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4120B1 -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120B1
KR102494120B1 KR1020200165545A KR20200165545A KR102494120B1 KR 102494120 B1 KR102494120 B1 KR 102494120B1 KR 1020200165545 A KR1020200165545 A KR 1020200165545A KR 20200165545 A KR20200165545 A KR 20200165545A KR 102494120 B1 KR102494120 B1 KR 10249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water tank
filter body
purified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745A (ko
Inventor
정휘동
황필강
이경수
주진우
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20016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120B1/ko
Priority to PCT/KR2021/017676 priority patent/WO2022119251A1/ko
Priority to US18/039,956 priority patent/US20240024802A1/en
Publication of KR2022007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1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공급되는 인렛 포트(inlet port)와 정제된 상기 원수를 출수 시키는 아웃렛 포트(outlet port)가 형성된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보관되는 정수 탱크, 상기 필터 본체 및 정수 탱크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필터 본체 또는 정수 탱크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FILTER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저장 및 정제하는 정수 탱크(tank)와 필터가 케이스 내에 설치된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수를 정제하여 양질의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도수로부터 미생물, 광물질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상기 수도수를 정제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필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021호(2011.01.31.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정수시스템용 정수필터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는 필터에 체결된 캡에 유입부 및 유출부가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유출부가 한 쌍의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가 상기 한 쌍의 홀더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캡을 회전시켜서, 상기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정수기 기능을 겸비한 냉장고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장고에도 상기 정수기 기능을 위한 상기 필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 또는 상기 냉장고와 같은 가전기기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필터 등의 기타 구성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한 공간확보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021호(2011.01.31. 공개일)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기 또는 냉장고의 한정된 공간에 정수의 정수 탱크와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특정 구조로 개선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정수 탱크와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의 특정 배치 구조에 의한 정수 탱크 또는 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인렛 포트(inlet port)와 정제된 상기 원수를 출수 시키는 아웃렛 포트(outlet port)가 형성된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보관되는 정수 탱크;
상기 필터 본체 및 정수 탱크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필터 본체 또는 정수 탱크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연장 밀착부; 및
상기 연장 밀착부로부터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의 체결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 구속부 및 체결수단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필터 본체 및 정수 탱크와 상호 체결이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 돌출되는 돌기 또는 리브(lib)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체결수단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예를 들어, 스크류 결합을 위한 체결홀 또는 가압식 체결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체결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부는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이 만곡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가, 지면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결합되는 경우에 하중에 의한 무게중심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탱크는,
상기 필터 본체의 아웃렛 포트(outlet port)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수가 유입되는 정제수 유입부; 및
외부로 상기 정제수가 출수되는 정제수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정수 탱크가 수용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갖고 형성되고, 상기 필터 본체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케이스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탱크는 상기 제1 케이스에 보관되되, 지면에 대해서 적어도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에는 밸브(valve)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예를 들어 DC 밸브 또는 AC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정수가 상기 정수 탱크로 연결되는 연결부위 및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상기 정수는 상기 벨브를 통하여 이빙을 위한 제빙기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본체의 하측에는 낙수되는 물을 보관하는 드레인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정수기 또는 냉장고의 한정된 공간에 정수의 정수 탱크와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를 장착 가능한 특정 구조로 개선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정수 탱크와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의 특정 배치 구조에 의한 정수 탱크 또는 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 본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탱크가 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의 부분 확대도들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탱크가 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들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 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 어셈블리(10)이 설치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된 본체(7)와, 본체(7)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8A, 8B, 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일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어(8A, 