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7925B1 -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25B1
KR102497925B1 KR1020220124412A KR20220124412A KR102497925B1 KR 102497925 B1 KR102497925 B1 KR 102497925B1 KR 1020220124412 A KR1020220124412 A KR 1020220124412A KR 20220124412 A KR20220124412 A KR 20220124412A KR 102497925 B1 KR102497925 B1 KR 10249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odule
holding
seating
multifunctional modular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성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성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성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2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which can selectively add various devices, for such as a lighting function at night and on cloudy days so that vehicles and people can move safely, a guidance function for safety and convenience along with a signal function for traffic convenience,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a charging function, self-power generation, a control function, and so on,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use, and design. The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ing module (10); a seating unit (20); and a connection unit (30).

Description

다기능 모듈형 지주{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본 발명은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수단 및 사람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야간 및 흐린날에 따른 조명기능, 통행의 편의를 의한 신호기능 등과 함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의한 안내기능, 방범기능, 위급상황 알림기능, 충전기능, 자가발전, 제어기능 등을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을 설치위치, 용도 및 설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and more specifically, a lighting function according to night and cloudy days, a signal function for convenience of passage, and a guidance function for safety and convenience so that vehicles and people can safely move,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that can selectively add various devices such as crime prevention function,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charging function, self-power generation, control function, etc.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use, and design.

일반적으로 지주는 가로등, 신호등, cctv, 표지판 등이 차량 및 보행시 방해를 받지 않으며, 이용자가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하기 위해 도로, 인도 등에 매립 설치된다.In general, the holding is installed buried in roads, sidewalks, etc. so that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cctv, signs, etc. do not interfere with vehicles and walking, and users can conveniently recognize them.

이때, 가로등은 야간 및 흐린날 주변을 밝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주변 시야를 확보하며, 안전, 범죄예방 등을 위해 도로, 시가지, 공원 등 그에 알맞은 디자인 및 종류의 가로등이 사용되어 주변을 밝혀주도록 설치하고 있다.At this time, streetlights illuminate the surroundings at night and on cloudy days to secure peripheral vision for drivers and pedestrians, and for safety and crime prevention, streetlights of suitable design and type are used to illuminate the surroundings, such as roads, towns, and parks. there is.

이러한 가로등은 주변 시설, 주행 및 보행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위치에서 넓은 범위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조명을 고정하는 전주를 포함하여 통상적인 가로등으로 지칭하고 있다.These streetlights do not cause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facilities, driving and walking, and are referred to as conventional streetlights, including electric poles for fixing lights in order to irradiate light in a wide range at a high location.

하지만, 가로등은 다양한 장소에 대량 설치되어 있어 유지보수 및 개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단수 조명을 통해 주변을 밝히는 시설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treetlights are installed in large quantities in various places, requiring maintenance and individual management, and are rarely used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facilities that illuminate the surroundings through singular lighting.

또한, 지주에는 cctv, 감시카메라, 신호등, 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차량 및 보행시 충돌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cctv, surveillance cameras, traffic lights, signs, etc.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so that collisions do not occur during vehicle and walking, and are essential to b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이에 따른 종래기술로 "가로등"이 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a "street light" has been proposed as a prior art.

종래기술은 태양광, 또는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street light that can be us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power generation using solar light or wind power.

즉, 지주에 태양전지판과 풍력발전부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it is made to be supplied with electrical energy by providing a solar panel and a wind power generator to the holding.

하지만, 지주의 설치위치, 용도, 주변환경에 맞춰 태양전지판 및 풍력발전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lar panel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cannot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us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holding.

또한, 현재 가로등은, 자가발전 이외에 방범, 충전, 광고 등 다양한 시설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설치위치, 주변환경 및 용도에 따라 필요한 시설 서로 다른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current streetlights, in addition to self-generation, are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such as crime prevention, charging, advertising, etc., but different configurations of necessary facilitie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

하지만, 종래기술은 특정 위치에 정해진 각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설치 위치에 따라 불필요한 구성이 추가되어 비용이 증가하고, 시공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has each configuration determined at a specific location, unnecessary configurations are add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resulting in increased cost and difficulties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또한, 가로등에는 cctv, 스크린, 방범카메라, 스피커 등 다양한 시설이 부가되고 있으나, 도로, 공원, 인도 등 설치 위치, 용도 및 환경에 맞춰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various facilities such as cctv, screen, security camera, and speaker are added to the street ligh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purpose, and environment, such as roads, parks, and sidewalks.

