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29B1 -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5229B1 KR102495229B1 KR1020210084515A KR20210084515A KR102495229B1 KR 102495229 B1 KR102495229 B1 KR 102495229B1 KR 1020210084515 A KR1020210084515 A KR 1020210084515A KR 20210084515 A KR20210084515 A KR 20210084515A KR 102495229 B1 KR102495229 B1 KR 1024952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needle bar
- groups
- sinker
- dou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73 artifici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4—Sink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가이드 바와 니들이 편성을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일측면에서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양쪽 가이드 바가 동일한 방향으로 래핑운동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양면 편성물을 편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분리된 2개의 편성물을 편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전후면 원단이 서로 결속되는 편성물을 편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1의 더블라셀기에서 전후면 원단이 서로 연결되는 편성물을 편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통상의 더블라셀기에 의해 만들어진 입체 편성물을 도시한 개념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입체 편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더블라셀기를 일측면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종래의 더블라셀기에서 경사편성에 위사를 삽입하는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삽입장치가 통상의 더블라셀기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 개념도,
도 12 내지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삽입장치가 통상의 더블라셀기에 배치된 상태를, 니들 바군, 싱커군, 및 핑거부가 좌우측에 측면도로 그리고 위사공급부와 싱커부 및 핑거부가 중앙에 평면도로 도시하여, 위사삽입장치에 의해 위사가 삽입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19도는 도 11의 위사삽입장치에 의해 위사가 삽입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0)
- 더블라셀기에 서로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의 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전후면 위사공급부(20b, 20f); 및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더블라셀기에 마련된 전후면 싱커군(30b, 30f)와 상기 전후면 위사공급부(20b, 20f) 각각에 마련된 위사토출관(21) 선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면 위사공급부(20b, 20f)에서 공급되어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따라 뻗어 있는 위사(T)를 경편성물에 삽입하는 전후면 위사용 핑거부(40b, 40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위사 위사공급부(20b, 20f) 각각은,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따라 뻗어 있는 슬라이더 베이스(22);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에 형성된 레일(23);
상기 레일(2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23)에 결합된 캐리어(24);
상기 캐리어(24)에 기단이 탑재되어 선단이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쪽으로 뻗어 있는 위사토출관(21);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풀리(25)와 피동풀리(26);
상기 구동풀리(25)와 상기 피동풀리(26)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감아 걸어진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캐리어(24)에 고정된 벨트(27);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에 탑재되어 상기 구동풀리(25)를 정역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제1정역모터 및
상기 더블라셀기의 본체에 해권가능하게 마련되어 해권된 위사가 상기 위사토출관(21)을 관통하게 되어 있는 위사보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위사용 핑거부(40b, 40f) 각각은,
상기 위사토출관(21)과 상기 전후면 싱커군(30b, 30f) 중 해당하는 싱커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따라 뻗어 상기 더블라셀기의 본체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정역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축(32); 및
상기 회전축(32)의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위사토출관(21)에 공급된 위사를 걸음하여 상기 전후면 싱커군(30b, 30f) 중 해당하는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건네어 줄 수 있게 열십자형의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핑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보빈에서 해권된 위사의 선단은 상기 위사토출관(21)의 기단측으로 통해서 선단측으로 나와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에 의해 경사편성된 편성물의 폭방향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후면 싱커군(30b, 30f)의 선단에는 상기 전후면 위사용 핑거부(40b, 40f)에서 건네어준 위사(T)를 일시적으로 걸음하여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의 훅에 건넬 수 있게 위사용 걸음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핑거(33)는 90도의 위상차를 두고서 4개의 래치홈(3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4항에 따른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더블라셀기 좌측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캐리어(24)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놓는 제1단계;
상기 위사보빈에 해권된 위사(T)의 선단이 상기 위사 토출관(21)을 관통하여 나와서 더블라셀기에 의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진 초기 경편성물 원단 좌측단에 고정되게 한 후에 상기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핑거(33) 중 좌측에 배치된 하나의 핑거(33)로 하여금 상기 위사(T)를 걸음되게 하면서 상기 위사(T)가 상기 위사 토출관(21)에 인접하게 하여, 세팅을 완료하는 제2단계;
