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045B1 - Fold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old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1045B1 KR102501045B1 KR1020150166164A KR20150166164A KR102501045B1 KR 102501045 B1 KR102501045 B1 KR 102501045B1 KR 1020150166164 A KR1020150166164 A KR 1020150166164A KR 20150166164 A KR20150166164 A KR 20150166164A KR 102501045 B1 KR102501045 B1 KR 102501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back plate
- folding area
- liquid metal
- foldable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OLED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 plate with improved durability.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ck plate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OLED panel is divided into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and is made of liquid metal in response to the folding area, and has strong rigidity in response to the non-folding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having a.
Through this, the fold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ny restrictions in folding and unfolding the foldable display de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ysical step difference or other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and non-folded areas from occurring due to different materials of the back plate, thereby increasing the physic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osphorus boundary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Through this, fi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from deteriora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 plate with improved durability.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society has entered the information age in earnest, the display field that processes and display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developed rapidly,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Be in the spotlight.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These flat-panel display devices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existing cathode ray tube (Cathode Ray Tube) : It is rapidly replacing the CRT).
한편,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uses a glass substrate to withstand high heat generated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 are limitations in imparting lightness, thinness, and flexibility.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형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Therefore, a flexibl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lastic instead of a conventional inflexible glass substrate to maintain display performance even when bent like paper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Flexible display devices use plastic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s instead of glass, so they can be unbreakable with high durability, bendable that can be bent without breaking, rollable that can be rolled up, and foldable folder. It can be divided into foldable, etc., and such a flexible display has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interior and design, and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대면적화를 구현하기 위해,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research into a fold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carried in a folded state and displays an image in an unfolded stat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realize a large area along with ultra-thin,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폴더블 표시장치는 모바일폰,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 mobile PC), 전자책, 전자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Foldable display device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TVs and monitors, as well a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ultra mobile PCs, electronic books, and electronic newspapers.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그리고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를 포함한다. This foldable display device largely consists of a display panel for realizing an image, a back plat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and a cover window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cover window) included.
한편, 폴더블 표시장치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해야 하므로, 표시패널을 비롯한 백플레이트와 커버윈도우 모두 매우 얇은 필름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내충격성이 매우 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must be foldable and unfoldable, all of the display panel, back plate, and cover window are made in the form of a very thin film, but such a foldabl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of very weak impact resistance.
따라서 최근에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는 강한 강성을 갖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foldable display devices, the back plate is divided into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and strong rigidity corresponding to the non-folding area. A configuration to be made of a hard material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구성 또한 접힘영역에 대해서는 내충격성이 보완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this configuration also has a problem in that impact resistance is not supplemented for the folding are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is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또한, 백플레이트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면서도 백플레이트의 물리적인 단차 또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표시패널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ile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ck plate, the physical step of the back plate or other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and non-folded areas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display panel.
이를 통해,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Through this, the third object is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from deteriora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cover window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plat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divided into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made of liquid metal is provided.
이때, 상기 액체금속은 외부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상기 액체금속은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liquid metal is made of an alloy of gallium (Ga)-in (In)-tin (Sn) whose modulus is changed by an external voltage, a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liquid metal The metal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connection wire.
그리고, 상기 액체금속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상기 액체금속은 온도변화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접힘영역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liquid metal, and the liquid metal is made of an alloy of sodium (Na)-potassium (K) whose modulus changes by temperature change, and the non-folding area includes stainless steel (SUS) made of metal that
또한, 상기 액체금속은 상기 금속의 일면 또는 전체를 감싼다. In addition, the liquid metal covers one side or the whole of the metal.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OLED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plat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LED panel is divided into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and is made of liquid metal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and the non-folding area is made of liquid metal. Correspondingly, by making it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US) having strong rigidity,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in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oldable display.
또한, 백플레이트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rability of the back plate itself is improv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breakage of the OLED panel from occurring due to bending stress of the back plate.
