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94B1 -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2694B1 KR102502694B1 KR1020200090607A KR20200090607A KR102502694B1 KR 102502694 B1 KR102502694 B1 KR 102502694B1 KR 1020200090607 A KR1020200090607 A KR 1020200090607A KR 20200090607 A KR20200090607 A KR 20200090607A KR 102502694 B1 KR102502694 B1 KR 102502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moving units
- unit
- main body
- uni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한 위치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20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하여 상승할 경우 나머지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4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140)의 작동과 자중으로 하강하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을 고정시켜 나머지 이동유닛(120)이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하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단부재의 상하 간격을 축소 또는 확대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 및 위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부재의 상하간격을 축소 또는 확대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는 플랫폼 또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하여 승객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 및 고정한 상태이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불필요하게 구성들을 높게 제작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협소한 위치 및 공간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구성들의 높이가 상승할 경우 차단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전성이 취약해지고 오작동 및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차단부재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고 있으나, 이는 넓은 면적을 갖는 차단부재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변설비와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상승하면서 상하간격을 축소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통과시키고 반대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하강하면서 상하간격을 확대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할 수 있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나머지 차단부재를 순차적으로 들어올리면서 서로 상하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차단부재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차단부재를 지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차단부재는 구동유닛의 작동 및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서로 상하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100)는,
지정한 위치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20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하여 상승할 경우 나머지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4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140)의 작동과 자중으로 하강하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을 고정시켜 나머지 이동유닛(120)이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120)은 본체(110)의 내측에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전방과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레일(111,112); 상기 레일(111,11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 상기 이동몸체(122)의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23);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41); 상기 회전체(141)의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42); 상기 회전체(141)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43); 상기 연결체(143)의 일측에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44);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50)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51);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52); 상기 레일(15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하여 상기 고정구(151)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단부재의 상하 간격을 축소 또는 확대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 및 위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상하 간격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상하 간격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를 상승시켜 상하 간격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정한 위치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20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하여 상승할 경우 나머지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4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140)의 작동과 자중으로 하강하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을 고정시켜 나머지 이동유닛(120)이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플랫폼 또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지정한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이 순차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전방과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레일(111,11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정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절반의 이동유닛(120)은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절반의 이동유닛(120)은 상기 레일(11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유닛(120)의 사이에 상기 레일(112)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유닛(120)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하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111,112)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상에 설치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이동유닛(120) 및 차단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및 보행자를 원활하게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유닛(120)은 상기 레일(111,11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 상기 이동몸체(122)의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2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결합구(123)는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은 오른나사, 타측은 왼나사로 형성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122)와 결합구(123)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24);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재(2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124)는 스프링 