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8233B1 -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233B1
KR102488233B1 KR1020200175511A KR20200175511A KR102488233B1 KR 102488233 B1 KR102488233 B1 KR 102488233B1 KR 1020200175511 A KR1020200175511 A KR 1020200175511A KR 20200175511 A KR20200175511 A KR 20200175511A KR 102488233 B1 KR102488233 B1 KR 10248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ste
quicklime
cake
waste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443A (ko
Inventor
김인식
김화영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102020017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2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02F11/14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using calc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에 응집제와 활성오니를 첨가하여 생성된 응집침전물의 슬럿지를 원심분리한 함수상태의 응집침전물 슬럿지에 생석회(CaO)를 첨가하고 가열시켜 소석회화(Ca(OH)2)반응을 일으켜 응집침전물의 슬럿지가 케이크로 탈수되는 제1단계와, 상기의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가열 및 분쇄하여 입자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럿지 생석회 반응으로 발생되는 메칠계와 설파계 악취를 기존의 워터 스크레퍼와 산-알카리 처리설비 또는 전기집진이나 보일러 연관을 통과하여 이들 기체를 포집 감소시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Method for Reduction of Waste Sludge}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슬럿지에 생석회(CaO)를 첨가하고 가열시켜 소석회화(Ca(OH)2)반응을 일으켜 응집침전물의 슬럿지가 케이크로 탈수되는 제1단계와, 상기의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가열 및 분쇄하여 입자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생석회에 염화칼슘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상기에서 폐기물의 여액은 폐수처리 기준에 맞추어 방류되고, 제1단계의 탈수된 슬럿지는 생석회의 발열반응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되어 감량화가 일어나게 된다. 제2단계의 가열 및 분쇄는 슬럿지가 입자화되어 토양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폐기물 슬럿지는 원폐수에 무기계 알칼리성 및 산성 응집제를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다음,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로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반응시켜 원심분리하면 발생한다. 한편 여과액은 중금속과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Biolog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를 폐수처리 기준치에 맞게 방류시키고 있다. 그러나 폐수물 슬럿지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미네랄 또는 비타민이 함유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발효적 제조시 여과액 부산물이 생성되거나, 이들 원부재료의 배합 또는 가공에 따라 여과액 부산물이 생성하게 된다. 여과물인 폐기물 슬럿지는 마땅한 처리방법이 없어서 폐기물처리업체에 위탁하여 1톤당 십수만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환경보존법의 테두리내에서 소각장에서 불로 태우거나, 유휴지에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육류소비가 증가하면서 국내 소, 돼지, 닭의 도축량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닭은 2003년 대비 약 50% 증가하였다. 특히 도계량 증가에 비례하여 도계 및 육가공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2015년에는 약 140천톤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부분 폐기물은 위탁처리하고 있으나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비용 증가로 인해 톤당 위탁처리 비용이 2015에는 60,000 원/톤 수준에서 2020년 120,000원으로 5년사이에 100% 증가되어 사육농가에 막대한 부담이 되고 있다.
음식물류, 가축류 및 육가공품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유기물 함량이 높으므로 대부분 자체적으로 1차 처리한 다음, 폐기물은 환경업체를 통하여 2차 처리하므로 비용부담이 되고 있다.
