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9515B1 -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515B1
KR102499515B1 KR1020200146445A KR20200146445A KR102499515B1 KR 102499515 B1 KR102499515 B1 KR 102499515B1 KR 1020200146445 A KR1020200146445 A KR 1020200146445A KR 20200146445 A KR20200146445 A KR 20200146445A KR 102499515 B1 KR102499515 B1 KR 10249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pipe
opening
concentrate
fluid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634A (ko
Inventor
이용민
Original Assignee
이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민 filed Critical 이용민
Priority to KR102020014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5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농축액 공급 유닛은 제1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체적이 감소되면서 수납된 농축액이 토출되는 제2 개구를 갖는 블래더;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밀봉 마개;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블래더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는 농축액 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CONCENTRATED SOLUTION SUPPLY UNIT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원수관으로부터 제공된 원수, 예를 들어, 수돗물에 포함된 불순물, 미립자, 벌레, 이물질 등을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원수를 냉각하여 냉수 또는 필터링된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 후 제공한다.
최근에는 정수기로부터 생성된 온수 및 냉수에 기능성 원액, 예를 들어, 커피 원액 등을 제공 및 혼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308호,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공개일자 : 2020년 9월 14일)에는 기능액을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물과 혼합하여 기능수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액에 물을 혼합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기능액의 보관 및 교체가 어렵고, 기능수가 배관 일부에 잔류되어 청소가 어렵고 잔류된 기능수에 의하여 세균 등이 쉽게 번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308호,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공개일자 : 2020년 9월 14일)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농축액과 같은 기능액을 냉수 또는 온수에 제공할 수 있고, 기능액의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하며, 기능액이 혼합된 기능수를 쉽고 빠르게 배관으로부터 제거하여 청소가 쉬우며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농축액 공급 유닛은 제1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체적이 감소되면서 수납된 농축액이 토출되는 제2 개구를 갖는 블래더;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밀봉 마개;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블래더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는 농축액 토출부를 포함한다.
농축액 공급 유닛의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제1 배관에 결합된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농축액 공급 유닛의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단부에 소정 압력을 갖는 원수가 제공되는 원수관이 연결되는 제2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농축액 공급 유닛의 상기 농축액 토출부는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며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된 토출 배관 및 상기 토출 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롯, 정수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원수관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정화 후 냉각된 냉수를 냉수 배관에 결합된 제1 개폐 밸브를 통해 배출 및 상기 원수를 정화 후 가열된 온수를 온수 배관에 결합된 제2 개폐 밸브를 통해 배출하는 정수 유닛; 제1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체적이 감소되면서 수납된 농축액이 토출되는 제2 개구를 갖는 블래더,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밀봉 마개,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블래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어 농축액을 토출하는 농축액 토출부를 포함하는 농축액 공급 유닛; 상기 유체 공급부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체를 제공하는 유체 공급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개폐 밸브들 및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정수기의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은 상기 유체 공급부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래더에 압력을 인가하는 에어 컴프레셔를 포함한다.
정수기의 상기 농축액 토출부는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일측 단부가 결합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상기 냉수 배관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배관, 상기 온수 배관에 결합되는 제2 분기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배관들에는 각각 개폐 밸브가 결합된다.
정수기의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은 상기 유체 공급부로 상기 원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원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블래더에 압력을 인가하는 원수 배관 및 상기 원수 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다.
정수기의 상기 농축액 토출부에는 농축액 개폐 밸브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는 단순한 구조로 농축액과 같은 기능액을 냉수 또는 온수에 제공할 수 있고, 기능액의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하며, 기능액이 혼합된 기능수를 쉽고 빠르게 배관으로부터 제거하여 청소가 쉬우며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농축액 공급 유닛에 결합된 유체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에 결합된 유체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갖는 정수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농축액 공급 유닛(100)은 정수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농축액 공급 유닛(100)은 하우징(110), 블래더(bladder,120), 밀봉 마개(130), 유체 공급부(140) 및 농축액 토출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되며, 하우징(110)은 경질 소재로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1개의 제1 개구(112)를 갖는 길쭉한 병(bottl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110)은 병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래더(12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며, 블래더(120)는 외부에서 인가된 압력에 의하여 형상이 하우징(110) 대비 쉽게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블래더(120)는 외부 압력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2겹으로 형성되며, 2겹으로 형성된 블래더(120)들은 상호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다.