8B,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A, 8B)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장실 도어(8A, 8B)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냉장실 도어(8A)와,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를 개폐하는 제2 냉장실 도어(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장실 도어(8A)는 좌측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냉장실의 좌측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우측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냉장실의 우측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1 냉장실 도어(8A)는 제2 냉장실 도어(8B)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제1 냉장실 도어(8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9)는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내부의 우측방 상부에는 정수필터 어셈블리(1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정수필터 어셈블리(10)은 상기 냉장실 내부의 좌측방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 내부의 우측방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동실 내부의 좌측방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이 구비되지 않고 냉동실만 구비된 냉동고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냉장실만 구비된 냉장고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되지 않고 두 개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부에 냉장실이 구비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에 양측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두 개의 도어(8A, 8B)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 전후로 슬라이딩 되어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도어(9)가 구비된 FDR(French Door Refrigerator) 타입의 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FDR 타입의 냉장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도어가 양측으로 열리는 SBS(Side By Side) 도어 타입의 냉장고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어느 하나를 제1 컴파트먼트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컴파트먼트로 정의할 시, 정수필터 어셈블리(10)은 상기 제1 컴파트먼트 또는 상기 제2 컴파트먼트 내부의 측방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필터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정제되는 필터 본체(500), 필터 본체(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정제된 상기 원수가 보관되는 정수 탱크(300),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 및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는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는 기 설정된 각도로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냉장고 또는 냉동실에 배치될 때 외부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절곡된 연결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상기 냉장고 또는 냉동실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 하나의 공간에 필터와 물탱크가 한 곳에 보관되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에는 필터 본체(5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어 정제되는 공간으로, 필터 본체(5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케이스(12)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필터 본체(50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는 제2 케이스(12)에 배치된 상태로 정수 탱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필터 본체(500)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정수 탱크(300)로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에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인렛 포트(210) 및 상기 원수가 배출되는 아웃렛 포트(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의 인렛 포트(210)에는 제3 연결 배관(H3)가 연결되고 아웃렛 포트(220)에는 보조 배관(H0)을 통하여 제1 연결 배관(H1)가 연결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의 아웃렛 포트(220)에 보조 배관(H0)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 연결 배관(H1)의 연결 부위에는 AC 밸브(13)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는 제2 케이스(12)에 체결부재(12-1)를 통하여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정수 탱크(300)에는 필터 본체(500)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정제수 유입부(310) 및 상기 원수가 배출되는 정제수 유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정수 탱크(300)의 정제수 유입부(310)에는 필터 본체(500)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AC 밸브(13)를 경유하여 정수 탱크(300)로 유입되도록 제4 연결 배관(H4)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정제되는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 및 필터 본체(500)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된 상기 원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본체(500)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복수의 체결부재(12-2)를 통하여 제2 케이스(120) 내면 하측 부위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는 상호 수직 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필터 본체(500)와 정수 탱크(300)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본체(500)에는 전술한 인렛 포트(210)가 형성되고, 인렛 포트(210)에 연결되는 제3 연결 배관(H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는 필터 본체(500)의 인렛 포트(210)을 통하여 유입되어 정제된 후에 아웃렛 포트(220)에 보조 배관(H0)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 연결 배관(H1)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 배관(H1) 상에는 AC 밸브(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AC 밸브(13)를 통하여 정제된 상기 원수는 제1 연결 배관(H1)의 일단에 연결되는, 외부의 장치, 예를 들어 제빙기(미도시)로 직접 연결되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연결 배관(H4)는 제1 연결 배관(H1) 상에 형성되는 AC 밸브(13)로부터 분지되어 정수 탱크(300)로 연결되는 관으로써, AC 밸브(13)로부터 연장되어 정수 탱크(300)의 정제수 유입부(310)을 통하여 정수 탱크(300)로 연결될 수 있다. AC 밸브(13)는 신호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며 유량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수 탱크(300)의 정제수 유입부(310)을 통하여 유입되는 필터 본체(500)에서 정제된 상기 원수는 정수 탱크(300)의 정제수 유출부(320)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펜서 등으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 