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193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931B1
KR102501931B1 KR1020160118401A KR20160118401A KR102501931B1 KR 102501931 B1 KR102501931 B1 KR 102501931B1 KR 1020160118401 A KR1020160118401 A KR 1020160118401A KR 20160118401 A KR20160118401 A KR 20160118401A KR 102501931 B1 KR102501931 B1 KR 10250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hanged
paging messag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799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31B1/ko
Priority to EP17851107.7A priority patent/EP3487259B1/en
Priority to PCT/KR2017/010003 priority patent/WO2018052233A1/ko
Priority to US16/332,504 priority patent/US11032794B2/en
Publication of KR2018002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제2 DRX가 설정된 경우, 제2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2 DRX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페이징 메시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ystem infro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 기술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최근 작은 크기의 웨어러블 기기 혹은 IoT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위 기기들은 기존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가진 기능까지 제공하는 등, 고성능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작은 크기로 인해, 배터리 크기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작아 진보된 절전 성능이 중요한 요구 조건이 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활용도의 다양화, 사용자 편의성 등으로 인해, 여전히 절전 성능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단말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연속 수신 모드(discontinuous reception: DRX)로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paging) 신호를 받기 위해,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페이징 신호는 자주 전송되는 것이 아니므로, 단말기는 페이징 신호가 오지 않은 시간까지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면, 전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특정 시간 구간 동안만 수신 동작을 수행하여 페이징 신호 수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를 DRX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를 개선시키기 위해 DRX의 주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를 확장된 DRX(extended DRX: eDRX)라 칭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하지만, 확장된 DRX가 적용되는 경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eDRX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이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효과적으로 갱신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제2 DRX가 설정된 경우, 제2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2 DRX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페이징 메시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의 방법은, 페이징 메시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단말이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로 동작하는 제2 DRX로 설정된 경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DRX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한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에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제2 DRX가 설정된 경우, 제2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2 DRX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페이징 메시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페이징 메시지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제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기로 결정하고, 단말이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로 동작하는 제2 DRX로 설정된 경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DRX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한 페이징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통해 단말은 eDRX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효율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e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제2 DRX 동작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DRX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시스템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DRX 주기가 적용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SI)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DRX 주기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을 확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확인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긴 비연속 수신 주기를 적용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효과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이라 칭할 수 있다)(105, 110, 115, 120)과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칭할 수 있다)(125)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Gateway, 이하 S-GW라 칭할 수 있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 또는 terminal이라 칭할 수 있다)(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은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14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기존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계층(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205, 240),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210, 235),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215, 230),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PHY)(220, 2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PDCP(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다.
- 헤더 압축과 복원(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의 이동(Transfer of user data);
- RLC AM에 대한 PDCP 재설립 절차에서 상위 레이어 PDU의 순차적인 전달(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이중 접속에서 분할 베어러(For split bearers in DC)(only support for RLC AM): 전송을 위한 PDCP PDU 라우팅 및 수신을 위한 PDCP 재배열(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RLC AM에 대한 PDCP 재설립 절차에서 하위 레이어 SDU들의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이중 접속에서 분할 베어러에 대해 핸드오버에서 PDCP SDU들의 재전송 및 RLC AM에 대한 PDCP 데이터 복원 절차에서의 PDCP PDU들의 재전송(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연산 및 복호화(Ciphering and deciphering);
- 상향링크에서 타이머 기반 SDU 버림(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 (210, 235)는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자동적 재송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ARQ라 칭할 수 있다)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다.
- 상위 레이어 PDU 들의 이동(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를 통한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들의 접합, 분할 및 재조립(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데이터 PDU들의 재분할(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데이터 PDU들으리 재정렬(Reordering of RLC data PDUs)(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프로토콜 오류 감지(Protocol error detection)(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버림(RLC SDU discard)(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설립(RLC re-establishment).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RLC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다.
-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매핑(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하나 또는 다른 논리 채널들에 속하는 MAC SDU들을 물리 채널로부터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달된 전송 블록으로 다중화/역다중화(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줄리 정보 보고(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를 통한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하나의 단말의 논리 채널들 사이에 우선 순위 핸들링(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동적 스케줄링의 수단들의 수단으로 단말들 사이에 우선 순위 핸들링(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식별(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형식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Padding).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el-13 LTE에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기존 DRX 주기를 확장하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이를 Extended DRX (eDRX)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DRX 주기(이하, 제1 주기 또는 제1 DRX 주기라 칭할 수 있다)로 동작하는 DRX를 제1 DRX, 확장된 주기(제2 주기 또는 제2 DRX 주기라 칭할 수 있다) 동작하는 DRX를 eDRX 또는 제2 DRX라 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DRX는 제1 주기로 동작하는 DRX, 제2 DRX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DRX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2 주기가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단말들의 제1 DRX 동작은 아래의 수식 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마다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는 1씩 증가할 수 있다. 해당 수식을 만족시키는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에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는 제1 DRX에 의해,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을 페이징 프레임 (Paging Frame: PF)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페이징 시점(paging occasion: PO)라 칭할 수 있다.
<수식 1>
SFN mod T= (T div N)*(UE_ID mod N)
여기서,
SFN: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10비트(10 bits)로 구성될 수 있다. (MSB 8 bits explicit, LBS 2 bits implicit)
T: 단말의 제1 DRX 주기 정보(DRX cycle of the UE).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이하 SIB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Transmitted on SIB2). ENUMERATED {rf32, rf64, rf128, rf256}
N: min(T,nB)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 SIB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Transmitted on SIB2). ENUMERATED {4T, 2T, T, T/2, T/4, T/8, T/16, T/32}.