폐기물별 처리항목의 비교
구 분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폐기물 도계 폐기물
TS(mg/L) 총고형물 190,000 46,300 49,690
VS(mg/L) 휘발성고형물 154,300 32,000 42,420
COD Cr(mg/L) 206,100 60,400 85,900
BOD5(mg/L) 138,300 34,500 60,120
TN(mg/L) 3,600 3,500 3,600
VS/TS(%) 81 69 85
BOD/COD(%) 67 57 70
유기물제거율(%) 80 68 83
메탄생산량(톤/폐기물) 84 13 25
폐기물의 발열반응시 발생하는 악취물질
악취물질(ppm)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메틸멜캅탄(CH3SH)
100 불검출 6
악취물질(ppm)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스틸렌모노머C6H5CH=CH2 트리메틸아민
(CH3)3N
2 8 불검출
상기의 표로부터 폐기물별 환경오염인자(TS, VS, COD, BOD, TN)는 음식물폐기물이 제일 높고 그 다음은 도계 폐기물과 가축분뇨 폐기물 순으로 농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산업체의 환경비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은 곧 관련산업과 국가경쟁력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기성슬러지의 감량화 및 연료화를 위한 고화탄소 생산기술(2005.03 ∼2007.02, Pittsburg Coal Conference, Industrial & EngChem. Research) 고함수 바이오매스 가스화 전처리기술(2007.10 ∼ 2010.09, 폐기물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지, UKC conference, ISWA conference) 축산분뇨로부터 고열량 고체연료 생산 및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 증대기술 개발(2009.04 ∼2011.03, 월간환경21 폐기물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및 우수시설 사례집 2004.9 환경부
본 발명은 음식물류, 가축류, 분뇨류의 폐기물에 응집제로 화학적 처리한 후, 활성오니로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면 발생되는 응집침전물의 슬럿지는 원심분리하더라도 수분함량이 80-90%로 높고 부피가 커서 운송 보관 및 폐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날로 부족해지는 폐기물 매립지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간의 다툼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소각하더라도 냄새로 인한 민원이 극심해 지고 있다. 따라서 음식물류, 가축부산물류, 가축분뇨류의 응집 침전물의 슬럿지를 처리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의 활성오니를 가압부상하여 농축된 슬럿지에 고분자응집제(CATION)를 첨가하고 원심 분리하여 슬러지를 만들어 환경업체에 위탁 처리한다. 그러나 그 슬럿지의 수분함량은 80% 이상이다.
본 감량화 발명은 그 생성된 슬럿지케익에 생석회(CaO)의 혼합비율을 1 : 0.1 - 0.5의 비율로 첨가하고 가열시켜 소석회화 반응( Ca(OH)₂)을 일으켜 응집 침전물의 슬럿지가 화학반응에 의하여 탈수가 되고 고온에 의해고분자응집제가 분해되는 제1단계와 탈수된 슬럿지케익을 가열 및 분쇄하여 입자화 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1단계에서 생석회와 염화칼슘(CaCl2)을 첨가하면 발열반응으로 인하여 침전물 슬럿지의 탈수화를 촉진시켜 슬럿지케익의 수분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슬럿지케익에 염화칼슘을 첨가하면 발열반응으로 인하여 입자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의 제2단계에서 염화칼슘과 생석회를 0.1-0.5 : 0.5-0.9 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폐수슬럿지의 수분함량이 50% 내지 90% 정도로 감량화 됨으로서 슬럿지 매립에 따른 비용절감은 물론 매립용 토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입자화된 슬럿지는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호보완되어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좋게 한다. 더욱이 산성화되어 있는 토양에 미네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칼리성 성분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슬럿지를 자원화함으로서 지속가능한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가열 및 분쇄한 입자이다.
도 2는 폐기물 응집침전물의 슬럿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함수상태의 응집침전물 슬럿지에 생석회(CaO)를 첨가하고 가열시켜 소석회화(Ca(OH)2)반응을 일으켜 응집침전물의 슬럿지가 케이크로 탈수되는 제1단계와, 상기의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가열 및 분쇄하여 입자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슬럿지의 감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제1단계에서 생석회(CaO)와 염화칼슘(CaCl2)을 첨가하면 발열반응으로 인하여 침전물 슬럿지의 탈수화를 촉진시켜 슬럿지케익의 수분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슬럿지케익에 염화칼슘을 첨가하면 발열반응으로 인하여 입자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도계 폐기물 처리
도계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도계후 세척으로 인한 혈액, 닭털, 닭잔유물, 세척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도계 폐기물에는 총고형물(TS(mg/L)이 49,690, 휘발성고형물(VS(mg/L)이 42,420, COD Cr(mg/L) 85,900, BOD5(mg/L 60,120, TN(mg/L) 3,600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폐수처리장에 투입된 도계폐기물은 알루민산소다와 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1차반응시킨 다음 양이온계 응집제로 응집시킨 후, 활성오니를 첨가하여 호기적으로 반응시켜 1차 응집침전물의 슬럿지를 분리한다. 상등액에 상기의 응집제로 2차반응시킨 다음 2차 응집침전물을 1차 응집침전물과 섞어 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슬럿지케익을 얻는다.
