 계열의 금, 은, 구리, 철 중 하나 이상, (2) 금속-절연체 계열의 SiO2-금속, SiN-금속 중 하나 이상, (3) 금속-반도체 계열의 TiO2-금속, ZnO-금속, SnO2-금속 중 하나 이상, (4) 반도체 계열의 Ge-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nanoparticles may include (1) at least one of metal-based gold, silver, copper, and iron, (2) at least one of metal-insulator-based SiO2-metal and SiN-metal, (3) metal-semiconductor-based TiO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boelectric filter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metal, ZnO-metal, and SnO2-metal, (4) at least one of semiconductor-type Ge-T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마찰전기 필터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A triboelectric filter may be provided that further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n the triboelectric filter.

마찰전기 필터에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의 일부는 광촉매에 의해 코팅되고, 상기 광촉매는 밴드갭(Band gap)을 형성하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triboelectric filter,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and the photocatalyst may provide a triboelectric filter that forms a band gap.

마찰전기 필터에서 상기 마찰전기 필터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유동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찰전기 필터는 제1 유동 통로와 분리되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유동 통로와 연결되어 있는,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triboelectric filter,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nnected to a first flow passage for circulating external air, and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nnected to a second flow passage for circulating internal air separated from the first flow passage. An electric filter can be provided.

본 실시예의 목적은, 또 다른 측면에서,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이중 살균 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을 마찰전기 필터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자외선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1차 살균단계; 상기 조사된 자외선이 형광 물질에 전달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가시광 방출 단계; 상기 가시광에 반응하여 나노 입자가 열을 방출하는 열 발생단계; 및 상기 나노 입자에서 방출된 열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2차 살균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살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a method for double sterilization using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the steps of irradiating the triboelectric filter with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an ultraviolet lamp; A first sterilization step of sterilizing germs, bacteria or viruses with the irradiated ultraviolet rays; a visible light e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irradiated ultraviolet rays to a fluorescent material to emit visible light; a heat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nanoparticles emit heat in response to the visible light; and a secondary sterilization step of sterilizing germs, bacteria or viruses with the heat emitted from the nanoparticles.

본 실시예의 목적은, 또 다른 측면에서,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살균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단계;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나노 입자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에 반응하여 나노 입자가 열을 방출하는 열 발생단계; 및 상기 나노 입자에서 방출된 열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살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the steps of removing fine dust,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a polymer filter; irradiating the nanoparticles with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a heat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nanoparticles emit heat in response to the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and sterilizing germs, bacteria or viruses with the heat emitted from the nanoparticl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방사를 활용한 필터의 제작을 통해 차압이 낮은 미세먼지 필터를 제공할 수 있고, 자외선을 통해 세균을 제거함과 동시에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중 살균 마찰전기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ne dust filter with a low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the manufacture of a filter using electrospinning, and to remove bacteria through ultraviolet rays and at the same time to remove viruses by heat generated by nanoparticl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uble sterilization triboelectric filter that removes.

도 1은 복수 개의 필터를 구비한 마찰전기 필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음전하를 가지는 미세먼지와 마찰전기 필터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마찰전기 필터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코팅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마찰전기 필터의 제거 대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복수 개의 필터를 구비한 마찰전기 필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전기 방사를 통한 나노파이버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나노 입자가 분사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는 실내 공기의 순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마찰전기 필터의 이중 살균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나노 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나노 입자의 표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나노 입자의 농도별 표면을 확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은 나노 입자의 크기별 표면을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15은 나노 입자의 크기별 표면을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16는 나노 파이버 형성을 위한 방사 기기 실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니들 사이즈에 따른 나노 파이버를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18은 니들 사이즈에 따른 나노 파이버를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제거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0은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표면을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21은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표면을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riboelectric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fine dust having a negative charge and a triboelectric filter.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filter.
4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coated triboelectric filter.
5 is a diagram explaining a removal target of a triboelectric filter.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riboelectric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7 is a view explaining a nanofiber fabrication process through electrospinning.
8 is a view comparing the surfaces of triboelectric filters sprayed with nanoparticle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lation process of indoor air.
10 is a diagram showing a double sterilization step of a triboelectric filter.
11 is a diagram showing light absorbance for each wavelength of nanoparticles.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13 is an enlarged example view of the surface of each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14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surface of each size of nanoparticles is enlarged.
15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surface of each size of nanoparticles is enlarged.
16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process of a spinning apparatus for forming nanofibers.
17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n which nanofibers according to needle sizes are enlarged.
18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n which nanofibers according to needle sizes are enlarged.
19 is a diagram comparing the bacteria remov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20 is a first exemplary view in which the surface of bacteria is enlar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FIG. 21 is a second exemplary view in which the surface of bacteria is enlar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which is determined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복수 개의 필터를 구비한 마찰전기 필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riboelectric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도 2은 음전하를 가지는 미세먼지와 마찰전기 필터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fine dust having a negative charge and a triboelectric filter.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마찰전기 필터는 제 1 필터(100), 제2 필터(200), 제3 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include a first filter 100, a second filter 200, and a third filter 300.

제1 필터(100)는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필터(100)은 마찰전기 필터 또는 폴리머 필터로 불릴 수 있다.The first filter 100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at generates triboelectricity. If necessary, the first filter 100 may be called a triboelectric filter or a polymer filter.

폴리머 재료는 공기와의 마찰로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며, 마찰전기에 의해 미세먼지(1), 박테리아(3), 바이러스(5)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마찰전기에 의한 필터는 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유해 물질을 집진 또는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polymer material generates triboelectricity by friction with air,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1), bacteria (3), and viruses (5) can be removed by triboelectricity. The triboelectric filter can collect or collect and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PM2.5, PM10 등으로 구분되며,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표시된 미세먼지(1)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유해물질은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마찰전기 필터의 흡착 또는 제거의 대상이 된다.Fine dust is classified into PM2.5, PM10, etc.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cl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ine dust 1 shown in the drawing may be set differently as needed. Fine dust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subject to adsorption or removal by the triboelectric filter regardless of their type.

마찰전기 필터는 흡착면의 마찰전기 발전을 통해 대전된 표면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집진 또는 포집하는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오에어로졸의 경우 표면의 전하로 인하여 마찰전기로 대전된 필터에 쉽게 포집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filter may provide a filter that collects or collec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by using a surface charged through triboelectric generation of an adsorption surface. In the case of bioaerosol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they can be easily captured by triboelectrically charged filters due to surface charge.

기존의 여과식 필터는 미세먼지(1)보다 직경이 작은 유동통로를 형성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미세먼지(1)를 제거한다. 예시적으로, 미세먼지(1)는 직경이 10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고, 여과식 필터는 미세먼지(1)의 직경보다 작은 5 마이크로 미터로 직경을 형성하여 필터의 직경보다 큰 미세먼지(1)를 제거할 수 있다.Existing filtration filters form a flow passag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ne dust (1) to remove the fine dust (1) by a physical method. Illustratively, the fine dust (1) may have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and the filtration filter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5 micrometer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ne dust (1), so that the fine dust (1)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ter can be removed.