UE_ID: IMSI mod 1024 (IMSI는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의미할 수 있따)
구체적으로, SFN은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물리적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통해 전송된 MIB중 8 bits는 SFN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는 SIB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는 SIB2 (SystemInformationBlockType2) 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1 DRX 주기 정보(T)는 {rf32, rf64, rf128, rf256}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r32는 32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r32는 320 ms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는 페이징 횟수 또는 페이징의 빈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IB를 통해 제공되는 제1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를 제1 DRX 설정 정보 또는 제1 DRX 파라미터라 칭할 수 있다.
도 2b는 제1 DRX에서의 페이징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매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 마다 1씩 증가할 수 있다 (250). 또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는 1024 주기로 값이 0으로 리셋될 수 있다 (255).
수식 1을 참고하면, 동일한 패턴의 페이징이 매 SFN 주기마다 반복될 수 있다 (260). 또한, 수식 1로부터, 제1 DRX의 최대 주기는 2.56 초이며, 제1 DRX 주기를 최대한 증가시키더라도, SFN의 주기, 즉 10.24 초를 초과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DRX 주기를 10.24 초 이상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SFN 주기도 함께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SFN 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 혹은 신규 SIB에 추가적인 SFN 비트를 포함시키고, 이를 수신하는 단말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SFN 비트는 매 SFN 주기마다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SFN 비트에 의해 지시되는 값을 하이퍼 시스템 프레임 번호(hyper SFN: HFN)라 칭할 수 있다.
추가 SFN 비트를 포함한 SIB은 모든 단말이 수신할 필요가 없으며, 매우 긴 DRX 주기를 적용한 단말에 한에서만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SIB 정보 변경 시마다, 1씩 증가하는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 값(SIB1에 포함되는 하나의 정보(IE)))및 페이징에 포함되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의 변경 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 IE)는 상기 SFN 비트 값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상기 SFN 비트 값이 변경되어도,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 IE)는 갱신되지 않으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 IE)는 페이징을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페이징 시점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HFN은 SFN 주기마다 1씩 증가할 수 있다. 즉, HFN(270)는 1024개의 SFN(37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SFN은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마다 1씩 증가할 수 있다(375). 기지국은 하기에 기술될 수식 2에 의해 결정된 SFN 주기(SFN cycle)에서 수식 1에 의해 페이징을 발생할 수 있다(385).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DRX 주기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페이징 신호의 수신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정해진 DRX 구간 동안 여러 번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가정한다. 이를 위해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해 페이징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1) 첫 번째 단계: 페이징이 일어날 SFN 주기(SFN cycle, 또는 HFN) 결정
2) 두 번째 단계: 첫 번째 단계에서 결정된 SFN 주기(SFN cycle 또는 HFN)에서 페이징이 일어날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 결정
첫 번째 단계에서는 페이징이 일어날 SFN 주기(SFN cycle)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된 SFN 비트(SFN bits)는 한 SFN 주기(SFN cycle)마다 1씩 증가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된 SFN 비트(SFB bits)들로 나타나는 값을 하이퍼 시스템 프레임 번호(HFN)로 정의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식 2을 사용하여, 페이징이 일어날 SFN 주기(SFN cycle)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페이징이 일어날 SFN 주기(SFN cycle 또는 HFN)를 페이징 하이퍼 프레임(Paging Hyper Frame: PHF)이라고 칭할 수 있다.
<수식 2>
HFN mod T`= (T div N`)*(UE_ID mod N`)
여기서
N` : min(T`, nB`)
UE_ID: IMSI mod 1024 (또는 MTC device group ID mod 1024)
제2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2 파라미터(nB`) 값은 SIB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2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2 파라미터(nB`)는 제1 DRX 주기 정보(T),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와 같이 SIB2에 포함되거나 다른 SIB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IB를 통해 제공되는 제2 DRX 주기 정보(T’)와 페이징 관련 제2 파라미터(nB’)를 제2 DRX 설정 정보 또는 제2 DRX 파라미터라 칭할 수 있다.
