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9504B1 -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04B1
KR102489504B1 KR1020210094411A KR20210094411A KR102489504B1 KR 102489504 B1 KR102489504 B1 KR 102489504B1 KR 1020210094411 A KR1020210094411 A KR 1020210094411A KR 20210094411 A KR20210094411 A KR 20210094411A KR 102489504 B1 KR102489504 B1 KR 10248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moke
indoor
reservoir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석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가 로스팅 장치의 내부로 흡입되어 일부는 수면 상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수중으로 배출되어 저수통에 담긴 물에 의해 필터링되되, 저수통으로 배출되는 연기가 물속에서 버블 형태로 수면위로 배출되면서 필터링되고 이 과정에서 수면에서 튀어오르는 수분을 발생시켜 수면 상으로 이동되는 연기와 냄새를 추가로 필터링하는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INDOOR ROASTING DEVICE REMOVING SMOKE AND SMELL}
본 발명은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가 로스팅 장치의 내부로 흡입되어 일부는 수면 상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수중으로 배출되어 저수통에 담긴 물에 의해 필터링되되, 저수통으로 배출되는 연기가 물속에서 버블 형태로 수면위로 배출되면서 필터링되고 이 과정에서 수면에서 튀어오르는 수분을 발생시켜 수면 상으로 이동되는 연기와 냄새를 추가로 필터링하는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릴은 고기나 어패류를 석쇠 위에 올려 고기나 어패류를 구워서 먹을 수 있는 장치이며, 이러한 그릴은 일반적으로 가스나 전기 또는 숯불을 이용하여 열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이러한 열 전달 방식 중에서 가스나 전기를 이용해 구운 고기보다 숯불을 이용하여 익힌 고기의 맛이 가장 좋은데, 이러한 이유는 숯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때문이다.
원적외선은 적외선 중에서 파장이 훨씬 긴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른 영역의 빛에 비해 열이 매우 많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고기를 익히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숯불은 가스나 전기 그릴에 비해 원적외선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복사열이 전체적으로 전달되어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주며, 고기의 주영양소인 단백질과 지방을 용해하여 표면에 막을 형성하므로 고기 속 수분증발이 지연되어 고기를 연하게 하여, 숯불구이만의 맛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숯불구이는 화로의 부피가 크고, 화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고기가 탈 수 있으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연기가 많이 발생하고 옷에 고기냄새가 깊게 배므로 야외 공간이나 음식점이 아닌 일반 가정집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999호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에는 숯에 불을 붙이기 쉽고 송풍구와 송풍팬을 구비하여 숯불의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용이하며, 고기를 구울 때 연기가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먹고 난 다음에는 그릴 세척이 간편하며, 구조가 콤팩트하여 휴대하기도 간편한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그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이 숯불로 떨어져 발생하는 연기가 나지 않도록 하지만,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제거하지 못하므로 휴대용으로는 적합하지만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하게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그릴 팬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93211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고안은, 본체, 4개의 직류 송풍기, 후라이 팬, 송풍기 지지대, 기름여과 팬, 수용부, 공기유입구, 공기유출구, 구멍, 만곡면, 본체의 메인하우징, 본체의 표면하우징, 필터, 물받침, 스위치, 가열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를 통해, 송풍기의 구동 하에 순환 기류를 생성하고, 기류중의 연기가 필터를 거치고, 물받침을 통과하여 점차 제거된다.
그런데 상기 고안에서 연기와 냄새가 물받침을 통과하면서 제거된다고 하지만, 수면을 스치는 것만으로 연기와 냄새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999호 (2012.09.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3211호 (2021.0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로나 열선과 같은 발열체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내부로 유도하여 물에 의해 필터링하되, 수면과 수중으로 분할하여 배출하여 수중에서 물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수면 위로의 수분 전달을 유도하여 수면 상으로 이동하는 연기의 필터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워지는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저수통의 물로 포집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체로 화로를 사용할 때 상기 화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로스팅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통이 배치되고 상기 저수통 상부에 발열체가 적층되며 상부에는 상기 발열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그릴이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을 지지하면서 상기 그릴의 배치면보다 상부 수평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통공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저수통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수통에서 분기하여 상기 저수통에 저수된 물 속으로 연장되는 수중배출구와 상기 저수통의 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에어배출구를 구비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으로 상기 연기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송풍팬; 및 상기 저수통을 통과하며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그릴 상으로 배출하도록 하단은 상기 저수통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의 통공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배출구는 수면 상에서 상기 순환관의 입구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중배출구는 수중에서 상기 에어배출구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관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으로 유입되는 에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관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송풍팬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점화된 숯이 채워지는 숯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통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바는 고정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하단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바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로나 열선과 같은 발열체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내부로 유도하여 물에 의해 필터링하되, 수면과 수중으로 분할하여 배출하여 수중에서 물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수면 위로의 수분 전달을 유도하여 수면 상으로 이동하는 연기의 필터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구워지는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저수통의 물로 포집할 수 있으므로 고기를 구운 후 저수통의 물을 버리는 것만으로 기름의 처리가 손쉽게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로 화로를 사용할 때 상기 화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발열량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화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통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화로의 강약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에서 지지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로스팅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에서 지지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는 크게 몸체부(10), 흡입관(20), 순환관(40) 및 제1송풍팬(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하부 몸체(10a)와 안착부(10b)로 구성된다. 하부 몸체(10a)는 몸체부(10)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통(11)이 배치된다. 상기 저수통(11)은 몸체부(10)의 상부에서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몸체부(10)의 측면에서 서랍 형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삽입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은 저수통(11)에 대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저수통(11)의 측부에는 손잡이(11a)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12)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점화된 숯(C)이 채워지는 숯통(12a)일 수도 있고,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12b)일 수도 있다(도 5 참조).