블래더(120)는 내부에 농축액 등을 일정량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며 블래더(120)에는 1개의 제2 개구(122)가 형성된다. 이 제2 개구(122)를 통해서 내부에 수납된 농축액은 외부로 토출된다.
밀봉 마개(13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개구(112)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를 밀봉한다.
밀봉 마개(130) 중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 단부에는 정수기 등과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결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140)는 밀봉 마개(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유체 공급부(140)는 하우징(110)의 외부 및 하우징(110)의 내부를 상호 연결한다.
도 2는 농축액 공급 유닛에 결합된 유체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공급부(140)는, 제1 배관(142), 에어 컴프레셔(144) 및 개폐 밸브(146)를 포함한다.
제1 배관(142)은 유체가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제1 배관(142)은 밀봉 마개(130)의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을 관통하며, 제1 배관(142)은 밀봉 마개(13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에어 컴프레셔(144)는 제1 배관(142)에 연결되며, 에어 컴프레셔(144)는 압축 공기를 제1 배관(142)을 통해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제공한다.
제1 배관(142)을 통해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압축 공기가 제공될 경우, 블래더(120)에 압력이 안가되면서 블래더(120)에 수납된 농축액이 제2 개구(122)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제1 배관(142)에는 에어 컴프레셔(144)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밸브(146)가 배치될 수 있다. 개폐 밸브(146)는 압축 공기가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블래더(120)로부터 농축액이 토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에 결합된 유체 공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유체 공급부(140)는 별도의 에어 컴프레셔(144)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를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블래더(120)로부터 농축액을 토출시키는 반면, 도 3에 도시된 유체 공급부(140)는 에어 컴프레셔(144), 사용자의 힘 또는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블래더(120)로부터 농축액을 토출시키는 실시예가 설명되고 있다.
에어 컴프레셔(144), 사용자의 힘 또는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블래더(120)로부터 농축액을 원하는 시점에서 토출하기 위해서 유체 공급부(140)는 제2 배관(147) 및 개폐 밸브(149)를 포함한다.
제2 배관(147)은 중공을 갖는 관(pipe)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배관(147)은 밀봉 마개(130)를 관통한다.
제2 배관(147)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제2 배관(147)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2 배관(147)에는 소정 압력을 갖는 원수가 제공되는 원수관(148)이 연결되며, 제2 배관(147)에는 원수를 제공 또는 차단하는 개폐 밸브(149)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개폐 밸브(149)가 개방됨에 따라 원수관(148)으로 제공된 원수가 제2 배관(147)을 통해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제공됨으로써 블래더(120)는 원수에 의하여 가압되고 이로 인해 블래더(120)에 수납된 농축액은 블래더(120)의 제2 개구(122)를 통해 토출된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블래더(120)에 수납된 농축액을 에어 컴프레셔(144)로부터 생성된 압축 공기 또는 원수관(148)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통해 토출하는 것이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블래더(120) 및 하우징(1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을 일부 채워 넣고 에어 컴프레셔(144)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상기 공간에 제공함으로써 블래더(120)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어 블래더(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농축액 토출부(150)는 토출 배관(152) 및 개폐 밸브(154)를 포함한다.
토출 배관(152)은 밀봉 마개(130)를 관통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블래더(120)의 제2 개구(122)에 결합되며, 블래더(120)에 수납되는 농축액은 토출 배관(15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개폐 밸브(154)는 토출 배관(152)으로 토출되는 농축액의 유량을 제어하며, 개폐 밸브(154)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폐 및 유량이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152)은 정수기에서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 배관 또는 정수기에서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 배관에 결합되어 희석액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토출 배관(152)은 정수기에서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 배관 또는 온수 배관과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용기에 농축액을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갖는 정수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정수기(700)의 농축액 공급 유닛(100)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도시 및 설명된 농축액 공급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농축액 공급 유닛을 갖는 정수기(700)는 케이스(200), 정수 유닛(300), 농축액 공급 유닛(100), 유체 공급 유닛(400) 및 제어 유닛(50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정수 유닛(300) 및 제어 유닛(500) 등을 수납하는 공간 및 정수 유닛(300) 등이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수 유닛(300)은 원수관(1)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정화 및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 및 원수관(1)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정화 및 냉각하여 온수를 생성 및 토출한다.