단말 식별자(UE_ID)는 일반 단말기와 동일한 IMSI 모듈연산으로 도출될 수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의 경우, 그룹 ID형태로 기기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그룹 ID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이 일어날 SFN 주기(SFN cycle)인 PHF를 결정한 후, 해당 SFN 주기(SFN cycle)에서 어느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들에서 페이징이 일어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식 1 을 이용해 해당 SFN 주기에서 페이징이 발생할 라디오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단계로 페이징 발생 시점을 정의하고, 통신 기기들이 이에 따라 DRX 주기를 갖는다면,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첫번째 단계에서 결정된 SFN 주기(SFN cycle)에서 제1 DRX 주기 정보(T),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 설정에 따라 페이징이 반복해서 일어날 수 있으므로, 페이징 수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 DRX로 동작하는 단말의 경우, 제2 주기가 도래하면 특정 구간 동안 제1 주기에 따라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구간을 페이징 시간 윈도우(paging time window: PTW)라 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구간 동안 반복적으로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이징의 수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는 제2 DRX 동작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 (303)은 S310 단계에서 단말 (301)에게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303)은 자신이 제2 DRX(e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알릴 수 있다. 기지국(303)은 자신이 제2 DRX를 지원하는 경우, 제2 DRX 능력 정보(eDRX capability)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DRX 능력 정보는 제2 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1(SIB 1)을 이용하여 제2 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단말에 알릴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320 단계에서 제2 DRX(eDRX) 관련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MME(305)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DRX 관련 정보는 제2 DRX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DRX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DRX 관련 정보를 포함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ATTACH request 메시지 혹은 TAU request 메시지)를 MME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DRX 관련 정보에는 제2 DRX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2 DRX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단말이 원하는 제2 DRX 주기 정보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MME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DRX 관련 정보를 수신한 MME(305)는 상기 제2 DRX 주기 정보를 허용하는 경우, S330 단계에서 제2 DRX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MME는 ATTACH 응답 메시지 혹은 TAU 응답 메시지에 제2 DRX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DRX 관련 정보는 제2 DRX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MME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DRX 주기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MME가 원하는 제2 DRX 주기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응답 메시지(ATTACH 응답 메시지 혹은 TAU 응답 메시지)에 제2 DRX 주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제2 DRX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E로부터 수신된 제2 DRX 주기 정보가 단말이 전송한 주기 정보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MME로부터 수신된 제2 DRX 주기 정보를 사용하여 제2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MME로부터 제2 DRX 관련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제2 DRX(eDRX) 주기를 이용하여,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MME에 전달되면, MME(305)는 S340 단계에서 제2 DRX(eDRX) 관련 정보(예를 들어, 주기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에게 페이징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제2 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S350 단계에서 제2 DRX(eDRX) 주기를 적용하여, 단말에게 페이징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DRX(eDRX) 구동 과정을 살펴볼 때, MME는 특정 단말이 제2 DRX(eDRX)를 구동 중인지 여부를 알고 있을 수 있으며, 제2 DRX를 구동 중인 단말에 적용된 제2 DRX(eDRX) 주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단말은 자신에게 오는 전화 혹은 특정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페이징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다만, 단말이 상기 페이징 모니터링을 항상 수행하게 되면,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단말은 네트워크와 약속된 정해진 주기마다 페이징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주기마다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DRX 동작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활성화 시간(Active time, 410) 동안만 깨어나 페이징 수신하거나 셀을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외 시간(유휴 시간, 420) 동안에는 통신 모뎀 또는 RF(radio frequency)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시간이 반복되는 주기를 제1 DRX 주기(430)라 하며, 최대 제1 DRX 주기는 2.56 초가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DRX 주기가 확장될 수록 DRX 동작으로 인한 절전 효과는 증가될 수 있다. 즉, 단말의 통신 모뎀 또는 RF가 오프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절전 효과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DRX 주기를 더 늘려야 한다. 이에 따라 DRX 주기가 확장된 제2 DRX(eDRX)가 도입되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DRX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제2 DRX 주기(440)는 제1 DRX 주기(430)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13 3G/LTE 표준에서는 최대 제2 DRX 주기 값을 대기 모드 시 43.69 분, 연결 모드 시 10.24초로 확대했다.
단말은 절전 모드 구동 시, 상기 설명한 제2 DRX(eDRX) 기술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만, 제2 DRX(eDRX) 주기를 극단적으로 길게 설정하게 되면, 절전 효과는 극대화되지만, 사용자가 제 때에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한다.
도 5는 시스템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시스템 정보는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을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시스템 정보를 제외하고, 기지국은 매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새로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새로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되기 이전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부터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될 것이라는 것을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n+1번째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520)부터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된다면, 기지국은 바로 이전 n 번째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510)에서 다음 수정 구간부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다는 사실을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며,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내에서 적어도 한번 페이징을 수신해야 한다. 페이징 메시지 내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 IE)가 포함되면, 페이징이 전송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의 다음 구간(period)부터 새로 갱신된 시스템 정보가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 IE)는 1비트로 구성되어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시스템 정보를 제외하고,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기지국은 SIB1에 포함되는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이하, systemInfoValueTag, valuetag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은 서비스 범위를 벗어난 상태(out-of coverage)에서 다시 캠프 온(camp-on)한 단말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정보가 현재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시스템 정보가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혹은 SIB1의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소비 전력 절감을 위해, DRX 주기를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의 최대값보다 길게 확장할 경우, 즉, 제2 DRX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수정 구간(period) 내에서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새로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시스템 정보 중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설정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은 이후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6은 제2 DRX 주기가 적용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SI)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SI) 변경 또는 갱신 (612) 전에 페이징 (611)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SI)가 변경될 것임을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동작은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610)을 기준으로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수정 구간(640)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updated SI, 612)를 전송하는 경우, 시스템 정보(SI) 변경 전,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610) 동안, 페이징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640)에서 시스템 정보(SI)가 변경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610) 동안 최소한 한번은 페이징을 수신하여,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640)에서 시스템 정보(SI)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다만, DRX로 동작하는 단말은 단말은 DRX 주기마다 페이징을 확인하기 때문에, 제2 DRX로 동작하는 경우 제2 DRX 주기 (620) 사이에 상기 페이징이 전송된다면, 단말은 이를 수신할 수 없으며,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630).