상기의 슬럿지케익 1kg에 생석회 0.1-0.5kg을 1: 0.1-0.5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10-30분간 교반한 후, 총중량과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에 나타냈다.
슬럿지와 생석회의 혼합비율에 따른 슬럿지케익의 함수율(%)
구 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슬럿지/생석회 1:0.1 1:0.2 1:0.3 1:0.4 1:0.5
반응시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함수율(%) 55.5 52.6 48 43.8 40.5
상기의 결과로부터 슬럿지와 생석회의 혼합비율을 1 : 0.1 - 0.5의 비율로 섞었을 때 슬럿지케익의 함수율은 40.5-65.5%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래의 슬럿지케익의 수분함량 81-82%에서 40.5-55.5%로 감소되어 슬럿지의 총중량을 5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량화된 슬럿지케익을 폐기처리하면 저장운반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장소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와함께 도축장(소, 돼지, 염소 등)의 폐수처리 후 발생하는 슬럿지 경우도 비슷한 실정으로서 생석회로 처리하면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제1단계에서 도계폐기물에 생석회(CaO)와 염화칼슘(CaCl2)을 5:5, 6:4, 7:3, 8:2, 9:1의 비율로 첨가하여 실험예 1 내지 5와 동일하게 반응시키고 분리하여 함수율을 측정한바, 슬럿지케익의 함수율이 35-50%로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감량화된 슬럿지의 분말화
실시예 1에서 얻은 감량화된 슬럿지케익(수분함량 40.5-55.5%)에는 생석회(CaO)가 소석회(CaOH)2)화되어 분말화하기가 용이하다. 상기의 슬럿지케익의 슬러리를 가열기와 교반기가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40-50℃에서 30-40rpm으로 강력하게 30-60분 동안 교반하였다. 수증기와 악취는 스크라버에 흡수시켜 수분함량 2-3%의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무기질과 슬럿지가 혼합된 입자를 얻었다. 상기의 슬럿지 입자는 토양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슬럿지 생석회 반응으로 발생되는 메칠계와 설파계 악취를 기존의 워터 스크레퍼와 산-알카리 처리설비 또는 전기집진이나 보일러 연관을 통과하여 이들 기체를 포집 감소시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의 실험예 1 내지 5와 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슬럿지케익을 분말화시킨 입자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다음의 표 4에 나타냈다.
감량화된 슬럿지 분말 입자의 수분함량(%)
구 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슬럿지케익 수분(%) 55.5 52.6 48 43.8 40.5
분말입자 수분(%) 3.5 3.1 2.8 2.5 2.1
상기의 표 2로부터 슬럿지케익에 생석회 함유율이 높을수록 수분함량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제2단계에서 슬럿지케익에 생석회(CaO)와 염화칼슘(CaCl2)을 5:5, 6:4, 7:3, 8:2, 9:1의 비율로 첨가하여 실험예 1 내지 5와 동일하게 반응시키고 분리하여 함수율을 측정한바, 슬럿 분말의 함수율이 1.5-3%로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량화된 슬럿지케익을 가열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면 수분함량이 2-3%로서 저장운반이 용이하고 매립장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토양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가축 분뇨 폐기물 처리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총고형물(TS)은 46,300 mg/L, 휘발성 고형물(V/S)은 32,000 mg/L, COD Cr 60,400 mg/L, BOD5 34,500 mg/L, TN 3,500 mg/L 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한편 돼지 분뇨 슬러리는 총고형물 (TS) 가 약 8.50%, 휘발성고형물 (VS)/ 총고형물 (TS) 는 68.94%, BOD는 13,380 mg/L, COD는 15,721 mg/L, SS는 23.636 mg/L, TP는 1,198 mg/L, TKN은 9,800 mg/L 이다. 보통 양돈장에서 발생되는 냄새물질은 휘발성지방산(VFA: Volatile Fatty Acid), 페놀류, 인돌류, 질소화합물류로 구성되어 있다(Schaefer, 1977; Williams and Evans, 1981).