이러한 여과식 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 능력이 감소하게 되며, 여과된 미세먼지(1)가 필터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차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Such a filtration fil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iltration capacity decreases over time,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continuously increases because the filtered fine dust 1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filter.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필터는 미세먼지(1)의 직경보다 큰 공기 유동 통로를 형성하여 차압을 감소시키지 않고 미세먼지(1)를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세먼지(1)는 직경이 10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고, 마찰전기 필터는 미세먼지(1)의 직경보다 큰 15 마이크로 미터의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식 필터와 비교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 능력의 감소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차압의 증가량은 미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손실을 방지하여 에너지 저감 또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triboelectr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ms an air flow passag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ne dust 1 to remove the fine dust 1 without reduc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Illustratively, the fine dust 1 may have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and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form a diameter of 15 micrometer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ne dust 1. In this case, since the decrease in filtration capacity over tim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filter type filter,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may be insignifica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or power consumption by preventing pressure loss.

공기의 유동 통로는 직사각형일 수 있고, 원형일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미세먼지 필터의 제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메시(mesh)형 마찰전기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메시 형태의 필터는 공기와의 마찰에 의한 대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미세먼지 포집을 가능하게 한다.The air flow path may be rectangular or circular,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For example, a mesh-type triboelectric filter may be forme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a fine dust filter. The mesh-type filter can increase the amount of charge caused by friction with air, enabling efficient fine dust collec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필터(100)의 섬유(fiber) 또는 파이버(110)는 양이온을 가질 수 있고, 음이온을 가진 미세먼지(1)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흡착시키거나 당길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bers or fibers 110 of the first filter 100 may have positive ions, and fine dust 1 having negative ions may be adsorbed or attrac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필터(100)는 음이온을 가질 수 있고, 양이온을 가지는 미세먼지(1), 박테리아(3), 바이러스(5) 등의 유해 물질을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흡착시키거나 당길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ilter 100 may have negative ions and adsorb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1), bacteria (3), and viruses (5) having positive ions by electrostatic attraction, or can pull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100)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기적으로 대전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형성된 다공성 마찰부재의 집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e or more grooves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ability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that can be electrostatically charged.

제1 필터(100)에서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는 테프론, 실리콘 수지,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폴리스틸렌, 아크릴 수지, ABS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Polymer materials used in the first filter 100 include Teflon, silicone resin, nylon,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vinyl chloride, polystyrene, acrylic resin, ABS resin, phenol resin, melamine resin, epoxy resin, and polyester. , unsaturated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ster, polycarbonate, polyacetal, modified polyphenylene oxide, modified polyphenylene oxid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arylate and fluorine-based resin It may includ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라 폴리머 재료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나일론(Nylon) 및 나피온(Naf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lymer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nylon, and Nafion. .

폴리머 재료는 마찰전기 발생에 용이한 재료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조사에 따른 변성이 없는 재료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polymer material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easy to generate triboelectricity,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a material that is not denat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near infrared rays.

폴리머 재료는 형광 물질과 분리된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형광 물질을 포함하여 폴리머 복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polymer material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luorescent material, but may also form a polymer composite including the fluorescent material.

제2 필터(200)은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박테리아 또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200 includes a UV lamp, and can remove bacteria or germs by irradiating UV rays generated by the UV lamp.

제2 필터(200)은 필요에 따라 제1 필터(100), 제3 필터(300)과 분리된 별개의 필터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ilter 200 may be a separate filter separated from the first filter 100 and the third filter 300 as needed, and may have a single structure as needed.

자외선 램프의 종류는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자외선에 의해 산화(Oxidation) 반응이 살균 작용에 활용될 수 있다. 바이오 에어로졸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중에 부유하는 바이오 에어로졸은 제2 필터(200) 또는 제3 필터(30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The type of ultraviolet lamp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generate ultraviolet rays. Oxidation reaction by ultraviolet light can be utilized for sterilization. The bio-aerosol may include germs, bacteria, and viruses, and the bio-aerosol floating in the air may be removed by the second filter 200 or the third filter 300 .

자외선의 파장 범위에 따라 일반적으로 UV-C에 의해 광화학적 반응이 DNA와 RNA에서 발생하게 된다. UV-C에 노출된 DNA, RNA는 비활성화되어 재생산(reproduce)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UV-B, UV-A에 노출된 단백질 또는 지질은 산화(oxidation)되어 세포의 죽음을 유발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wavelength range of ultraviolet rays, photochemical reactions are generally caused by UV-C in DNA and RNA. DNA and RNA exposed to UV-C are inactivated so that reproduction no longer occurs. Proteins or lipids exposed to UV-B or UV-A may be oxidized and cause cell death.

가시광 영역 중 청색 계열의 광(blue light)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막을 수 있고, 이는 박테리아 세포에 독성을 가지는 산소 생성 반응(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을 촉진하여 성장을 막을 수 있다.Blu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can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which promotes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at are toxic to bacterial cells, thereby preventing their growth.

제3 필터(300)은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살균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3 필터(300)는 필요에 따라 살균 필터로 불릴 수 있다.The type of the third filter 30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generates a sterilizing action by heat generated by nanoparticles. The third filter 300 may be called a sterilization filter if necessary.

제3 필터(300)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나노 입자가 분산되거나 필터 또는 나노파이버 속에 나노입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나노 파이버 내부 공간상에 나노 입자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필터(300)은 필요에 따라 표면, 내부, 주변부 등의 구조 또는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One or more nanoparticles may be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filter 300 or nanoparticles may be included in the filter or nanofibers. Illustratively, nanoparticles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pace of the nanofibers. The third filter 300 may change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of the surface, interior, or periphery as needed.

나노 입자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특성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Nanoparticles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surface plasmon resonance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characteristics.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은 전달되는 광에 의해 금속 표면의 전하 분포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금속 표면에 형성되는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전달되는 광의 특성, 금속 표면의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근접장을 조절할 수 있다.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transmitted light interacts with the charge distribution on the metal surface and generates a near field formed on the metal surface. The generated near fiel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ed ligh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라, 나노 입자에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전달되는 경우 나노 입자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박테리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노축될 경우 파괴되거나 탈(burning)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광열효과(photo-thermal effect)로 불릴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ray is transmitted to the nanoparticle, the nanoparticle may generate heat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In this case, bacteria and viruses can be removed by the heat generated. When bacteria are expos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y can be destroyed or burned. This phenomenon may be called a photo-thermal effect.