상기 발열체(12)가 숯통(12a)일 경우에, 상기 숯통(12a)을 저수통(11) 위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통(11) 상에는 지지바(13)가 위치되고 그 지지바(13) 위로 숯통(12a)이 적층된다. 상기 지지바(13)는 상기 저수통(11)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바(13)는 숯통(12a)으로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례로서, 고정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바(13a)와, 상기 고정바(13a)의 하단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바(13a)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바(1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13a)는 몸체부(10)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바(13b)는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조절자(13c)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3a) 및 이동바(13b)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0b)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릴(G)이 안착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안착부(10b)에는 상기 발열체(1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그릴(G)이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G)을 지지하면서 상기 그릴(G)의 배치면보다 상부 수평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20)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단이 상기 안착부(10b) 일측면의 통공(14)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저수통(11)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수통(11)에서 분기하여 상기 저수통(11)에 저수된 물 속으로 연장되는 수중배출구(21)와 상기 저수통(11)의 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에어배출구(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에어배출구(22)는 수면 상에서 상기 순환관(40)의 입구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중배출구(21)는 수중에서 상기 에어배출구(22)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20)으로 흡입되는 에어를 분산하여 수중과 수면으로 배출할 때 수중으로 배출되는 수중배출구(21)로는 물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러한 저항을 극복하고 버블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중배출구(21)는 흡입관(20)의 말단에 형성되고 그 직경은 에어배출구(22)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송풍팬(30)은 상기 흡입관(20)으로 상기 연기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흡입관(20)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순환관(40)은 상기 저수통(11)을 통과하며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그릴(G) 상으로 배출하도록 하단은 상기 저수통(1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의 통공(14)에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관(4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40)으로 유입되는 에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4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필터(41)는 흡입관(2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안착부(10b)의 통공(14)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40)으로의 공기의 유출은 상기 제1송풍팬(30)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유도될 수 있지만, 보다 활발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2송풍팬(50)을 상기 순환관(40)의 일측에 장착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고기를 굽기 위하여 먼저 저수통(11)에 물을 일정량 채우고 저수통(11)을 몸체부(10)의 하부 몸체(10a)에 삽입한다. 상기 저수통(11)의 측면에는 손잡이(11a)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몸체(10a)의 측면에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하부 몸체(10a)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12)로서 숯통(12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숯통(12a)에 점화된 숯을 채우고 상기 숯통(12a)을 지지바(13) 상에 놓는다. 이때 상기 지지바(13)는 고정바(13a)와 이동바(13b) 및 조절자(13c)로 구성되고 상기 숯통(12a)은 상기 고정바(13a)에 안착되며 상기 조절자(13c)의 조작에 의해 이동바(13b)가 이동되면서 고정바(13a)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숯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서 숯의 발열량을 조정할 수 있다(도 4의 (a) 및 (b) 참조). 만일 발열체(12)로서 열선(12b)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연결하고 스위치를 켜서 발열량을 조정할 수 있다.