또한, 백플레이트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ysical step difference or other pr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olded and non-folded areas from occurring due to different materials of the back plate, thereby increasing the physical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hosphorus boundary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이를 통해 OLED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from deterior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액체금속과 OLED패널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1;
3A to 3B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liquid metal of the back plate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OLED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4A to 4C are schematic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aspects of a backplat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1 .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 120)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윈도우(cover window : 13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의 방향을 정의하면, 표시패널(110)의 표시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전제 하에 백플레이트(120)가 표시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표시패널(110)의 전방으로는 커버윈도우(130)가 위치한다. At this time, if the direction in the drawing is defin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여기서,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OLED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emissive device, it is possible to be lightweight and thin.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at low DC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because the internal components are solid, and has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t has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duction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In the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 이하 OLED패널이라 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에는 반도체층(104)이 형성되는데, 반도체층(104)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4a) 그리고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으로 구성된다. A
이러한 반도체층(104)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다. A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4)의 액티브영역(104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A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6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 first interlayer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이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두 전극(108a, 108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 드레인전극(108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112)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106b)이 형성되어 있다. And, a second interlayer having a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이들 전극(108a, 108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4)과 반도체층(104)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data line (not shown) intersecting with a gate line (not shown) to define the pixel region P is formed. Als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4)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을 예로서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서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re shown as an example of a co-planar type in which the
또한, 제 2 층간절연막(106b) 상부로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서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region substantially displaying an image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6b,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work function value is used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E, forming an anode. One
제 1 전극(1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08b)과 연결되며The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The
즉,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An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organic
이러한 유기발광층(113)은 적(R), 녹(G), 청(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 마다 적(R), 녹(G), 청(B)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113a, 113b, 113c)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The organic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 두껍게 증착된 이층 구조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115)을 향해 방출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구동된다. 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또는 제 2 전극(115)이 불투명 금속막으로 이루어져,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1)을 향해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이러한 OLED패널(110)은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2 전극(115) 또는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패널(110)은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02)이 형성되어, OLED패널(101)은 보호필름(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는데, 보호필름(102)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패널(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102a)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102a)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102a)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102b)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한편, 기판(101)은 유연한 성질을 갖기 위해 얇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얇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101)은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기판과 같은 캐리어기판에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캐리어기판과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분리함으로써, OLED패널(110)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OLED패널(110)은 커버윈도우(130)와 백플레이트(120)를 통해 일체로 모듈화되는데, 화상이 구현되는 OLED패널(110)의 전방으로는 OLED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130)가 제 1 광학접착층(140)을 통해 부착되며,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는 OLED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백플레이트(120)가 제 2 광학접착층(150)을 통해 부착된다. The
여기서,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140, 150)은 OCA(Optical Cleared Adhesive)로 형성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커버윈도우(1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OLED패널(110)을 보호하며, OLED패널(1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OLED패널(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The
이러한 커버윈도우(130)는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백플레이트(120)는 OLED패널(110)의 기판(101)이 너무 얇기 때문에, OLED패널(110)을 지지하고자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부착된다. Sinc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dividing the
즉, 백플레이트(12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시 곡률이 형성되도록 접히는 영역인 접힘영역과, 접힘영역의 양측으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시에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액체금속(210)이란 외부전압에 따라 모듈러스(modulus)가 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금속(210)은 전압 무 인가시에는 다수의 비드(bead) 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모듈러스를 가져 고 강성(stiffness)을 갖게 되며, 전압 인가시에는 표면의 전하 분산 형태를 변화시켜줌으로써 표면장력의 변화를 통한 흐름성을 가져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된다. Here, the modulus of the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되는 액체금속(210)은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게 되어, 낮은 강성을 갖게 된다. The
이러한 액체금속(210)은 수은(Hg), 나트륨(Na), 리튬(Ni), 납(Pb), 비스무트(Ni), 주석(Sn), 갈륨(Ga) 등을 포함하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또는 중금속합금(heavy metal alloy)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금속(21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갈륨(Ga)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50 ~ 95 wt%로 포함될 수 있고, 인(In)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5 ~ 30wt%로 포함될 수 있고, 주석(Sn)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0 ~ 20wt%로 포함될 수 있다. Gallium (G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95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lloy of gallium (Ga), phosphorus (In), and tin (Sn), and phosphorus (In) is gallium (Ga), phosphorus (In), tin (Sn) (S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30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lloy, and tin (S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 to 20 w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lloy of gallium (Ga), phosphorus (In), and tin (Sn).
