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4042B1 -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42B1
KR102494042B1 KR1020200156652A KR20200156652A KR102494042B1 KR 102494042 B1 KR102494042 B1 KR 102494042B1 KR 1020200156652 A KR1020200156652 A KR 1020200156652A KR 20200156652 A KR20200156652 A KR 20200156652A KR 102494042 B1 KR102494042 B1 KR 10249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dkk
antigen
binding fragment
grow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117A (ko
Inventor
나희준
이윤숙
유제옥
이광순
민승제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5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42B1/ko
Priority to PCT/KR2021/013108 priority patent/WO2022108090A1/ko
Priority to CN202180078070.7A priority patent/CN116615529A/zh
Priority to US17/800,879 priority patent/US20230093472A1/en
Publication of KR2022007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62DNA sequences coding for fusion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7Hair cells
    • C12N5/0628Hair stem cells; Hair progen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tibody frag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4Inducing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1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ag for extracellular membrane crossing, e.g. TAT or VP2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5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protease 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8Protei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특정 서열의 중쇄 CDR 및 경쇄 CDR을 포함하는 항-DKK-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것이다. 상기 항-DKK-1 항체는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발모 촉진과,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Anti-DKK-1 antibody promoting the growth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모낭"에서 형성된다. 모낭에는 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유두 위의 옆으로는 모발에 윤기를 주는 기름을 공급해주는 지루샘이 있다. 모낭(hair follicle)은 여러 다른 상피세포들(epithelial cells) 및 모유두 세포들(dermal papilla cells, DPCs)로 이루어진다. DPCs은 모낭의 기저부에 위치한 중간엽-유래 섬유아세포(mesenchymally-derived fibroblasts)이며 육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녹시딜(minoxidil)은 DPCs에 증식 및 항-세포사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유사하게, 여러 보고서들은 DPCs의 증식을 통한 육모의 증가를 보여줬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서 성장하고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일일 평균 50∼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 모발이 많아져 탈락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고 있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탈모에 대한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및 미녹시딜(minoxidil)만이 탈모 치료를 위해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에서 인가되었다. 그러나, 약물의 효과는 예측 불가능한 효과 및 부작용 때문에 제한적이고 일시적이다.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더 나은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탈모를 방지하여 주고 발모촉진 및 모발 생장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제제들의 경우, 뚜렷한 효능의 부재 및 인체 안전성, 피부자극 유발 등의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안전성 및 효능이 확보된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48904호(2018.04.0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딕오프 관련 단백질 1(Dickkopf-related protein 1; DKK-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추가적으로 TAT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및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KK-1 항원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딕오프 관련 단백질 1(Dickkopf-related protein 1; DKK-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추가적으로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TAT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KK-1 항원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특정 서열의 중쇄 CDR 및 경쇄 CDR을 포함하는 항-DKK-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것이다. 상기 항-DKK-1 항체는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발모 촉진과,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항-DKK-1 scFv 항체 선별을 위한 ELIS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항-DKK-1 F1 scFv 항체의 민감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세포투과성 항-DKK-1 F1 scFv 항체 단백질의 정제 후 SDS-PAGE를 통해 크기 및 단백질 순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세포투과성 항-DKK-1 F1 scFv 항체의 세포투과능을 웨스턴 블랏법으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세포투과성 항-DKK-1 F1 scFv 항체의 세포 증식 효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세포투과성 항-DKK-1 F1 scFv 항체에 의한 Wnt/β-catenin 신호전달인자의 발현 증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세포투과성 항-DKK-1 F1 scFv 항체에 의한 성장인자 VEGF의 발현 