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5978B1 - 접이식 화환 받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화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78B1
KR102495978B1 KR1020200179522A KR20200179522A KR102495978B1 KR 102495978 B1 KR102495978 B1 KR 102495978B1 KR 1020200179522 A KR1020200179522 A KR 1020200179522A KR 20200179522 A KR20200179522 A KR 20200179522A KR 102495978 B1 KR102495978 B1 KR 10249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tension
front frame
support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754A (ko
Inventor
이윤희
강병숙
오정철
Original Assignee
이윤희
강병숙
오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강병숙, 오정철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102020017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는 전면프레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의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을 통해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확장프레임; '1'자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용회동수단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전면프레임의 상단과 확장프레임의 하단 결합부분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 상단과 확장프레임 하단의 접이용회동수단에 의한 결합 부분을 커버 지지하여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로 접히는 것을 억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화환 받침대{Wreath standing carrier}
본 발명은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환이 안착되거나 거치되도록 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이 회동 구조를 통하여 회동되면서 상호간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이동성과 보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환(花環)은 결혼식ㆍ개업식ㆍ장례식 등과 같은 경조사에 축하나 조의를 대신하여 보내는 것으로, 대개 화환은 대나무나 각목 등을 이용하여 화환대를 구성하고, 여기에 일명 오아시스를 부착한 다음, 각종 생화를 환형으로 꽂아 제작되며, 상부에는 축하 또는 조의 문구와 보내는 사람이 새겨진 리본이 부착된다.
그런데 대개의 화환은 생화를 사용하게 되므로 경조사에 한번 사용하고 나면 재활용 할 수 없어 거의 일회용으로 끝나버리게 되고, 이처럼 폐기되는 화환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가격에 비하여 활용도가 지극히 낮아 허례허식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화환과 같은 형태를 갖되 재활용 가능하도록 조화로 화환을 꾸미고, 대신 경조용 쌀이나 소금과 같은 선물을 함께 보내 축하나 조의로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 후에는 화환은 재활용하고 선물은 불우이웃에게 기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의미있는 일에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조화화환에 경조용 선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화환 받침대의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84470호(화환의 절첩식 화환설치대)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환설치대는, 제1지지대가 좌우대칭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 상하부에 좌우 지지대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제1고정가로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상하 제1고정가로대 사이 상측으로 걸림가로대가 형성된 전면프레임과, 제2지지대가 좌우대칭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대 상하부에 좌우 지지대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제2고정가로대가 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대의 상하 제2고정가로대 사이 상측으로 상기 걸림가로대에 선회되어 걸림되는 쌀거치대가 구비된 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이 절첩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 프레임 상단의 제1,2고정가로대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절첩경첩과, 확장지지대가 좌우대칭형성되고, 상기 확장지지대 상하부에 사이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확장가로대가 결합된 확장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가로대와 상기 확장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확장가로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에 상기 확장프레임이 결합되어 상기 확장프레임이 상기 전면프레임 측으로 선회작동되어 절첩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2절첩경첩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환 받침대는,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이 단순히 제2절첩경첩에 의해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질 뿐 펼쳐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한,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의 제2절첩경첩을 통한 연결 부분에 후면프레임이 제1절첩경첩을 통해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확장프레임에 안착되는 화환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후면프레임이 지지된다고 하더라도 제2절첩경첩 부분이 화환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어 전면프레임으로부터 확장프레임이 꺽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접이식 구조의 화환 받침대의 사용성이 저하되어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의 구조가 아닌 대형 크기의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된 화환 받침대가 사용됨에 따라 화환 받침대의 이동시 대형 차량이 필요하게 되고 보관시에도 많은 장소의 제약이 필요하게 되어 이동성, 보관성 및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이 회동수단을 통해 상호간 회동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확장프레임의 펼침시 고정수단에 의해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접힘 상태의 이동성과 보관성 및 펼침 상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는 전면프레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의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을 통해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확장프레임; '1'자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용회동수단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전면프레임의 상단과 확장프레임의 하단 결합부분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 상단과 확장프레임 하단의 접이용회동수단에 의한 결합 부분을 커버 지지하여 확장프레임이 전면프레임의 배면 부위로 접히는 것을 억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전면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 한 쌍의 수직봉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 및 한 쌍의 수직봉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수직봉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장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봉; 한 쌍의 확장봉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 및 한 쌍의 확장봉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확장봉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전면프레임의 안착봉 중 최상단의 안착봉의 중앙 부분에 지지용회동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봉을 포함하고, 지지봉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봉의 하단부와 전면프레임의 안착봉 중 최하단의 안착봉의 중앙 부분에는 와이어가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수단은, 수직봉 상단과 확장봉 하단을 동시에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에 돌출 구조로 연장되고 수직봉과 확장봉 각각의 슬라이딩홈에 요철 구조로 결합되어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플랜지; 및 슬라이더가 수직봉과 확장봉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더가 수직봉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세트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의 회동수단을 통해 상호간 회동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전면프레임에 대하여 확장프레임의 펼침시 고정수단에 의해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접힘 상태의 이동성과 보관성 및 펼침 상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화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화환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접이식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전면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접이식 화환 받침대가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화환 받침대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반적으로 지게 형상을 가지는 전면프레임(110),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반적으로 지게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로 18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확장프레임(130), '1'자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상부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50) 및 전면프레임(110)의 상단과 확장프레임(130)의 하단 결합부분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 상단과 확장프레임(130) 하단의 접이용회동수단(120)에 의한 결합 부분을 커버 지지하여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로 접히는 것을 억제하는 고정수단(160) 등을 포함한다.