따라서, 제2 DRX 주기가 도과한 뒤에 단말은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을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다만, 페이징 메시지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을 확장하는 방법과 DRX 타이밍 바로 직전에 단말기가 깨어나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과 시스템 정보(SI)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특정 조건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은 DRX 주기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은 DRX 주기에 따라 기존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 또는 새로운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시스템 정보(SI) 갱신 방법은 기존의 페이징으로 시스템 정보(SI) 갱신 여부를 알려주는 방법과 더불어, 확장된 DRX 타이밍 바로 직전에 단말기가 깨어나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과 시스템 정보(SI)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S710 단계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DRX 주기가 임계값(X)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X)는 미리 정해진 값이거나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명시적으로(explicitly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은 최대 10.24초까지 확장 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10.24 초를 상기 임계값(X)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수정 구간의 길이에 기반하여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수정 구간의 길이가 임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 혹은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ling)을 통해, 임계값(X)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판단 결과, 만약 현재 적용하고 있는 DRX 주기가 임계값(X)보다 작다면, 단말은 S720 단계에서 기존 시스템 정보(SI)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은 DRX 타이밍 때 페이징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수신된 페이징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 (systemInfoModification IE)가 “true”값을 가진다면 또는 true로 설정된다면, 이는 시스템 정보(SI)가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변경될 것임을 알리는 것이며, 단말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2)로부터 획득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값을 이용하여,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새로운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적용하고 있는 DRX 주기가 임계값(X)보다 크다면,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DRX 타이밍 직전에 미리 깨어나, 셀 선택 또는 재선택(cell (re)selection) 동작을 수행하여, 선택 또는 재선택할 셀(적절한 셀(suitable cell))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비활성화 구간에서 DRX 타이밍 직전에 미리 깨어나 셀 선택 또는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또는 재선택할 적절한 셀이란 단말이 일반적인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캠프 온 하는 셀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선택된 PLMN 또는 등록된 PLMN에 포함된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적절한 셀은 단말이 가입된 셀 또는 접근이 금지되지 않은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확인된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value tag)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 결과, SI 갱신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필요 없는 경우 (예를 들어, 페이징을 수신한 후, 자신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이 없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 정보(SI)를 수신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존 시스템 정보(SI) 갱신 방법과 같이 페이징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SI) 갱신 여부를 단말에 알려줄 수도 있다. 그러나, 페이징을 통해 시스템 정보(SI) 갱신 여부를 단말에 알려주기 위해서는 제2 DRX(eDRX) 주기를 적용하는 단말이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내에서 적어도 한번 페이징을 수신해야 하므로, 새로운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이 필요하다.
도 8는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을 확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매우 긴 DRX 주기(제2 DRX 주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고하면, 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810)에 최소한 한번의 DRX 타이밍이 포함될 수 있도록,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을 확장할 수 있다. 즉 수정 구간(810)은 제2 DRX 주기(820)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 정보(SI) 변경을 알리는 페이징 (811)은 확장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동안 전송될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한번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다 (830).
상기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값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2)를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DRX 주기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도 함께 확장되어야 하므로, 이 기간 동안 페이징을 전송하는데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도 증가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제2 DRX(eDRX)를 적용한 단말을 위해, 기지국 및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로 두 가지 시스템 정보(SI) 갱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방법 1
단말은 DRX 타이밍 직전에 미리 깨어나, 셀 선택 또는 재선택(cell (re)selection) 동작을 수행하여, 선택 또는 재선택할 셀(적절한 셀(suitable cell))을 확인하고, 상기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이용해 유효성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필요 없는 경우 (예를 들어, 페이징을 수신한 후, 자신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이 없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 정보(SI)를 수신 하지 않을 수 있다.
- 방법 2
기지국은 확장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페이징을 통해 시스템 정보(SI) 갱신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시스템 정보(SI)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확장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은 기존의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과 별도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수정 구간을 제1 수정 구간, 확장된 수정 구간을 제2 수정 구간이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갱신되는 시스템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두 방법을 사용하는 기지국 동작을 제안한다. 또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동작을 제안한다.