안착부(10b)에 그릴(G)을 올려 놓고 그 그릴(G) 위에 고기를 올리면 고기가 구워지는데, 이때 제1송풍팬(30)을 가동하면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안착부(10b)의 일측면의 통공(14)을 통해 흡입관(20)으로 유입된다. 흡입관(20)으로 유입된 연기와 냄새를 포함한 에어는 흡입관(20) 하부에서 분기되어 에어배출구(22) 및 수중배출구(21)로 분할 배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배출구(21)는 저수통(11)에 저수된 물 속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고, 에어배출구(22)는 저수통(11)의 수면 상으로 에어를 배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수중배출구(21)가 흡입관(20)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에어배출구(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송풍팬(30)에 의한 공기가 물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물속으로 유입되어 버블을 생성한다. 이러한 버블은 순환관(4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수면으로 떠 오르게 되고 수면을 요동치게 하면서 물방울과 수분을 수면 위로 생성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중배출구(21)로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에어배출구(22)로 배출되는 에어는 수면을 지나면서 필터링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중배출구(21)에 의해 형성된 물방울과 수분을 추가적으로 통과하면서 연기와 냄새의 필터(41)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저수통(11)에 저수된 물의 적극적인 이용을 통해 정화된 공기는 순환관(40)으로 유입되어 안착부(10b) 타측면의 통공(14)을 통해 배출되면서 다시 흡입관(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관(40)으로 유입되는 에어는 물에 의해 세척된 상태이지만 이를 추가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 순환관(40) 내부에 장착된 필터(41)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41)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보다 활발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2송풍팬(50)이 순환관(40)의 일측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몸체부 10a : 하부 몸체 10b : 안착부
11 : 저수통 11a : 손잡이 12 : 발열체
12a : 숯통 12b : 열선 13 : 지지바
13a : 고정바 13b : 이동바 13c : 조절자
14 : 통공
20 : 흡입관 21 : 수중배출구 22 : 에어배출구
30 : 제1송풍팬
40 : 순환관 41 : 필터
50 : 제2송풍팬
G : 그릴

Claims (7)

  1. 하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는 저수통(11)이 배치되고 상기 저수통(11) 상부에 발열체(12)가 적층되며 상부에는 상기 발열체(1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그릴(G)이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G)을 지지하면서 상기 그릴(G)의 배치면보다 상부 수평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는 몸체부(10);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단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의 통공(14)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저수통(11)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수통(11)에서 분기하여 상기 저수통(11)에 저수된 물 속으로 연장되는 수중배출구(21)와 상기 저수통(11)의 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에어배출구(22)를 구비하는 흡입관(20);
    상기 흡입관(20)으로 상기 연기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상기 흡입관(2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송풍팬(30); 및
    상기 저수통(11)을 통과하며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그릴(G) 상으로 배출하도록 하단은 상기 저수통(1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의 통공(14)에 연결되는 순환관(4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배출구(22)는 수면 상에서 상기 순환관(40)의 입구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중배출구(21)는 수중에서 상기 에어배출구(22)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40)으로 유입되는 에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4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0)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관(4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송풍팬(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12)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점화된 숯이 채워지는 숯통(1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3)는 고정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바(13a)와, 상기 고정바(13a)의 하단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바(13a)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동바(1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KR1020210094411A 2021-07-19 2021-07-19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Active KR10248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11A KR102489504B1 (ko) 2021-07-19 2021-07-19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11A KR102489504B1 (ko) 2021-07-19 2021-07-19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504B1 true KR102489504B1 (ko) 2023-01-17

Family

ID=8511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11A Active KR102489504B1 (ko) 2021-07-19 2021-07-19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14B1 (ko) * 1996-03-18 1998-10-01 박영주 배기덕트 없는 숯불구이 장치
JP2001340227A (ja) * 2000-06-06 2001-12-1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加熱調理器
KR101184999B1 (ko) 2012-07-16 2012-10-02 박충식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20170012265A (ko) * 2014-05-26 2017-02-02 칸켄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열 교환기 및 상기 열 교환기를 사용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WO2018105942A1 (ko) * 2016-12-07 2018-06-14 김봉수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200493211Y1 (ko) 2018-10-14 2021-02-18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전기 그릴 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14B1 (ko) * 1996-03-18 1998-10-01 박영주 배기덕트 없는 숯불구이 장치
JP2001340227A (ja) * 2000-06-06 2001-12-1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加熱調理器
KR101184999B1 (ko) 2012-07-16 2012-10-02 박충식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20170012265A (ko) * 2014-05-26 2017-02-02 칸켄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열 교환기 및 상기 열 교환기를 사용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WO2018105942A1 (ko) * 2016-12-07 2018-06-14 김봉수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200493211Y1 (ko) 2018-10-14 2021-02-18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전기 그릴 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83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US20100089248A1 (en) Convection grill
CN110312454B (zh) 利用烟道的烤具
KR200493211Y1 (ko) 전기 그릴 팬
KR102000918B1 (ko)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KR101819635B1 (ko) 이동형 스마트 불판
KR20220135461A (ko) 자동 튀김 장치
KR102489504B1 (ko) 연기 및 냄새 제거 효율이 향상된 실내용 로스팅 장치
KR102250905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개량형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102555274B1 (ko) 분리형 측면 미세먼지 집진휀스로 세척이 용이한 고기구이기
KR102113730B1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1506546B1 (ko) 고기구이장치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2441030B1 (ko) 실내용 무연 숯불구이 화로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2250904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개량형 전기식 로스터
KR101331526B1 (ko) 숯불구이용 구이기
KR102826341B1 (ko) 분해조립되는 가마형 구이장치
KR102201076B1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KR200348574Y1 (ko) 휴대용 가스렌지
KR200214878Y1 (ko) 배기순환식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