전면프레임(11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반적으로 지게 형상을 가지고 화환 받침대로 제작시 전면에 구비되는 생화나 리본, 광고패널 등이 게재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111), 한 쌍의 수직봉(111)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112) 및 한 쌍의 수직봉(111)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160)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수단(160)이 한 쌍의 수직봉(111) 상단에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1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압출 제작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중공을 통하여 경량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프레임(13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반적으로 지게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 한 쌍의 수직봉(111) 상단에 하단이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직봉(111)의 배면 부위로 18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봉(131), 한 쌍의 확장봉(131)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132) 및 한 쌍의 확장봉(131)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160)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수단(160)이 한 쌍의 확장봉(131) 상단에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확장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압축 제작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중공을 통하여 경량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50)은, '1'자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복수개의 안착봉(112) 중 상측에 위치된 안착봉(112)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를 지지하여 전면프레임(110)과 확장프레임(130)이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안정감 있게 스탠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안착봉(112) 중 최상단의 안착봉(112)의 중앙 부분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봉(151)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5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압출 제작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중공을 통하여 경량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봉(151)의 하단부와 전면프레임(110)의 안착봉(112) 중 최하단의 안착봉(112)의 중앙 부분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 구성되어, 지지봉(151)의 지지 각도 임계치를 한정하고 지지용회동수단(140)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프레임(110), 확장프레임(130) 및 지지프레임(150)에 의하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에서 회동 및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5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을 소정 각도로 지지하는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인 화환의 받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정수단(160)은, 접이용회동수단(120)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전면프레임(110) 수직봉(111)의 상단과 한 쌍의 확장프레임(130) 확장봉(131)의 하단의 결합 부분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의 상단과 확장프레임(130)의 하단 결합부분을 커버 지지하여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로 접히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전면프레임(110) 수직봉(111)의 상단과 확장프레임(130) 확장봉(131) 하단을 동시에 커버하는 길이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이더(161), 슬라이더(161)에 돌출 구조로 연장되고 수직봉(111)과 확장봉(131) 각각의 슬라이딩홈(113,133)에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구조를 통하여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을 따라 슬라이더(161)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플랜지(162) 및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더(161)를 수직봉(111)의 상단에 가압 고정시키는 세트스크류(16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60)은, 슬라이더(161)의 정면에 세트스크류(163)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잡아 당겨지거나 원위치되는 구조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직봉(111)의 상단에 세트스크류(163)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세트스크류(163)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거나 래크기어가 구성되어, 세트스크류(163)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는 세트스크류(163)가 삽입공이나 래크기어로부터 이격되어 슬라이더(161)가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세트스크류(163)를 잡아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트스크류(163)가 삽입공이나 래크기어에 고정되어 슬라이더(161)가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슬라이더(161)를 이용한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보다 간단하게 결합부분의 커버 및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수단(160)에 의하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직선으로 회동 및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회동 결합 부분을 모두 커버한 후 세트스크류(163)에 의해 수직봉(111)에 가압 위치되는 것을 통하여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확장프레임(130)에 화환의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을 향해 꺽이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화환의 받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화환 받침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접이식 화환 받침대의 펼침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면프레임(110)의 수직봉(111)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하단이 결합된 확장프레임(130)의 확장봉(131)이 회동되어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이 직선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고정수단(160)의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의 상단부나 확장봉(131)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회동 결합 부분을 모두 커버하도록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슬라이딩홈(113,133)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된 후, 세트스크류(163)에 의해 수직봉(111)의 상단 부분에 가압 고정된다.
이후, 전면프레임(110)의 안착봉(112) 중 최상단 안착봉(112) 중앙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상단이 결합된 지지프레임(150)의 지지봉(151)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직선 상태로 고정 결합된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이 비스듬한 각도로 스탠딩된다.
이후,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에 결합된 각각의 안착봉(112,132)에 화환이 안착 설치된다.
따라서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직선으로 회동 및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수단(160)의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회동 결합 부분을 모두 커버한 후 세트스크류(163)에 의해 수직봉(111)에 가압 위치되는 것을 통하여 확장프레임(130)과 전면프레임(110)의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확장프레임(130)에 화환의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을 향해 꺽이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화환의 받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화환 받침대의 접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전면프레임(110)의 수직봉(111) 상단에 확장프레임(130)의 확장봉(131) 하단이 직선상으로 펼침 및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수단(160)의 슬라이더(161)에 가해지는 세트스크류(163)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의 상단부나 확장봉(131)의 하단부로 이동되어 슬라이더(161)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가지는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회동 결합 부분이 노출된다.