한국 등록특허 제10-0836269호(2008.06.0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6269 (2008.06.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위치, 용도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필요한 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installing necessary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installation location and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모듈과 지주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지주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운반,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rconnect the holding modules to each other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holding module,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holding unit that is convenient to transport, move and inst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지주모듈에 다양한 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모듈화시켜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that improves work convenience and workability by modularizing various devices so that each holding module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모듈, 안착부 및 연결부는 설계에 맞춰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설치위치, 용도 등에 맞춰 필요한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 비용,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manpower by easily combining and constructing necessary devic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purpose, etc. It is about a multi-functional modular pillar with 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장치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용도 및 환경에 따라 설치된 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modular post capable of easily detaching an installed device, easy management and maintenance during long-term use, and replacing an installed device according to use and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장치가 불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수거하여 장치의 손상, 파손, 도난 및 2차 사고를 방지하며, 미관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be easily collected when the installed device is unnecessary to prevent damage, breakage, theft and secondary accidents of the device, and can neatly manage the aesthetic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되는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있어서, 상, 하로 관통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삽입부가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지주모듈; 상기 삽입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치가 결합되는 안착부;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지주모듈과 상기 지주모듈을 상호 연장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selectively add various functions by interconnecting supports buried in the ground, which is formed as a hollow penetrating up and down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It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ating portion detachably fix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o which a device is coup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vertically arranged holding module and a connecting portion mutually extending the holding module.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주모듈의 외면에서 내부 함몰 배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part has a case disposed recess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and first fastening mea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case.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장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안착패널과, 상기 제1체결수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art is formed on the base to correspond to a base inserted into the case, a mounting panel to which a device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and the first fastening means, so that the base can be detached from the case. It is preferably made of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주모듈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located at the bottom to support the ground is further includ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모듈과 상기 지주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모듈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측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개방공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개방공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지주모듈을 상기 연결관에 체결시 상기 지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seat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holding module and the holding module, and a pair of opening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connecting pipe formed with a ball, a fixing member movably fastened to the open hole, and fixing the holding module when the holding module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p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외측 끝단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에 삽입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안착판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개방공에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includes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pen hole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a seating groove inserted into the open hole adjacent to the seating plate and bent toward the pressing member to be seated in the open hol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contact member formed thereon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ontact member inside the connecting pipe.

상기 지주모듈의 내주면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인접한 상기 개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체결홈과, 상기 지주모듈의 상,하 끝단에는 상기 밀착부재를 눌러 상기 가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 holes adjacent to the ends of the connecting tubes and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seated, an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ding module, the contact members are pressed to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tact groove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지주모듈의 내주면 상, 하단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상,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and guide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t the lower end,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s are selectively insert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모듈에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며, 하단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개방공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개방공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부에서 삽입된 상기 지주모듈을 상기 연결관에 체결시 상기 지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at upper and lower ends, has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is movably fastened to the opening hole with a connecting pipe formed with an open hol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holding module when fastening the holding module inserted in the connecting pipe.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따르면, 설치 위치, 용도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필요한 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modula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installing necessary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installation location and us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모듈과 지주모듈은 연결부를 통해 간편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설치된 지주의 전체 길이를 환경 등에 맞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운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module and the holding module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installed holding module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etc.,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transport, move, and install.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주모듈에 안착부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단일 또는 복수개 설치할 수 있어 필요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구성을 통해 설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or multiple devices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installed in each holding module through a seating portion, so that necessary functions can be used, and tasks such a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through a modular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모듈, 안착부 및 연결부는 규격에 맞춰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설치위치, 용도 등에 맞춰 필요한 장치를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 비용,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seating parts, and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onstruct necessary devic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purpose, etc.,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manpower.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를 통해 설치된 장치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관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용도 및 환경에 따라 설치된 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ach the device installe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management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during long-term us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ed device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장치가 불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수거하여 장치의 손상, 파손, 도난, 2차 사고를 방지하며, 미관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talled device is unnecessary, it is easily collected to prevent damage, breakage, theft, and secondary accidents of the device, and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neatly manage the aesthetic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주모듈 및 안착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olding module and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groove and a guide protrus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modular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주모듈 및 안착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olding module and a seating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u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oove and a guide protrusion, and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및 흐린날 조명등기 능과 함께 운전자 및 보행자의 편의를 위한 방범기능, 위급상황 알림기능, 충전기능, 자가발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설치위치, 용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post, and more specifically, to a night and cloudy day lighting function, a crime prevention function for the convenience of drivers and pedestrians, an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and a charging function.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selectively add various functions such as function and self-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us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로등이 설치된 위치, 환경 및 설계 등을 반영하여 지주에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지주모듈(10), 안착부(20) 및 연결부(30)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lding module 10, a seating part 20, and a connection part 30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selectively added by connecting to the holding post by reflecting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design of the streetlight installation.

상기 지주모듈(10)은 상, 하로 관통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삽입부(11)가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다.The holding module 10 is formed as a hollow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11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is arranged in plurality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삽입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치(50)가 결합된다.The seating part 20 is detachably fixed to the insertion part 11, and the device 50 is coupled thereto.

상기 연결부(30)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상호 연장한다.The connecting portion 30 mutually extends the vertically disposed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

따라서 상기 지주모듈(10)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장된다.Therefore, the holding module 10 is provided in plural and selectively extend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 .

이때, 각 상기 지주모듈(10)에는 필요한 상기 장치(50)에 맞춰 상기 안착부(20)를 설치한 후,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고정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installing the seating part 20 according to the required device 50 in each holding module 10, various devices 50 may be fixed and used selectively.

여기서 상기 장치(50)는 지주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 cctv, 방법카메라, 스피커,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지진감지센서, 미세먼지측정센서, 경광등, 조명 등과 같이 상기 지주모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전자장치, 측정장치, 발전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device 50 is attached to the holding module, such as a screen, a cctv, a method camera, a speaker, a solar power generator, a wind power generator, an earthquake detection sensor, a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a warning light, a lighting, etc. that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a holding post. It consist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nd used, measuring devices, power generation devices, control devices, and the like.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의 설치 위치, 환경, 용도 등에 맞춰 필요한 상기 장치(50)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nd conveniently connect the necessary device 5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environment, and purpose of the holding module 10 .