캐리어(24)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위사(T)가 해권되면서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따라 뻗어 상기 위사 토출관(21)에 인접하게 되는 제3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해권되어 일자로 배열된 위사(T)를 후퇴된 전후면 싱커군(30f, 30b) 중 해당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상기 위사(T)가 마주하게 위치결정하는 제4단계;
상기 해당 싱커군을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 쪽으로 전진시켜 상기 위사(T)를 제압하면서 상기 위사(T)가 위사용 걸음홈(31)에 걸음되게 하는 제5단계;
경편성을 수행한 다음,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 중인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에 상기 걸음된 위사(T)가 진입하게 상기 해당 싱커군을 더 전진시키는 제6단계;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되었던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이 하강하여 해당 니들 바군의 훅이 상기 위사(T)를 포획하여 편성되고 있는 경편성물에 삽입함과 동시에 전진되었던 해당 싱커군이 후퇴하기 시작하게 되는 제7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좌측에 배치된 핑거(33)에 형성된 위사 고리를 벗기고 다음 코스 위사(T)를 대비하는 제8단계;
캐리어(24)를 맨우측에서 맨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제9단계;
캐리어(24)가 좌측에 위치결정되면, 한 쌍의 핑거(33)를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해권되어 일자로 배열된 위사(T)를 후퇴된 전후면 싱커군(30f, 30b) 중 해당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상기 위사(T)가 마주하게 위치결정하면서, 경편성을 수행한 다음,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 중인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에 상기 걸음된 위사(T)가 진입하게 상기 해당 싱커군을 더 전진시키는 제10단계;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되었던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이 하강하여 해당 니들 바군의 훅이 상기 위사(T)를 포획하여 편성되고 있는 경편성물에 삽입함과 동시에 전진되었던 해당 싱커군이 후퇴하기 시작하는 제11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우측에 배치된 핑거(33)에 형성된 위사 고리를 벗기고 다음 코스 위사(T)를 대비하면서 캐리어(24)를 맨좌측에서 맨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방법. - 더블라셀기에 서로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의 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위사공급부; 및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을 사이에 두고 상기 더블라셀기에 마련된 전후면 싱커군(30b, 30f) 중 어느 하나의 싱커군과 상기 위사공급부에 마련된 위사토출관(21) 선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위사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을 따라 뻗어 있는 위사(T)를 경편성물에 삽입하는 위사용 핑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공급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을 따라 뻗어 있는 슬라이더 베이스(22);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에 형성된 레일(23);
상기 레일(2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23)에 결합된 캐리어(24);
상기 캐리어(24)에 기단이 탑재되어 선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 쪽으로 뻗어 있는 위사토출관(21);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동풀리(25)와 피동풀리(26);
상기 구동풀리(25)와 상기 피동풀리(26)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감아 걸어진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캐리어(24)에 고정된 벨트(27);
상기 슬라이더 베이스(22)에 탑재되어 상기 구동풀리(25)를 정역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제1정역모터 및
상기 더블라셀기의 본체에 해권가능하게 마련되어 해권된 위사가 상기 위사토출관(21)을 관통하게 되어 있는 위사보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용 핑거부는,
상기 위사토출관(21)과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을 따라 뻗어 상기 더블라셀기의 본체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정역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구동되는 회전축(32); 및
상기 회전축(32)의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위사토출관(21)에 공급된 위사를 걸음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건네어 줄 수 있게 열십자형의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핑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보빈에서 해권된 위사의 선단은 상기 위사토출관(21)의 기단측으로 통해서 선단측으로 나와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에 의해 경편성된 경편성물의 폭방향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의 선단에는 상기 위사용 핑거부에서 건네어준 위사(T)를 일시적으로 걸음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의 훅에 건넬 수 있게 위사용 걸음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핑거(33)는 90도의 위상차를 두고서 4개의 래치홈(3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 제 9항에 따른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더블라셀기 좌측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캐리어(24)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놓는 제1단계;
상기 위사보빈에 해권된 위사(T)의 선단이 상기 위사 토출관(21)을 관통하여 나와서 더블라셀기에 의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진 초기 경편성물 원단 좌측단에 고정되게 한 후에 상기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핑거(33) 중 좌측에 배치된 하나의 핑거(33)로 하여금 상기 위사(T)를 걸음되게 하면서 상기 위사(T)가 상기 위사 토출관(21)에 인접하게 하여, 세팅을 완료하는 제2단계;
캐리어(24)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위사(T)가 해권되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을 따라 뻗어 상기 위사 토출관(21)에 인접하게 되는 제3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해권되어 일자로 배열된 위사(T)를 후퇴된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상기 위사(T)가 마주하게 위치결정하는 제4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을 상기 전후면 니들 바군(10b, 10f) 중 해당 니들 바군 쪽으로 전진시켜 상기 위사(T)를 제압하면서 상기 위사(T)가 위사용 걸음홈(31)에 걸음되게 하는 제5단계;