및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가 수직으로 연결 배치되는 구조에서, 나아가 제1 케이스(11)에 경사 배치되는 정수 탱크(300)에 의하여 공간적인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정수 탱크(300)는 제1 케이스(11) 상에서 지면에 대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된 배치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설치 공간(Space)에 추가적으로 내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적인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 및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가 수직으로 연결 배치되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제1 케이스(11)에 정수 탱크(300)의 일측이 반대편 타측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탱크(300)의 경사 배치 구조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 별도의 설치 공간(Space)이 확보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 공간(Space)에는 AC 밸브(14)를 포함하는 기타 배관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정수 탱크(300)는 일측 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갖고, 상기 일측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케이스(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배치된 부위를 통하여 제공되는 설치 공간(Space)에 각종 밸브 및 배관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정수 탱크(300)의 효율적인 경사 배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탱크(300)에는 복수의 지지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사 배치되는 정수 탱크(300)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7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탱크가 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의 부분 확대도들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탱크가 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정제되는 필터 본체(500), 필터 본체(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정제된 상기 원수가 보관되는 정수 탱크(300), 필터 본체(500)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12) 및 정수 탱크(300)가 보관되는 제1 케이스(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탱크(300)는 제1 케이스(11) 상에서 지면에 대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정수 탱크(300)는 제1 케이스(11)에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체 하중에 의한 무게중심에 대해서 일정 부위에 편심되어 무게중심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는 정수 탱크(300)의 상측 부위에 하측 부위의 양단부에 상기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700)를 형성시킴으로써, 편중된 무게중심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어셈블리(10)의 정수 탱크(300)는 제1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지지부(7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제1 케이스(11)의 내면 부위 중, 경사 배치되는 정수 탱크(30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00)는 제1 케이스(1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정수 탱크(300)에는 볼트(3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3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부위의 지지부(700)에도 체결홀(7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정수 탱크(300)의 상단 및 하단의 양측 단부 부위에는 일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체결수단(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탱크(300)의 체결수단(330) 중심 부위에는 지지부(700)와의 체결을 고려하여 볼트(30)가 삽입되는 체결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500)는 정수 탱크(300) 또는 필터 본체(500)의 일측을 지지하는 만곡면(711)이 형성된 연장 밀착부(710) 및 연장 밀착부(710)로부터 정수 탱크(300) 또는 필터 본체(500)의 체결수단(330)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속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속부(720)의 중심 부위에는 정수 탱크(300)의 체결홀(311)을 관통하여 스크류 체결되는 볼트(30)가 삽입되는 체결홀(7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본체(5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연장 밀착부(710)의 만곡면(711)의 형상은 필터 본체(500)의 접촉 부위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 구속부(720)에는 소정의 길이로 상향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스톱퍼(7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부(720)의 스톱퍼(721)는 정수 탱크(300)의 체결수단(330)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탱크(300)는 제1 케이스(11)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구속부(720)에 형성되는 스톱퍼(721)는 정수 탱크(300)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33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체결수단(330)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정수 탱크(300)의 일측이 하측으로 항하고 타측이 상측으로 향하는 구조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속부(720)의 스톱퍼(721) 중 정수 탱크(3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스톱퍼(7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배치되는 정수 탱크(30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330)의 상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하부측에 형성되는 스톱퍼(7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배치되는 정수 탱크(30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3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 탱크(300)가 제1 케이스(110)에 형성된 지지부(700)에 안정적으로 유동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700)의 스톱퍼(721)는 정수 탱크(3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에 따라 편심되어 변경되는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정수 탱크(300)의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700)의 스톱퍼(721)의 형상을 상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 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에는 헤드부(200)가 구비된다. 헤드부(200)는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에서 위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0)에는 인렛 포트(210) 및 아웃렛 포트(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 및 아웃렛 포트(220)는 헤드부(200)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 및 아웃렛 포트(2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는 헤드부(200)의 둘레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아웃렛 포트(220)는 헤드부(200)의 둘레 타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 및 아웃렛 포트(220)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아웃렛 포트(220)에는 필터 본체(1) 내에서 정제된 출수가 유출될 수 있다. 인렛 포트(210)를 통해 필터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 케이스(100) 내에서 정제된 후 아웃렛 포트(220)를 통해 필터 본체(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정수필터 어셈블리