또한, 상기 지주모듈(10)의 상호 연결되는 결합된 수와 및 설계된 길이를 통해 전체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주변환경에 맞춰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상기 장치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overall height through the combined number of interconnected holding modules 10 and the designed length, and various devices can be installed and used easily depending on the installed position. can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지주모듈(1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체결하여 지면에 매립되어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설치할 수 있는 지주를 구성한다.First,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10 having the same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holding module 10 embedded in the ground to install various devices 50 thereon.

따라서 상기 지주모듈(10)은 상, 하부가 개방되어 공간을 확보하며, 원형 및 다각 단면형상이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holding module 10 is formed in a pipe shape having a circular and polygonal cross-section of a certain length, with upper and lower portions being open to secure space.

이때, 상기 지주모듈(10)의 길이는 상호 동일한 길이를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장치(5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와 설계에 따른 지주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로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arrange the same length of the holding module 10, but various lengths to secure space for stably installing the device 50 and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holding module according to the design. can be made with

그리고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주면에서 함몰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수납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11a)와 제1체결수단(11b)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insertion part 11 is reces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is composed of a case 11a and a first fastening means 11b to accommodate or connect various devices 50 therein.

상기 케이스(11a)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서 내부 함몰 배치된다.The case 11a is recess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즉, 상기 케이스(11a)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서 개방된 삽입부(11)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 삽입된다.That is, the case 11a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1 ope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따라서 상기 케이스(11a)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서 함몰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Therefore, the case 11a is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to form a certain space inside.

그리고 상기 제1체결수단(11b)은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Also,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are formed inside the case 11a at regular intervals.

따라서 상기 제1체결수단(11b)은 상기 케이스(11a)에 삽입된 상기 안착부(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결합, 나사결합 등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is made of fitting or screwing to stably fix the seating portion 20 inserted into the case 11a.

이와 같이 상기 지주모듈(10)은 일정한 규격에 맞춰 다수개 제작되어 용도, 설계 등에 맞춰 다수개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지주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부(11)에는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10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and a plurality of holding modules are vert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use, design, etc. to form a holding module, and the insertion part 11 is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50 I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그리고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주모듈(10)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located at the bottom and supporting the ground is further included.

이러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지주모듈(1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앵커 등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40 has a larger area than the holding module 10, and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an anchor or the like is fastened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und.

이때, 상기 지지부(40)는 상면에 상기 지주모듈(10)이 용접, 끼움결합, 나사체결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ing module 10 may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40 through welding, fitting, screw fastening, or the lik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이를 통해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주모듈(10)은 상기 지지부(40)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lding module 10 disposed at the bottom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upport part 40 .

따라서 상기 지지부(40)를 통해 통상적인 지주와 같은 방식으로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support portion 40, it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same way as a conventional holding post.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삽입부(11)에 설치되어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간편하게 설치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21), 안착패널(22) 및 제2체결수단(23)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seating portion 20 is installed on the insertion portion 11 to conveniently install the various devices 50, and to stably support the base 21, the seating panel 22,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23).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base 21 is inserted into the case 11a.

이러한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1a)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탱된다. The base 21 has the same shape as the inside of the case 11a and is stab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11a.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베이스(21)의 전면에 상기 장치(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The mounting panel 22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device 5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1 .

이러한 상기 안착패널(22)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장치(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The seating panel 22 is made in various ways to stably support the device 50 having various configurations.

따라서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로등, 신호등, cctv, 감시카메라, 스크린 등과 같이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각 상기 장치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seating panel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can stably install each of the devices disposed outside the holding module 10, such as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cctv, surveillance cameras, and screens. done so that

또한,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서 제어부, 마이크, 충전장치 등이 각 상기 장치가 안정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ating panel 22 is made so that a control unit, a microphone, a charging device, etc. can be stably installed inside the holding module 10.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베이스(21)의 전면, 상단, 하단,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된 가이드축(22a)과 상기 가이드축(22a)에 일정한 가격 또는 특정 위치에서 가로등, 신호등, cctv, 감시카메라 등이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되는 체결면(22b)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3, the seating panel 22 includes guide shafts 22a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front, top,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base 21 and the guide shafts 22a. At a certain price or at a specific location, a fastening surface 22b is formed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cctv, surveillance cameras, etc. are installed.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패널(22)의 전면에 일정 패턴의 체결공(22c)을 형성하여 가로등, 신호등, cctv, 감시카메라 등을 제어, 통신 및 충전 등을 제어하는 다양한 제어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a fixed pattern of fastening holes 22c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22 to control streetlights, traffic lights, cctv, surveillance cameras, etc., communication and charging. It is made so that various control devices and the like that control it can be installed.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베이스(21)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가이드축(22a)d에 배치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측정센서 등의 상기 장치(50)가 설치되어 자가발전과 미세먼지, 공기질 등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c) of FIG. 3, the seating panel 22 protrudes from the base 21 and is disposed on the guide shaft 22a d bent toward the top of the holding module 10. The device 50 such 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and a measurement sensor is installed to enable self-generation and measurement of fine dust and air quality.

마지막으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베이스(21)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부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는 가이드판(22d)으로 형성되어 드론이 이착륙 가능한 정류장, 전력장치, 측정장치 등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inally, as shown in (d) of FIG. 3, the seating panel 22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1 and is formed as a guide plate 22d having a certain area outside the holding module 10. It is made to stably install a stop where drones can take off and land, power devices, and measuring devices.