본 발명에서는 돼지농장에서 수집한 돈분을 분리하여 액체는 폐수처리하고 고체 돈분을 시료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수분함량 45∼50% 돈분 1kg에 대하여 생석회 0.1-0.5kg을 1: 0.1-0.5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10-30분간 교반한 후, 총중량과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5에 나타냈다.
돈분과 생석회의 혼합비에 따른 돈분케익의 함수율(%)
구 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돈분/생석회 1:0.1 1:0.2 1:0.3 1:0.4 1:0.5
반응시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함수율(%) 25.5 26 26.5 27 27.5
상기의 결과로부터 돈분과 생석회의 혼합비율을 1 : 0.1 - 0.5의 비율로 섞었을 때 돈분케익의 함수율은 25.5∼27.5% 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돈분케익의 함수율이 45∼50%에서 생석회로 30분간 가열반응시킴으로써 25.5-27.5%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수분함량 25-27%로 감량화된 돈분 슬럿지케익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수분함량 2-3%의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무기질과 슬럿지가 혼합된 입자를 얻었다. 상기의 슬럿지 입자는 토양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음식물 폐기물 처리
음식물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총고형물(TS) 190,000 mg/L, 휘발성고형물(VS) 154,300 mg/L, COD Cr 206,100 mg/L,, BOD5 138,300(mg/L), TN 3,600 mg/L으로 폐기물 중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음식물폐기물은 가정 69%, 음식점 19%, 집단급식소 5%, 농수산시장 4%, 대규모점포 2%, 관광숙박시설 1% 순으로 전체 88%가 가정과 음식점에서 발생한다. 음식물폐기물은 배출원에 따라 그 조성과 함량이 다르지만 비교적 단백질 함량이 높아 사료로서 이용가치가 있으나 수분함량이 높아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 위험이 있으므로 습식사료화는 선별, 파쇄, 가열, 발효/저장, 선별, 제품생산하고 건식사료화는 선별, 파쇄, 가열/건조, 선별, 제품생산한다.
상기에서 음식물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선별, 파쇄를 거친 것을 대상으로 하여 고체와 액체를 분리한 다음 얻은 음식물폐기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수분함량 45∼50% 음식물폐기물 1kg에 대하여 생석회 0.1-0.5kg을 1: 0.1-0.5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10-30분간 교반한 후, 총중량과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냈다.