경편성을 수행한 다음,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 중인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에 상기 걸음된 위사(T)가 진입하게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을 더 전진시키는 제6단계;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되었던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이 하강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의 훅이 상기 위사(T)를 포획하여 편성되고 있는 경편성물에 삽입함과 동시에 전진되었던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이 후퇴하기 시작하게 되는 제7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좌측에 배치된 핑거(33)에 형성된 위사 고리를 벗기고 다음 코스 위사(T)를 대비하는 제8단계;
캐리어(24)를 맨우측에서 맨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제9단계;
캐리어(24)가 좌측에 위치결정되면, 한 쌍의 핑거(33)를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해권되어 일자로 배열된 위사(T)를 후퇴된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의 위사용 걸음홈(31)에 상기 위사(T)가 마주하게 위치결정하면서, 경편성을 수행한 다음,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 중인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에 상기 걸음된 위사(T)가 진입하게 상기 해당 싱커군을 더 전진시키는 제10단계;
위사를 경편성물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되었던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이 하강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니들 바군의 훅이 상기 위사(T)를 포획하여 편성되고 있는 경편성물에 삽입함과 동시에 전진되었던 상기 어느 하나의 싱커군이 후퇴하기 시작하는 제11단계;
한 쌍의 핑거(33)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우측에 배치된 핑거(33)에 형성된 위사 고리를 벗기고 다음 코스 위사(T)를 대비하면서 캐리어(24)를 맨좌측에서 맨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515A KR102495229B1 (ko) | 2021-06-29 | 2021-06-29 |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515A KR102495229B1 (ko) | 2021-06-29 | 2021-06-29 |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685A KR20230001685A (ko) | 2023-01-05 |
KR102495229B1 true KR102495229B1 (ko) | 2023-02-06 |
Family
ID=8492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515A Active KR102495229B1 (ko) | 2021-06-29 | 2021-06-29 |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522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0131Y1 (ko) | 2002-07-03 | 2002-09-28 | 주식회사 대림텍스 | 더블 랏셀 편직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8535Y1 (ko) * | 1991-02-07 | 1992-11-30 | 김해용 | 경편기의 위사공급장치 |
KR100451314B1 (ko) * | 2002-05-03 | 2004-10-06 | 주식회사 대림텍스 | 더블 랏셀 편직기 및 그 편물지 |
WO2009049434A1 (de) * | 2007-10-16 | 2009-04-23 | Textilma Ag | Kettenwirkmaschine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515A patent/KR1024952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0131Y1 (ko) | 2002-07-03 | 2002-09-28 | 주식회사 대림텍스 | 더블 랏셀 편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685A (ko) | 2023-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924649A (en) | Warp knitting machine | |
CN102859057B (zh) | 相邻的针织物部的接合方法及针织物 | |
US4986091A (en) | Process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ile ware | |
US4003222A (en) | Warp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looped cloth | |
KR102495229B1 (ko) | 더블라셀기에서의 위사삽입장치 및 방법 | |
TWI730121B (zh) | 經編針織機及用於製造經編針織織物的方法 | |
US4266411A (en) |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ush-loop warp knit fabric | |
US4069690A (en) | Knitting apparatus | |
EP3702501B1 (en) |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 |
US2042146A (en) | Milanese warp knitting machine | |
US2944412A (en) | Method of making pile fabrics | |
WO2015091200A1 (en) | Method for providing openings or holes in a weft knitted fabric with a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knitting, using a single feed or drop | |
US3675447A (en) | Simulated-weave, warp-knit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284905A (en) | Island | |
US3864943A (en) | Warp knitting or raschel machine | |
US2944413A (en) | Apparatus for making pile fabrics | |
US3861174A (en) | Apparatus for knitting | |
US2978887A (en) | Warp knitting machinery | |
CN104342837B (zh) | 用于在横机上制造针织物的方法 | |
US3222888A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rlocked looped fabric | |
US4449380A (en) | Warp knitted fabric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EP3008234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article, and article thus produced | |
US3013415A (en) | Solid color knitting machine and method | |
US284401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fabric | |
US3884054A (en) | Knit fabric incorporating a warp stitch wea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