이와 같이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지주모듈(10)에 설치되는 다양한 상기 장치(50)에 맞춰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안정적으로 설치, 배치, 결합 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50)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In this way, the seating panel 22 has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device 50 so that one or a plurality of them can be stably installed, arrang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various devices 50 installed in the holding module 10. is made with

이를 통해 상기 안착패널(2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높이, 설계, 용도에 따라 필요한 각 상기 장치(50)를 설치하기 위해 특정형상으로 제작된 상기 안착패널(22)을 사용한다.Through this, the seating panel 22 uses the seating panel 22 manufactured in a specific shape to install each of the devices 50 required according to the height, design, and use of the holding module 10 .

상기 제2체결수단(23)은 상기 제1체결수단(11b)과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21)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1)를 상기 케이스(11a)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한다.The second fastening means 23 is formed on the base 21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and detachably fixes the base 21 to the case 11a.

이러한 상기 제2체결수단(23)은, 상기 제1체결수단(11b)과 상호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21)를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한다.The second fastening means 23 is mutually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to stably and detachably fix the base 21 to the inside of the case 11a.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수단(11b, 23)은 상호 체결되는 볼트, 너트 구조, 끼움결합구조 등과 같이 상기 베이스(21)가 상기 케이스(11a)에 삽입 시, 탈착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11b, 23) can be detachable and stably fixed when the base 21 is inserted into the case (11a), such as a bolt, nut structure, fitting coupling structure, etc., which are fastened to each other. made by any of the available means.

이를 통해 상기 안착부(20)는 다양한 상기 장치(50)에 맞춰 선택하여 상기 지주모듈(10)에 상기 제1 및 제2 체결수단(11b, 23)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한 후, 상기 장치(50)를 체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ating portion 2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various devices 50 and easily installed in the holding module 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ans 11b and 23, and then the device 50 ) can be concluded.

따라서 상기 지주모듈(10)의 용도, 설치위치, 설계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춰 필요한 상기 장치(5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시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device 50 necessary for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the use, installation location, and design of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nd used easily, so that convenience of use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안착판(31), 연결관(32), 고정부재(33)로 이루어진다.Next,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composed of a seating plate 31, a connecting pipe 32, and a fixing member 33 so as to mutually connect the holding module 10 with the holding module 10.

상기 안착판(31)은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 사이에 배치된다.The seating plate 31 is disposed between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

따라서 상기 안착판(31)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단면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으로 이루어져,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지주모듈(10)의 끝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seating plate 31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ding module 10, so that the ends of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se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안착판(31)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측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개방공(32a)이 형성된다.The connection pipe 32 protrudes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seating plate 31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and a pair of open holes 32a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do.

즉,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necting pipe 32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at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has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이때,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직경으로 각각 이루어지거나, 단턱을 통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에 일정부분은 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이격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32 is each made of a diameter that closely adheres to o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or is formed with a different diameter through a step so that a certain portion adhere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remaining parts are made in various ways so that they can be spaced apart.

이를 통해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Through this, the connecting pipe 32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ding module 10, respectively, and connects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so that they can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개방공(32a)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결관(32)에 수직방향을 따라 상단 및 하단에 한쌍으로 형성된다.And, the opening 32a is formed in a pair at the top and bottom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32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즉, 상기 개방공(32a)은 상기 연결관(32)의 상기 안착판(3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단과 상기 연결관(32)의 외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하단에 각각 배치된다.That is, the opening 32a is disposed at an upper end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late 31 of the connection pipe 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end spaced inwardly from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

이때, 상기 개방공(32a)은 상기 연결관(3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openings 32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32 .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개방공(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지주모듈(10)을 상기 연결관(32)에 체결시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한다.The fixing member 33 is movably fastened to the opening 32a, and fixes the holding module 10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32.

즉,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연결관(32)의 내부에서 양측 끝단이 상, 하단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개방공(3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삽입 시,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한다.That is, the fixing member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ir of open holes 32a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ends inside the connection pipe 32, and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The holding module 10 is fixed.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삽입시 회전하여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34), 밀착부재(35) 및 연결부재(36)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fixing member 33 rotates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and is composed of a pressing member 34, an adhesion member 35, and a connecting member 36 so as to fix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It is done.

상기 가압부재(34)는 상기 연결관(32)의 외측 끝단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에 삽입된다.The pressing member 34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32a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

상기 밀착부재(35)는 상기 안착판(31)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34)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개방공(32a)에 안착되는 안착홈(35a)이 형성된다.The adhesion member 35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2a adjacent to the seating plate 31, and the seating groove 35a is bent toward the pressing member 34 and seated in the opening 32a. is formed

상기 연결부재(36)는 상기 연결관(3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34)와 상기 밀착부재(35)를 연결한다.The connecting member 36 connects the pressing member 34 and the close contact member 35 inside the connecting pipe 32 .

즉,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가압부재(34), 상기 밀착부재(35) 및 상기 연결부재(36)가 "ㄷ" 형상으로 배치된다.That is, in the fixing member 33, the pressing member 34, the close member 35, and the connecting member 36 are disposed in a "c" shape.

이때, 상기 밀착부재(35)는 중앙부분이 상기 가압부재(34)를 향해 "∩"형상의 돌출된부분 상기 안착홈(35a)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공(32a)에 안착된다.At this time, the adhesion member 35 is seated in the open hole 32a with the central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pressing member 34 and having the seating groove 35a formed therein.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35)는 상기 안착홈(35a)을 통해 상기 개방공(32a)에 안착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되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refore, the close contact member 35 is seated in the open hole 32a through the seating groove 35a, moves within a certain range, and can be stably seated.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이 상기 연결관(32)에 삽입 시, 상기 연결관(32)의 외면으로 노출된 상기 지주모듈(10)의 끝단을 하부로 눌러 상기 연결부재(36)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34)가 상기 연결관(32)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을 가압한다.Through this,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32, the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32 is pressed downwar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6. The pressing member 34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2 and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4)의 끝단에는 확장된 걸림판(34a)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4)가 상기 연결관(3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지주모듈(1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Here, an extended locking plate 34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member 34 to prevent the pressing member 34 from moving inside the connection pipe 32 and interfere with the holding module 10. formed so that this does not occur.