정수 유닛(300)은 원수관(1)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310)를 포함한다.
필터(310)에서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불순물, 유충 등이 제거된 정수가 배출되며, 정수는 집수부(320)로 제공된다. 집수부(320)에는 필터(310)를 통과한 일정양의 정수가 수납된다.
집수부(320)에 수납된 정수들은 냉수 생성부(335)를 포함하는 냉수 저장부(330)로 제공되는데, 냉수 저장부(330)에서는 냉수 생성부(335)에 의하여 정수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켜 형성된 냉수가 저장된다.
이와 함께 집수부(320)에 수납된 정수들은 온수 생성부(345)를 포함하는 온수 저장부(340)로 제공되는데, 온수 저장부(340)에서는 온수 생성부(345)에서 생성된 정수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형성된 온수가 저장된다.
냉수 저장부(330)에는 냉수 배관(337)이 연결되며, 냉수 배관(337)으로부터는 냉수가 토출되며, 온수 저장부(340)에는 온수 배관(347)이 연결되며, 온수 배관(347(으로부터는 온수가 토출된다.
이때, 냉수 배관(337)에는 냉수의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개폐 밸브(338)가 연결되고, 온수 배관(347)에는 온수의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개폐 밸브(348)가 연결된다.
한편, 냉수 배관(337) 및 온수 배관(347)의 단부에는 냉수 또는 온수의 흐름을 멈추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콕(cock, 350)이 형성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농축액 공급 유닛(100)은 하우징(110), 블래더(120), 밀봉 마개(130), 유체 공급부(140) 및 농축액 토출부(150)를 포함한다.
농축액 토출부(150)는 메인 배관(152), 제1 분기 배관(154), 제2 분기 배관(156) 및 개폐 밸브(157,158)를 포함한다.
메인 배관(152)은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배관(152)의 일측 단부는 밀봉 마개(130)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배관(152)의 일측 단부는 블래더(120)의 제2 개구(122)에 결합된다.
메인 배관(152)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2개로 분기되는데, 이하 2개로 분기된 분기관을 각각 제1 분기 배관(154) 및 제2 분기 배관(156)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분기 배관(154)은 앞서 설명한 냉각 배관(337)에 연결되며 제1 분기 배관(154)에는 개폐 밸브(157)이 연결되고, 제2 분기 배관(156)은 앞서 설명한 온수 배관(347)에 연결되며 제2 분기 배관(154)에는 개폐 밸브(158)가 연결된다.
따라서 블래더(120)로부터 토출된 농축액은 메인 배관(152)으로 토출된 후 제1 분기 배관(154)을 통해 냉수와 함께 혼합되어 외부로 토출되거나, 블래더(120)로부터 토출된 농축액은 메인 배관(152)으로 토출된 후 제2 분기 배관(156)을 통해 온수와 함께 혼합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블래더(120)로부터 농축액을 토출하기 위해서 밀봉 마개(130)를 관통하는 유체 공급부(140)에는 유체 공급 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체 공급 유닛(400)은 유체 공급부(140)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블래더(120)에 압력을 인가하는 에어 컴프레셔(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정수기는 유체 공급 유닛(400) 및 농축액 토출부(150)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도 4의 정수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체 공급 유닛(400)은 원수관(1)으로부터 분기되어 원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블래더(120)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유체 공급부(140)에 연결되는 원수 배관(420) 및 원수 배관(420)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430)를 포함한다.