나노 입자에 의한 광열효과는 자외선의 조사 없이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직접적으로 나노 입자에 조사되거나 자외선의 조사 후 형광체에 의한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 발생(emission)에 의해 나노 입자에 가시광이 전달될 수 있다.The photothermal effect by nanoparticles can be directly irradiated with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withou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or visible light can be transmitted to nanoparticles by emission of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by phosphors after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은 외부의 자연광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설치된 광원에 의해 조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자연광에 포함된 가시광이 필터에 전달되어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으로, 자연광에 포함된 자외선이 필터에 전달되어 형광체 물질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near infrared rays may be external natural light, and may be irradiated by a light source installed as necessar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visible light included in natural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lter to generate a photothermal effect. As another example, ultraviolet light included in natural light may be transmitted to a filter and converted into visible light by a phosphor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의 조사 없이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직접적으로 나노 입자에 조사되는 경우 나노 입자는 광열효과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의 조사 없이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만으로 광열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visible or near-infrared rays are directly irradiated onto the nanoparticles withou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the nanoparticles may generate heat by a photothermal effect. In this case, a photothermal effect can be generated only with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without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이 형광체에 조사되는 경우 형광체가 자외선을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으로 변환하고, 발생한 가시광선이 나노 입자에 조사되어 광열효과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만을 사용하여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경우 보다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을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나노입자에 열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추가하면 1차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살균을 할 수 있고, 변환된 가시광에 의해 2차적으로 광열 효과에 의한 살균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phosphor, the phosphor converts the ultraviolet rays into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and the generated visible rays are irradiated to the nanoparticles to generate heat by a photothermal effect. In this c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germs, bacteria, and viruses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of removing germs, bacteria, and viruses using only ultraviolet rays. By adding a process of converting ultraviolet light into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light to generate heat in the nanoparticles, sterilization by ultraviolet light can be performed primarily, and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by photothermal effect secondarily by the converted visible light.

일 실시예에 따라, 마찰전기 필터는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물질은 전달된 광 또는 빛을 전달받아 광 또는 빛을 변환시킬 수 있는 물질로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형광 물질은 야그(YAG) 또는 야그 형광체일 수 있다. 야그 형광체는 YAG: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1
, YAG:Nd 등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include a fluorescent material. The fluorescent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a material capable of converting light or light by receiving transmitted light or light. Illustratively, the fluorescent substance may be YAG or YAG fluorescent substance. The YAG phosphor is YAG: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1
, YAG:Nd,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라,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는, (1) 금속 계열의 금, 은, 구리, 철 중 하나 이상, (2) 금속-절연체 계열의 SiO2-금속, SiN-금속 중 하나 이상, (3) 금속-반도체 계열의 TiO2-금속, ZnO-금속, SnO2-금속 중 하나 이상, (4) 반도체 계열의 Ge-Te일 수 있고, 위 조합의 나노 입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금속 나노 입자는 금(Au), 은(Ag), 구리(Cu), 철(F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anoparticles may be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 (1) at least one of metal-based gold, silver, copper, and iron, (2) at least one of metal-insulator-based SiO2-metal and SiN-metal, (3) metal- At least one of semiconductor-based TiO2-metal, ZnO-metal, SnO2-metal, (4) semiconductor-based Ge-Te, one or more of the above combinations of nanoparticle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 Illustratively, the metal nanoparticle may include one or more of gold (Au), silver (Ag), copper (Cu), and iron (Fe).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는 금속 그 자체에 의한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금속의 절연체에 의한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generate a photothermal effect by the metal itself, and can generate a photothermal effect by the insulator of the metal.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반도체 계열에 의한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반도체 그 자체에 의한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A photothermal effect may be generated by a metal-semiconduc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photothermal effect may be generated by the semiconductor itself.

예시적으로,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2
에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에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보다 높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사되는 레이서 광의 파장에 따라 온도 변화가 달라질 수 있다.Illustratively,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2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on th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 higher temperature can be confirmed than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hange may vary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irradiated laser light.

예시적으로, 금(Au) 나노 입자에 대해 파장을 달리하여 조사한 경우 535nm 내외에서 높은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irradiating gold (Au) nanoparticles at different wavelengths, they may have a high absorption rate around 535 nm.

일 실시예에 따라, 나노입자는 물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분사(spray) 및 코팅(coating)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노 입자는 물, 에탄올의 혼합 용액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분사 및 코팅할 수 있고, 혼합 용액의 종류는 광열효과의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anoparticles may be sprayed and coated by mixing with water in an appropriate rati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anoparticles may be sprayed and coated by mixing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ethanol at an appropriate ratio, and the type of the mixed solu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properly selected to increase the photothermal effect.

예시적으로, 물과 에탄올의 혼합 비율을 1:1, 1:2, 1:3, 1:4, 1:5 등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혼합 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532nm 녹색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 광열 효과(photothermal effect)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물과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1:1인 경우에 높은 온도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계산하고, 목표 온도 또는 최적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ethanol may be 1:1, 1:2, 1:3, 1:4, 1:5, etc., but the mixing ratio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In this case, when a 532nm green laser is irradiated, the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can be measured to confirm the photothermal effect, and a high temperature change can be obtained when the mixing ratio of water and ethanol is 1:1. can It is possible to properly set the mixing ratio in order to calculate the change in temperature over time and set the target temperature or optimum temperature.

예시적으로, 532nm 녹색 LED를 조사한 경우 광 파워(optical power)를 변경하여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을 켠 후 10초 후의 온도를 측정하여, 광 파워(optical power)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광 파워(optical power) 또는 측정 시간은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쉽게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광원을 켠 후 20초 후, 30초 후, 1분 후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532 nm green LED is irradiated, a temperature change may be measured by changing optical power. In this case,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optical power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10 seconds after turning on the light source. Optical power or measuring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to easily measure the change in temperature.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20 seconds, 30 seconds, or 1 minute after turning on the light source.

예시적으로, 50nm 이하의 금(Au) 나노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Illustratively, gold (Au) nanoparticles of 50 nm or less may be used.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eded.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필터(300)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고, 자외선은 형광 물질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 물질은 자외선(UV)에 반응하고, 가시광(Visible light)으로 변환하여 방출(emission)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출된 가시광은 나노 입자로 전달될 수 있고, 나노 입자는 가시광과 반응하여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필터(300)에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고, 나노 입자가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과 직접 반응하여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 또는 이와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to the third filter 300, and the ultraviolet rays may be transferred to a fluorescent material. In this case, the fluorescent material may play a role of reacting to ultraviolet (UV) light, converting it into visible light, and emitting it. The emitted visible light can be transferred to the nanoparticles, and the nanoparticles can react with the visible light to generate heat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filter 300 may be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and nanoparticles directly react with the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to generate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or similar effects. heat can be generated by

예시적으로,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로서 금(Au), 은(Ag), 구리(Cu)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nanoparticles are metal nanoparticles and may be gold (Au), silver (Ag), or copper (Cu).

금속 나노 입자는 시드(seed)로부터 크기를 키우는 과정을 통해 적절한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금(Au) 나노 입자의 시드(seed)는 10nm에서 최종 사이즈를 100nm로 키울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Metal nanoparticles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size through a process of growing the size from a seed. Illustratively, the seed of the gold (Au) nanoparticles may increase the final size from 10 nm to 10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이 세균에 직접 조사되어, 세포벽을 파괴하는 등 1차적으로 살균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이 형광 물질에 전달되어 가시광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가시광에 의해 반응한 나노 입자들이 2차적으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중 살균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ultraviolet rays may be directly irradiated to bacteria to primarily generate a sterilization effect, such as destroying cell walls. In addition, ultraviolet rays are transmitted to the fluorescent material and converted into visible light, and nanoparticles reacted by the converted visible light can generate a double sterilization effect of secondarily removing bacteria and viruses.