증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딕오프 관련 단백질 1(Dickkopf-related protein 1; DKK-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추가적으로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TAT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한편,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CDR들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TAT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YGRKKRRQRRR" (서열번호 7)이고, TAT 펩타이드의 염기서열은 "TAT GGC CGC AAA AAA CGC CGC CAG CGC CGC CGC" (서열번호 8)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는 면역학적으로 특정 항원과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포함하는,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는 단백질 분자를 의미하며, 그 예로, 단일 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전장항체(full-length antibody) 및 항체 단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 “항체”는 이가(bivalent) 또는 이중 특이성 분자(예컨대, 이중특이성 항체),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또는 테트라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일 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체 집단에서 수득한 단일 분자 조성의 항체 분자를 지칭하고, 이러한 단일 클론 항체는 다클론 항체가 여러 개의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는 것과 달리,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 단일 결합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장항체”는 2 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 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쇄 불변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및 엡실론(ε) 타입을 가지고 서브클래스로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및 알파2(α2)를 가진다. 경쇄의 불변영역은 카파(κ) 및 람다(λ) 타입을 가진다. IgG는 서브타입(subtype)으로,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중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VH 및 3 개의 불변 영역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전체길이 중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경쇄”는 항원에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VL 및 불변 영역 CL을 포함하는 전체길이 경쇄 및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편”, “항체 단편” 및 “항원 결합 단편”은 항체의 항원결합 기능을 보유하는 본 발명의 항체의 임의의 단편을 지칭하는 것으로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항원 결합 단편은 Fab, Fab', F(ab')2 및 Fv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은 DKK-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항체의 서열뿐만 아니라, 이의 생물학적 균등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보다 더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리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띈 잔기이고;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점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핵산 분자”는 DNA(gDNA 및 cDNA) 및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단위인 뉴클레오티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의 서열은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은 뉴클레오티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벡터"는 클론유전자(또는 클론 DNA의 다른 조각)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스스로 복제되는 DNA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발현 벡터”는 목적한 코딩 서열과, 특정 숙주 생물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을 발현하는데 필수적인 적정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의미한다. 발현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통상적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형질 전환된 세포를 비 형질전환 세포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유전자가 이에 해당된다. 그 예로는 앰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제네티신(Geneticin; G418),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과 같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DNA 서열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매우 다양한 발현 조절 서열 중 어느 것이라도 벡터에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발현 조절서열의 예에는, 예를 들어, SV40 또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 및 후기 프로모터들, CMV의 프로모터와 인핸서, 레트로바이러스의 LTR, lac 시스템, trp 시스템, TAC 또는 TRC 시스템, T3 및 T7 프로모터들, 파지 람다의 주요 오퍼레이터 및 프로모터 영역, fd 코드 단백질의 조절 영역,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제 또는 다른 글리콜분해 효소에 대한 프로모터, 상기 포스파타제의 프로모터들, 예를 들어 Pho5, 효모 알파-교배 시스템의 프로모터 및 원핵세포 또는 진핵 세포 또는 이들의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성과 유도의 기타 다른 서열 및 이들의 여러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를 발현하는 벡터는, 경쇄와 중쇄가 하나의 벡터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벡터 시스템이거나 또는 경쇄와 중쇄를 각각 별도의 벡터에서 발현시키는 시스템 모두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두 벡터는 동시 형질전환(co-transfomation) 및 표적 형질전환(targeted transformation)을 통하여 숙주세포로 도입된다. 동시 형질전환은 경쇄 및 중쇄를 코딩하는 각각의 벡터 DNA를 동시에 숙주세포로 도입한 뒤 경쇄와 중쇄를 모두 발현하는 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이다. 