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4436B1 - Medical scalpel unit - Google Patents

Medical scalpe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436B1
KR102494436B1 KR1020200103631A KR20200103631A KR102494436B1 KR 102494436 B1 KR102494436 B1 KR 102494436B1 KR 1020200103631 A KR1020200103631 A KR 1020200103631A KR 20200103631 A KR20200103631 A KR 20200103631A KR 102494436 B1 KR102494436 B1 KR 10249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lder
unit
main body
protru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2550A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436B1/en
Publication of KR2022002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3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ach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2017/321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extendable or retractable guard or bla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블레이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메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의 선단을 잡고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거나 블레이드의 후단을 들어 올려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는 방식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블레이드를 지지시켜 주는 홀더를 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로 구성하여, 사용중에는 홀더의 전체(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블레이드에 끼워져 있게 하고, 사용후 교체시에는 홀더의 전체가 블레이드에 끼워져 있지 않고 일부분(출몰형 고정부)의 끼움 상태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제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를 상기 끼움 상태가 해제된 공간을 통해 선단 쪽으로 전진시킨 후 쉽고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calpel unit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surgical blade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replaced, and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holder by holding the front end of the blade or forcibly separated from the holder by lifting the rear end of the blade. Unlike the prior art of, the holder supporting the blade is composed of a fixed holder part and a protruding holder part, so that the entire holder (fixed holder part and protruding holder part) is inserted into the blade during use, and is replaced after use. In this case, the entire holder is not inserted into the blade, and the inserted state of a part (appearing and retractable fixing part) is selectively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it is easy and convenient after advancing the blade toward the front end through the space where the fitted state is released. As it can be separated,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afety.

Description

의료용 메스 유닛{Medical scalpel unit}Medical scalpel unit {Medical scalpel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메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용 블레이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메스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calpe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scalpel uni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surgical blade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replaced.

외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의료용 메스 유닛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를 절개할 때 필요한 도구인 수술용 블레이드(200;surgical blade)와, 피부절개시 예상보다 많은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 수술용 블레이드(200)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홀더(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medical scalpel unit used in surgery requires a surgical blade (200), which is a tool necessary for skin incision, and more force than expected in skin incision, so it is It includes a holder 100 that allows the surgical blade 200 to be inserted and used.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은, 수술용 블레이드(200)의 중앙부위에 기다란 홈(210)이 파여져 있고, 뒤쪽이 홀더(10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00)는 상기 수술용 블레이드(200)의 홈(210)의 길이만큼 튀어나온 직사각형의 돌출리브(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도 2의 (a) 및 (b)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수술용 블레이드(200)의 끼움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그 수술용 블레이드(200)와 하나의 일체형의 기구를 형성하여 높은 피부장력에도 흔들리지 않고 원하는 절개과 박리를 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conventional medical scalpel unit, a long groove 210 is dug in the center of a surgical blade 200, and the back side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holder 100. In addition, the holder 100 includes a rectangular protruding rib 110 protruding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groove 210 of the surgical blade 200, the process as shown in (a) and (b) of FIG. By enabling the insertion and coupling of the surgical blade 200, and by forming an integral mechanism with the surgical blade 20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esired incision and peeling without being shaken even under high skin tens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은, 수술이 마친뒤에 다시 블레이드(200)를 홀더(100)에서 분리하여야 하는데, 도 2의 (c)와 같이 홀더(100)의 일측에 끼워져있는 블레이드(200)의 뒤편을 한쪽 손가락으로 들어올려 다른 손을 이용하여 앞쪽으로 잡아당겨 빼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칼에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However, in such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lade 200 must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again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00), it has caused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in the process, the case of being injured by a knife has frequently occurr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852007호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852007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9-0040932호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9-004093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용 블레이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scalpel unit capable of safely and conveniently replacing surgical blad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은, 수술시 조직을 끊거나 자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파지 및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그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 홀더부; 및 상기 고정형 홀더부와 함께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와 고정형 홀더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께 조절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형 홀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ut or cut tissue during surgery, and includes a main body part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grip and handle it; a fixed holder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having a replaceable blade installed thereon, and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part so that position cannot be moved; And a protruding and retractable holder part for supporting the blade together with the fixed holder part, which is installed to be protruding and retract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thickness when viewed from the bas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fixed holder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그 블레이드를 고정형 홀더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retractable holder so as to separate the blade from the fixed holder at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lade. .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조작부의 출몰시 상기 출몰형 홀더부도 함께 출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와 출몰형 홀더부를 연결시키는 연결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in the main body,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retractable type holder so that when the control unit protrudes and retracts, the retractable holder unit also protrudes and retract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ng bar for connecting the holder part.