세균 또는 바이러스 제거 성능은 공기 중 부유균 감소 확인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시료 중의 균 감소율을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Bacteria or virus removal performance can be confirmed through an airborne bacteria reduction test, and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bacteria reduction rate in a sample.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필터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상기 제3 필터의 형광체 물질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UV)는 형광물질에 의해 파장의 변화(Wavelength Shift)가 발생하게 되고 가시광 또는 근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외선(UV)는 삼중결합에 의한 밴드 갭(band gap)을 조정하여 가시광 또는 근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반도체 밴드갭 공정에 의한 것으로 자외선에 의한 오존 발생 증가를 억제하고 가시광에 의한 오존 발생 억제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an ultraviolet lamp of the second fil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phosphor material of the third filter. In this case, wavelength shift of ultraviolet (UV) is caused by the fluorescent material, and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ltraviolet (UV) light may generate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light by adjusting a band gap due to a triple bond. This is due to the semiconductor bandgap process, and can suppress the increase in ozone generation by ultraviolet rays and induce the suppression of ozone generation by visible light.

기존의 광촉매 방식은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정화 물질이 생성되지만, 자외선이 산소와 반응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Existing photocatalytic methods produce a purification material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ultraviolet rays react with oxygen to generate ozone.

일 실시예에 따라,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의 일부는 광촉매에 의해 코팅되고, 광촉매는 밴드갭(Band gap)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and the photocatalyst may form a band gap.

일 실시예에 따라,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3
,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4
, GO 등에 의해 삼중 결합을 통한 밴드갭 (band gap) 제어를 할 수 있다. 밴드갭 특성에 의해 물질 속에서 전자가 존제하는 에너지 레벨에 의한 자유전자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섬유 또는 파이버의 표면에 작용기를 생성하여 광촉매 코팅을 시도할 수 있고, 섬유 구조 변화로 소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3
,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4
, GO, etc.,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and gap through triple bonding. The movement of free electrons can be controlled by the energy level of the electrons in the material by the bandgap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photocatalytic coating may be attempted by generating a functiona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fiber or fiber, and hydrophobicity may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fiber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어 에어로졸이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 세균,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이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다. 나노 입자에 의한 열이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전달되는 경우 박테리아는 사멸(killing)될 수 있고, 바이러스는 비활성화를 통한 기능의 상실 및 분해에 이를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필터는 필요에 따라 제1 필터(100), 제2 필터(200), 제3 필터(300)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germs, and viruses may be removed from the air while the Bayer aerosol passes through the filter. When heat by the nanoparticles is transferred to bacteria or viruses, the bacteria can be killed, and the viruses can lose their functions and decompose through inactiv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iboelectric filter is Accordingly, i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filters separated into the first filter 100, the second filter 200, and the third filter 300, and may be formed as one filter if necessary.

예시적으로, 하나의 필터로 형성된 마찰전기 필터는,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및/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박테리아 또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및/또는 형광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물질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Exemplarily, a triboelectric filter formed of one filter includes a polymer material that generates triboelectricity, and can remove fine dust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and/or Bacteria or germs may be remov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or viruses may be removed by including a phosphor material and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the phosphor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필터로 형성된 마찰전기 필터는, 정전기적으로 대전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찰부재;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마찰부재의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나노 파이버; 및 상기 나노 파이버 표면에 도포된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는 형광 물질에 의해 변환된 가시광에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riboelectric filter formed of one filter includes a porous friction member formed of an electrostatically charged polymer material and including one or more grooves on a surface; nanofibers formed by electrospinning and irregular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and a fluorescent materia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s.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may generate heat in response to visible light converted by a fluorescent material.

도 3는 마찰전기 필터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filter.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필터(100)는 다공성 마찰부재(112) 및 접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filter 100 may include a porous friction member 112 and an adhesive part 114 .

제1 필터(100)는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미세먼지(1)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 필터(100)의 표면 및 표면에 형성된 홈(111)에서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1)를 흡착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The first filter 10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and when the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1 flows, the surface of the filter 100 and the grooves 111 formed on the surface allow air to flow. It is possible to adsorb fine dust (1) by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the flow of .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ir flow and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air.

다공성 마찰부재(112)는 정전기전 인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찰 면적을 넓히기 위한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마찰부재(112)의 어느 위치에서나 미세먼지(1)가 흡착될 수 있다.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may include grooves 111 for widening a friction area to increase electrostatic attraction. Fine dust 1 may be adsorbed at any position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

예시적으로, 다공성 마찰부재(112)의 홈(111)에서 미세먼지(1)가 흡착될 수 있다. 다공성 마찰부재(112)와 미세먼지(1)가 마찰되어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되어 미세먼지를 흡착 또는 제거할 수 있다.Illustratively, fine dust 1 may be adsorbed in the groove 111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and the fine dust 1 are rubbed and positively or negatively charged to adsorb or remove the fine dust.

또한 다공성 마찰부재(112)은 접착부(114)에 부착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이 있는 곳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착부(114)를 활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창문, 환기구, 필터, 방충망, 굴뚝 등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lso,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114 . The adhesive part 114 can be utilized so that it can be placed where there is a flow of air. Illustratively, it may be disposed in windows, ventilation holes, filters, insect screens, chimney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코팅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coated triboelectric filter.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필터(100)의 파이버(110)은 프레임(116), 다공성 마찰부재(112), 분산 물질(115)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bers 110 of the first filter 100 may be formed of a frame 116 , a porous friction member 112 , and a dispersing material 115 .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116)은 파이버(11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표면을 가진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me 116 serve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ber 110, and may be selected in a form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urface as needed.

일 실시예에 따라 다공성 마찰부재(112)는 집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전술한 마찰전기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triboelectric filter may be used as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if it can improve the dust collecting ability.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물질(115)는 필요에 따라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산 물질(115)는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머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산 물질(116)은 살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 이온 등의 향균 물질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ersed material 115 may be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if necessa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spersing material 115 may be a polymer or the like to improve dust collection capab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spersion material 116 may be an antibacterial material such as a metal ion for improving sterilization ability.

분산 물질(115)의 분산 형태는 일정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불규칙한 형태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The dispersion form of the dispersion material 115 may be applied in a constant thickness, and may be dispersed in an irregular shape as needed.

분산 물질(115)의 분산 면적은 필요에 따라 다공성 마찰부재(112)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The dispersion area of the dispersion material 115 may be a partial area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112 as needed.

분산 물질(115)가 향균 입자인 경우, 전처리 향균 입자 고착법에 의해 고착될 수 있고, 또는 후가공에 의한 향균 입자 표면 고착법에 의해 고착될 수 있다.When the dispersed material 115 is an antibacterial particle, it may be fixed by a pretreatment antibacterial particle fixing method or by a post-processing antibacterial particle surface fixing method.