도 9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이전에 유효성 확인을 통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은 제2 DRX(eDRX) 주기가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보다 긴 경우,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DRX(eDRX) 주기(900)마다 설정된 페이징 시간 윈도우(Paging Time Window: PTW)(905) 시간 구간 동안,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DRX로 동작하는 단말의 경우, 제2 주기가 도래하면 특정 구간 동안 제1 주기에 따라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특정 구간을 PTW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구간 동안 반복적으로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이징의 수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은 상기 PTW 구간 동안, 페이징(910)을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징 메시지 안에 자신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셀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value tag의 값)를 확인하고, 이전에 저장해놓은 시스템 정보 변경 정보(value tag 값)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15). 이와 같은 동작을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 또는 유효성 확인)이라고 칭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저장해놓은 시스템 정보 변경 정보(value tag 값)와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value tag의 값)가 다르다면, 단말은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 하기 전에 상기 셀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 자신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이 없는 경우에는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읽고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시스템 정보로 제공되는 페이징 설정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엔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확인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확장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페이징을 전송하여 시스템 정보(SI)의 갱신 필요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DRX(eDRX) 주기가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의 길이보다 긴 경우, 단말은 상기 방법에 따라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DRX(eDRX) 주기(1000)마다 설정된 PTW(1005) 시간 구간 동안,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DRX로 동작하는 단말은 제2 DRX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PTW 구간 동안 제1 주기에 따라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PTW 구간동안 페이징을 반복적으로 수신함으로써 페이징의 수신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페이징 메시지 안에 제2 DRX 관련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시점부터 시스템 정보(SI)가 갱신될 수 있다(1010). 상기 지시자는 상기 특정 시점부터 갱신된 시스템 정보(SI)가 전송됨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와 제1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DRX)가 별개로 운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제1 시스템 정보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제2 DRX로 동작하고, 제1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에 제2 DRX 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를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제1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단말에 알릴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며, 본 발명에서 제1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DRX)를 제1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 제2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를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로 칭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2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와 제1 DRX에 대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DRX)는 하나로 운용될 수 도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H-SFN mod 256 = 0 (1015)을 만족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시점이 일정 간격 즉, 256 * 10.24 초 마다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제2 수정 구간(확장된 Modification Period)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일정 간격 내의 PTW 구간 내에서 적어도 한 번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제2 수정 구간(확장된 Modification Period) 동안,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마다, 상기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 지시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제2 DRX 주기(1000)가 만료된 후 PTW 구간 동안, 페이징 (1020)을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징 메시지 안에 자신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할 수 있다(1025).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제2 수정 구간(확장된 Modification Period) 동안 상기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므로, 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 1은 시스템 정보로 제공되는 페이징 설정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방법 2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지국은 갱신되는 시스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페이징을 통해, 시스템 정보(SI)의 갱신 필요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제 1 시스템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SI)의 갱신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긴 시간 동안 메시징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시스템 정보의 갱신은 방법 1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연결이 트리거되면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이용해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제1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경우만, 이를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시스템 정보 이외의 시스템 정보는 제 2 시스템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제 1 시스템 정보는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 I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정보 블록(예를 들어, SIB2)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 IE)는 하기 표1과 같은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6089730569-pat00001
기본 페이징 주기(defaultPagingCycle)는 셀 특정 페이징 주기(cell specific paging cycle)를 나타낼 수 있다.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는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 PF)을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변수이다.
또한, 기계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기술에서는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지국이 페이징을 지시하는 기계형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machine typ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PDCCH)와 페이징 메시지를 복수 개의 협대역(narrowband)에서 반복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설정 정보가 pcch-config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협대역(Pagging-narrowband)은 페이징을 위해 사용되는 협대역(narrowband)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며, 반복 전송을 고려하여, 페이징 관련 제1 파라미터(nB 값)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련 셀이 MTC를 지원한다면, pcch-Config-v1310 IE의 정보가 변경된다면, 기지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SI 갱신이 필요하다고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 본 발명에서는 SIB1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비트맵 관련 정보(fdd-DownlinkOrTddSubframeBitmapLC-r13)와 호핑 관련 정보(si-HoppingConfigCommon-r13)이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SI 갱신이 필요하다고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dd-DownlinkOrTddSubframeBitmapLC-r13는 MTC 기술을 적용하는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TC 단말에게 전달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만 전송되므로, 상기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si-HoppingConfigCommon-r13는 SI 메시지와 페이징 메시지가 주파수 호핑 (메시지 전송 시, 주파수 이동)을 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가 없다면, 단말은 가능한 주파수를 모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Figure 112016089730569-pat00002
도 11a는 본 발명에서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1105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갱신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갱신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S1110 단계에서 기지국이 제2 DRX(확장된 DRX 주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S1115 단계에서 제1 DRX(기존 기술)에 따라 시스템 정보(SI)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DRX 타이밍때 페이징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수신된 페이징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 (systemInfoModification IE)가 “true”값을 가진다면 또는 true로 설정된다면, 이는 시스템 정보(SI)가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변경될 것임을 알리는 것이며, 단말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2)로부터 획득한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 값을 이용하여, 다음 수정 구간(modification period)에서 새로운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한다면, 기지국은 S1117 단계에서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 (Coverage Extens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이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S1120 단계에서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적어도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S1125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SI) 갱신 여부를 페이징 메시지로 알려주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 혹은 PDCCH에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또는 SI 갱신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S1125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1130 단계에서 다음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H-SFN mod 256 = 0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을 지원한다면, 기지국은 S1135 단계에서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 서브프레임 비트맵 관련 정보(fdd-DownlinkOrTddSubframeBitmapLC-r13), 호핑 관련 정보(si-HoppingConfigCommon-r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다면, 기지국은 S1140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SI) 갱신 여부를 페이징 메시지로 알려주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 혹은 (M)PDCCH에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I 갱신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상기 S114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1145 단계에서 다음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H-SFN mod 256 = 0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정보(SI) 갱신 시, 단말의 복잡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말이 시스템 정보(SI) 갱신 지시자를 수신 시, 혹은 특정 동작 후에 시스템 정보(SI) 수신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SI 갱신 지시자, 즉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은 특정 시점부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시점은 H-SFN mod 256 = 0을 만족하는 시점이다. 