등을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유닛(120)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더라도 서로 연결한 상태이므로 쉽게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에 따라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연질재질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140)은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41); 상기 회전체(141)의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42); 상기 회전체(141)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43); 상기 연결체(143)의 일측에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141)는 스프로킷 휠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연결체(143)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모터(14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142)는 감속기 등을 포함하여 원활한 회전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구(144)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하여 상기 모터(142)의 작동으로 상승시켜 상부에 위치한 나머지 다수개의 이동유닛(120)과 맞닿아 순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이동유닛(1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스크류잭 및 모터의 조합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40)은 기존에 사용중인 전동차(지하철) 및 신호등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하 간격을 축소 또는 확대시켜 승객 및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수동버튼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150)은 하강하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을 지정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나머지 다수개의 이동유닛(120)이 자중으로 하강하면서 상하간격을 확대시켜 상기 차단부재(200)가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할 수 있는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150)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51);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52); 상기 레일(15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하여 상기 고정구(151)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구(151)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한 형태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받침구(153)는 상기 고정구(151)의 하부를 맞닿아 지지하여 상기 이동유닛(120)이 더는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반대로 상기 이동유닛(120)이 상승할 경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51)는 상기 레일(15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고정위치를 결정하여 하강하는 상기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200)는 승객 및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경질의 재질은 물론 로프 등의 외경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승객 및 보행자와 부딪칠 경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110: 본체 111,112: 레일
120: 이동유닛 121: 롤러
122: 이동몸체 123: 결합구
124: 탄성체
130: 연결부재
140: 구동유닛 141: 회전체
142: 모터 143: 연결체
144: 결합구
150: 위치조절유닛 151: 고정구
152: 레일 153: 받침구
200: 차단부재
110: 본체 111,112: 레일
120: 이동유닛 121: 롤러
122: 이동몸체 123: 결합구
124: 탄성체
130: 연결부재
140: 구동유닛 141: 회전체
142: 모터 143: 연결체
144: 결합구
150: 위치조절유닛 151: 고정구
152: 레일 153: 받침구
200: 차단부재
Claims (4)
- 지정한 위치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동유닛(120); 서로 바라보는 양측의 상기 이동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20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부재(130);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하여 상승할 경우 나머지 이동유닛(120)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4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구동유닛(140)의 작동과 자중으로 하강하는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을 고정시켜 나머지 이동유닛(120)이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이동유닛(120)의 상하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150)은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51);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52); 상기 레일(15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하여 상기 고정구(151)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구(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120)은 본체(110)의 내측에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전방과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레일(111,112); 상기 레일(111,112)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몸체(122); 상기 이동몸체(122)의 타측에 상기 차단부재(20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체(141); 상기 회전체(141)의 일측에 형성하는 모터(142); 상기 회전체(141)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43); 상기 연결체(143)의 일측에 다수개의 상기 이동유닛(12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이동유닛(12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607A KR102502694B1 (ko) | 2020-07-21 | 2020-07-21 |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US17/925,841 US20230193692A1 (en) | 2020-07-21 | 2020-09-28 |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
EP20946327.2A EP4137381A4 (en) | 2020-07-21 | 2020-09-28 | SAFETY DEVICE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
CN202080101031.XA CN115697808A (zh) | 2020-07-21 | 2020-09-28 | 乘客或者行人安全装置 |
PCT/KR2020/013257 WO2022019377A1 (ko) | 2020-07-21 | 2020-09-28 |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607A KR102502694B1 (ko) | 2020-07-21 | 2020-07-21 |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544A KR20220011544A (ko) | 2022-01-28 |
KR102502694B1 true KR102502694B1 (ko) | 2023-02-23 |
Family
ID=7972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607A Active KR102502694B1 (ko) | 2020-07-21 | 2020-07-21 |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93692A1 (ko) |
EP (1) | EP4137381A4 (ko) |
KR (1) | KR102502694B1 (ko) |
CN (1) | CN115697808A (ko) |
WO (1) | WO2022019377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650B1 (ko) | 2014-02-10 | 2015-08-27 |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JP2016078657A (ja) | 2014-10-17 | 2016-05-16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可動柵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69493A (en) * | 1944-03-01 | 1945-02-13 | William B Rood | Guard for window or door openings |
