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4045B1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45B1
KR102494045B1 KR1020220008367A KR20220008367A KR102494045B1 KR 102494045 B1 KR102494045 B1 KR 102494045B1 KR 1020220008367 A KR1020220008367 A KR 1020220008367A KR 20220008367 A KR20220008367 A KR 20220008367A KR 102494045 B1 KR102494045 B1 KR 10249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hospital
wearable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102022000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 기능과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환자 상태를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효과적으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으로, 웨어러블 기기(100), 중계 단말기(200),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A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생체 신호 측정 기능과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평균수명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평균수명 80세를 넘어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노년기에 접어들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하는 노인 환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노인 환자뿐만 아니라 청/장년층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환자에 비해, 환자를 관리하는 의료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 OECD 국가 중, 의료 인력 1인당 관리 환자수는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소수의 의료 인력으로 증가하는 환자를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실제 업무 현장에서 근무하는 의료 인력들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 인력의 피로도 증가로 인한 의료 관리 사각지대 발생으로 안타까운 의료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보험금 또는 보상금을 타내기 위해 경미한 부상,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이유 없이 장기간 입원하는 일명 나이롱 환자라 불리는 가짜 환자들로 인해, 국가 의료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고, 입원 환자 중, 불손한 의도로 병원 내 출입 금지 구역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의약품 절도, 의료기기 파손, 의료 인력에 대한 업무 방해와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어 최근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생체 신호 측정 기능과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761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331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0155호 환자용 웨어러블 장치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 기능과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환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1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200)와;
상기 중계 단말기(2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생체정보에 이상이 생긴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알람을 수행하는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송출되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로 관리 서버(500)에 제공하도록 병원의 복수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와;
상기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인력들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의료 인력의 피로도 증가가 원인인 의료 관리 사각지대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입원 환자 중, 불손한 의도로 병원 내 출입 금지 구역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의약품 절도, 의료기기 파손, 의료 인력에 대한 업무 방해와 같은 병원내 범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기기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 단말기가 병원의 복수 장소에 설치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가 생성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 예시도 1
도 5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가 생성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 예시도 2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이하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 기능과 환자 아이디 송출 기능을 갖는 환자 착용 형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의료 인력들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 제공과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어, 입원 환자 중, 불손한 의도로 병원 내 출입 금지 구역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의약품 절도, 의료기기 파손, 의료 인력에 대한 업무 방해와 같은 병원내 범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웨어러블 기기(100), 중계 단말기(200),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환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1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200)와;
상기 중계 단말기(2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생체정보에 이상이 생긴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알람을 수행하는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송출되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로 관리 서버(500)에 제공하도록 병원의 복수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와;
상기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환자가 착용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는 사람의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 손목 밴드, 의복과 같은 형태이고, 환자의 생체 신호에 관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10)의 웨어러블 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 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생체 신호에 관한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의 중계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중계 단말기(200)는 상기 정보들을 다시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환자들의 생체정보가 환자들의 의료 관리를 위해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에서 저장 관리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아이디 정보가 입력 저장되고,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RFID 칩(110)과,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RFID 칩(110)에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생체정보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칩(110)은 환자 아이디 정보가 입력 저장되고,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RFID 칩(110)에는 입원 환자의 아이디 정보(예: #1002)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 저장되고, 입력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가 RFID 칩(110)의 송출 기능에 의해 외부로 무선 송출된다.
이때, 상기 RFID 칩(110)에 환자 아이디 정보를 입력 저장시키는 이유는, 환자가 병원 내에서 이동 시, 해당 환자의 이동 로그 기록으로 활용하거나 환자의 생체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 시,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에 식별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120)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RFID 칩(110)에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120)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혈압, 체온, 심박 수, 심전도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측정하는데, 생체정보는 활력 징후(vital signs)라고도 하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따라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부(120)는 자신이 측정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RFID 칩(110)에 입력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무선으로 중계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중계 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중계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환자가 착용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무선 송출 출력으로는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까지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정확히 전송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중계 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가 무선 송출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하여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단말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중계 라우터(210)이거나 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2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 라우터(210)를 중계 단말기(200)로 이용하는 경우, 중계 라우터(210)는 병원 내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웨어러블 기기(100)가 외부로 송출하는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중계 전송한다.