음식물폐기물과 생석회의 혼합비율에 따른 음식물케익의 함수율(%)
구 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슬럿지/생석회 1:0.1 1:0.2 1:0.3 1:0.4 1:0.5
반응시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함수율(%) 25.5 26 26.5 27 27.5
상기의 결과로부터 음식물케익과 생석회의 혼합비율을 1 : 0.1 - 0.5의 비율로 섞었을 때 음식물케익의 함수율은 25.5∼27.5% 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음식물케익의 함수율이 45∼50%에서 생석회로 30분간 가열반응시킴으로써 25.5-27.5%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수분함량 25-27%로 감량화된 음식물 슬럿지케익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수분함량 2-3%의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무기질과 슬럿지가 혼합된 입자를 얻었다. 상기의 슬럿지 입자는 토양비료나 토양개량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수슬럿지의 수분함량을 50% 내지 90% 정도로 감량화 시킴으로서 슬럿지 매립에 따른 비용절감은 물론 매립용 토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입자화된 스럿지는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토양의 수분활성과 호흡에 길항작용을 하여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좋게 한다. 또한 폐기물 슬럿지를 자원화함으로서 지속가능한 재활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응집제와 활성오니로 폐수처리하여 얻은 폐기물 슬럿지에 생석회(CaO) 및 염화칼슘을 첨가하고 가열시켜, 소석회화 반응에 의해 폐기물 슬럿지가 탈수되어 슬럿지케이크를 얻되, 상기 폐기물 슬럿지에 생석회 및 염화칼슘을 1 : 0.4-0.45 : 0.05-0.1의 중량 비율로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의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가열 및 분쇄하여 입자화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가축류, 분뇨류 또는 음식물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화는 탈수된 슬럿지케이크를 열기구와 교반기가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40-50℃에서 30-40rpm으로 30-60분 동안 가열 및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6. 삭제
KR1020200175511A 2020-12-15 2020-12-15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Active KR10248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11A KR102488233B1 (ko) 2020-12-15 2020-12-15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11A KR102488233B1 (ko) 2020-12-15 2020-12-15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43A KR20220085443A (ko) 2022-06-22
KR102488233B1 true KR102488233B1 (ko) 2023-01-16

Family

ID=8221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11A Active KR102488233B1 (ko) 2020-12-15 2020-12-15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01Y1 (ko) 2001-01-16 2001-07-03 윤대승 생석회를 이용한 토지개량제 제조장치
KR100551928B1 (ko) * 2003-12-12 2006-02-16 주식회사 수테크 하·폐수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를 적용한 건조설비
KR101433333B1 (ko) * 2014-06-27 2014-08-22 최성철 수분 흡수 매개체를 이용한 신규 건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99A (ja) * 1996-01-24 1997-07-29 Chichibu Onoda Cement Corp 汚泥の処理方法及びセメント原料用汚泥処理物
JPH1190497A (ja) * 1997-09-25 1999-04-06 Toshiba Mach Co Ltd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
KR101301122B1 (ko) * 2011-03-10 2013-09-03 강철규 슬러지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01Y1 (ko) 2001-01-16 2001-07-03 윤대승 생석회를 이용한 토지개량제 제조장치
KR100551928B1 (ko) * 2003-12-12 2006-02-16 주식회사 수테크 하·폐수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를 적용한 건조설비
KR101433333B1 (ko) * 2014-06-27 2014-08-22 최성철 수분 흡수 매개체를 이용한 신규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43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Sustainable approach to biotransform industrial sludge into organic fertilizer via vermicomposting: A mini‐review
Chojnacka et al. Practical aspects of biowastes conversion to fertilizers
US6409788B1 (en) Methods for producing fertilizers and feed supplements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wastes
CN101531936B (zh) 一种含可燃气的固体燃料及其生产工艺
KR101775696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방법
CN102268310A (zh) 一种利用餐厨垃圾制备生物质燃料的方法
JPH07503178A (ja) 排出物処理方法
KR101599424B1 (ko)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화 및 바이오가스화 시설
KR2009002045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101027449B1 (ko) 음폐수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0741696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CN105621806B (zh) 一种快速处理餐厨垃圾废水的生物聚沉氧化工艺
KR102488233B1 (ko) 폐기물 슬럿지의 감량화 방법
EA037861B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экскрементов птиц
Bazarnova et al. Innovative technologies secondary use of processed active source
KR100286180B1 (ko) 생활쓰레기 및 동물사체의 메탄가스화 방법 및 장치
KR10166505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방법
JP2010084078A (ja) 固形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1624B1 (ko) 폐기물 처리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형연료
KR20040105933A (ko) 유기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 방법
EP3834593B1 (en) Method of animal liquid manure processing
KR10038406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비료화 방법
CN212610221U (zh) 利用畜禽粪污循环处理养殖废水和/或土壤改良的装置
Bong et al.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and feasibility of leachate for biogas production by anaerobic digestion
Singh et al. Bioremediation of wastewater sludge from pharmaceutical industries through vermistab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