이 때, 상기 단말은 어느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모르며, 단순히,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것이라는 것만 인지할 수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모든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 DRX(eDRX)가 설정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SI 갱신 지시자, 즉 제2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ystemInfoModification-eDRX)를 수신하게 되면, 특정 시점부터 SIB1과 SIB2만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언급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들이 SIB1과 SIB2에 모두 포함되기 때문이다. 전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SIB1과 SIB2만 갱신한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의 값을 1씩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을 포함하는 경우),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면, 그 때, 상기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와 SIB1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IB1과 SIB2만 갱신할 시, 단말은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systemInfoValueTag) 값을 1씩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갱신된 SIB1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가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와 상이한 경우, 전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반면, 실제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수행되지 않으면, 단말은 SIB1과 SIB2만을 갱신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발생하는 단말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DRX(eDRX)가 설정된 단말이 페이징 수신 전에 셀 선택 혹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을 포함하는 경우)에 따라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수행될 때,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DRX(eDRX)를 설정한 단말도 인접 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셀 선택 혹은 재선택을 통해, 서빙셀을 변경할 수 있다. 서빙 셀이 변경되면, 상기 단말이 처음으로 하는 동작은 상기 새로운 서빙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읽는(수신하는) 것이다. 이는 변경된 서빙 셀이 적합한 셀인지 여부 및 TA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필요 시, TAU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단말을 TAU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신규 서빙 셀을 찾은 후, 단말은 상기 셀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이다. 이 때,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의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을 포함하는 경우)에 따라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 필요할 경우, 단말은 제2 DRX(eDRX)에서의 시스템 정보(SI) 갱신 방법에 따라,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셀 (재)선택 과정에서 상기 셀로부터 최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단말은 표준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시스템 정보의 중복 수신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1150 단계에서 자신이 제2 DRX(e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1151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한다면, 기지국은 제2 DRX 능력 정보(eDRX capability)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S1152 단계에서 제1 DRX(기존 DRX) 설정 정보만을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제1 DRX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S1153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S1154 단계에서 제 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 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S1155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SI)의 갱신 여부를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DRX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수정 구간 보다 긴 제2 수정 기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의 길이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의 길이보다 큰 경우, 제2 수정 구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후, 기지국은 S1156 단계에서 systemInfoValueTag와 systemInfoValueTagExt 값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systemInfoValueTag 값을 1씩 증가시키고 만약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면, 그 때, systemInfoValueTagExt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갱신된 시스템 정보가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즉, RRC 연결과 관련된 제 2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에 포함된 systemInfoValueTag와 systemInfoValueTagExt 값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systemInfoValueTag 값을 1씩 증가시키고 만약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면, 그 때, systemInfoValueTagExt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1157 단계에서 변경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 IE 값)를 포함시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시점(예를 들어, H-SFN mod 256=0 인 시점)부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통해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단말은 S1205 단계에서 제2 DRX(eDRX)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DRX(eDRX)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S1210 단계에서 기존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절전모드에서 제1 DRX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DRX(eDRX)를 적용 중이라면, 단말은 S1215 단계에서 PTW 구간 동안 (M)PDCCH와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제2 수정 구간(확장된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제2 주기와 제1 수정 구간을 비교하여,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보다 큰 경우, 제2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제2 DRX 주기가 만료된 이후의 PTW 구간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S1220 단계에서 상기 (M)PDCCH 혹은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I 갱신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은 S1225 단계에서 SIB1과 SIB2만 갱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SIB1과 SIB2만을 갱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1230 단계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SI)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235 단계에서 페이징 수신 전에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을 수행한 단말은 S1240 단계에서 새로운 서빙 셀(serving cell)을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선택 또는 재선택한 셀이 새로운 서빙 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서빙 셀이란, 현재 서빙 셀이 아닌 다른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빙 셀을 찾은 경우, 단말은 S1245 단계에서 새로운 서빙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1250 단계에서 필요하다면 TAU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S1255 단계에서 새로운 서빙 셀로부터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단말은 S1260 단계에서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트리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연결이 트리거된 경우, 단말은 S1265 단계에서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셀 (재)선택 동작 과정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 절차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S1240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새로운 서빙 셀(serving cell)이 아니라면, 단말은 S1270 단계에서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단말은 S1275 단계에서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연결이 트리거 된 경우, 단말은 S1280 단계에서 선택 또는 재선택된 셀로부터 SIB1을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와 수신된 SIB1를 이용하여 확인된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셀 선택 또는 재선택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S1230 단계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적용하여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단말은 RRC 연결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RRC 연결이 트리거된 경우, 단말은 유효성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와 수신된 SIB1를 이용하여 확인된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13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 (Radio Frequency)처리부(13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320), 저장부(1330), 제어부(13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13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RF처리부(13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8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8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8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8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상기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상기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8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3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30)는 상기 제어부(13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40)는 상기 저장부(13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40)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시된 단말의 동작 및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40)는 제2 DRX(eDRX)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DRX(eDRX)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1340)는 기존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40)는 절전모드에서 제1 DRX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DRX(eDRX)를 적용 중이라면, 제어부(1340)는 PTW 구간 동안 (M)PDCCH와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제2 수정 구간(확장된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40)는 제2 주기와 제1 수정 구간을 비교하여,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보다 큰 경우, 제2 수정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40)는 제2 DRX 주기가 만료된 이후의 PTW 구간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40)는 상기 (M)PDCCH 혹은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I 갱신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1340)는 SIB1과 SIB2만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340)는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SIB1과 SIB2만을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40)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SI)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40)는 