도 5에 의하면 블래더(120)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및 블래더(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압축 공기 대신 압력을 갖는 원수가 제공됨으로써 효율적으로 블래더(120)에 수납된 농축액을 빠르게 농축액 토출부(150)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농축액 토출부(150)는 냉수 배관(337) 및 온수 배관(347)에 각각 연결되지 않고 콕(350)의 일측에 배치되어 단독적으로 용기 등에 농축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농축액 토출부(150)가 단독적으로 용기에 농축액을 제공할 경우 냉수 배관(337), 온수 배관(347)이 농축액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농축액 토출부(150)가 냉수 배관(337) 및 온수 배관(347)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 농축액 토출부(150)에는 개폐 밸브(15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500)은 정수 유닛(300), 농축액 공급 유닛(100) 및 유체 공급 유닛(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농축액 공급 유닛은 정수기의 냉수 배관 또는 온수 배관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 경우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의 세정이 필요한 바,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의 세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농축액 공급 유닛을 콕(350)에 직결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농축액과 같은 기능액을 냉수 또는 온수에 제공할 수 있고, 기능액의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하며, 기능액이 혼합된 기능수를 쉽고 빠르게 배관으로부터 제거하여 청소가 쉬우며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농축액 공급 유닛 110...하우징
120...블래도 130...밀봉 마개
140...유체 공급부 150...농축액 토출부
200...케이스 300...정수 유닛
400...유체 공급 유닛 500...제어 유닛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원수관으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정화 후 냉각된 냉수를 냉수 배관에 결합된 제1 개폐 밸브를 통해 배출 및 상기 원수를 정화 후 가열된 온수를 온수 배관에 결합된 제2 개폐 밸브를 통해 배출하는 정수 유닛;
    제1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체적이 감소되면서 수납된 농축액이 토출되는 제2 개구를 갖는 블래더,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밀봉 마개,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블래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어 농축액을 토출하는 농축액 토출부를 포함하는 농축액 공급 유닛;
    상기 유체 공급부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체를 제공하는 유체 공급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개폐 밸브들 및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농축액 토출부는 상기 밀봉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에 일측 단부가 결합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상기 냉수 배관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배관, 상기 온수 배관에 결합되는 제2 분기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배관들에는 각각 개폐 밸브가 결합된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은 상기 유체 공급부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블래더에 압력을 인가하는 에어 컴프레셔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은 상기 유체 공급부로 상기 원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원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블래더에 압력을 인가하는 원수 배관 및 상기 원수 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액 토출부에는 농축액 개폐 밸브가 결합된 정수기.
KR1020200146445A 2020-11-05 2020-11-05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Active KR10249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45A KR102499515B1 (ko) 2020-11-05 2020-11-05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45A KR102499515B1 (ko) 2020-11-05 2020-11-05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634A KR20220060634A (ko) 2022-05-12
KR102499515B1 true KR102499515B1 (ko) 2023-02-14

Family

ID=8159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445A Active KR102499515B1 (ko) 2020-11-05 2020-11-05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5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676A (ja) * 2010-10-15 2013-12-26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ナーをベースとする分配容器のためのコネクタ
EP2923997A1 (en) * 2014-03-24 2015-09-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a cooling unit
KR102312010B1 (ko) * 2014-08-28 2021-10-13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EP3028988A1 (en) * 2014-12-01 2016-06-08 Anheuser-Busch InBev S.A. Pressurised liquid dispenser with three way valve for venting a container
KR20200106308A (ko) 2019-03-04 2020-09-14 코웨이 주식회사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634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359B2 (en) Reverse osmosis negative-ion water dispenser
US4808302A (en) Water purifier valve
US7550084B2 (en) Reverse osmosis water filtering system
KR960002583A (ko) 액체재료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US20080197077A1 (en) Low pressure drinking water purifier
JP2005501694A (ja) フィルタの加圧バックフラッシュ・システム
JP3927909B2 (ja) 微生物耐性の水浄化収集システム
CN100556498C (zh) 过滤流体的装置和方法
US5819784A (en)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discharge valve for draining water storage tanks
KR102499515B1 (ko) 농축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US5776339A (en) Water purifier having purified water storage tank and valve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before reaching the tank
KR101556172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5811001A (en) Water dispensing coupl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pipe joint for creating a water-tight seal in a water purifier
CA2598345A1 (en) Arrangement related to a separator for the cleaning of such separator
US20140069869A1 (en) Cross flow filtration system using atmospheric bladder tank
US624777A (en) Supply-regulator for water-filters
CN208824277U (zh) 水处理系统及净水设备
KR100326399B1 (ko) 치과용 정수기
KR200442330Y1 (ko) 정수시스템용 자동 차단밸브
KR950000844Y1 (ko) 가정용 정수장치의 압력 저수조
JP4620599B2 (ja) 異物除去処理装置
KR0119056Y1 (ko) 정수기의 급수장치
JPH11319544A (ja) 減圧蒸気加熱装置
JPH1043736A (ja) 配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