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192B1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0192B1 KR102490192B1 KR1020210165067A KR20210165067A KR102490192B1 KR 102490192 B1 KR102490192 B1 KR 102490192B1 KR 1020210165067 A KR1020210165067 A KR 1020210165067A KR 20210165067 A KR20210165067 A KR 20210165067A KR 102490192 B1 KR102490192 B1 KR 102490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beam
- hydraulic jack
- web
- bridge
- lower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08700002783 roundabout Protein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165 Charadri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강거더 및 강가로보에 대하여 바닥판이 시공 완료된 상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강가로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강가로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강가로보의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 또는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강가로보의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에 제1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상태 또는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에 제2 체결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제1 강거더와 제2 강거더 각각에 대하여 시공 중 발생되는 횡방향 변위에 따른 강가로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제1 강거더 및 제2 강거더 사이에 강가로보가 설치된 다음, 장선이 복수개 배열(설치)되고, 바닥판 시공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되고, 바닥판이 시공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제1 강거더 및 제2 강거더의 횡방향 변위 예측치를 초과하여(제1 강거더 및 제2 강거더 간의 간격이 멀어져) 초과 변위가 발생된 상황에서 스페이서 플레이트 개재를 통해 초과 변위가 커버되는 강가로보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바닥판(슬래브) 타설 후 장선 부재를 제거하기 위한 장선철거용 유압잭 및 유압잭 서포트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강가로보에 장선철거용 유압잭 및 유압잭 서포트 유닛(유압잭 서포트 시스템)의 고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의 강가로보에 장선철거용 유압잭 및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유압잭 서포트 유닛의 고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000: 교량 상부 구조체
100: 제1 강거더
101: 제1 하부플랜지
102: 제1 상부플랜지
103: 제1 웨브
110: 제1 수직보강재
111: 제1 수직부재
112: 제1 대향부재
200: 제2 강거더
201: 제2 하부플랜지
202: 제2 상부플랜지
203: 제2 웨브
210: 제2 수직보강재
211: 제2 수직부재
212: 제2 대향부재
300: 강가로보
310: 가로부재
311: 가로보 하부플랜지
312: 가로보 상부플랜지
313: 가로보 웨브
320a: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
320b: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
321a: 제1 슬롯홀
321b: 제2 슬롯홀
322a: 제1 체결유닛
322b: 제2 체결유닛
400: 스페이서 플레이트
500: 바닥판
600: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
700: 장선 부재
800: 장선 철거용 유압잭
810: 유압잭 서포트 유닛
811: L형 부재
811a: 바닥 부재
812: 수직보강부재
813: 파지 부재
814: 하부 수직보강부재
Claims (9)
- 교량 상부 구조체에 있어서,
제1 하부플랜지, 제1 상부플랜지 및 제1 웨브를 포함하는 I형의 제1 강거더;
제2 하부플랜지, 제2 상부플랜지 및 제2 웨브를 포함하는 I형이고, 상기 제1 강거더에 대하여 횡방향 타측으로 거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강거더; 및
상기 제1 웨브의 횡방향 타측에 구비된 제1 수직보강재와 상기 제2 웨브의 횡방향 일측에 구비된 제2 수직보강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강가로보를 포함하되,
상기 강가로보는,
가로보 하부플랜지, 가로보 상부플랜지 및 가로보 웨브를 포함하는 I형이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재, 및 횡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로부재의 횡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 및 상기 가로보 상부플랜지보다 상기 가로보 웨브가 더 세장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직보강재는, 상기 제1 하부플랜지로부터 상기 제1 웨브의 횡방향 일측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1 수직부재, 및 상기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와 상호 대향하게 연결되는 제1 대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에는 횡방향 경사를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1 슬롯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제1 슬롯홀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1 체결유닛을 통해 상기 제1 대향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강가로보는, 횡방향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로부재의 횡방향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보강재는, 상기 제2 하부플랜지로부터 상기 제2 웨브의 횡방향 타측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2 수직부재, 및 상기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와 상호 대향하게 연결되는 제2 대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에는 횡방향 경사를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2 슬롯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는 상기 제2 슬롯홀에 대하여 설치되는 제2 체결유닛을 통해 상기 제2 대향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수직보강재와 상기 제2 수직보강재는, 상기 강가로보의 상면이 상기 교량 상부 구조체에 형성되는 바닥판의 하면 사이에 높이 방향 간격을 형성하는 위치에 상기 강가로보가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높이 방향 간격은,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대응하는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선 부재가 상기 거더 간격 영역에서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교량 상부 구조체는, 상기 바닥판의 시공 완료 후 상기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 및 상기 장선 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를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로부터 이격시키는 장선철거용 유압잭, 및 상기 장선철거용 유압잭을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로부터 교량의 종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에 설치되는 유압잭 서포트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압잭 서포트 유닛은,
상기 가로보 웨브의 종방향 일측면 및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의 종방향 일측 상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장선철거용 유압잭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의 종방향 일측 상면보다 더 종방향 일측으로 돌출되게 바닥부재가 연장되는 L형 부재; 및
상기 장선철거용 유압잭 동작시의 작용력에 대응하여 상기 가로보 웨브를 보강하도록 상기 L형 부재에 대하여 부가 설치되는 수직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잭 서포트 유닛은, 상기 가로보 웨브 및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의 종방향 일측 부분 각각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장선철거용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 서포트 유닛은 상기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 및 상기 장선 부재의 제거 후 회수되고,