박테리아, 바이러스 포집 물질로 CNT,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5
, ZnO, CdS,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6
등이 사용될 수 있다.CNT as a material for trapping bacteria and viruses,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5
, ZnO, CdS,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6
etc. can be used.

일 실시예에 따라,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의 일부는 광촉매에 의해 코팅되고, 광촉매는 밴드갭(Band gap)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and the photocatalyst may form a band gap.

예시적으로, 분산 물질(115)의 도포 방법으로 증발(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스프레잉(spraying)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llustratively, methods such as evaporation, sputtering, and spraying may be used as a method of applying the dispersion material 115 .

일 실시예에 따라,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7
/Au가 헤파필터 또는 집진필터의 표면에 얇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7
/Au can form a thin film on the surface of the HEPA filter or dust collection filter.

도 5은 마찰전기 필터의 제거 대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explaining a removal target of a triboelectric filter.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필터(100)의 제거 대상은 미세먼지(1), 또는 세균(3), 또는 바이러스(5)일 수 있고, 유해 물질이면 마찰전기 필터의 제거 대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removal target of the first filter 100 may be fine dust 1, bacteria 3, or virus 5, and if it is a harmful substance, it is not limited to the removal target of the triboelectric filter. .

제1 필터(100) 또는 마찰전기 필터는 미세먼지(1) 제거를 위한 필터(A)일 수 있다. The first filter 100 or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be a filter A for removing fine dust 1.

제1 필터(100) 또는 마찰전기 필터는 세균(3) 제거를 위한 필터(B)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균(3) 제거를 위해 자외선(10)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10)이 직접 세균(3)에 전달되어 세포벽 또는 DNA가 직접 파괴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100 or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be a filter (B) for removing germs (3). Illustratively, ultraviolet light (10) may be irradiated to remove bacteria (3). Ultraviolet rays 1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bacteria 3 to directly destroy cell walls or DNA.

제1 필터(100) 또는 마찰전기 필터는 바이러스(5) 제거를 위한 필터(C)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이러스(3) 제거를 위해 가시광(20)을 조사할 수 있고, 가시광(20)을 전달받은 나노 입자는 열을 발생시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filter 100 or triboelectric filter may be a filter C for removing viruses 5 . Illustratively, visible light 20 may be irradiated to remove the virus 3, and nanoparticles receiving the visible light 20 may generate heat to remove the virus.

도 6는 복수 개의 필터를 구비한 마찰전기 필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riboelectric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도 6을 참조하면, 자외선(10)을 조사하는 제2 필터(400), 마찰전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500), 형광체 물질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제3 필터(600), 마찰전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500)의 순서로 마찰전기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second filter 40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10, a first filter 500 for removing fine dust by triboelectricity, a third filter 600 including phosphor materials and nanoparticles, The triboelectric filter may be form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ilter 500 that removes fine dust by triboelectricity.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필터(500), 하나 이상의 제2 필터(400), 하나 이상의 제3 필터(600)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필터(500)을 가장 먼저 배치하여 미세먼지의 우선적 제거를 시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der of one or more first filters 500, one or more second filters 400, and one or more third filters 600 may be changed as needed. Illustratively, the first filter 500 may be disposed first to attempt to preferentially remove fine dust.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필터(500), 제2 필터(400), 제3 필터(600)은 별개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filter 500, the second filter 400, and the third filter 600 may be formed as separate filters, or may be formed as one filter if necessary.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는 의료시설의 쾌적한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HCHO,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많은 종류의 유해물질을 동시에 제거하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알려지지 않은 신종 바이러스의 직접 제거에 활용될 수 있다.The fine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to maintain comfortable indoor air quality in medical facilities. It can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viruses, carbon dioxide, fine dust, HCHO,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tained in indoor air. In this case, many types of harmful substances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and installation and management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direct removal of unknown new viruses.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미세먼지 필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나노 섬유를 활용한 미세먼지 필터, 광촉매에 의한 탄소층(GO, Graphene oxide) 필터, 안티 바이오 필터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A fine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together with a generally used fine dust filter.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a fine dust filter using nanofibers, a carbon layer (GO, Graphene oxide) filter by photocatalysis, and an anti-bio filter.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필터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포집함과 동시에 바이오 에어로졸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광촉매 반응(photocatalytic reaction)을 추가로 포함하여 필터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iboelectric filter can collect fine dust in the air and remove bio-aerosol at the same time. Other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tic reac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filter.

일반적인 광촉매 반응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나,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 조사로 오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존 대신에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8
을 발생시켜, 오존 발생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 general photocatalytic reaction generates ozon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but ozone generation can be prevented by irradiating visible rays or near-infrared rays. Illustratively, instead of ozone
Figure 112020076349061-pat00008
By generat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ozone gener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필터는 나노섬유층 필터 제작에 활용될 수 있고, 기능성 마스크 제작에 응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의료용 마스크, 청소용 마스크에 사용될 수 있다.A triboelectr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used for fabricating a nanofiber layer filter and can be applied for fabricating a functional mask. Illustratively, it can be used for medical masks and cleaning masks.

도 7은 전기 방사를 통한 나노파이버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explaining a nanofiber fabrication process through electrospinning.

도 7을 참조하면, 방사기기(50)은 니들(5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pinning device 50 may include a needle 51.

방사기기(50)은 폴리머(polymer) 재료를 니들(51)을 통해 방사시켜 마찰전기 필터(700)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찰전기 필터(700)는 방사기기(50)에 의해 형성된 나노 파이버(7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inning device 50 may form the triboelectric filter 700 by spinning a polymer material through the needles 51 . The triboelectric filter 700 may include nanofibers 710 formed by the spinning device 50 .

니들(51)의 말단부에서는 테일러 콘(Taylor Cone) 형상으로 폴리머가 방사될 수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needle 51, the polymer may be spun in a Taylor Cone shape.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방사에 의한 나노 파이버는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필터 여재로 활용될 수도 있다.Nanofiber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riboelectric filter or may be independently used as a filter medium without being attached.

전기 방사의 조건에 따라 나노 파이버의 형태, 물성,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압, 니들(needle)의 사이즈, 팁(tip)과 콜렉터(collector) 사이의 거리, 폴리머 용액의 양(amount) 또는 유속(flow rate), 농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방사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lectrospinning conditions, the shape, physical properties, and arrangement of the nanofibers may be varied. Illustratively, the radiation conditions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voltage, the size of the needle,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and the collector, the amount or flow rate of the polymer solution, the concentration, and the like. can

예시적으로, 니들(needle) 사이즈가 20G 인 경우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의 파이버가 형성되며, 비드(bead) 및 컬(curl)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ze of a needle is 20G, a fib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10 micrometers is formed, and beads and curls may occur.

다른 예시로, 니들(needle) 사이즈가 22G 인 경우 0.5 내지 5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의 파이버가 형성되며, 비드(bead) 및 컬(curl)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needle size is 22G, a fiber having a thickness of 0.5 to 5 micrometers is formed, and beads and curls may hardly occur.