11: 제1 케이스 12: 제2 케이스
13: AC 밸브 14: DC 밸브
15: 커버 30: 볼트
100: 필터 어셈블리 200: 헤드부
210: 인렛 포트 220: 아웃렛 포트
300: 정수 탱크 310: 정제수 유입부
320: 정제수 유출부 330: 체결수단
311: 체결홀 500: 필터 본체
700: 지지부 710: 연장 밀착부
711: 만곡면 720: 구속부
721: 스톱퍼 722: 체결홀
Space: 밸브 설치 공간 H1: 제1 연결호스
H2: 제2 연결호스 H3: 제3 연결호스
H4: 제4 연결호스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인렛 포트(inlet port)와 정제된 상기 원수를 출수 시키는 아웃렛 포트(outlet port)가 형성된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상기 원수가 보관되는 정수 탱크;
    상기 필터 본체 및 정수 탱크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필터 본체 또는 정수 탱크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연장 밀착부;와 상기 연장 밀착부로부터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의 체결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소정의 길이로 상향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스톱퍼가 형성되어 정수 탱크의 상기 체결수단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 탱크 또는 필터 본체가, 지면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결합되는 경우에 하중에 의한 무게중심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구속부 및 체결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 또는 리브(lib) 형상인 정수필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체결수단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체결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이 만곡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는,
    상기 필터 본체의 아웃렛 포트(outlet port)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수가 유입되는 정제수 유입부; 및
    외부로 상기 정제수가 출수되는 정제수 유출부;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정수 탱크가 수용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갖고 형성되고, 상기 필터 본체가 보관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케이스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는 상기 제1 케이스에 보관되되, 지면에 대해서 적어도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밸브(valve)가 배치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DC 밸브 또는 AC 밸브인 정수필터 어셈블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정수가 상기 정수 탱크로 배출되는 연결부위 및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로부터 정제된 상기 정수는 상기 벨브를 통하여 이빙을 위한 제빙기로 직접 공급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의 하측에는 낙수되는 물을 보관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정수필터 어셈블리.
KR1020200165545A 2020-12-01 2020-12-01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ctive KR10249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45A KR102494120B1 (ko) 2020-12-01 2020-12-01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21/017676 WO2022119251A1 (ko) 2020-12-01 2021-11-26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8/039,956 US20240024802A1 (en) 2020-12-01 2021-11-26 Filter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45A KR102494120B1 (ko) 2020-12-01 2020-12-01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45A KR20220076745A (ko) 2022-06-08
KR102494120B1 true KR102494120B1 (ko) 2023-01-31

Family

ID=8198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45A Active KR102494120B1 (ko) 2020-12-01 2020-12-01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1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82B1 (ko) * 2008-10-30 2009-08-10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WO2016056594A1 (ja) * 2014-10-08 2016-04-14 東レ株式会社 浄水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021U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수시스템용 정수필터 결합구조
KR20120041450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71130B1 (ko) * 2018-03-14 2020-01-29 이평호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정수기
KR20200074500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82B1 (ko) * 2008-10-30 2009-08-10 주식회사 승광 정수기
WO2016056594A1 (ja) * 2014-10-08 2016-04-14 東レ株式会社 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4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7962B (zh) 具有外置型净水过滤器箱体的冰箱
EP2206996B1 (en) Refrigerator having a water filter device
KR20070009937A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CN107235566A (zh) 水净化设备和冰箱
KR20110092869A (ko) 세정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CN103134261A (zh) 冰箱
CN104019622A (zh) 装备有产生碳酸水的设备的冰箱
KR102494120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5026859A (zh) 装备有制作碳酸水的设备的冰箱
KR102603074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7247699U (zh) 冰箱
KR102493792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0062833A1 (zh) 水箱组件及冰箱
KR200360765Y1 (ko) 가방형 가정용 정수기
KR102662368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9235797U (zh) 气泡水机
CN100498144C (zh) 具有分配器的冰箱
US20240024802A1 (en) Filter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460233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er assembly
EP1624264B1 (en)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tubular element
KR200420880Y1 (ko)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KR100322656B1 (ko) 정수기
KR200412949Y1 (ko) 음용수 공급장치
CN100561086C (zh) 冰箱用分配器的给水罐安装结构
CN208167871U (zh) 一种配套用小型饮用水储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