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9642B1 - 절삭용 톱 구조체 - Google Patents

절삭용 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42B1
KR102499642B1 KR1020220140718A KR20220140718A KR102499642B1 KR 102499642 B1 KR102499642 B1 KR 102499642B1 KR 1020220140718 A KR1020220140718 A KR 1020220140718A KR 20220140718 A KR20220140718 A KR 20220140718A KR 102499642 B1 KR102499642 B1 KR 10249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cutting tip
saw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일
Original Assignee
조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일 filed Critical 조동일
Priority to KR102022014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42B1/ko
Priority to CN202311383451.3A priority patent/CN117943619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5Details of saw blad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3Circular saw blades with inserted segments having more than one 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용 톱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디스크 형상의 톱 바디(130);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의 둘레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절삭날(134); 상기 절삭날(134)에 접합된 절삭팁(140);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날(134)에는 경사면(134SF)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상기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용 톱 구조체{Cutting saw structure}
본 발명은 절삭용 톱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부인 톱 바디의 절삭날에 경사면을 주어서 절삭날에 결합되는 절삭팁도 톱 바디의 지름 방향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절삭용 톱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나 금속과 같은 피절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용 톱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원주면의 둘레에 절삭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연질의 톱 바디(회전톱 본체)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다이아몬드 분말을 포함하는 절삭날 또는 초경 금속 절삭팁을 용접 및 부착하여 회전톱이 제조된다.
이때, 절삭팁이 부착된 회전톱은 원형 판재로 되는 회전톱 본체의 둘레에 다수의 방열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방열홈 사이에 배치된 절삭날에 절삭팁을 초음파 용접과 같은 용접 방식으로 접합하여 디스크형 회전톱을 형성하게 되며,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절삭팁의 모서리부가 절삭날이 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톱 바디의 절삭날이 지름 방향과 나란한 방향(평행인 방향)으로 제작된 절삭용 톱이기 때문에, 절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절삭날은 절삭 작업시 피절삭물의 절삭 대상물에 직접 강한 힘으로 접촉(절삭팁이 없는 경우 피절삭물에 직접 강한 힘을 접촉)되는 내측 날면과, 이러한 내측 날면과 반대되는 면인 외측 날면과, 상기 내측 날면과 외측 날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둘레부 날면으로 구성되고, 내측 날면에 절삭팁이 접합되는데, 기존에는 내측 날면이 톱 바디의 지름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작되고 절삭팁도 톱 바디의 지름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제작된 절삭용 톱이기 때문에, 절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28434호(1996년09월17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8585호(2021년10월27일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95527호(2022년06월09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758호(2004년09월13일 등록)
톱 바디의 절삭날 지름 방향과 나란한 방향(평행인 방향)으로 제작된 절삭용 톱의 경우 절단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여 주요부인 톱 바디의 절삭날에 경사면을 주어서 절삭날에 결합되는 절삭팁도 톱 바디의 지름 방향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절삭용 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 형상의 톱 바디(130);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의 둘레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절삭날(134); 상기 절삭날(134)에 접합된 절삭팁(140);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날(134)에는 경사면(134SF)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상기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톱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절삭날(134)은 내측 날면과, 상기 내측 날면과 반대되는 면인 외측 날면(134BF)과, 상기 내측 날면과 외측 날면(134BF)에 양단부가 연결된 둘레부 날면(134PF)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날면이 상기 경사면(134SF)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134SF)이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상기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도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상기 절삭날(134)이 복수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절삭날(134)들 사이에는 방열홈(133)이 구비되어,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134)과 방열홈(133)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톱 바디(130)에는 상기 방열홈(133)의 일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일정 거리 연장됨과 동시에 양면으로 관통된 슬릿(133SL)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133SL)은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예각 범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팁(140)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양면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상광 하협의 테이퍼형 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팁(140)의 양면 일부에는 절삭팁(140)이 경사면(134SF)에 부착되는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된 측방 경사부(141)가 구비되어, 절삭팁(140)의 선단부가 끝이 뾰족한 절단 첨두부(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134)의 양면에는 복수개의 홈(134GR)이 구비되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시에 발생하는 열을 복수개의 홈(134GR)을 통해서 배출하여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134)의 둘레부 날면(134PF)에 복수개의 보조 방열홈(134SG)이 더 구비되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시에 발생하는 열을 상기 보조 방열홈(134SG)을 통해서 배출하여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134)에는 양면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경사면(134SF)으로 관통되며 상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경사면(134SF)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의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134TCH)이 구비되고, 상기 절삭팁(140)의 기단부에는 상기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 결합 팁편(143)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퍼형 결합 팁편(143)이 상기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134TCH)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기 절삭팁(140)이 상기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에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134)에는 양면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외측 날면(134BF)으로 관통되며 양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외측 날면(134BF)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의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이 구비되고, 상기 절삭팁(140)의 외측 날면(134BF)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보강 팁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팁(152)의 선단부에는 상기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 쪽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이 상기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기 보강팁(152)이 상기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에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절삭날은 절삭팁이 접합되는 내측 날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절삭팁이 접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절삭팁도 톱 바디의 지름 방향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시 절단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을 시행하는 순간에 경사지게 배치된 절삭팁에 절삭 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시 절단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에 의해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한쪽 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팁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절삭날과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절삭날과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를 구성하는 톱 바디의 일부와 절삭팁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의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의 또 다른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에 절삭팁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에 절삭팁과 보강팁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에 의해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한쪽 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팁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절삭날과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절삭날과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를 구성하는 톱 바디의 일부와 절삭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는 디스크 형상의 톱 바디(130);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의 둘레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절삭날(134); 상기 절삭날(134)에 접합된 절삭팁(140);을 포함한다.