도 8은 나노 입자가 분사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을 비교한 도면이다.8 is a view comparing the surfaces of triboelectric filters sprayed with nanoparticles.

도 8을 참조하면, 마찰전기 필터(700)의 일부에 나노 입자가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나노 입자(720)는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nanoparticles may be sprayed onto a part of the triboelectric filter 7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anoparticles 720 may be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도 9는 실내 공기의 순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lation process of indoor air.

도 9를 참조하면, 마찰전기 필터(900)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유동 통로(8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마찰전기 필터(900)는 제1 유동 통로와 분리되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유동 통로(8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triboelectric filter 90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flow passage 810 circulating external air, and the triboelectric filter 9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low passage to circulate internal air.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820 for circul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는 공기질 개선 과정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유해물질 제거 후 재순환하는 공기조화 설비를 통해, 외부 공기 환기량을 최소화 하여 냉난방 부하를 줄일 수 있다.The fine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reduce cost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air quality. Through air conditioning equipment that recirculates afte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oling and heating load by minimizing the amount of external air ventil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에 의한 재순환 공기 조화 설비는 외부 공기로 환기하는 공기조화-환기 설비보다 설비 운영 공정 비용이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질 관리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장치비가 저렴해질 수 있다.A recirculation air conditioning facility using a fine dust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lower facility operating process cost than an air conditioning-ventilation facility that ventilates with outside air. In this case, the space occupied by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equipment is small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동 통로(810)에 따라 실외의 공기를 마찰전기 필터(900)에 통과시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유동 통로(820)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마찰전기 필터(900)에 통과시켜 실내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fresh air may be supplied by passing outdoor air through the triboelectric filter 900 along the first flow passage 810, and indoor ai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triboelectric filter 900 along the second flow passage 820. Air may be discharged into the room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900 .

도 10은 마찰전기 필터의 이중 살균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double sterilization step of a triboelectric filter.

도 10을 참조하면,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이중 살균 방법(1000)은 자외선 조사 단계(S1010), 1차 살균 단계(S1020), 가시광 방출 단계(S1030), 열 발생 단계(S1040), 2차 살균 단계(S10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ouble sterilization method 1000 using a triboelectric filter includes an ultraviolet irradiation step (S1010), a first sterilization step (S1020), a visible light emission step (S1030), a heat generation step (S1040), and a second sterilization step. Step S1050 may be included.

자외선 조사 단계(S1010)는 자외선 램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을 마찰전기 필터에 조사하는 단계이다.The ultraviolet irradiation step (S1010) is a step of irradiating the triboelectric filter with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an ultraviolet lamp.

1차 살균 단계(S1020)는 조사된 자외선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rilization step (S1020) is a step of sterilizing germs, bacteria or viruses with irradiated ultraviolet rays.

가시광 방출 단계(S1030)는 조사된 자외선이 형광 물질에 전달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단계이다.The visible light emitting step ( S1030 ) is a step in which irradiated ultraviolet rays are transferred to a fluorescent material to emit visible light.

열 발생 단계(S1040)는 가시광에 반응하여 나노 입자가 열을 방출하는 열 발생단계; 및The heat generating step (S1040) may include a heat generating step in which the nanoparticles emit heat in response to visible light; and

2차 살균 단계(S1050)는 나노 입자에서 방출된 열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단계이다.The secondary sterilization step (S1050) is a step in which bacteria, bacteria, or viruses are sterilized by heat emitted from the nanoparticles.

도 11은 나노 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light absorbance for each wavelength of nanoparticles.

도 11을 참조하면, 나노 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의 경우 535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in light absorbance for each wavelength of the nanoparticles. Metal nanoparticles can exhibit maximum absorption at 535 nm.

도 12는 나노 입자의 표면을 확대한 도면이다.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도 12를 참조하면, 금(Au) 나노 입자 및 산화 구리(CuO)의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surfaces of gold (Au) nanoparticles and copper oxide (CuO) can be confirmed.

도 13은 나노 입자의 농도별 표면을 확대한 예시 도면이다.13 is an enlarged example view of the surface of each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도 1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헤파 필터 및 금속 나노 입자를 분사한 헤파 필터의 농도별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surfaces of a general HEPA filter and a HEPA filter sprayed with metal nanoparticles according to concentration can be confirmed.

금속 나노 입자는 순수한 물에 희석될 수 있고, 물과 에탄올이 1:1, 1:2, 1:3, 1:4, 1:5 등의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의해 분사될 수 있다. 농도별 표면 형태의 차이가 광열효과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열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용액의 농도를 적절하게 희석할 수 있으며, 용액의 종류도 제한되지 않느낟.The metal nanoparticles may be diluted in pure water and sprayed with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ethanol at various ratios such as 1:1, 1:2, 1:3, 1:4, and 1:5. Differences in surface morphology by concentration may cause differences in photothermal effect.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can be appropriately diluted to a concentration that can generate a photothermal effect, and the type of solution is not limited.

도 14은 나노 입자의 크기별 표면을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14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surface of each size of nanoparticles is enlarged.

도 15은 나노 입자의 크기별 표면을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15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surface of each size of nanoparticles is enlarged.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나노 입자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14 and 15, the size of nanoparticles can be adjusted as needed.

일 실시예에 따라, 시드(seed)의 나노 입자의 크기는 10nm일 수 있고, 최종 사이즈는 100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의 사이즈는 광열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면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시드(seed)의 사이즈 및 최종 사이즈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nanoparticles of the seed may be 10 nm, and the final size may be 100 nm. The size of the nanoparticl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for generating a photothermal effect, and the size and final size of the see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도 16는 나노 파이버 형성을 위한 방사기기 실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process of a spinning apparatus for forming nanofibers.

도 16를 참조하면, 나노 파이버를 형성하기 위한 방사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콜렉터(collector) 및 니들(needle)의 팁(tip)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a radiation device for forming nanofibers can be confirmed. The tip of the collector and needle can be checked.

예시적으로, 폴리머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덴플로우라이드(PVDF)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제(solvent)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및 아세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Illustratively, fluorinated polyvinyldenum fluoride (PVDF) may be used as the polymer, and a mixture of dimethylformamide (DMF) and acetone may be used as a solvent.

일 실시예에 따라, 0.949g/ml DMF 및 0.78g/ml 아세톤을 사용하여 0.848g/ml 용제(solven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9.08 질량% 농도를 가진 용액을 약 70℃에서 2시간 저어서(stirring)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0.848 g/ml solvent may be formed using 0.949 g/ml DMF and 0.78 g/ml acetone. In this case,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9.08% by mass may be stirred at about 70° C. for 2 hours to form a solution.

도 17은 니들 사이즈에 따른 나노 파이버를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17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n which nanofibers according to needle sizes are enlarged.

도 18은 니들 사이즈에 따른 나노 파이버를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18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in which nanofibers according to needle sizes are enlarg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니들 사이즈에 따른 나노 파이버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nanofiber surface according to the needle size.

예시적으로, 니들(needle) 사이즈가 20G 인 경우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의 파이버가 형성되며, 비드(bead) 및 컬(curl)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needle size is 20G, a fib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10 micrometers is formed, and beads and curls may occur.