상기 강가로보는 영구 존치되는 것인, 교량 상부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홀의 슬롯 연장 길이 및 상기 제2 슬롯홀의 슬롯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강거더와 상기 제2 강거더 각각에 대하여 시공 중 발생되는 횡방향 변위 예측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체결유닛이 상기 제1 슬롯홀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고, 상기 제2 체결유닛이 상기 제2 슬롯홀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교량 상부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거더와 상기 제2 강거더가 상기 횡방향 변위 예측치를 초과하여 서로 멀어지는 초과 변위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경사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제1 대향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경사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제2 대향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초과 변위를 커버 가능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개재되는 것인, 교량 상부 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 서포트 유닛은,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의 종방향 일측 부분을 C자 형태로 감싸도록 상기 L형 부재로부터 하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잭 서포트 유닛은, 상기 L형 부재가 상기 가로보 웨브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파지 부재가 상기 가로보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파지 고정되는 것인, 교량 상부 구조체. - 제3항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강거더 및 상기 제2 강거더를 상기 거더 간격에 대응하여 교량 하부 구조체 상에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체결유닛을 상기 제1 슬롯홀 및 상기 제1 대향부재에 형성된 제1 체결홀에 대하여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유닛을 상기 제2 슬롯홀 및 상기 제2 대향부재에 형성된 제2 체결홀에 대하여 체결하여, 상기 강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강가로보 상에 장선 부재를 복수개 배열하고, 배열된 복수개의 상기 장선 부재 상에 바닥판의 시공을 위한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바닥판의 시공 완료 후 장선철거용 유압잭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선 부재 및 상기 하부 거푸집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강가로보는 존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5067A KR102490192B1 (ko) | 2021-11-26 | 2021-11-26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5067A KR102490192B1 (ko) | 2021-11-26 | 2021-11-26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0192B1 true KR102490192B1 (ko) | 2023-01-20 |
Family
ID=8510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5067A Active KR102490192B1 (ko) | 2021-11-26 | 2021-11-26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01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865B1 (ko) * | 2023-08-10 | 2024-02-15 |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3704A (ko) * | 1997-05-13 | 1998-12-05 | 안용 | 이동식 비계공법의 가설장치 |
KR101030053B1 (ko) * | 2008-10-07 | 2011-04-21 | 황하수 | 스틸박스 교량의 이동식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장치 |
KR20200011658A (ko) * | 2018-07-25 | 2020-02-04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096004B1 (ko) * | 2019-08-22 | 2020-04-01 | 코벡 주식회사 | 굴절형 편심 웨브를 갖는 조립식 철도교 |
-
2021
- 2021-11-26 KR KR1020210165067A patent/KR1024901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3704A (ko) * | 1997-05-13 | 1998-12-05 | 안용 | 이동식 비계공법의 가설장치 |
KR101030053B1 (ko) * | 2008-10-07 | 2011-04-21 | 황하수 | 스틸박스 교량의 이동식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장치 |
KR20200011658A (ko) * | 2018-07-25 | 2020-02-04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096004B1 (ko) * | 2019-08-22 | 2020-04-01 | 코벡 주식회사 | 굴절형 편심 웨브를 갖는 조립식 철도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865B1 (ko) * | 2023-08-10 | 2024-02-15 |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 상부플랜지를 확폭하여 보강한 플레이트거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56284B2 (ja) | 鋼製筋違内蔵型の交換可能な高エネルギー散逸プレハブ式プレストレスト耐震壁 | |
KR101881578B1 (ko) | 거더와 교각의 일체화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26012B1 (ko) |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 |
KR102067254B1 (ko)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527782B1 (ko) |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 |
JP4002771B2 (ja) |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 |
KR102080492B1 (ko)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
KR102490192B1 (ko)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
CN211735114U (zh) |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 |
KR100923564B1 (ko) |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 |
KR101020483B1 (ko) |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0565384B1 (ko) |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CN110700122A (zh) |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 |
KR10113342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 |
JP3877995B2 (ja) | 張弦桁橋の構築方法 | |
KR200397213Y1 (ko) |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 |
KR20080099061A (ko) |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 |
CN110792042A (zh) |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方法 | |
KR100725879B1 (ko) | 보강용거더를 이용한 교량 내하력 증진시스템 | |
JP2002275833A (ja) | 既設橋梁の単純桁の連続化方法及び連続桁構造 | |
KR20070001410A (ko) |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 |
JP2003293323A (ja) | 連続桁橋梁の補強構造 | |
KR102832098B1 (ko) | Psc 거더의 내부 지점부 연속화 연결구조를 갖는 조인트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521965B1 (ko) | 횡방향 및 지점부 보강 구조가 구비된 교량 | |
KR102276215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교량의 지점부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