표적 형질전환은 경쇄(또는 중쇄)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 된 세포를 선별하고 경쇄를 발현하는 선별된 세포를 중쇄(또는 경쇄)를 포함하는 벡터로 다시 형질전환 하여 경쇄 및 중쇄 모두를 발현하는 세포를 최종적으로 선별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및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는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숙주 세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슈도모나스(Pseudomonas)(예를 들면,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또는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예를 들면, 스타필로코쿠스 카르노수스(Staphylocus carnosus))와 같은 원핵 숙주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제조 방법에서 형질전환 세포의 배양은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과정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포 배양은, 세포의 성장 방식에 따라 현탁배양과 부착배양, 배양방법에 따라 회분식, 유가식 및 연속배양식의 방법으로 구분된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KK-1 항원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Wnt/β-catenin 신호전달인자인 Wnt10b, β-catenin 및 LEF와,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인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음료 또는 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암 전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 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하여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좌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발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의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발모”는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모발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며 발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는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항- DKK -1(anti- DKK -1) scFv 항체 선별
1. bio-panning 시행
7.6 × 109의 다양성을 가지는 OPAL library를 이용하여 bio-panning을 수행하였다. Epoxy magnetic bead에 3 μg의 DKK-1(Dickkopf-related protein 1) 항원을 고정시키고 input phage를 반응시켰다. 항원과 반응한 phage를 용출(elution)하여 output titer를 측정하였다. 매 횟수마다 input과 output titer를 측정하여 bio-panning의 정보를 획득하고 정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매 횟수마다 input phage는 1 × 1012 cfu/mL ≥의 phage를 사용하였다. output은 1차 - 1.89 × 107, 2차 - 2.81 × 107, 3차 - 4.40 × 107, 4차 - 7.50 × 108 cfu/mL으로 bio-panning이 진행될수록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io-panning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ELISA 분석
고민감도, 고특이성 항체의 선별을 위해 ELISA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확보한 phage를 대장균에 감염시켜 항생제가 첨가된 LB plate에 도말하였다. 16 시간 동안 30℃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콜로니(colony)를 랜덤하게 채집하였다. 각 콜로니를 LB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IPTG를 처리하여 scFv 항체를 발현시키고 대장균을 용해(lysis)하여 수용성 분획(soluble fraction)을 취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먼저, 50 ng의 DKK-1 항원을 96-well plate에 고정시키고, 3% BSA가 함유된 PBS로 블락킹(blocking) 하였다. 1 시간 후, 위에서 얻은 세포 용해물(cell lysates)을 처리하여 37℃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0.1% Tween20이 함유된 PBS로 plate를 3회 씻어준 뒤 블락킹 용액(blocking solution)에 HRP-conjugated anti-HA 항체를 1:1000으로 희석하여 37℃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0.1% Tween20가 함유된 PBS로 plate를 5회 씻어준 후 TMB substrate로 발색시켜 ELISA reader로 항원에 결합된 scFv 항체 96개를 측정하였으며, OD450 값 1.3을 양성 가이드라인으로 임의로 정하여 38종을 선별하였다. 1차 선별된 항체 중 비특이적 반응에 의한 항체를 배제시키기 위해 항원이 처리되지 않은 96-well plate에 3% BSA 혹은 3% Skim milk가 함유된 PBS를 처리하여 블락킹 한 다음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측정된 OD450 값을 이용하여 signal-to-noise ratio(S/N)를 계산하였으며, S/N 값 15를 cut-off values로 정하여 최종 6종의 scFv 항체 클론을 선별하였다(도 1).
3. 항- DKK -1 scFv 항체 서열 분석
ELISA 분석을 통하여 선별된 양성 클론(positive clones) 중에 중복되는 클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서열 분석(sequencing)이 필요하였다. 선별된 항-DKK-1 scFv 6종의 양성 클론에 대하여 서열 분석을 통해 개별적 클론을 선별하였다. 서열 분석 결과, 6종의 양성 클론 중 5종이 개별적인 클론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선별된 항- DKK -1 scFv 항체 정제 및 민감도 분석
1. 항- DKK -1 scFv 항체 정제
선별된 5종 중 항원 결합력이 가장 높은 항-DKK-1 F1 scFv 항체(표 1)를 정제하였다. 항-DKK-1 scFv 클론(F1)이 형질전환(transformation) 되어 있는 ER2738 E.coli cell을 500 mL의 SB media에 배양시킨 후 1 × TE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lysis) 시켰다. 세포 용해물(cell lysates)을 0.5 mL Ni bead에 반응시키고 이미다졸(imidazole)을 이용하여 용출(elution) 하였다.
Target Clone Light chain CDR sequence Heavy chain CDR sequence
CDR1 CDR2 CDR3 CDR1 CDR2 CDR3
DKK-1 F1 SGSSSNIGSNDVS YDSN GAWDDSLSG NYAMS GIYPDDGSI RSEWEFDY
2. 정제된 항- DKK -1 scFv 항체의 민감도 분석
정제된 항-DKK-1 F1 scFv 항체의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민감도 분석은 ELISA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여러 농도의 DKK-1 항원을 ELISA plate에 고정시킨 후 10 μg/mL의 항-DKK-1 F1 scFv 항체를 처리하였다. 분석은 1:1000으로 희석한 HRP-conjugated anti-HA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DKK-1 F1 scFv 항체의 EC50은 60.96 ng/mL로 분석 되었다(도 2).