다른 예시로, 니들(needle) 사이즈가 22G 인 경우 0.5 내지 5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의 파이버가 형성되며, 비드(bead) 및 컬(curl)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needle size is 22G, a fiber having a thickness of 0.5 to 5 micrometers is formed, and bead and curl may hardly occur.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사이즈 변경에 따른 파이버의 형태를 비교한 것으로, 광열효과 또는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니들의 사이즈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s a comparison of the shape of the fiber according to the needle siz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ze of the needl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to improve the photothermal effect or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9는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제거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comparing the bacteria remov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도 19를 참조하면, 금(Au) 나노 입자의 분사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제거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금속 나노 입자가 존재하는 샘플에서 더 많은 박테리아가 사멸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removing bacteri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raying of gold (Au) nanoparticles. Illustra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more bacteria are killed in the sample in which the metal nanoparticles are present.

도 20은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표면을 확대한 제1 예시 도면이다.20 is a first exemplary view in which the surface of bacteria is enlar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도 21은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표면을 확대한 제2 예시 도면이다.21 is an enlarged second exemplary view of the bacterial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도 20 및 도 21를 참조하면, 나노 입자의 유무에 따른 박테리아 표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0 and 2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cterial surface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noparticles.

예시적으로, 금속 나노 입자가 존재하는 샘플에서 박테리아의 표면이 팽창 또는 파괴됨을 확인할 수 있다.Illustra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rface of bacteria is expanded or destroyed in a sample in which metal nanoparticles are present.

1: 미세먼지
3: 세균
5: 바이러스
10: 자외선
20: 가시광선
50: 방사기기
51: 니들
52: 테일러 콘(Taylor Cone)
100: 제1 필터
110: 파이버(Fiber)
111: 홈
112: 다공성 마찰부재
114: 접착부
115: 분산 물질
116: 프레임
200: 제2 필터
300: 제3 필터
400: 제2 필터
500: 제1 필터
600: 제3 필터
700: 마찰전기 필터
710: 나노 파이버
720: 나노 입자
800: 필터 시스템
810: 제1 유동 통로
820: 제2 유동 통로
900: 마찰전기 필터
1000: 이중 살균 방법
S1010: 자외선 조사 단계
S1020: 1차 살균 단계
S1030: 가시광 방출 단계
S1040: 열 발생 단계
S1050: 2차 살균 단계
1: fine dust
3: germs
5: Virus
10: UV rays
20: visible light
50: radiation device
51: needle
52: Taylor Cone
100: first filter
110: Fiber
111: home
112: porous friction member
114: adhesive part
115 Dispersion material
116: frame
200: second filter
300: third filter
400: second filter
500: first filter
600: third filter
700: triboelectric filter
710: nanofiber
720: nanoparticles
800: filter system
810: first flow passage
820: second flow passage
900: triboelectric filter
1000: double sterilization method
S1010: UV irradiation step
S1020: 1st sterilization step
S1030: visible light emission step
S1040: heat generation step
S1050: Second sterilization step

Claims (12)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터; 및
나노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 변화를 기초로 최대 흡수율을 가지는 파장 영역대의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분산된 나노 입자에 전달되고, 상기 나노 입자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광열 효과에 의해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살균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필터는 상기 나노 입자의 표면에 상기 가시광선 또는 상기 근적외선을 전달하고,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따른 근접장으로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나노 입자로 전달되는 상기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은 광열 효과 발생을 위한 광 파워 및 광 파장을 가지는, 마찰전기 필터.
one or more polymer filters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generating triboelectricity, and removing fine dust,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and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rays of the wavelength range having the maximum absorption based on the change in light absorption by wavelength of the nanoparticles are transferred to the dispersed nanoparticles,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nanoparticles is transferred to bacteria, bacteria, and viruses by the photothermal effect. Including one or more sterilizing filters that remove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above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sterilizing filter transmits the visible light or the near infrared ray to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 generates heat in a near field according to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The triboelectric filter, wherein the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ray transmitted to the nanoparticles has an optical power and an optical wavelength for generating a photothermal effect.
마찰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재료와 공기의 마찰로 발생한 마찰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필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박테리아 또는 세균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필터; 및
형광체 물질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물질은 상기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가시광을 상기 나노 입자가 전달받고, 상기 나노 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전달하여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3 필터를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
one or more first filters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that generates triboelectricity, and removing fine dust,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using tribo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polymer material and air;
one or more second filters for removing bacteria or germ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nd
It includes a phosphor material and nanoparticles, wherein the phosphor material converts the ultraviolet light into visible light, receives the visible light to the nanoparticles, and transfers heat generated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of the nanoparticles.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one or more third filters for removing germs, bacteria and viru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터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 필터에 하나 이상의 나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filter includes one or more grooves on the surface,
A triboelectric filter, wherein one or more nano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sterilization fil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상기 제3 필터의 형광체 물질에 전달되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filter further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The triboelectric filter, wherein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amp of the second filter are transmitted to the phosphor material of the third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재료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나일론(Nylon) 및 나피온(Naf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1) 금속 계열의 금, 은, 구리, 철 중 하나 이상, (2) 금속-절연체 계열의 SiO2-금속, SiN-금속 중 하나 이상, (3) 금속-반도체 계열의 TiO2-금속, ZnO-금속, SnO2-금속 중 하나 이상, (4) 반도체 계열의 Ge-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material includes one or mor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nylon and Nafion,
The nanoparticles may include (1) at least one of metal-based gold, silver, copper, and iron, (2) at least one of metal-insulator-based SiO2-metal and SiN-metal, (3) metal-semiconductor-based TiO2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one or more of -metal, ZnO-metal, SnO2-metal, (4) one or more of semiconductor-based Ge-T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정전기적으로 대전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찰부재;
전기방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마찰부재의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나노 파이버; 및
상기 나노 파이버 표면에 도포된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 물질에 의해 변환된 가시광에 반응하여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금속 나노 입자 또는 반도체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나노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 변화를 기초로 최대 흡수율을 가지는 파장 영역대의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이 상기 금속 나노 입자 또는 상기 반도체 나노 입자에 전달되어 광열효과를 발생시키고,
나노 입자로 전달되는 상기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은 광열 효과 발생을 위한 광 파워 및 광 파장을 가지는, 마찰전기 필터.
a porous friction member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capable of being electrostatically charged and having one or more grooves on its surface;
nanofibers formed by electrospinning and irregular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friction member; and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Including one or more metal nanoparticles or semiconductor nanoparticles capable of generating heat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in response to visible light converted by the fluorescent material,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of the wavelength range having the maximum absorption based on the change in light absorption by wavelength of the nanoparticle is transmitted to the metal nanoparticle or the semiconductor nanoparticle to generate a photothermal effect,
The triboelectric filter, wherein the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transmitted to the nanoparticles has an optical power and an optical wavelength for generating a photothermal eff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물질은 야그(YAG) 형광체이고,
상기 폴리머 재료는 플루오르화 폴리비닐리덴(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나일론(Nylon) 및 나피온(Nafi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1) 금속 계열의 금, 은, 구리, 철 중 하나 이상, (2) 금속-절연체 계열의 SiO2-금속, SiN-금속 중 하나 이상, (3) 금속-반도체 계열의 TiO2-금속, ZnO-금속, SnO2-금속 중 하나 이상, (4) 반도체 계열의 Ge-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6,
The fluorescent substance is a YAG fluorescent substance,
The polymer material includes one or mor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nylon and Nafion,
The nanoparticles may include (1) at least one of metal-based gold, silver, copper, and iron, (2) at least one of metal-insulator-based SiO2-metal and SiN-metal, (3) metal-semiconductor-based TiO2 A triboelectric filter comprising one or more of -metal, ZnO-metal, SnO2-metal, (4) one or more of semiconductor-based Ge-T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6항에 있어서,
마찰전기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6,
A triboelectric filter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nto the triboelectric filter.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마찰전기 필터의 표면의 일부는 광촉매에 의해 코팅되고,
상기 광촉매는 밴드갭(Band gap)을 형성하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1 or 6,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The photocatalyst forms a band gap, triboelectric filter.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전기 필터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유동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찰전기 필터는 제1 유동 통로와 분리되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유동 통로와 연결되어 있는, 마찰전기 필터.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nnected to a first flow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circulates,
The triboelectric filter is connected to a second flow passage tha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low passage and circulates internal air.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이중 살균 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을 마찰전기 필터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자외선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1차 살균단계;
상기 조사된 자외선이 형광 물질에 전달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가시광 방출 단계;
상기 가시광에 반응하여 나노 입자가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열 발생단계; 및
상기 나노 입자에서 방출된 열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2차 살균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살균 방법.
In the double sterilization method by triboelectric filter,
irradiating the triboelectric filter with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an ultraviolet lamp;
A first sterilization step of sterilizing germs, bacteria or viruses with the irradiated ultraviolet rays;
a visible light e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irradiated ultraviolet rays to a fluorescent material to emit visible light;
a heat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nanoparticles emit heat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in response to the visible light; and
A double sterilization method comprising a secondary sterilization step in which the heat emitted from the nanoparticles sterilizes bacteria, bacteria or viruses.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살균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포집하는 단계;
나노입자의 파장별 광 흡수율 변화를 기초로 최대 흡수율을 가지는 파장 영역대의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나노 입자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에 반응하여 나노 입자가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상기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 발생단계; 및
상기 나노 입자에서 방출된 열이 세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나노 입자로 전달되는 상기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은 광열 효과 발생을 위한 광 파워 및 광 파장을 가지는, 마찰전기 필터에 의한 살균 방법.
In the sterilization method by triboelectric filter,
Collecting fine dust, germs, bacteria, and viruses by a polymer filter;
irradiating the nanoparticles with visible light or near infrared rays of a wavelength range having a maximum absorption based on the change in light absorption for each wavelength of the nanoparticles;
a heat generating step in which nanoparticles emit heat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in response to the visible or near infrared ray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bacteria, bacteria, or viruses; and
Including the step of sterilizing bacteria, bacteria or viruses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nanoparticles
The sterilization method by a triboelectric filter, wherein the visible light or near-infrared light transmitted to the nanoparticles has an optical power and an optical wavelength for generating a photothermal effect.
KR1020200090749A 2020-07-22 2020-07-22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Active KR102503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9A KR102503214B1 (en) 2020-07-22 2020-07-22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9A KR102503214B1 (en) 2020-07-22 2020-07-22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13A KR20220011913A (en) 2022-02-03
KR102503214B1 true KR102503214B1 (en) 2023-02-24