상기 출몰형 홀더부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part.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끼움 결합되는 끼움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는 상기 조작부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끼움슬릿에 대한 끼움 상태가 해제되어서, 그 블레이드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ade includes a fitting slit that is fitt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holder part and the protruding holder par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holder part is attached to the fitting slit of the blade when a pressing force acts on the opera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ensure a sliding space that allows the blade to be sli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fitted state is released.

상기 블레이드의 끼움슬릿은, 상기 고정형 홀더부를 수용하는 제1슬릿 및 그 제1슬릿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형 홀더부는, 상기 제2슬릿을 한정하는 내측리브들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ion slit of the blade preferably includes a first slit accommodating the fixed holder part and a second slit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slit, and the fixed holder part defines the second sl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tting groove for suppressing any separation of the blade by being fitted with the inner rib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은, 블레이드의 선단을 잡고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거나 블레이드의 후단을 들어 올려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는 방식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블레이드를 지지시켜 주는 홀더를 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로 구성하여, 사용중에는 홀더의 전체(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블레이드에 끼워져 있게 하고, 사용후 교체시에는 홀더의 전체가 블레이드에 끼워져 있지 않고 일부분(출몰형 고정부)의 끼움 상태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제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를 상기 끼움 상태가 해제된 공간을 통해 선단 쪽으로 전진시킨 후 쉽고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method of forcibly separating the blade from the holder by holding the front end or lifting the rear end of the blade to forcibly separate the blade from the holder by supporting the blade. The main holder is composed of a fixed holder part and a protruding holder part, so that the entire holder (fixed holder part and protruding holder part) is inserted into the blade during use, and when replacing after use, the entire holder is not inserted into the blade. By allowing the fitted state of a part (protruding fixing part) to be selectively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blade can be moved forward toward the front end through the space where the fitted state is released and then separated easily and conveniently, user convenience 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메스 유닛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중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중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블레이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시예에 채용된 블레이드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의 구조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upling and separating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blade among th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blade among th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bining blades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blad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ocess of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natural that they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quivalent inven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 means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which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중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중 블레이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블레이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시예에 채용된 블레이드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blade among th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ade among th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lad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ad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은, 수술시 조직을 끊거나 자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부(1)와 고정형 홀더부(2)와 출몰형 홀더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ut or cut tissue during surgery, and includes a main body part 1 and a fixed holder part 2. It comprises a mold holder part (3).

상기 본체부(1)는, 사용자의 파지 및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portion 1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handle it,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having excellent strength.

상기 고정형 홀더부(2)는, 상기 본체부(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그 본체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5)가 설치된다. The fixed holder part 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art 1 so that the position cannot be moved, and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1. Replaceable blades 5 are installed.

상기 출몰형 홀더부(3)는, 상기 고정형 홀더부(2)와 함께 상기 블레이드(5)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 홀더부(2)와는 달리, 상기 본체부(1)와 고정형 홀더부(2)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께 조절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protruding holder part 3 is for supporting the blade 5 together with the fixed holder part 2, and unlike the fixed holder part 2, which cannot be moved, the main body part 1 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emerge and exi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when viewed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and the fixed holder part 2.

본 발명은 후술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몰형 홀더부를 눌러 블레이드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블레이드(5)에 접촉되게 하지 않고도 그 블레이드(5)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조작부(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blade by pressing the protruding holder por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the blade (5) without bringing the user's finger into contact with the blade (5). 5) is preferably formed by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4 that enables separation.

즉, 상기 조작부(4)는, 상기 본체부(1)의 상기 출몰형 홀더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3)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블레이드(5)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그 블레이드(5)를 고정형 홀더부(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도 5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를 누르게 되면, 그 조작부(4)에 연결되어 있는 출몰형 홀더부(3)가 조작부(4)와 함께 작동됨에 따라, 출몰형 홀더부(3)에 끼워져 있는 블레이드(5)의 끼움 상태가 해제되어 그 블레이드(5)가 쉽고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That is, the manipulation unit 4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part 3 of the main body part 1 and is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part 3, so that the blade ( 5), the blade 5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ed holder part 2 at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contact. That is, as well shown in FIGS. 5 and 8 ,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rol unit 4, the retractable holder 3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 operates together with the control unit 4. Accordingly, the insertion state of the blade 5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holder part 3 is released, and the blade 5 is placed in an environment where i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eparated.