< 실시예 3> 세포투과성 항- DKK -1 scFv 항체 제작
1. TAT-항- DKK -1 scFv DNA construct 제작
앞서 선별된 항-DKK-1 F1 scFv에 대한 primer를 이용하여 제한효소 사이트(restriction enzyme site)와 TAT을 삽입한 PCR 산물을 생산하였다. PCR 산물(insert)과 pET28a(+) vector를 각각 EcoR I 1 μL와 Xho I 1 μL 처리하여 37℃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정제하였다. 정제된 vector와 insert의 농도를 nanodrop으로 측정하고 vector와 insert의 비율별로 T4 ligase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ligation을 진행하였다. Ligation이 끝난 후 DH5α에 형질전환 한 후 카나마이신(kanamycin)이 첨가된 LB plate에 도말하여 37℃에서 16 시간 동안 배양하고 다음 날 콜로니를 취하여 카나마이신이 첨가된 LB media에 접종하여 37℃에서 1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insert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플라스미드(plasmid)를 분리하여 Xho IEcoR I으로 절단(restriction)하고, 1% 아가로스 젤(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2. TAT-항- DKK -1 scFv 항체 정제
클로닝 된 TAT-항-DKK-1 F1 scFv 항체 클론을 BL21(DE3) 대장균 숙주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체는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OD600 값 0.6이 될 때까지 배양하고, 16℃에서 0.3 mM IPTG를 처리하여 발현 유도(induction) 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세포들을 lysis buffer(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에 현탁한 후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유도 발현된 단백질만을 순수 분리 정제하기 위해 Ni-NTA에 친화력을 갖는 레진을 사용하였으며, 정제된 단백질은 SDS-PAGE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도 3).
< 실시예 4> 세포투과성 항- DKK -1 scFv 항체의 세포독성 시험
TAT-항-DKK-1 F1 scFv 항체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를 96-well plate에 1 × 103 개로 분주한 후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TAT-항-DKK-1 scFv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같은 배양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넣고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 μL씩 넣어주었다. 15 분간 흔들어 준 다음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TAT-항-DKK-1 F1 scFv를 0.1, 1, 5, 10, 50, 1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100 ppm 농도까지 세포모양 변형 및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AT-항-DKK-1 F1 scFv 항체의 100 ppm 농도까지는 세포 독성이 없는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TAT-anti-DKK-1 F1
농도 (ppm) Cell viability (%) 오차
0 100 1.505
0.1 88.31 1.93
1 94.52 0.94
5 110.93 2.20
10 109.70 1.95
50 117.86 1.45
100 134.55 2.32
< 실시예 5> 세포투과성 항- DKK -1 scFv 항체의 세포투과 분석
TAT-항-DKK-1 F1 scFv 항체의 세포 투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인간 유래 피부 세포를 6-well plate에 1 × 105 개로 분주한 후 10%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100 U/mL), 스트렙토마이신(100 μg/mL)을 함유하는 RPMI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1.5 mL의 신선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여러 농도의 TAT-항-DKK-1 F1 scFv 항체를 처리하였다. 처리 1 시간 뒤, 세포를 PBS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회수하여 TAT-항-DKK-1 F1 scFv 항체의 세포 내 투과된 정도를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세포 내 투과된 TAT-항-DKK-1 F1 scFv 항체가 정확한 위치(크기)에서 확인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순수 정제된 TAT-항-DKK-1 F1 scFv 항체(Control)도 함께 전기영동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AT-항-DKK-1 F1 scFv 항체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투과가 효과적으로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6> 세포투과성 항- DKK -1 scFv 항체에 의한 인간모유두세포 성장 활성도 분석
TAT-항-DKK-1 F1 scFv 항체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를 96-well plate에 1 × 103 개로 분주한 후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신선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일정시간 배양한 다음 여러 농도의 TAT-항-DKK-1 F1 scFv 항체를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구로 DPCs의 증식 및 항-세포사멸 효과를 가지는 미녹시딜(minoxidil) 2 μM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를 처리하고 72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CCK-8(cell counting kit-8)을 이용하여 Cell Prolifera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TAT-항-DKK-1 F1 scFv 항체는 시판 중인 탈모증 치료제 미녹시딜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 시켰으며 20∼100 ppm 처리군에서 150% 이상까지 세포 증식을 활성화 시켰다(도 5).
