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157B1 -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0157B1 KR102500157B1 KR1020200084518A KR20200084518A KR102500157B1 KR 102500157 B1 KR102500157 B1 KR 102500157B1 KR 1020200084518 A KR1020200084518 A KR 1020200084518A KR 20200084518 A KR20200084518 A KR 20200084518A KR 102500157 B1 KR102500157 B1 KR 102500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aural
- distance
- distance information
- audio signal
- pass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3—Application of parametric coding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에 따른 차단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와 차단 주파수의 관계들 중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3)
-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거리 정보에 따라 저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한 효과로 렌더링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는,
바이노럴 룸 임펄스 응답(Binaural Room Impulse Response)을 이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바이노럴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고려한 주파수 응답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노럴 필터로부터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바이노럴 필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바이노럴 필터와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컨볼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더링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거리 정보에 따라 저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한 효과로 렌더링되고,
상기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는,
바이노럴 룸 임펄스 응답(Binaural Room Impulse Response)을 이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바이노럴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를 고려한 주파수 응답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와 상기 바이노럴 필터를 컨볼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 삭제
- 삭제
-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거리 정보에 따라 저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한 효과로 렌더링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는,
바이노럴 룸 임펄스 응답(Binaural Room Impulse Response)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바이노럴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와 상기 바이노럴 필터를 컨볼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된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를 고려한 주파수 응답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바이노럴 렌더링된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출력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 삭제
- 삭제
-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와 청취자 간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거리 정보에 따라 저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한 효과로 렌더링되고,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바이노럴 룸 임펄스 응답(Binaural Room Impulse Response) 및 상기 거리 정보를 고려한 주파수 응답 제어를 이용하여,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바이노럴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적용된 바이노럴 필터와 상기 객체 기반 오디오 신호를 컨볼루션(Convolution)함으로써 바이노럴 렌더링(Binaural rendering)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더링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차단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리 정보에 따른 상기 객체의 거리가 클수록 낮게 결정되는, 렌더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518A KR102500157B1 (ko) | 2020-07-09 | 2020-07-09 |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US17/199,757 US11570571B2 (en) | 2020-07-09 | 2021-03-12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inaural rendering of audio sig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518A KR102500157B1 (ko) | 2020-07-09 | 2020-07-09 |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744A KR20220006744A (ko) | 2022-01-18 |
KR102500157B1 true KR102500157B1 (ko) | 2023-02-15 |
Family
ID=7917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518A Active KR102500157B1 (ko) | 2020-07-09 | 2020-07-09 |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570571B2 (ko) |
KR (1) | KR1025001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25370B2 (en) * | 2022-01-13 | 2025-02-1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pparatus for immersive spatial audio modeling and rendering |
EP4498704A1 (en) * | 2023-07-27 | 2025-01-29 | Koninklijke Philips N.V. | Generating an audio data signa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76360B2 (ja) * | 1996-08-29 | 2007-09-19 | 富士通株式会社 | 立体音響処理装置 |
KR100456090B1 (ko) * | 1999-04-26 | 2004-11-06 | 지엠피 비젼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 스텐트 장치와 녹내장 치료방법 |
US20030223602A1 (en) * | 2002-06-04 | 2003-12-04 | Elbit Systems Ltd. | Method and system for audio imaging |
EP2840811A1 (en) | 2013-07-22 | 2015-02-25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ignal processing unit, binaural renderer, audio encoder and audio decoder |
US9319819B2 (en) | 2013-07-25 | 2016-04-19 | Etri |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
CN108449704B (zh) | 2013-10-22 | 2021-01-01 | 韩国电子通信研究院 | 生成用于音频信号的滤波器的方法及其参数化装置 |
US9602947B2 (en) * | 2015-01-30 | 2017-03-21 | Gaudi Audio Lab, Inc. |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o perform binaural rendering |
JP7039494B2 (ja) * | 2016-06-17 | 2022-03-22 | ディーティーエ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近/遠距離レンダリングを用いた距離パニング |
CA3043444A1 (en) * | 2016-10-19 | 2018-04-26 | Audible Reality Inc. |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 audio image |
-
2020
- 2020-07-09 KR KR1020200084518A patent/KR102500157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3-12 US US17/199,757 patent/US11570571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744A (ko) | 2022-01-18 |
US11570571B2 (en) | 2023-01-31 |
US20220014869A1 (en) | 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78781B2 (ja) | エンコードされたオーディオ拡張メタデータベース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制御 | |
CN105830158B (zh) | 用于数字信号处理的系统和方法 | |
US9712939B2 (en) | Panning of audio objects to arbitrary speaker layouts | |
CN104471960B (zh) | 用于向后兼容音频译码的系统、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媒体 | |
US9402144B2 (en) | Apparatus for changing an audio scene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rectional function | |
US2018025539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
CN104837107B (zh) | 音频通道空间转换 | |
KR20180075610A (ko) | 사운드 스테이지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20150382126A1 (en) | Binaural decoder to output spatial stereo sound and a decoding method thereof | |
KR102226071B1 (ko) |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JP6467561B1 (ja) | 適応的な量子化 | |
AU201434017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
KR102500157B1 (ko) |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RU2725602C9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наименьшего целого числа битов, требуемого дл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недифференцируемых значений коэффициентов усиления, для сжати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кадра данных hoa | |
CN107017000B (zh) | 用于编码和解码音频信号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 |
WO2014209902A1 (en) | Improved rendering of audio objects using discontinuous rendering-matrix updates | |
US11477601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bass management | |
WO2018017394A1 (en) | Audio object clustering based on renderer-aware perceptual difference | |
EP3488623A1 (en) | Audio object clustering based on renderer-aware perceptual difference | |
US1177837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itch-shifting audio signal with low complexity | |
RU2771954C2 (ru) |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изкими звуковыми частотами | |
KR20230162523A (ko) | 객체 오디오 렌더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102721794B1 (ko) | 신호 처리 프로세서 및 신호 처리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 | |
WO20250169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ing to beneficially modify the coherent portions of audio signals | |
KR20230139766A (ko) | 객체 오디오 렌더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