이때, 상기 연결관(32)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개방공(32a)의 하단은 상기 가압부재(34)가 안착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단은 하단보다 확장되어 상기 걸림판(34a)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open hole 32a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has a diameter at which the pressing member 34 is seated, and the upper end is wider than the lower end so that the holding plate 34a can be inserted. made in the form of

그리고 상기 안착판(31)에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은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장홈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33)의 상기 밀착부재(35)가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안착홈(35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open hole 32a adjacent to the seat plate 31 is made of a long groove shap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lose member 35 of the fixing member 33 is easily inserted, and the seat groove 35a ) is made so that it can be settled.

이를 통해 상기 개방공(32a)은 상기 고정부재(33)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is, the opening 32a is made so that the fixing member 33 can be easily inserted and seated.

또한, 상기 걸림판(34a)은 상기 가압부재(34)가 상기 연결관(33)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주모듈(10)의 체결시 상기 고정부재(33)를 회동시켜 상기 가압부재(34)가 상기 지주모듈(10)을 가압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late 34a prevents the pressing member 34 from moving inside the connecting pipe 33 and rotates the fixing member 33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fastened to the pressing member 34. A member 34 presses the holding module 10 .

그리고 상기 지주모듈(10)에는 상기 안착판(31)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홈(12)과 밀착홈(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fastening grooves 12 and close contact grooves 13 are formed in the holding module 10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eating plate 31 and to be easily fix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3 .

상기 체결홈(1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관(32)의 끝단에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3)가 안착된다.The fastening grooves 1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32a adjacent to the ends of the connecting pipe 32, and the fixing member 33 is seated therein. do.

즉, 상기 체결홈(12)은 상기 개방공(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한쌍의 상기 개방공(32a) 중, 상기 연결관(32)의 외측 끝단에 형성된 상기 개방공(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at is, the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hole 32a, and among the pair of open holes 32a, the open hole 32a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따라서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연결관(32)의 삽입 시, 상기 개방공과 상기 체결홈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부재(34)가 삽입된다.Therefore, when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connection pipe 32 are inserted, the opening hole and the fastening groove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e pressing member 34 is inserted.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연결관(32)을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connection pipe 32 can be stably fastened.

이때, 상기 체결홈(1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서 내면을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개방공(32a)에 맞춰 상기 지주모듈(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is form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module 10 in accordance with the open hole 32a.

또한, 상기 체결홈(1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에서 상기 개방공(32a)의 위치에 맞춰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에서 링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open hole 32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이와 같이 상기 체결홈(12)은 상기 개방공(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재(34)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연결관(3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fastening groove 1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hole 32a so that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connection pipe 32 can be stably fixed through the pressing member 34. made in a variety of ways

또한, 상기 지주모듈(10)의 끝단을 향하는 상기 체결홈(12)은 일면은 서서히 확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모듈(10)의 삽입 시, 상기 가압부재(34)가 용이하게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12 toward the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forms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expands, so that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the pressing member 34 is easily introduced and is stable. It is preferable to be made detachable as.

상기 밀착홈(13)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상,하 끝단에는 상기 밀착부재(35)를 눌러 상기 가압부재(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close groove 13 presses the close member 35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ding module 10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밀착홈(13)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상기 개방공(32a)과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을 상기 연결관(32)에 삽입 시, 끝단은 상기 안착판(31)과 밀착되며, 상기 밀착홈(13)은 상기 밀착부재(35)와 밀착되어 가압한다.The contact groove 13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pen hole 32a of the holding module 10 on a vertical line, and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32, the end i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late 31, and the close contact groove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member 35 and pressurizes it.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의 끝단은 상기 안착판(31)과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지지하며, 상기 밀착홈(13)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35)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34)가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is, the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is stably adhered to and supported by the seating plate 31, and the pressing member 34 is protruded by pressing the contact member 35 through the contact groove 13. made so that it can be

그리고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의 삽입 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 상, 하단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14)와,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 상,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홈(30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guide protrusion 14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adjusted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Guide grooves 30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s 14 are selectively inserted.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14)는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 양측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Therefore, the guide protrusion 14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30a)은 상기 연결관(32)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함돌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4)가 삽입된다.The guide groove 30a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lli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2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guide protrusion 14 is inserted therein.

이때, 상기 가이드홈(30a)은 상기 개방공(32a)과 간섭이 받지 않는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30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 position where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open hole 32a.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0a)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고정부재(33)가 상기 지주모듈(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30a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fixing member 33 can press the holding module 10 .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14)는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홈(30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모듈(10)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ide protrusion 14 can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30a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part 11 formed in the holding module 10 .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돌기(14) 및 상기 가이드홈(30a)은 상기 지주모듈(10)의 삽입 시,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지주모듈(10)의 방향을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uide protrusion 14 and the guide groove 30a adjust their positions so that they can be easily fix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3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and the holding module 10 ) can be easily arranged to face a desired posit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그리고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삽입부(11) 개폐하는 커버(15)가 더 포함된다.And a cover 15 selective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part 11 is further included.