< 실시예 7> 세포투과성 항-DKK-1 scFv 항체에 의한 발모조절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분석
1. Wnt /β- catenin signaling 활성화 분석
최근 모발 성장에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Wnt/β-catenin 신호전달에 TAT-항-DKK-1 F1 scFv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Wnt/β-catenin 신호전달인자인 Wnt10b, β-catenin 및 LEF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간모유두세포인 hDPCs를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TAT-항-DKK-1 F1 scFv 항체 10 ppm과 양성대조구로 미녹시딜(minoxidil) 10 ppm을 처리한 다음 같은 배양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TRIzol 300 μL로 모아 1.5 mL tube에 옮기고, chloroform 50 μL를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상온에 5분간 방치한다. 이후 4℃, 15,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새로운 tube로 옮기고 동량의 2-propanol과 섞어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4℃, 1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 후 2-propanol은 버리고 75% 에탄올 300 μL를 첨가하여 4℃,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75% 에탄올은 버리고 RNA pellet은 상온에서 말려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한다. Pellet에 DEPC가 처리된 정제수 30 μL를 넣어 녹인 후 260 nm에서 정량하였으며 RT(reverse transcription)-PCR은 1 μg의 total RNA와 TOPscript RT dry mix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Real-Time PCR에 사용된 Wnt10b, β-catenin 및 LEF의 primers는 마크로젠(Macrogen, Inc.)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염기서열은 표 3에 나타내었다. TOPrealTM Qpcr 2X PreMIX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TAT-항-DKK-1 F1 scFv는 Wnt/β-catenin 신호전달인자인 Wnt10b, β-catenin 및 LEF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β-catenin의 활성을 통하여 모발 성장을 유지하는데 효과를 나타내는 탈모증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성장인자 VEGF 발현변화 분석
발모 및 육모에 영향을 주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인 VEGF는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모낭세포의 분화 촉진에 관여한다. TAT-항-DKK-1 F1 scFv 항체가 VEGF 발현조절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기와 같이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VEGF primer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TOPrealTM Qpcr 2X PreMIX을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TAT-항-DKK-1 F1 scFv는 성장인자 VEGF의 발현 역시 증가시켰다.
Gene description Primers Sequences
Wnt10b F 5'-CTCTGGGATGTGTAGCCTTC-3'
R 5'-GGCTCTGGAGTTGAGAAGTG-3'
β-catenin F 5'-TCTGAGGACAAGCCACAAGATTACA-3'
R 5'-TGGGCACCAATATCAAGTCCAA-3'
LEF F 5'-TGCCAAATATGAATAACGACCCA-3'
R 5'-GAGAAAAGTGCTCGTCACTGT-3'
VEGF F 5'-TCTTCAAGCCATCCTGTGTG-3'
R 5'-GCGAGTCTGTGTTTTTGCAG-3'
GAPDH F 5'-GACATGCCGCCTGGAGAAAC-3'
R 5'-AGCCCAGGATGCCCTTTAGT-3'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HAUUL BIO <120> Anti-DKK-1 antibody promoting the growth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nd use thereof <130> DP-2020-0359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CDR1 <400> 1 Ser Gly Ser Ser Ser Asn Ile Gly Ser Asn Asp Val Ser 1 5 10 <210> 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CDR2 <400> 2 Tyr Asp Ser Asn 1 <210> 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CDR3 <400> 3 Gly Ala Trp Asp Asp Ser Leu Ser Gly 1 5 <210> 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CDR1 <400> 4 Asn Tyr Ala Met Ser 1 5 <210> 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CDR2 <400> 5 Gly Ile Tyr Pro Asp Asp Gly Ser Ile 1 5 <210> 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CDR3 <400> 6 Arg Ser Glu Trp Glu Phe Asp Tyr 1 5 <210> 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T peptide <400> 7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8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T peptide <400> 8 tatggccgca aaaaacgccg ccagcgccgc cgc 33

Claims (11)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2 및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딕오프 관련 단백질 1(Dickkopf-related protein 1; DKK-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2. 제1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에 추가적으로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TAT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 항-DKK-1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4. 제3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5. 제4항의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6.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DKK-1 항원 검출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Wnt/β-catenin 신호전달인자인 Wnt10b, β-catenin 및 LEF와,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인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의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56652A 2020-11-20 2020-11-20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49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52A KR102494042B1 (ko) 2020-11-20 2020-11-20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PCT/KR2021/013108 WO2022108090A1 (ko) 2020-11-20 2021-09-27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CN202180078070.7A CN116615529A (zh) 2020-11-20 2021-09-27 促进人毛乳头细胞生长的抗dkk-1抗体及其用途