상기 톱 바디(130)는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며, 톱 바디(13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날(134)이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은 절삭날(134)에 경사면(134SF)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절삭팁(140)이 경사지게 배치된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삭날(134)은 내측 날면과, 상기 내측 날면과 반대되는 면인 외측 날면(134BF)과, 상기 내측 날면과 외측 날면(134BF)에 양단부가 연결된 둘레부 날면(134PF)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날면이 상기 경사면(134SF)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134SF)이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일정 각도(A)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도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일정 각도(A)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경사면(134SF)은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서 예각 범위(A)로 벌어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톱 바디(130)의 원주면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면(134SF)이 예각 범위(A)에서 벌어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절삭날(134)이 복수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절삭날(134)들 사이에는 방열홈(133)이 구비되어,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134)과 방열홈(133)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톱 바디(130)에는 방열홈(133)의 일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일정 거리 연장됨과 동시에 양면으로 관통된 슬릿(133SL)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133SL)은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예각 범위(A)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슬릿(133SL)은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가 고속 회전하여 피절단물(3)을 절단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방열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슬릿(133SL)은 톱 바디(132)의 중앙을 표시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톱 바디(130)가 열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열에 의한 톱 바디(130)의 열화를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 바디(130)의 절삭날(134)이 지름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아닌 경사면(134SF)을 구비한 절삭용 톱이기 때문에, 절단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절삭날(134)은 절삭 작업시 피절삭물의 절삭 대상물에 직접 강한 힘으로 접촉(절삭팁(140)이 없는 경우 피절삭물에 직접 강한 힘을 접촉)되는 내측 날면과, 이러한 내측 날면과 반대되는 면인 외측 날면(134BF)과, 상기 내측 날면과 외측 날면(134BF)에 양단부가 연결된 둘레부 날면(134PF)으로 구성되고, 내측 날면에 절삭팁(140)이 접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내측 날면이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인 경사면(134SF)으로 제작되고, 절삭팁(140)도 경사면(134SF)에 접합됨으로써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에 대하여 경사(A)지도록 배치된 절삭용 톱이기 때문에, 절단 효율이 기존에 비하여 많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절삭팁(140)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양면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상광 하협의 테이퍼형 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를 고속 회전시켜서 피절단물(3)을 절단하는 작업을 시행할 때에 피절단물(3)의 절단면과 절삭팁(140)의 양면 사이의 마찰력을 최대한 줄이게 되면서 마찰력에 의한 절삭팁(140)의 양면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시켜서 절삭팁(140)의 수명을 더 연장시키면서도 절삭팁(140)에 의한 절삭 효율을 더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절삭팁(140)의 양면 일부에는 절삭팁(140)이 경사면(134SF)에 부착되는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된 측방 경사부(141)가 구비되어, 절삭팁(140)의 선단부가 끝이 뾰족한 절단 첨두부(1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절삭팁(140)의 선단부에 형성된 뾰족한 절단 첨두부(142)로 인하여 피절단물(3)의 절단시 파고드는 기능이 더 원활하게 되면서 피절삭물의 절단 작업시 과부하가 더 줄어들고 절삭물과 절삭팁(140)의 양면 사이의 마찰되는 힘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피절삭물과 절삭팁(140)의 양면 사이의 마찰되는 힘에 의해 절삭 공구 내지 절삭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피절삭물에 수직 벌어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양질의 절삭물을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삭날(134)의 양면에는 복수개의 홈(134GR)이 구비되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시에 발생하는 열을 복수개의 홈(134GR)을 통해서 배출하여 방열이 이루어짐으로써 피절삭물이 과열로 인하여 열화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피절삭물을 절단하여 생긴 절삭물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절삭날(134)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134GR)과 절삭날(134)의 다른 쪽 