페이징 수신 전에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을 수행한 뒤, 제어부(1340)는 새로운 서빙 셀(serving cell)을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선택 또는 재선택한 셀이 새로운 서빙 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서빙 셀이란, 현재 서빙 셀이 아닌 다른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빙 셀을 찾은 경우, 제어부(1340)는 새로운 서빙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40)는 필요하다면 TAU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40)는 새로운 서빙 셀로부터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제어부(1340)는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트리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연결이 트리거된 경우, 제어부(1340)는 RRC 연결 설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셀 (재)선택 동작 과정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제어부(1340)는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확인 결과 새로운 서빙 셀(serving cell)이 아니라면, 제어부(1340)는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제어부(1340)는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연결이 트리거 된 경우, 제어부(1340)는 선택 또는 재선택된 셀로부터 SIB1을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 유효성 확인(SI validity check)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40)는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와 수신된 SIB1를 이용하여 확인된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셀 선택 또는 재선택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340)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적용하여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을 수신한 제어부(1340)는 RRC 연결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RRC 연결이 트리거된 경우, 단말은 유효성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와 수신된 SIB1를 이용하여 확인된 저장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1410), 기저대역처리부(1420), 백홀통신부(1430), 저장부(1440), 제어부(1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14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4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4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4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4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440)는 상기 제어부(14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4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50)는 상기 저장부(14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4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45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제어부(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50)는 상기 주기지국이 상기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과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50)는 기지국이 제2 DRX(e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50)는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한다면, 제어부(1450)는 제2 DRX 능력 정보(eDRX capability)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50)는 제1 DRX(기존 DRX) 설정 정보만을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제1 DRX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450)는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제어부(1450)는 제 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 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제어부(1450)는 시스템 정보(SI)의 갱신 여부를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50)는 단말이 제1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제2 주기로 동작하는 DRX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수정 구간 보다 긴 제2 수정 기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50)는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의 길이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주기가 제1 수정 구간의 길이보다 큰 경우, 제2 수정 구간 동안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이후, 제어부(1450)는 systemInfoValueTag와 systemInfoValueTagExt 값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50)는 systemInfoValueTag 값을 1씩 증가시키고 만약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면, 그 때, systemInfoValueTagExt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갱신된 시스템 정보가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즉, RRC 연결과 관련된 제 2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450)는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에 포함된 systemInfoValueTag와 systemInfoValueTagExt 값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50)는 systemInfoValueTag 값을 1씩 증가시키고 만약 랩어라운드가 발생하면, 그 때, systemInfoValueTagExt을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50)는 변경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IE 값)를 포함시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시점(예를 들어, H-SFN mod 256=0 인 시점)부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통해 제1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변경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50)는 기지국이 제2 DRX를 지원한다면,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 (Coverage Extens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이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450)는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적어도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450)는, 상기 SI 갱신 여부를 페이징 메시지로 알려주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 혹은 PDCCH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또는 SI 갱신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제어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50)는 다음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50)는 H-SFN mod 256 = 0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MTC 기술에서 서비스 영역 확장 기능을 지원한다면, 제어부(1450)는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가 페이징 채널 설정 정보(pcch-config), 서브프레임 비트맵 관련 정보(fdd-DownlinkOrTddSubframeBitmapLC-r13), 호핑 관련 정보(si-HoppingConfigCommon-r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다면, 제어부(1450)는, 상기 SI 갱신 여부를 페이징 메시지로 알려주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 혹은 (M)PDCCH에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SI 갱신 지시자)를 포함시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450)는 상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50)는 다음 제2 DRX 획득 구간(eDRX acquisition period)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50)는 H-SFN mod 256 = 0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DRX)가 설정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에 복수의 시스템 정보 중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어야 함을 지시하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확장된 수정 주기에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radio resource control(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제1 value tag 값은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되는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지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과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제2 value tag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value tag 값이 상기 제2 value tag 값과 다른 경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는 system information block 1(SIB1) 또는 system information block 2(SIB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는 상기 RRC 연결 설정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 하는 단계는,
    상기 eDRX의 주기가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eDRX의 주기가 상기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유효성 검사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시스템 정보 중 제1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 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확장된 수정 주기에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eDRX)가 설정된 단말로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지시하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다음 확장된 수정 주기에 상기 단말로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radio resource control(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제1 value tag 값은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되는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지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서빙 셀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는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는 경우 유효성 검사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제2 value tag 값과 비교되고,
    상기 제1 value tag 값이 상기 제2 value tag 값과 다른 경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가 업데이트 되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는 system information block 1(SIB1) 또는 system information block 2(SIB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는 상기 RRC 연결 설정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eDRX의 주기가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eDRX의 주기가 상기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eDRX)가 설정된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에 복수의 시스템 정보 중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어야 함을 지시하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확장된 수정 주기에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radio resource control(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되지 않고, 상기 제1 value tag 값은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되는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지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과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제2 value tag 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value tag 값이 상기 제2 value tag 값과 다른 경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는 system information block 1(SIB1) 또는 system information block 2(SIB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는 상기 RRC 연결 설정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DRX 주기가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eDRX 주기가 상기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유효성 검사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시스템 정보 중 제1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 하고,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확장된 수정 주기에 확장된 불연속 수신(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eDRX)가 설정된 단말로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지시하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다음 확장된 수정 주기에 상기 단말로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radio resource control(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제1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제1 value tag 값은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되는 경우 제2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지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빙 셀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는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되는 경우 유효성 검사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설정이 트리거 된 경우,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1 value tag 값은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제2 value tag 값과 비교되고,