이러한 상기 커버(15)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 끼움, 나사결합 등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ver 1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through fitting, screw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커버(15)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사용하지 않는 상기 삽입부(11)와 상기 안착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In addition, the cover 15 is opened and closed to prevent unnecessary portions of the holding module 10 from being expos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portion 11 and the seating portion 20 are installed.

이때, 상기 삽입부(11)에 상기 안착부(20)가 결합되어 상기 안착패널(2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커버(15)에는 다양한 상기 안착패널(22)이 노출되는 절개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패널(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삽입부(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seatin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 and the seating panel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15 has a cutout in which various seating panels 22 are exposed ( 16) is formed, and when the seating panel 2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sertion portion 1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커버(15)에는 안착패널(22)이 상기 절개홈(16)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홈(16)에 의해 상기 삽입부(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고의 막음판 등이 탈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ver 15 has a separate cover so as to prevent the insertion part 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incision groove 16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panel 22 is exposed through the incision groove 16.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plate or the like of the detachable, sliding movement is installed.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11)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며 깔끔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11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providing a clean finish.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안착부(20) 및 상기 연결부(30)를 다수개를 제작한다.First, a plurality of the holding module 10, the seating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are manufactured.

여기서 상기 지주모듈(10)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서로 다른 길이로 다수개 구비한다.Here, the holding module 10 has the same diameter, b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lengths.

그리고 상기 안착부(20)는 각 상기 장치(5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상기 안착패널(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eating panels 22 ar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20 so that each of the devices 50 can be stably installed.

이와 같이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안착부(20) 및 상기 연결부(30)를 다수개 구비된 상태에서 지주의 설치용도, 목적, 환경 및 필요 기능 등을 고려하여 각 상기 장치(50)를 설치한다.In this way, each of the devices 50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urpose, purpose, environment, and necessary functions of the holding module 10,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o install

이에 따른 일예로, 지주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필요한 기능으로, 가로등, cctv, 태양광발전, 제어부의 각 상기 장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지주모듈(10)은 4개 또는 전체 높이에 맞춰 복수개를 준비한다.As an example of this, if each of the above devices of a street light, cctv,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control unit is required as a function required at the location where the holding is installed, the holding module 10 prepares four or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overall height. .

이렇게 준비된 각각의 상기 지주모듈(10)에는 상기 장치(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기 안착패널(22)이 형성된 상기 안착부(20)를 각각 상기 지주모듈(10)의 상기 삽입부(11)에 고정한다.In each of the holding modules 10 prepared in this way, the mounting portion 20 in which various mounting panels 22 are formed so that the device 50 can be install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 of the holding module 10, respectively. fixed on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안착부(20)에는 상기 안착패널(22)에 맞춰 가로등, cctv, 태양광발전, 제어부의 각각 고정설치한다.In addition, streetlights, cctv,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control units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20 according to the mounting panels 22 .

이 후, 상기 지주모듈(10)은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40)를 통해 지면에 설치한다.After that, the holding module 1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 and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support part 40 .

여기서 상기 지주모듈(10)은 상호 결합되는 순서 및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placed at a desired location by adjusting the order and position of mutual coupling.

또한, 상기 지주모듈(10)에 상기 장치(50)를 결합 한 후,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상호 체결할 수 있어 운반 및 운반이 용이하며, 간편한 체결구조를 통해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upling the device 50 to the holding module 10, it is moved to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mutually fasten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Installation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through simple fastening structure.

즉, 모듈화된 상기 지주모듈(10)에는 필요한 상기 장치(50)를 상기 안착부(20)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지주모듈(10)은 상호 결합되는 위치 및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necessary device 50 can be connected to the modularized holding module 10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holding module 10 can adjust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주모듈(10)에는 설치 위치, 용도, 목적 등에 맞춰 필요한 상기 장치(50)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기 장치(5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필요한 위치에 맞춰 상기 장치(50)를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동적인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with the device 50 necessa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use, purpose, etc., and adjust the location of the installed device 50 to adjust the device 50 to the required position Flexible installation is possible so that the

아울러 상기 지주모듈(10)은 상기 삽입부(1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된 상기 장치(50)가 도로, 인도 및 산책로 등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module 10 adjus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art 11 faces so that the installed device 50 can be placed in a direc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users on roads, sidewalks and walking trails.

따라서 상기 지주모듈은 도로, 인도 등에 설치될 경우, 신호등, 가로등의 기능과 함께, 표지판, cctv, 방범카메라, 태양광발전, 비상벨 등 부가적으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olding module is installed on roads, sidewalks, etc.,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stall the device hav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igns, cctv, security camer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emergency bells along with functions of traffic lights and streetlights. there is.

그리고 상기 지주모듈이 산책로, 공원 등에 설치될 경우, 가로등, 비상벨, 스크린, cctv, 방범카메라, 태양광발전 등 부가적으로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And when the holding module is installed on a trail, park, etc.,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stall the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additionally required, such as a street light, an emergency bell, a screen, cctv, a security camera, and solar power generation.

이와 같이 상기 지주모듈(10)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장치(5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by selectively installing the device 50 having necessary functions to the holding module 10,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devices having necessary functions.