즉, 상기 블레이드(5)는 상기 고정형 홀더부(2)와 출몰형 홀더부(3)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끼움 결합되는 끼움슬릿(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3)는 상기 조작부(4)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5)의 끼움슬릿(50)에 대한 끼움 상태가 해제되어서, 그 블레이드(5)를 본체부(1)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blade 5 preferably includes a fitting slit 50 fitted together in a state where the fixed holder part 2 and the protruding type holder part 3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type holder part 3 Holder part 3, when the pressing force acts on the manipulation part 4, the state of fitting the blade 5 to the fitting slit 50 is released, and the blade 5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1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secure a sliding space that can be separated by slid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은, 블레이드(5)의 선단을 잡고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거나 블레이드(5)의 후단을 들어 올려 홀더로부터 강제 분리시키는 방식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블레이드(5)를 지지시켜 주는 홀더를 고정형 홀더부(2)와 출몰형 홀더부(3)로 구성하여, 사용중에는 도 7과 같이, 홀더의 전체(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블레이드(5)에 끼워져 있게 하고, 사용후 교체시에는 도 8과 같이, 홀더의 전체가 블레이드(5)에 끼워져 있지 않고 일부분(출몰형 홀더부)의 끼움 상태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제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5)를 상기 끼움 상태가 해제된 공간을 통해 선단 쪽으로 전진시킨 후 쉽고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e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method of holding the front end of the blade 5 and forcibly separating it from the holder or lifting the rear end of the blade 5 and forcibly separating it from the holder. Unlike, the holder for supporting the blade 5 is composed of a fixed holder part 2 and a protruding holder part 3, and during use, as shown in FIG. 7, the entire holder (fixed holder part and protruding holder part ) is inserted into the blade 5, and when replacing after use, as shown in FIG. By being released, the blade 5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eparated after advancing toward the front end through the space in which the fitted state is released, so that user convenience and safety can be improved. Advantages can be expected.

한편, 상기 조작부(4)는 반복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되, 탄성부재(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4 is installed so as to emerge and descend from the main body 1 so as to enable repetitive opera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6 .

그리고, 본 실시예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4)와 출몰형 홀더부(3)를 연결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조작부(4)와 출몰형 홀더부(3)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도 함께 출몰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블레이드(5)에 손을 대지 않고도 그 블레이드(5)의 출몰형 홀더부(3)에 대한 끼움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operating unit 4 and the emerging and retracting holder unit 3,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ing unit 4 and the emerging and retracting holder unit 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so, it is possible to make it appear and retract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fitted state of the blade (5) to the protruding and retractable holder part (3) without touching the blade (5).

본 실시예는 이러한 출몰형 홀더부(3)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6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part 3 .

그리고, 도 3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의 끼움슬릿(50)은 상기 고정홍 홀더부를 수용하는 제1슬릿(51) 및 그 제1슬릿(51)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슬릿(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형 홀더부(2)는 상기 제2슬릿(52)을 한정하는 내측리브(52a)들이 끼워짐으로써 블레이드(5)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s well shown in FIGS. 3 and 6, the fitting slit 50 of the blade 5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lit 51 accommodating the fixed Hong holder and the first slit 51. It includes a second slit 52 formed to have, and the fixed holder part 2 is fitted with inner ribs 52a defining the second slit 52 to prevent arbitrary separation of the blade 5. It is made including a fitting groove to suppress.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의 제1슬릿(51)에 고정형 홀더부(2)를 수용시키고,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5)를 본체부(1)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블레이드(5)의 제2슬릿(52)을 한정하는 내측리브(52a)들이 고정형 홀더부(2)의 끼움홈에 견고히 끼워지게 함으로써, 블레이드(5)를 고정형 홀더부(2)에 더욱 쉽고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6, the fixed holder part 2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lit 51 of the blade 5, and in this state, the blade 5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inner ribs 52a defining the second slit 52 of the blade 5 by sliding toward the part 1 are firm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fixed holder part 2, thereby moving the blade 5 to the fixed holder part. (2)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combine.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메스 유닛의 구조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ocess of a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조작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별개로 마련되어서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과는 달리, 출몰형 홀더부가 조작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하였다.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 which the control unit and the retractable holder are provided separately and are configured to be dynam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emergence and retraction hol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본체부 2:고정형 홀더부
3:출몰형 홀더부 4:조작부
5:블레이드 50:끼움슬릿
51:제1슬릿 52:제2슬릿
52a:내측리브 6,62:탄성부재
1: body part 2: fixed holder part
3: Appearance type holder part 4: Control part
5: blade 50: fitting slit
51: first slit 52: second slit
52a: inner rib 6,62: elastic member

Claims (6)