이후, 전면프레임(110)의 수직봉(111)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하단이 결합된 확장프레임(130)의 확장봉(131)이 원위치로 회동되어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이 접힌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전면프레임(110)의 배면을 소정의 각도로 지지한 지지프레임(150)의 지지봉(151)이 원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직선으로 회동 및 접혀지면서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형 화물 트럭이 아닌 소형 승용차를 통해서도 화환 받침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높이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높이가 높지 않은 공간에서도 보관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전면프레임(110)과 확장프레임(130)이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상호간 회동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확장프레임(130)의 펼침시 고정수단(160)에 의해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접힘 상태의 이동성과 보관성 및 펼침 상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는 전면프레임(110);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게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상단에 접이용회동수단(120)을 통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확장프레임(130); '1'자 형상을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상부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50); 및 전면프레임(110)의 상단과 확장프레임(130)의 하단 결합부분에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에 대하여 펼침 동작시 전면프레임(110) 상단과 확장프레임(130) 하단의 접이용회동수단(120)에 의한 결합 부분을 커버 지지하여 확장프레임(130)이 전면프레임(110)의 배면 부위로 접히는 것을 억제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하며,
    전면프레임(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111); 한 쌍의 수직봉(111)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112); 및 한 쌍의 수직봉(111)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160)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13)을 포함하고,
    수직봉(111)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며,
    확장프레임(1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확장봉(131); 한 쌍의 확장봉(131)이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고 화환이 안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봉(132); 및 한 쌍의 확장봉(131) 양측면 또는 정배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수단(160)이 요철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3)을 포함하고,
    확장봉(131)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며,
    고정수단(160)은,
    수직봉(111)의 상단과 확장봉(131) 하단을 동시에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더(161); 슬라이더(161)에 돌출 구조로 연장되고 수직봉(111)과 확장봉(131) 각각의 슬라이딩홈(113,133)에 요철 구조로 결합되어 슬라이더(161)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플랜지(162); 및 슬라이더(161)가 수직봉(111)과 확장봉(131)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더(161)를 수직봉(111)의 상단에 가압 고정시키는 세트스크류(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5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전면프레임(110)의 안착봉(112) 중 최상단의 안착봉(112)의 중앙 부분에 지지용회동수단(140)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봉(151)을 포함하고,
    지지봉(151)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봉(151)의 하단부와 전면프레임(110)의 안착봉(112) 중 최하단의 안착봉(112)의 중앙 부분에는 와이어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60)은,
    슬라이더(161)의 정면에 세트스크류(163)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잡아 당겨지거나 원위치되는 구조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직봉(111)의 상단에 세트스크류(163)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세트스크류(163)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거나 래크기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화환 받침대.
KR1020200179522A 2020-12-21 2020-12-21 접이식 화환 받침대 Active KR10249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22A KR102495978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화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22A KR102495978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화환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54A KR20220089754A (ko) 2022-06-29
KR102495978B1 true KR102495978B1 (ko) 2023-02-07

Family

ID=8227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22A Active KR102495978B1 (ko) 2020-12-21 2020-12-21 접이식 화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70B1 (ko) 2010-02-03 2010-09-30 양용규 화환의 절첩식 화환설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762A (ko) * 2010-04-22 2011-10-28 양용규 절첩식 화환설치대
KR101124157B1 (ko) * 2010-04-27 2012-03-27 도호준 절첩식 화환설치대
KR20130130940A (ko) * 2012-05-23 2013-12-03 신기준 분리형 화환대
KR101624544B1 (ko) * 2014-07-29 2016-05-26 유석찬 화환 지지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70B1 (ko) 2010-02-03 2010-09-30 양용규 화환의 절첩식 화환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54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536B2 (en) Cantilever umbrella
US6851564B2 (en) Multi-plane compound folding frame
CN110772066B (zh) 遮篷椅
US6488160B2 (en) Folding collapsible clothes rack
US8127890B2 (en) Flat-fold step stool
US6659224B2 (en) Articulating step assembly
US20160307557A1 (en) Acoustic panel assembly
US20090200255A1 (en) Clothes Line Assemblies
WO2012092773A1 (zh) 垂直升降滑动折叠框架
US20070131633A1 (en) Foldable set of shelves
US8413820B2 (en) Rack
EP0426742A1 (en) FOLDING TABLE.
CA3179945A1 (en) Canopy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with a canopy assembly
JPH0223164B2 (ko)
CN113892754A (zh) 伸缩折叠桌
KR102495978B1 (ko) 접이식 화환 받침대
US20090289017A1 (en) Transportable folding display rack
US2882913A (en) Portable, foldable and rollable cabana
US5624153A (en) Foldable chair
EP0300939A2 (fr) Dispositif de déploiement et escamotage en faux-plafond d'une literie ou similaire
CN216723618U (zh) 伸缩折叠桌
FR2680322A1 (fr) Ring de boxe mobile.
JPH10248675A (ja) テーブル展開チェア
AU2007254586A1 (en) Stowable clothes line assembly and cover
NL1005513C2 (nl) Montagehulp voor een fi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