그리고 상기 지주모듈(10)에 설치된 상기 장치(50)는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고장 시, 유지보수 및 교체 등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50 installed on the holding module 10 is easily detachable, so that in case of failur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또한, 상기 지주모듈(10)의 설치 후, 불필요한 상기 장치(50)를 제거한 후, 다른 종류의 상기 장치(5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환경 및 기술발전에 따른 다양한 상기 장치(50)를 교체 및 필요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holding module 10, after removing the unnecessary device 50,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use a different type of device 50, so that various devices 5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during long-term use can be replaced and the required configuration can be used.

아울러, 설치된 상기 장치가 불필요해진 경우, 상기 장치를 수거하고, 개방된 상기 삽입부를 마감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다.In addition, when the installed device becomes unnecessary, maintenance is convenient by collecting the device and closing the opened insertion part.

이를 통해 매설된 지주를 제거하지 않고 필요한 상기 장치(50)를 교체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necessary device 50 without removing the buried support.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모듈형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연결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관(32) 및 고정부재(33)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connection part 30 connects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ipe 32 and the fixing member ( 33).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지주모듈(10)에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며, 하단에 결합공(32b)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개방공(32a)이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on pipe 32 are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respectively, a coupling hole 32b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n open hole 32a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top. .

따라서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32 has a diameter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

여기서 상기 결합공(32b)은 상기 연결관(32)의 하단에서 상기 지주모듈(10)의 상기 체결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the coupling hole 32b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12 of the holding module 10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

그리고 상기 개방공(32a)은 상기 연결관(32)의 상단에서 상기 제1실시예의 상기 연결관(32)에 형성된 개방공(32a)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open hole 32a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pen hole 32a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32 of the first embodiment at the top of the connection pipe 32 .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개방공(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부에서 삽입된 상기 지주모듈(10)을 상기 연결관(32)에 체결시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한다.The fixing member 33 is movably fastened to the opening 32a, and fixes the holding module 10 when the holding module 10 inserted from the top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32.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제1실시예의 상기 고정부재(3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32)의 상단에 배치된다.The fixing member 3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xing member 33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

아울러, 상기 지주모듈(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재(33)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밀착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e contact groove 13 for pressing the fixing member 3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32)의 하단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주모듈(10)의 상단에 볼트 및 너트 등의 구성을 통해 견고하게 체결되며, 상단은 상부에서 삽입된 상기 지주모듈(10)을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고정한다.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is firm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located at the lower end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as bolts and nuts, and the upper end holds the holding module 10 inserted from the upper end. It is fix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3.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upl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지주모듈(10)의 상단에 상기 연결부(30)의 하단을 삽입하며, 상기 연결부(30)의 상부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상단으로 노출된다.Firs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30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그리고 상기 연결부(30)의 상기 결합공(32b)과 상기 지주모듈(10)의 상기 체결홈(12)이 일치한 상태에서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한다.An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hole 32b of the connection part 30 and the fastening groove 12 of the holding module 10 coincide, it is firmly fixed throug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에 상기 연결부(30)를 고정한 상태에서 노출된 상기 연결부(30)의 상단에 상기 지주모듈(10)의 하단을 삽입한다.Through this,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30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art 30 is fixed to the holding module 10 .

이때, 상기 연결부(3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재(33)가 구비되어 상부에서 삽입된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3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0 to fix the holding module 10 inserted from the upper part.

즉, 상기 연결부(30)의 상단에서 상기 지주모듈(10)을 삽입하며,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주모듈(10)에 밀착시킨다.That is, the holding module 10 is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0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lding module 10 located at the bottom.

이때,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주모듈(10)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면을 가압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30 is operated by the holding module 10 to pressuriz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

이러한 상기 연결부(30)는 제1실시예의 연결부(3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part 30 is made to fix the holding module 10 throug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nection part 30 of the first embodiment.

이를 통해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호 밀착된 끝단을 외부노출되지 않아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진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can be firmly fixed, and the end of the holding module 1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nishing process can be neatly perform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10: 지주모듈 11: 삽입부 11a: 케이스
11b: 제1체결수단 12: 체결홈
13: 밀착홈 14: 가이드돌기
15: 커버 16: 절개홈
20: 안착부 21: 베이스 22: 안착패널
22a: 가이드축 22b: 체결면
22c: 체결공 22d: 가이드판
23: 제2체결수단
30: 연결부 30a: 가이드홈 31: 안착판
32: 연결관 32a: 개방공
32b: 결합공 33: 고정부재
34: 가압부재 34a: 걸림판
35: 밀착부재 35a: 안착홈
36: 연결부재
40: 지지부
50: 장치
10: holding module 11: insertion part 11a: case
11b: first fastening means 12: fastening groove
13: contact groove 14: guide protrusion
15: cover 16: incision groove
20: seating part 21: base 22: seating panel
22a: guide axis 22b: fastening surface
22c: fastening hole 22d: guide plate
23: second fastening means
30: connection part 30a: guide groove 31: seating plate
32: connector 32a: open hole
32b: coupling hole 33: fixing member
34: pressing member 34a: locking plate
35: adhesion member 35a: seating groove
36: connecting member
40: support
50: device

Claims (9)