US3894441A (en) * | 1974-06-08 | 1975-07-15 | Douglas Manufacturing Co | Support for pulley holddown |
US4072179A (en) * | 1976-12-23 | 1978-02-07 | Naito Han Ichiro | Structure adapted to be successively drawn and telescoped |
US5271183A (en) * | 1992-09-25 | 1993-12-21 | Rite-Hite Corporation | Safety barrier assembly |
US6394167B1 (en) * | 1997-03-20 | 2002-05-28 | Moshe Cohen-Ravid | Security bar assembly |
GB9827241D0 (en) * | 1998-12-10 | 1999-02-03 | Baker Joseph P W | Barrier apparatus |
KR100722868B1 (ko) | 2005-01-25 | 2007-05-30 | 한성무 | 보행자 안전장치 |
KR100601112B1 (ko) | 2005-02-14 | 2006-07-19 |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
EP1848620A1 (en) * | 2005-02-14 | 2007-10-31 | Sung Moo Han |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
WO2006105591A1 (en) | 2005-04-04 | 2006-10-12 | Donald Stewart Napier | A barrier system |
KR200400235Y1 (ko) | 2005-08-09 | 2005-11-04 | 한성무 |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
KR101344995B1 (ko) * | 2011-03-01 | 2013-12-24 | 한성무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KR101143843B1 (ko) | 2011-11-30 | 2012-05-04 | (주) 금동강건 | 도로용 가드케이블 |
KR101345027B1 (ko) * | 2011-12-09 | 2013-12-26 | 한성무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KR101471543B1 (ko) | 2012-06-07 | 2014-12-11 | 한국교통연구원 |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KR20140009813A (ko) | 2012-07-13 | 2014-01-23 | 한국교통연구원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JP2014034309A (ja) * | 2012-08-09 | 2014-02-24 | Nippon Signal Co Ltd:The | ホーム安全柵 |
KR101606827B1 (ko) * | 2013-09-12 | 2016-03-28 | 한국교통연구원 |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
KR20140007980A (ko) | 2014-01-02 | 2014-01-20 | 한국교통연구원 |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NL2012620C2 (en) * | 2014-01-31 | 2015-08-06 | Stackdoor B V | Security grille and security grille system. |
JP6364233B2 (ja) * | 2014-05-19 | 2018-07-25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可動柵 |
KR20150013410A (ko) | 2014-12-23 | 2015-02-05 | 한국교통연구원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KR20150013411A (ko) | 2014-12-23 | 2015-02-05 | 한국교통연구원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JP6435186B2 (ja) * | 2014-12-24 | 2018-12-05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ホーム柵 |
JP6486123B2 (ja) * | 2015-01-30 | 2019-03-20 | 日本信号株式会社 | 昇降式ホーム安全柵 |
JP6532311B2 (ja) * | 2015-06-11 | 2019-06-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ホーム柵 |
EP3181800B1 (en) * | 2015-12-20 | 2019-02-20 | Rollease Acmeda Inc. | Universal automatic tensioning system for roller blinds and awnings with side rails |
KR101943159B1 (ko) * | 2016-09-27 | 2019-02-07 | 노준형 | 승강식 안전도어 |
CN206888888U (zh) * | 2017-05-12 | 2018-01-16 | 广运机械工程股份有限公司 | 月台门装置 |
KR101953817B1 (ko) * | 2017-06-01 | 2019-03-06 |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KR102088513B1 (ko) | 2018-04-16 | 2020-03-12 |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US11002064B2 (en) * | 2019-08-03 | 2021-05-11 | Hall Labs Llc | System for reversibly dividing a space |
US20220161831A1 (en) * | 2020-11-24 | 2022-05-26 | Skd Hi-Tec Co., Ltd. |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
-
2020
- 2020-07-21 KR KR1020200090607A patent/KR102502694B1/ko active Active
- 2020-09-28 WO PCT/KR2020/013257 patent/WO2022019377A1/ko unknown
- 2020-09-28 EP EP20946327.2A patent/EP413738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20-09-28 US US17/925,841 patent/US20230193692A1/en active Pending
- 2020-09-28 CN CN202080101031.XA patent/CN11569780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650B1 (ko) | 2014-02-10 | 2015-08-27 |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JP2016078657A (ja) | 2014-10-17 | 2016-05-16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可動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37381A1 (en) | 2023-02-22 |
US20230193692A1 (en) | 2023-06-22 |
EP4137381A4 (en) | 2024-01-24 |
KR20220011544A (ko) | 2022-01-28 |
WO2022019377A1 (ko) | 2022-01-27 |
CN115697808A (zh) | 2023-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4995B1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101547650B1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20110058023A (ko) | 미세 접근장치와 완충부를 갖는 탑승교 및 그 작동 방법 | |
KR20150013411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20140007980A (ko) |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20150013410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20140134887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101345027B1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CN1229274C (zh) | 对电梯的多层轿厢的至少一轿厢层精确平层定位的装置 | |
WO2001062654A1 (fr) | Dispositif elevateur | |
CN105658562A (zh) | 升降机设施 | |
KR20220011543A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102502694B1 (ko) |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 |
KR101500875B1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JP2003312960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471545B1 (ko) |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101195652B1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용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 | |
KR101953817B1 (ko) |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20170073840A (ko) |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용 안전 장치 | |
KR20130126561A (ko) |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GB2610340A (en) |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 |
TWI681890B (zh) |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 |
KR20140141894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101605311B1 (ko) | 승하강식 안전난간 | |
KR20120090522A (ko) | 승강장용 난간형 스크린 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