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134GR)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절삭날(134)의 양쪽 측면의 복수개의 홈(134GR)에 의해 방열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절삭날(134)의 강도는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절삭날(134)의 둘레부 날면(134PF)에 복수개의 보조 방열홈(134SG)이 더 구비되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시에 발생하는 열을 상기 보조 방열홈(134SG)을 통해서 배출하여 방열이 이루어짐으로써 피절삭물의 절단 작업시 발생하는 열의 피로 누적열로 인하여 절삭날(134)이 열화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절삭날(134)의 수명을 더 연장하는 효과가 있고, 절삭날(134)의 수명 연장이 더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톱 바디(130)의 수명도 더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수명이 더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팁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의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의 또 다른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에 절삭팁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절삭용 톱 구조체의 주요부인 절삭날에 절삭팁과 보강팁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절삭날(134)에는 양면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경사면(134SF)으로 관통되며 상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경사면(134SF)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의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134TCH)이 구비되고, 상기 절삭팁(140)의 기단부에는 상기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 방향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 결합 팁편(143)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퍼형 결합 팁편(143)이 상기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134TCH)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기 절삭팁(140)이 상기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삭팁(140)의 테이퍼형 결합 팁편(143)을 상기 절삭날(134)의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134TCH)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절삭팁(140)을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에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팁(140)을 절삭날(134)의 경사면(134SF)에 접합시키는 공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절삭팁(140)이 절삭팁(140)의 경사면(134SF)에 용접되도록 하기 이전에 지그와 같은 고정기구가 별도로 필요치 않아서 용접 보조 기구를 줄일 수 있어서 절삭팁(140)의 용접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삭날(134)에는 양면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외측 날면(134BF)으로 관통되며 양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외측 날면(134BF)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의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이 구비되고, 상기 절삭팁(140)의 외측 날면(134BF)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보강 팁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팁(152)의 선단부에는 상기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 쪽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이 구비되어, 상기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이 상기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기 보강팁(152)이 상기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팁(152)의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을 상기 절삭날(134)의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보강팁(152)을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에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팁(152)을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에 접합시키는 공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보강팁(152)은 절삭날(134)에 의한 피가공물의 절삭 작업시 절삭날(134)을 뒤쪽에서 받쳐서 보강함으로써, 절삭팁(140)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 중에 파단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톱 바디(130)에 구비된 절삭날(134)의 강도를 보강팁(152)이 더 높여주게 되므로, 보강팁(152)을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153)과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134TOH)에 의해 보다 쉽고 빠르게 절삭날(134)의 외측 날면(134BF)에 접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절삭날(134)의 강도를 보강팁(152)이 확실하게 높여주게 되므로, 절삭날(134)이 피절삭물의 절삭 작업시에 절삭 부하로 인하여 파단되는 것과 같은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3. 피절단물
132. 톱 바디 DL. 지름 방향선
133. 방열홈 133SL. 슬릿
134. 절삭날 134SF. 경사면
134BF. 외측 날면 134PF. 둘레부 날면
134GR. 홈 134SG. 보조 방열홈
134TCH. 테이퍼형 내측 결합 지지홀
134TOH. 테이퍼형 외측 결합 지지홀
140. 절삭팁 141. 측방 경사부
142. 절단 첨두부 143. 테이퍼형 결합 팁편
152. 보강팁 153. 테이퍼형 보조 결합 팁편