    상기 제1 value tag 값이 상기 제2 value tag 값과 다른 경우 상기 제2 시스템 정보가 업데이트 되며,
    상기 변경된 제1 시스템 정보는 system information block 1(SIB1) 또는 system information block 2(SIB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스템 정보는 상기 RRC 연결 설정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DRX의 주기가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eDRX의 주기가 상기 수정 주기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확장된 수정 주기에서 상기 제1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60118401A 2016-09-13 2016-09-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50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401A KR102501931B1 (ko) 2016-09-13 2016-09-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EP17851107.7A EP3487259B1 (en) 2016-09-13 2017-09-12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7/010003 WO2018052233A1 (ko) 2016-09-13 2017-09-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US16/332,504 US11032794B2 (en) 2016-09-13 2017-09-12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401A KR102501931B1 (ko) 2016-09-13 2016-09-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799A KR20180029799A (ko) 2018-03-21
KR102501931B1 true KR102501931B1 (ko) 2023-02-21

Family

ID=6162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401A Active KR102501931B1 (ko) 2016-09-13 2016-09-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32794B2 (ko)
EP (1) EP3487259B1 (ko)
KR (1) KR102501931B1 (ko)
WO (1) WO2018052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392B (zh) * 2017-01-24 2024-1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寻呼优化的方法、装置、基站、用户设备和介质
CN118118973A (zh) * 2017-05-05 2024-05-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传输方法及装置
US10560916B2 (en) * 2017-09-30 2020-02-11 Brian A. Stearmer Paired-timing connectivity event ha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2455586B1 (ko) * 2018-03-29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194252A1 (ja) * 2018-04-06 2019-10-1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41898B2 (en) * 2018-07-18 2020-11-1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receiving paging messages for UE and UE using the same
US20230232314A1 (en) * 2020-05-13 2023-07-20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for reduced capability nr devices
US11696359B2 (en) * 2020-05-18 2023-07-04 Qualcomm Incoporated Override of default base st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for individual user equipment
CN114640952B (zh) * 2020-12-15 2023-11-0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6235575B (zh) * 2020-12-29 2025-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274323A4 (en) * 2020-12-31 2024-10-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UPLINK TIME ADVANCE AND METHOD AND DEVICE FOR BROADCAS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ON TIME ADVANCE
CN115398981A (zh) * 2021-03-09 2022-11-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连接下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2570678B1 (ko) 2021-10-18 2023-08-25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TWI801075B (zh) * 2022-01-04 2023-05-0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為用戶設備配置不連續接收的方法和基地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4605A1 (en) * 2014-08-06 2016-02-11 Qualcomm Incorporated Ran procedures for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US20160192434A1 (en) * 2013-08-16 2016-06-3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0335B2 (en) * 2008-01-11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modification notification and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804546B2 (en) * 2008-06-13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action between DRX cycles and paging cycles
US8843115B2 (en) * 2008-06-23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stem information mod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03097B2 (en) 2009-06-2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in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processing with online triggers in cellular systems
US20120276933A1 (en) * 2011-04-28 2012-11-01 Renesas Mobile Corporation Detecting change in system information
CN104105111B (zh) 2013-04-02 2017-11-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WO2014165604A1 (en) * 2013-04-03 2014-10-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for cell discovery
US9497682B2 (en) 2013-06-07 2016-11-15 Intel Corporatio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an LTE network
KR102182517B1 (ko) 2013-08-02 2020-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와 페이징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2861033B1 (en) * 2013-10-08 2016-05-25 Telefónica, S.A.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improving discontinous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763172B2 (en) * 2014-08-06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Idle-mode enhancements for extended idle discontinuous reception (EI-DRX)
CN107113702B (zh) * 2015-01-15 2020-10-09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US10616822B2 (en) * 2015-02-10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updating
CN107637142B (zh) * 2015-04-03 2021-11-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使用扩展drx的系统增强
US10743237B2 (en) * 2015-05-21 2020-08-11 Apple Inc.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change notifications to MTC devices
US10028329B2 (en) * 2015-11-04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change notification for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434A1 (en) * 2013-08-16 2016-06-3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US20160044605A1 (en) * 2014-08-06 2016-02-11 Qualcomm Incorporated Ran procedures for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490*
3GPP R2-1542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7259A4 (en) 2019-05-29
KR20180029799A (ko) 2018-03-21
EP3487259A1 (en) 2019-05-22
WO2018052233A1 (ko) 2018-03-22
US20190223153A1 (en) 2019-07-18
US11032794B2 (en) 2021-06-08
EP3487259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9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US122386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sims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0720234B (zh) 在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配置pdcp设备和sdap设备的方法和装置
US202202326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establishing pdc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00336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改进的通信的方法和设备
KR102684275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의 선택된 plm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68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74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double connection of rrc inactivation mode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2563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16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tial frequency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257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랭크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545131B (zh) 用于在下一代无线通信系统中在空闲模式下重选小区时更新要测量的小区列表的方法和装置
EP4102916A1 (en) Phr triggering method accommodating dormant portion of bandwidth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hr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1122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2200709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scontinuous reception val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213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pag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328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for multi-USIM U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306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6416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ging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85451B1 (ko) 이동통신에서 연결 모드의 비연속 수신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6875A (ko) 비활성 모드 및 대기 모드에서 포지셔닝을 위한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300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52244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ntra-band UL CA를 고려한 Uplink Tx direct current locatio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43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숏-타임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1515A (ko) 사설망에서 시스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