또한, 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220)을 중계 단말기(200)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폰(220)에는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앱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용 앱이 활성화된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220)은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무선 송출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는 중계 단말기(2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생체정보에 이상이 생긴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알람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 인력(예: 간호사)들은 환자의 생체정보(혈압, 체온, 심박 수, 심전도)를 측정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입원 중인 환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체정보의 측정 주기가 짧아야 하나, 의료 인력의 부족으로 생체정보 측정 주기는 하루 평균 4~5회이다.
따라서 하루 평균 4~5회인 생체정보의 측정 주기를 최대한 줄여 입원 중인 환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100)와 중계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들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한다.
또한, 상기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는 환자별로 저장 관리되는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환자의 건강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환자를 의료 인력들이 조치하도록 이벤트 알람을 수행한다.
한편,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병원 내 환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병원의 복수 장소에 설치되는 감지 단말기(400)이다.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이란 불손한 의도로 병원 내 출입 금지 구역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의약품 절도, 의료기기 파손, 의료 인력에 대한 업무 방해 등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송출되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로 관리 서버(5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감지 단말기(400)들이 설치되는 병원의 복수 장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내 1층 주 출입구, 병원 내 각층 이동 통로, 병원 내 엘리베이터, 병원 내 수술실/회복실/입원실/간호사실/의약품 보관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병원의 복수 장소에 각각 설치된 감지 단말기(400)들은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00)의 RFID 칩(110)에서 송출되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다.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감지 단말기(400)는 수신된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관리 서버(500)에 제공하게 되고, 관리 서버(500)로 제공된 상기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는 관리 서버(500)에 해당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로 저장 관리되며, 관리 서버(500)에 저장 관리되는 환자별 이동 로그 정보는 특정 환자가 병원 내에서 불법적 행동을 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가 병원 내 1층 주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외출한 후, 수 시간 후에 병원 내 1층 주 출입구를 통해 병원 내부로 진입한 것이 관리 서버(500)에 저장 관리되는 환자별 이동 로그 정보를 통해 확인되면, 해당 환자는 일명 나이롱 환자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보험 회사로 제공되어 불법적으로 입원한 나이롱 환자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원 내 수술실, 의약품 보관실 등은 중요한 의약품이 보관되고 있어, 관계자 외에는 출입이 불허되는 곳이다. 이러한 장소에서 중요 의약품이 분실되는 경우, 관리 서버(500)에 저장 관리되는 환자별 이동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장소에 허가 없이 출입한 환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여 의약품 절도, 의료기기 파손 등과 같은 불법적 행위를 한 환자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 서버(500)는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는 구성이다. 즉, 병원 내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된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인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한다.
환자별로 저장 관리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인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는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 서버(500)에는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가 매칭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 출입 금지 장소 정보가 사전 저장된다.
상기 관리 서버(500)는 환자별로 저장 관리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와 사전 저장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 출입 금지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가 환자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환자가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 서버(500)가 제공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는 환자 정보, 환자가 출입한 장소 정보,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예를 들면,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와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를 통해, 환자 아이디 #A33인 환자가 2021년 10월 23일 오전 11시에 감지 단말기 #05가 설치된 의약품 보관실에 출입했음이 확인되고, 환자 출입 금지 장소 정보를 통해, 감지 단말기 #05가 설치된 의약품 보관실은 환자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인 것으로 확인되면, 특정 환자가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불법적 행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 서버(500)에는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가 매칭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별 치료 스케줄 정보가 사전 저장된다.