삭제delete 수술시 조직을 끊거나 자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파지 및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그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 홀더부;
상기 고정형 홀더부와 함께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와 고정형 홀더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께 조절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형 홀더부; 및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그 블레이드를 고정형 홀더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
It is used to break or cut tissue during surgery.
a main body part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grip and handle the body;
a fixed holder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having a replaceable blade installed thereon, and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part so that position cannot be moved;
a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portion installed to support the blade together with the fixed holder portion and to be protruding and retract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when viewed from the base of either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fixed holder portion; and
and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retractable holder unit so as to separate the blade from the fixed holder unit at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lad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조작부의 출몰시 상기 출몰형 홀더부도 함께 출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와 출몰형 홀더부를 연결시키는 연결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
According to claim 2,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emerge and descend from the main body,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bar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retractable holder unit so that when the operation unit protrudes and retracts, the retractable holder unit also protrudes and retracts. Medical scalpe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형 홀더부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
According to claim 3,
The medical scalpe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고정형 홀더부와 출몰형 홀더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끼움 결합되는 끼움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출몰형 홀더부는 상기 조작부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끼움슬릿에 대한 끼움 상태가 해제되어서, 그 블레이드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슬라이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
According to claim 2,
The blade includes a fitting slit that is fitt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holder part and the protruding holder par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rotruding holder unit is configured to secure a sliding space in which the insertion state of the blade to the fitting slit is released when a pressing force acts on the manipulation unit, so that the blade can be sli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unit. Characterized by a medical scalpel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끼움슬릿은, 상기 고정형 홀더부를 수용하는 제1슬릿 및 그 제1슬릿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형 홀더부는, 상기 제2슬릿을 한정하는 내측리브들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메스 유닛.
According to claim 4,
The fitting slit of the blade includes a first slit accommodating the fixed holder portion and a second slit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slit,
The medical scalpel un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xed holder par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inner ribs defining the second slit are inserted to suppress random separation of the blade.
KR1020200103631A 2020-08-19 2020-08-19 Medical scalpel unit Active KR102494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31A KR102494436B1 (en) 2020-08-19 2020-08-19 Medical scalpe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31A KR102494436B1 (en) 2020-08-19 2020-08-19 Medical scalpe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50A KR20220022550A (en) 2022-02-28
KR102494436B1 true KR102494436B1 (en) 2023-01-31

Family

ID=8049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31A Active KR102494436B1 (en) 2020-08-19 2020-08-19 Medical scalpe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4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2979A (en) 2006-12-19 2010-04-30 メディパーパ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Safety knife with replaceable blade cartridge and safety brake
US20130319446A1 (en) 2011-02-14 2013-12-05 Allan Hedger Ingrown toenail cut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97A (en) * 1998-11-02 2000-06-05 문천호 Scalpel for dentistry
CN101094616B (en) * 2004-10-29 2010-09-15 医用私人有限公司 Safety scalpel
KR20060085096A (en) * 2005-01-22 2006-07-26 (주)한국과기산업 Scalpel Blade Eliminator
KR101852007B1 (en) 2010-06-28 2018-04-26 메디퍼포즈 피티이. 엘티디. Safety scalpel
US20140059863A1 (en) * 2011-09-02 2014-03-06 Feather Safety Razor Co., Ltd. Cutter
WO2018030954A1 (en) 2016-08-12 2018-02-15 Medipurpose Pte Ltd. Safety scalpel with replaceable blade cartridge
KR20210020560A (en)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Medical scalp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2979A (en) 2006-12-19 2010-04-30 メディパーパ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Safety knife with replaceable blade cartridge and safety brake
US20130319446A1 (en) 2011-02-14 2013-12-05 Allan Hedger Ingrown toenail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50A (en)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748A (en) Retractable-bladed surgical scalpel
CA2150575C (en) Retractable surgical knife
US6022364A (en) Disposable surgical safety scalpel
US5481804A (en) Retractable-bladed knife
US5423843A (en) Retractable surgical knife
US5403337A (en) Retractable-bladed surgical scalpel
US8819943B2 (en) Safety scalpel
US7810241B2 (en) Shielded scalpel
EP2434967B1 (en) Blade unit for surgical scalpel
CA2161058C (en) Guarded surgical scalpel
US5779724A (en) Retractable surgical knife
US5569282A (en) Retractable surgical knife
CA2491795A1 (en) Slotted pins guiding knife in a curved cutter stapler
EP3701886B1 (en) Reload assembly for circular stapling device
US10376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CN115151200A (en) Stapling device having a staple cartridge assembly with alignment pins
KR102494436B1 (en) Medical scalpel unit
US11141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US20100063418A1 (en) Lancing device for taking blood, comprising a leg spring
JP2005040573A (en) Disposable surgical scalpel
US20140052165A1 (en) Interchangeable surgical scalpel
US11779343B2 (en) Staple reload assembly with releasable knife
CN113208698A (en) Multifunctional bone joint cutting and stripping device
JP2017525535A (en) Surgical forceps jaw brace with orientation indication
CN116942265B (en) scalp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