Claims (3)

  1. 디스크 형상의 톱 바디(130);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의 둘레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절삭날(134);
    상기 절삭날(134)에 접합된 절삭팁(140);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날(134)에는 경사면(134SF)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상기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절삭날(134)은 내측 날면과, 상기 내측 날면과 반대되는 면인 외측 날면(134BF)과, 상기 내측 날면과 외측 날면(134BF)에 양단부가 연결된 둘레부 날면(134PF)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날면이 상기 경사면(134SF)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134SF)이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예각 범위(A)로 벌어지도록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134SF)에 상기 절삭팁(140)이 접합되어, 상기 절삭팁(140)도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상기 절삭날(134)이 복수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절삭날(134)들 사이에는 방열홈(133)이 구비되어, 상기 톱 바디(130)의 원주면에 복수개의 절삭날(134)과 방열홈(133)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톱 바디(130)에는 상기 방열홈(133)의 일부에서 중심부 쪽으로 일정 거리 연장됨과 동시에 양면으로 관통된 슬릿(133SL)이 구비되고, 상기 슬릿(133SL)은 상기 톱 바디(130)의 지름 방향선(DL)에 대하여 예각 범위(A)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절삭팁(140)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양면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삭팁(140)이 상광 하협의 테이퍼형 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팁(140)의 양면 일부에는 절삭팁(140)이 경사면(134SF)에 부착되는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된 측방 경사부(141)가 구비되어, 절삭팁(140)의 선단부가 끝이 뾰족한 절단 첨두부(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용 톱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20140718A 2022-10-27 2022-10-27 절삭용 톱 구조체 Active KR10249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18A KR102499642B1 (ko) 2022-10-27 2022-10-27 절삭용 톱 구조체
CN202311383451.3A CN117943619A (zh) 2022-10-27 2023-10-24 切削锯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18A KR102499642B1 (ko) 2022-10-27 2022-10-27 절삭용 톱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42B1 true KR102499642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718A Active KR102499642B1 (ko) 2022-10-27 2022-10-27 절삭용 톱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642B1 (ko)
CN (1) CN11794361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434U (ko) 1995-02-17 1996-09-17 한운식 금속 절삭용 둥근톱의 절삭날
KR200263263Y1 (ko) * 2001-06-07 2002-02-04 양창호 목재절단용 둥근톱
KR200362758Y1 (ko) 2004-06-10 2004-09-22 권영팔 금속절삭용 원형톱
JP2010137323A (ja) * 2008-12-11 2010-06-24 Kanefusa Corp 丸鋸刃
JP2011020252A (ja) * 2009-07-17 2011-02-03 Trigger:Kk チップソー
KR20210128585A (ko) 2020-04-17 2021-10-27 이선웅 원형톱 절삭팁
KR200495527Y1 (ko) 2022-02-04 2022-06-14 최태성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434U (ko) 1995-02-17 1996-09-17 한운식 금속 절삭용 둥근톱의 절삭날
KR200263263Y1 (ko) * 2001-06-07 2002-02-04 양창호 목재절단용 둥근톱
KR200362758Y1 (ko) 2004-06-10 2004-09-22 권영팔 금속절삭용 원형톱
JP2010137323A (ja) * 2008-12-11 2010-06-24 Kanefusa Corp 丸鋸刃
JP2011020252A (ja) * 2009-07-17 2011-02-03 Trigger:Kk チップソー
KR20210128585A (ko) 2020-04-17 2021-10-27 이선웅 원형톱 절삭팁
KR200495527Y1 (ko) 2022-02-04 2022-06-14 최태성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43619A (zh)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4231A1 (en) Saw blade
JPH04294915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ドリル工具
JP6339764B2 (ja) 丸鋸
US3997011A (en) Button drill bit structure
JPH0683927B2 (ja) 切削工具
US11813683B2 (en) Saw blade with set cutting teeth
KR102499642B1 (ko) 절삭용 톱 구조체
JP2015123574A (ja) カッター
WO2022025015A1 (ja) ドリル
JP5950419B2 (ja) 複合材料用チップソー
JP2007245289A (ja) カッター
KR200362758Y1 (ko) 금속절삭용 원형톱
JP4842425B2 (ja) 鋸ブレード
KR101419112B1 (ko) 코어 비트용 절삭팁
KR20170001126A (ko) 다이아몬드 공구
JPS6225292Y2 (ko)
KR200287040Y1 (ko) 톱날용 절삭 팁
JP2001030107A (ja) 軸状回転切削工具
KR100625210B1 (ko) 다이아몬드 융착 림 블레이드
JPH10146771A (ja) ダイヤモンドビット
CN214640691U (zh) 锯片
KR102045668B1 (ko) 다이아몬드 합금 팁을 갖는 절삭 휠
KR100643217B1 (ko) 물결형 가공팁 및 이를 구비한 가공휠
JP4666282B2 (ja) ドリル
JP2025067045A (ja) ドリルビットの先端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ドリル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