Family

ID=8026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49A Active KR102503214B1 (en) 2020-07-22 2020-07-22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2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929B1 (en) * 2022-05-20 2025-02-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Virus Sensing System consisting of Lens and Virus Inactivation Kit Using Photothermal Membranes.
KR102728198B1 (en) * 2022-06-15 2024-1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apid-Kit for diagnosis of viral infection and for inactivation of viral samples based on SPR-mediated photothermal eff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232B1 (en) * 2007-05-04 2009-11-24 주식회사 에이엠오 Dust, deodorant and antibacterial filters with nanofiber webs
JP2010284431A (en) * 2009-06-15 2010-12-24 Moresco Corp Air disinfection filter unit
CN108114531A (en) * 2017-12-12 2018-06-05 东南大学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orous nano optical fiber heterojunction structure photocatalysis filter screen
KR102026341B1 (en) * 2019-03-14 2019-09-27 은성화학(주)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569B1 (en) * 2003-11-18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devic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KR100982235B1 (en) * 2008-03-28 2010-09-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Air filter comprising an electrostatic filter layer composed of spunlace nonwoven fabric made of polyolefin short fib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232B1 (en) * 2007-05-04 2009-11-24 주식회사 에이엠오 Dust, deodorant and antibacterial filters with nanofiber webs
JP2010284431A (en) * 2009-06-15 2010-12-24 Moresco Corp Air disinfection filter unit
CN108114531A (en) * 2017-12-12 2018-06-05 东南大学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orous nano optical fiber heterojunction structure photocatalysis filter screen
KR102026341B1 (en) * 2019-03-14 2019-09-27 은성화학(주)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13A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056B2 (en) Air treatment system
Chen et al. Multifunctional TiO2/polyacrylonitrile nanofibers for high efficiency PM2. 5 capture, UV filter, and anti-bacteria activity
KR102279299B1 (en) Air purifier that efficiently removes ultra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0.1 μm or more, and comprising a photocatalytic system with improved sterilization ability
CA2553088C (en) Photoelectrochemical air disinfection
KR102503214B1 (en) Sterilizable Electrosatatic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KR102120717B1 (en) Ionized Bacteria Sterilizer
KR101870034B1 (en) Pleated photocatalyst unit and air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21514231A (en) Air sterilization unit
US11623018B2 (en) Photoactivated semiconductor photocatalytic air purification
JP2015516879A (en) Filtration assembly
US20200141594A1 (en) Indoor Fresh Air Apparatus
US11612673B2 (en) Photoactivated semiconductor photocatalytic air purification
Kuo et al. Antibacterial nano-fibers of carbon quantum dot/titanium dioxide by electrospinning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JP7011401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method
CN103657262A (en) Air pur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644139B1 (en) Ventilation system for heat recovery including dual sterilization filter by photothermal effect and its method for preventing condensation
JPH11165096A (en) Gas clean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2823301B1 (en) System for removing odors and reducing humidity in a livestock house
KR10282329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livestock manure particles in a livestock house using multiple cyclone collectors
WO2016017169A1 (en) Self-disintegrating carbon dioxide generating body and carbon dioxide generating system
KR102822176B1 (en) Apparatus for reducing humidity in a livestock house based on metal organic framework
KR10282330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and providing purified air in a livestock house using large area plasma
CN203971659U (en) A kind of air cleaning unit
KR10282330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livestock house using ground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