갈륨(Ga), 인(In), 주석(Sn)이 각각 위의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액체금속(21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모듈러스(modulus)가 변하게 된다. When gallium (Ga), phosphorus (In), and tin (Sn) are included within the above content ranges, the modulus of the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이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되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손쉽게 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Therefore, in the
즉, 일반적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접고 펼치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 발생되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제한이 생기게 된다. That is, in the general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접힘시에는 유연한 성질을 갖도록 하며 펼침시에는 강한 모듈러스를 갖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고 펼치는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restrictions in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또한, 백플레이트(120)가 전체적으로 금속(=액체금속(210), 금속(220))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이를 통해서도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그리고,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게 됨으로써, 백플레이트(120)의 밴딩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누더라도, 백플레이트(120) 전체적으로 금속(=액체금속(210), 금속(220))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백플레이트(120)에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에 의해 OLED패널(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따라서, OLED패널(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Through this,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또한, 백플레이트(12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120)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rability of the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ysical step from occurring due to different materials of the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nal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한편,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은 OLED패널(11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15, 도 3a 참조)과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받아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데,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액체금속(210)과 인쇄회로기판(115, 도 3a 참조)의 연결모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액체금속과 OLED패널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3A to 3B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how liquid metal of a back plat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f an OLED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 커버윈도우(도 1의 130)와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도 1의 140, 150)에 대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the cover window (130 in FIG. 1) and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140 and 150 in FIG. 1) in the
도시한 바와 같이,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는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120)가 위치한다. As shown, the back surface of the
그리고 OLED패널(1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와 같은 연결부재(113)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5)이 연결되어, OLED패널(110)은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소자(117)들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 받게 된다. In addition, along one edge of the
이때,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은 인쇄회로기판(115)에 구비되는 구동회로소자(117)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게 되는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5)으로부터는 연결배선(119)이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5)과 연결되는 연결배선(119)은 백플레이트(12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B, the
따라서, 액체금속(210)으로 인쇄회로기판(115)과 연결된 연결배선(119)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면, 액체금속(210)은 표면장력의 변화를 통한 흐름성을 갖게 되어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된다. Therefor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그리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액체금속(210)은 다수의 비드(bead)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모듈러스를 갖게 된다. And, when voltage is not applied, the
한편, 백플레이트(120)의 액체금속(210)에 저항(미도시)을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115)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저항(미도시)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금속(210)은 저항(미도시)의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resis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aspects of a backplat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20)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접힘영역은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며, 비접힘영역은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금속(210)이 비접힘영역의 금속(22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금속(210)이 비접힘영역의 금속(220)을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the
여기서, 도 4b와 도 4c와 같이 비접힘영역에도 액체금속(210)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펼침시 백플레이트(12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OLED패널(도 3b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durability of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백플레이트(120)는 비접힘영역으로 금속(220)을 먼저 위치시킨 후 접힘영역으로 액체금속(210)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접힘영역으로 액체금속(210)을 주입하는 동시에 비접힘영역으로도 액체금속(210)이 주입되도록 하여 액체금속(210)이 금속(220)의 일면 또는 금속(210) 전체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Here,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에 있어서 OLED패널(도 3b의 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는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Through this,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in FIG. 3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stricted.
또한, 백플레이트(12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120)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도 3b의 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rability of the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도 3b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ysical step from occurring due to the different materials of the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도 3b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fi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quality of the OLED panel (110 in FIG. 3B) from deteriorating.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폴더블 표시장치
110 : 표시패널(OLED패널)
120 : 백플레이트(210 : 액체금속, 220 : 금속)
130 : 커버윈도우
140, 150 :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100: foldable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OLED panel)
120: back plate (210: liquid metal, 220: metal)
130: cover window
140, 150: first and second optical adhesive layers
Claims (8)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금속은, 상기 접힘영역에서 상기 비접힘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금속의 배면을 감싸는 폴더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images are implemented;
A back plat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defined by being divided into a folding area made of liquid metal and a non-folding area made of metal
including,
The liquid metal extends from the folding area to the non-folding area and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metal.
