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76B1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2376B1 KR102502376B1 KR1020210064238A KR20210064238A KR102502376B1 KR 102502376 B1 KR102502376 B1 KR 102502376B1 KR 1020210064238 A KR1020210064238 A KR 1020210064238A KR 20210064238 A KR20210064238 A KR 20210064238A KR 102502376 B1 KR102502376 B1 KR 102502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ubject
- front image
- cradle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0 : 회전부 120 : 몸체부
121 : 모터부 122 : 제어부
123 : 통신부
200 : 휴대 단말기
210 : 통신부 220 : 카메라부
230 : 출력부 240 : 메모리
250 : 전원 공급부 260 : 프로세서
211 : 이통통신 모듈 212 : 무선 인터넷 모듈
213 : 근거리 통신모듈
221 : 제1 카메라 222 : 제2 카메라
231 : 디스플레이부 232 : 음향 출력부
Claims (15)
-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상기 전방 영상에서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 속도를 설정하되,
상기 피사체의 위치는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인,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채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전방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가 아닌 경우,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가 아닌 상기 제1 방향의 측부이면, 상기 피사체가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전방 영상의 화면 밖으로 이탈한 경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 중에, 상기 전방 영상에 상기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되 상기 최대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본 회전속도로 변경하는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상기 전방 영상에서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의 위치는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인,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채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전방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회전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가 아닌 경우,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상기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가 아닌 상기 제1 방향의 측부이면, 상기 피사체가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삭제
- 컴퓨터 판독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휴대 단말기-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는 동작; 및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상기 전방 영상에서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 속도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의 위치는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인,
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ko) | 2021-05-18 | 2021-05-18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PCT/KR2021/012650 WO2022244920A1 (ko) | 2021-05-18 | 2021-09-16 | 휴대 단말기 및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US17/878,134 US12108157B2 (en) | 2021-05-18 | 2022-08-01 |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ko) | 2021-05-18 | 2023-02-15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ko) | 2021-05-18 | 2021-05-18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9863A Division KR102619302B1 (ko) | 2021-05-18 | 2023-02-15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6338A KR20220156338A (ko) | 2022-11-25 |
KR102502376B1 true KR102502376B1 (ko) | 2023-02-23 |
Family
ID=84237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4238A Active KR102502376B1 (ko) | 2021-05-18 | 2021-05-18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KR1020230019863A Active KR102619302B1 (ko) | 2021-05-18 | 2023-02-15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9863A Active KR102619302B1 (ko) | 2021-05-18 | 2023-02-15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0237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29049A (ja) | 2002-10-04 | 2004-04-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この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7582A (ko) * | 2003-12-29 | 2005-07-05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이동에 따른 위치 추적방법 |
KR101184690B1 (ko) * | 2012-01-27 | 2012-09-26 | (주)나누미넷 | 모션 추적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 단말기와 이와 연동하는 트래킹 크래들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작장치 |
KR101850535B1 (ko) * | 2016-01-18 | 2018-05-31 | 전도헌 | 초광대역 무선 통신 기반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 |
KR101850534B1 (ko) * | 2016-01-18 | 2018-04-19 | 전도헌 |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KR20170093440A (ko) * | 2016-02-05 | 2017-08-1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촬영대상을 추적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70142460A (ko) * | 2016-06-17 | 2017-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케이싱 디바이스 |
KR20180040409A (ko) * | 2016-10-12 | 2018-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173960B1 (ko) * | 2017-12-11 | 2020-11-04 | 백창현 | 객체센서를 이용한 객체추적방법 및 시스템 |
KR102310230B1 (ko) | 2019-10-08 | 2021-10-06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
2021
- 2021-05-18 KR KR1020210064238A patent/KR102502376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2-15 KR KR1020230019863A patent/KR10261930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29049A (ja) | 2002-10-04 | 2004-04-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この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9302B1 (ko) | 2023-12-29 |
KR20230025845A (ko) | 2023-02-23 |
KR20220156338A (ko) | 2022-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17997B (zh) | 利用多个相机控制图像拍摄的可折叠电子装置和方法 | |
US11625066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multiple cameras in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US9635254B2 (en) | Panoramic scene capturing and browsing mobile device, system and method | |
CN107770452B (zh) | 一种拍照方法及终端和相关介质产品 | |
CN102681958B (zh) | 使用物理姿势传输数据 | |
US12108157B2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 |
KR102668233B1 (ko) | 관심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외부 객체에 대해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여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155895B1 (ko) | 객체를 추적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EP3989118A1 (en) | Target tracking method and system, readable storage medium and moving platform | |
KR20210072351A (ko) |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 |
EP3573329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to panorama capture mode | |
EP3886408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502376B1 (ko)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 |
US11700455B2 (en) | Image capturing device, imag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 |
KR20190141866A (ko) | 사용자의 사진 촬영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102514852B1 (ko) |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합성 방법 | |
CN111917904B (zh) | 控制方法及电子装置 | |
CN117998203B (zh) | 一种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JP2016018448A (ja) | 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入力システム | |
JP2014093729A (ja)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