US17/800,879 US20230093472A1 (en) 2020-11-20 2021-09-27 Anti-dkk-1 antibody promoting growth of human dermal papilla cell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652A KR102494042B1 (ko) 2020-11-20 2020-11-20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17A KR20220070117A (ko) 2022-05-30
KR102494042B1 true KR102494042B1 (ko) 2023-02-07

Family

ID=8170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652A Active KR102494042B1 (ko) 2020-11-20 2020-11-20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93472A1 (ko)
KR (1) KR102494042B1 (ko)
CN (1) CN116615529A (ko)
WO (1) WO20221080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60017A1 (es) * 2006-01-13 2008-05-21 Novartis Ag Composiciones y metodos de uso para anticuerpos de dickkopf -1
AR075989A1 (es) * 2009-04-10 2011-05-11 Lilly Co Eli Anticuerpo dkk -1 (dickkopf-1) humano disenado por ingenieria
WO2010131185A1 (en) * 2009-05-12 2010-11-18 Pfizer Inc. Blocking anti-dkk-1 antibodies and their uses
ES2755031T3 (es) * 2015-05-18 2020-04-21 Lilly Co Eli Compuestos de anticuerpos biespecíficos ANTI-DKK-1-ANTI-RANKL
KR101848904B1 (ko) 2015-11-12 2018-04-13 김동구 발모 조절 중추 세포인 모유두 세포의 증식과 생존 및 세포 활성화 촉진 작용을 지닌 기능성 조절 항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3472A1 (en) 2023-03-23
CN116615529A (zh) 2023-08-18
WO2022108090A1 (ko) 2022-05-27
KR20220070117A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53354A2 (en) Methods for treating tumors using a fusion protein comprising il-2- polypeptides and p185-specific binding molecules
JP2023521362A (ja) Cd73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を抑制するための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の抗原結合断片並びにその使用
KR102017240B1 (ko)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vamp2 항체 및 이의 용도
JP7498854B2 (ja) 抗pvrigタンパク質抗体又は抗体断片及びその使用
KR102494042B1 (ko) 인간모유두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항-dkk-1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638640B1 (ko) 항-IsaA F10 항체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 용도
KR102274841B1 (ko)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snap 25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4805581B (zh) 靶向il13ra2的抗体、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KR102708796B1 (ko) Gfral 길항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97991B1 (ko)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Syntaxin 1A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30140409A (ko) Hla-g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341805B1 (ko) 황색포도상구균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IsaA G4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341804B1 (ko) 황색포도상구균을 억제하는 항-IsaA F10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36127B1 (ko)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항-티로시나아제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30150518A (ko) 피부 주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항-snap 25 b6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6761814A (zh) 多结构域融合蛋白及其应用
KR20220070116A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항-티로시나아제 b8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511416B1 (ko) Grp7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7396181A (zh) 抗-IsaA F10抗体的预防和改善特应性皮肤炎的用途
KR100900987B1 (ko) 신규 항-irc85 단일클론 항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결핵 또는 장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4121A (ko) 친화도가 개선된 gfral 길항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2250205A1 (ko) 항-IsaA F10 항체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 용도
CN117186224A (zh) 抗cd40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