상기 액체금속은 외부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metal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made of an alloy of gallium (Ga)-phosphorus (In)-tin (Sn) whose modulus is changed by an external voltage.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상기 액체금속은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the liquid metal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connection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extends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plate. foldable display device.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금속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상기 액체금속은 온도변화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images are implemented;
A back plate locat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defined by being divided into a folding area and a non-folding area made of liquid metal
including,
A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liquid metal, and the liquid metal is made of a sodium (Na)-potassium (K) alloy whose modulus changes with a temperature change.
상기 비접힘영역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abl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non-folding area is made of metal including stainless steel (SUS).
상기 액체금속은, 상기 금속의 전면 및 측면을 더 감싸는 폴더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metal further surrounds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etal foldable display.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으로 커버윈도우가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old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cover window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상기 액체금속은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폴더블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A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the liquid metal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connection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extends to a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164A KR102501045B1 (en) | 2015-11-26 | 2015-11-26 | Foldabl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164A KR102501045B1 (en) | 2015-11-26 | 2015-11-26 | Foldabl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313A KR20170061313A (en) | 2017-06-05 |
KR102501045B1 true KR102501045B1 (en) | 2023-02-16 |
Family
ID=5922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6164A Active KR102501045B1 (en) | 2015-11-26 | 2015-11-26 | Foldabl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10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5590B1 (en) * | 2017-09-26 | 2021-03-1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Thin Film Growth Method and Method to change crystalline state of Thin Film |
KR102524340B1 (en) * | 2018-02-22 | 2023-04-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
KR102554048B1 (en) | 2018-07-20 | 2023-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KR102530672B1 (en) | 2018-07-20 | 2023-05-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EP3608964B1 (en) | 2018-08-08 | 2022-05-11 | LG Display Co., Ltd.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KR102234101B1 (en) * | 2018-09-21 | 2021-04-0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Growth structure, growth method and heat treatment method of thin film |
KR102664207B1 (en) | 2018-10-08 | 2024-05-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tretch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KR102568821B1 (en) | 2019-01-22 | 2023-08-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
CN109887971B (en) * | 2019-02-26 | 2021-03-16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Folding screen bending area wiring structur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08249A (en) | 2019-07-12 | 2021-01-21 | 희성전자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
CN110400520B (en) * | 2019-07-25 | 2022-02-0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Support piec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lding display screen |
CN110853525B (en) * | 2019-12-10 | 2022-03-0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Folding screen components and electronic equipment |
KR20210079461A (en) | 2019-12-19 | 2021-06-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20230123019A (en) | 2022-02-14 | 2023-08-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
WO2024039130A1 (en) * | 2022-08-17 | 2024-0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isplay structure including metal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CN117409675B (en) * | 2023-12-12 | 2024-04-19 | 荣耀终端有限公司 | Foldabl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37955A (en) * | 2014-12-26 | 2015-04-22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Bending unit, flexible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9246B1 (en) * | 2013-07-19 | 2020-03-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50104280A (en) * | 2014-03-05 | 2015-09-15 | 주식회사 트레이스 | Methods and Apparatus for Edge Banded Touch Mobile Display Devices |
-
2015
- 2015-11-26 KR KR1020150166164A patent/KR1025010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37955A (en) * | 2014-12-26 | 2015-04-22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Bending unit, flexible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313A (en) | 2017-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1045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454082B1 (en) | Back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88088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1815960B2 (en)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91396B1 (en) | Polarizing pl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93577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054127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EP3863052A1 (en) | Display device | |
KR102409701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9245936B2 (en) | Multi-display apparatus | |
KR102529108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53373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211654824U (en) | Transparent OLED substrate, transparent display panel, array substrate,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 |
JP2018010287A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KR20170072973A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39989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9843017B2 (en) |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 |
KR20240122385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
KR102461528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484586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CN112786652A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12193170B2 (en) | Display device | |
US20240153460A1 (en) | Display device | |
KR102621128B1 (en) | Optical cleared adhesiv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4181650A1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