상기 관리 서버(500)는 환자별로 저장 관리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와 사전 저장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별 치료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가 자신의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에 출입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환자가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 서버(500)가 제공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는 환자 정보, 환자가 출입한 장소 정보,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예를 들면,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와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를 통해, 환자 아이디 #A33인 환자가 2021년 10월 23일 오전 11시에 감지 단말기 #07이 설치된 수술실에 출입했음이 확인되고, 환자 아이디 #A33인 환자의 치료 스케줄 정보를 통해, 감지 단말기 #07이 설치된 수술실은 환자 아이디 #A33인 환자의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인 것으로 확인되면, 특정 환자가 자신의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20 : 관리자 단말기
100 : 웨어러블 기기
200 : 중계 단말기
300 :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
400 : 감지 단말기
500 : 관리 서버

Claims (7)

  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고,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환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1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중계 단말기(200)와;
    상기 중계 단말기(2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생체정보에 이상이 생긴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알람을 수행하는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송출되는 환자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 아이디 정보와 환자 아이디 수신 시간 정보와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를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로 관리 서버(500)에 제공하도록 병원의 복수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 단말기(400)와;
    상기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를 환자별로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500)는,
    감지 단말기 아이디 정보가 매칭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별 치료 스케줄 정보가 사전 저장되고,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와 사전 저장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별 치료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가 자신의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에 출입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환자가 치료 스케줄과 관련 없는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환자 정보, 환자가 출입한 장소 정보,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환자 아이디 정보가 입력 저장되고,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RFID 칩(110)과,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환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RFID 칩(110)에 저장된 환자 아이디 정보를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생체정보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기(200)는,
    병원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는 중계 라우터(210)이거나 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중계 단말기(200)가 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220)인 경우,
    상기 스마트 폰(220)에는 웨어러블 기기(100)가 제공한 환자의 생체정보와 환자 아이디 정보를 간호 스테이션 단말기(3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전용 앱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말기(400)들이 설치되는 병원의 복수 장소는,
    병원 내 1층 주 출입구, 병원 내 각층 이동 통로, 병원 내 엘리베이터, 병원 내 수술실/회복실/입원실/간호사실/의약품 보관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500)는,
    환자 출입 금지 장소 정보가 사전 저장되고,
    감지 단말기(400)들이 제공하는 환자의 이동 로그 정보와 사전 저장된 감지 단말기 설치 위치 정보와 환자 출입 금지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자가 환자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특정 환자가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한 것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08367A 2022-01-20 2022-01-2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Active KR10249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67A KR102494045B1 (ko) 2022-01-20 2022-01-2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67A KR102494045B1 (ko) 2022-01-20 2022-01-2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45B1 true KR102494045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367A Active KR102494045B1 (ko) 2022-01-20 2022-01-2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0390B1 (ko) * 2024-03-27 2025-02-24 에이존테크 주식회사 스마트 서비스용 환자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795A (ko) * 2012-10-18 2014-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40108A (ko) * 2015-05-29 2016-12-07 하기현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병원 관리 방법
KR20170029987A (ko) * 2015-09-08 2017-03-16 (주)크레소티 위치기반 진료 서비스 시스템
KR20170063275A (ko)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95761B1 (ko)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50942A (ko) * 2016-11-07 2018-05-16 김우태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20180067331A (ko) 2016-12-12 2018-06-20 변찬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096646A (ko) * 2018-02-09 2019-08-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내의 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40155A (ko) 2018-10-08 2020-04-17 이다영 환자용 웨어러블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795A (ko) * 2012-10-18 2014-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40108A (ko) * 2015-05-29 2016-12-07 하기현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병원 관리 방법
KR20170029987A (ko) * 2015-09-08 2017-03-16 (주)크레소티 위치기반 진료 서비스 시스템
KR101795761B1 (ko)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63275A (ko)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0942A (ko) * 2016-11-07 2018-05-16 김우태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20180067331A (ko) 2016-12-12 2018-06-20 변찬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KR20190096646A (ko) * 2018-02-09 2019-08-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내의 환자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40155A (ko) 2018-10-08 2020-04-17 이다영 환자용 웨어러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0390B1 (ko) * 2024-03-27 2025-02-24 에이존테크 주식회사 스마트 서비스용 환자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9147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EP231770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standards compliance
AU2002257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20120310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AU20022577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200802219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Activity in a Medical Facility
KR102405883B1 (ko) 요양원 인공지능 자동관제 시스템
KR20200056634A (ko) 초광대역(uwb) 레이더 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의 독거노인 케어 서비스 관제 시스템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2494045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WO2018134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US1092294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detection of caregiver concern about a care recipient, possible caregiver impairment, or both
Trappey et al. Develop patient monitoring and support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intelligent reasoning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US20240005760A1 (en) A nurse communication device
Rodrigues et al. An intelligent patient monitoring system
KR20220043587A (ko) 시니어 네비게이터
KR20220118093A (ko)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EP35916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detection of caregiver concern about a care recipient, possible caregiver impairment, or both
IT202200021612A1 (it) Sistema di gestione per cliniche ospedaliere
KR100856439B1 (ko) 보험금 부당청구 방지를 위한 환자상태인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40116086A (ko)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집단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2181B1 (ko) 보험금 부당청구 방지를 위한 환자상태인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