지면에 매립되는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에 있어서,
상, 하로 관통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삽입부(11)가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지주모듈(10);
상기 삽입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장치(50)가 결합되는 안착부(20);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을 상호 연장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주모듈(10)과 상기 지주모듈(10)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판(31)과,
상기 안착판(31)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모듈(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측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개방공(32a)이 형성된 연결관(32)과,
상기 개방공(32a)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지주모듈(10)을 상기 연결관(32)에 체결시 상기 지주모듈(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연결관(32)의 외측 끝단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에 삽입되는 가압부재(34)와,
상기 안착판(31)과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34)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개방공(32a)에 안착되는 안착홈(35a)이 형성된 밀착부재(35)와,
상기 연결관(3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34)와 상기 밀착부재(35)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In a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that can selectively add various functions by interconnecting supports buried in the ground,
A holding module 10 formed of a hollow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having an insertion portion 11 on an outer surface, and disposed in plurality in a vertical direction;
A mounting portion 20 detachably fix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 and to which the device 50 is coupled;
It consists of the vertically arranged holding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mutually extending the holding module 10,
The connection part 30,
A seating plate 31 disposed between the holding module 10 and the holding module 10;
A connecting pipe 32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seating plate 31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module 10 and having a pair of open holes 32a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It is movably fastened to the opening 32a and is composed of a fixing member 33 for fixing the holding module 10 when the holding module 10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pe 32,
The fixing member 33,
A pressing member 34 inserted into the open hole 32a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32;
A contact member 35 inserted into the open hole 32a adjacent to the seat plate 31, bent toward the pressing member 34 and having a seat groove 35a seated in the open hole 32a, and ,
Multifunctional modular ho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36) for connecting the pressing member (34) and the adhesion member (35) inside the connecting pipe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지주모듈(10)의 외면에서 내부 함몰 배치된 케이스(11a)와,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체결수단(1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art 11,
A case 11a disposed in an inner reces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case (11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케이스(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전면에 장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안착패널(22)과,
상기 제1체결수단(11b)과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21)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1)를 상기 케이스(11a)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According to claim 2,
The seating part 20,
A base 21 inserted into the case 11a;
A seating panel 22 to which a device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1;
It is formed on the base 21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means 11b and consists of a second fastening means 23 detachably fixing the base 21 to the case 11a. Modular Shoring.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주모듈(10)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4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located at the bottom to support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관(32)의 끝단에 인접한 상기 개방공(3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3)가 안착되는 체결홈(12)과,
상기 지주모듈(10)의 상,하 끝단에는 상기 밀착부재(35)를 눌러 상기 가압부재(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착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 holes 32a adjacent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32, and fastening grooves 12 in which the fixing member 33 is seated ,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groove 13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ding module 10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pressing the contact member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모듈(10)의 내주면 상, 하단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14)와,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 상,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홈(3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지주.
According to claim 1,
Guide protrusions 14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module 10,
Multifunctional modul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30a)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and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14) is selectively inserted.
삭제delete
KR1020220124412A 2022-09-29 2022-09-29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Active KR102497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12A KR102497925B1 (en) 2022-09-29 2022-09-29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12A KR102497925B1 (en) 2022-09-29 2022-09-29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925B1 true KR102497925B1 (en) 2023-02-09

Family

ID=8522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12A Active KR102497925B1 (en) 2022-09-29 2022-09-29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47B1 (en) * 2023-02-08 2023-10-11 오주환 pole for road facility install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78B1 (en) * 2006-11-10 2007-10-10 이상근 Connection member for back assembly
KR100836269B1 (en) 2007-11-15 2008-06-10 광주광역시 남구 Street lamp
KR101066528B1 (en)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Angle adjuster of street light arm
KR101520644B1 (en) * 2015-01-13 2015-05-15 (유)도로앤도시 Insert type adherence stick connecting devic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teel pole
KR20220075035A (en)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Block type smart pole based on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78B1 (en) * 2006-11-10 2007-10-10 이상근 Connection member for back assembly
KR100836269B1 (en) 2007-11-15 2008-06-10 광주광역시 남구 Street lamp
KR101066528B1 (en) * 2011-06-15 2011-09-2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Angle adjuster of street light arm
KR101520644B1 (en) * 2015-01-13 2015-05-15 (유)도로앤도시 Insert type adherence stick connecting devic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teel pole
KR20220075035A (en)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Block type smart pole based on wireles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47B1 (en) * 2023-02-08 2023-10-11 오주환 pole for road facility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5679B1 (en) Photovoltaic sleeve for street lights and the like
KR102146254B1 (en) Multifunctional smart pole with multidirectional assembly structure
JP2021022555A (en) Module assembly type outdoor illumin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228669B1 (en) Structure for pedestrian crossing combined with pedestrian safety
CN112984434B (en) Intelligent application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functional street lamp
WO2018204313A1 (en) Connecting lighting to poles without tools
WO2007117064A1 (en) Solar street light
KR102497925B1 (en) Multifunctional Modular Shoring
WO2018164484A1 (en) Mobile charging apparatus using sunlight
KR102246547B1 (en) Motion recongnition based cctv security lighting device using solar energies
CN110701531A (en)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LED street lamp
CN213420886U (en) Novel smart lamp pole is extended to draw-in groove
CN210568013U (en) Street lamp with multiple functions
KR101433718B1 (en) Advertising equipment using street lamp pole
CN216345979U (en) Multifunctional urban illumination solar LED street lamp
CN213518657U (en) Traffic camera monitoring equipment
CN210740130U (en) Modular intelligent street lamp capable of being freely combined
KR102343400B1 (en) Solar powered street light
US20250043583A1 (en) Multifunctional pole
CN220100860U (en) Road integrated pole with charging device
KR200462052Y1 (en) Mounting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CN111043549A (en) Extensible composite street lamp with antenna installation position
US20220383733A1 (en) Pedestrian traffic light with autonomous energy
JP3202623U (en) Assembly lighting system
KR200377912Y1 (en) traffic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