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40B1 - louver for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louver for air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7340B1 KR102487340B1 KR1020160010066A KR20160010066A KR102487340B1 KR 102487340 B1 KR102487340 B1 KR 102487340B1 KR 1020160010066 A KR1020160010066 A KR 1020160010066A KR 20160010066 A KR20160010066 A KR 20160010066A KR 102487340 B1 KR102487340 B1 KR 1024873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uver
- frame
- piston rod
- air condition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창;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루버와 제2루버;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운동을 상기 제1루버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를 연결하는 제2전달부가 포함하고,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루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전동 실린더를 사용하여 루버를 제어하므로, 루버의 세밀한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다수의 루버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실린더로 다수의 루버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의 운전상황에 따라, 루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루버가 최적의 개방 각도로 개방되어, 공기 조화기의 성능을 보장하고,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외기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루버의 폐쇄여부를 결정하므로, 최적의 개방 시간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first louver and a second louv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rotatably provided; An electric motor driving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A piston rod that moves linear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 firs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to the first louver; And a second transmiss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part includes a link that rotates in a se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adjust the louver,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and since the louver is controlled using an electric cylinder, the detailed angle change of the louver is possible, and even when a plurality of louvers are included, one cylind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of multiple louvers.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utdoor unit, the louver is opened at an optimal opening angle, guarantee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minimizing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Since the condition of the outdoor unit room is monitored to determine whether to close the louver, only the optimum opening time can be op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ve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 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An air conditioner is a home appliance for maintaining indoor air in the most suitable state according to use and purpose. For example, the indoor air is adjusted to a cool cooling state in summer, a warm heating state in winter, and also the indoor humidity is controlled and the indoor air is adjusted to a pleasant clean state.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설치 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Depending on how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t can be divided into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wall and a slim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living room.
또한,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indoor unit, a single type air conditioner configured with a capacity to drive one indoor unit and configured to be used in a narrow place such as a home, and a medium-large sized air conditioner configured with a very large capacity to be used in a company or restaurant It can be divided into a multi-air conditioner composed of a roof tile and a capacity capable of sufficiently dri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된다. 상기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는 장치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장치 및 상기 팽창장치를 거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가 포함된다.A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in the air conditioner. The device driving the refrigeration cycle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an expansion devic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evaporates. An evaporator is included.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배관에 의해서 발생하는 손실이 증가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disposed in an indoor space, an outdoor unit disposed in an outdoor space, and a pipe connecting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s the length of the pipe increases, the loss generated by the pipe increases, and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decreases.
상기 배관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실외기를 실외 공간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실내기가 구비되는 공간과 다른 실내 공간(이하 실외기실이라고 함)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length of the pipe, the outdoor unit may not be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but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door unit room) different from a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is provided.
특히, 최근에서는 주거공간의 변화 및 건축 관련 규제에 따라, 건물의 외벽에 상기 실외기를 설치하지 않고, 배란다 등의 실내 공간에 상기 실외기를 설치하여, 실내 공간를 상기 실외기실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residential space and construction-related regulations, cases where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balcony instead of installing the outdoor unit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used as the outdoor unit room are increasing. .
상기 실외기가 상기 실외기실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 상기 실외 공간과 실외기실을 연통시키는 루버를 열어 실외 공기가 상기 실내기실에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종료 시, 상기 루버를 닫아, 외부의 먼지나 곤충 등의 이물질이 실외기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When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room, the user opens a louver communicating the outdoor space and the outdoor unit unit to allow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unit unit when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nd ends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t this time, the louver is close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insects from entering the outdoor fan chamber.
선행 문헌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Prior literature includes the following.
출원번호(출원일자) : 10-2006-0040872 (2006.05.08)Application number (application date): 10-2006-0040872 (2006.05.08)
발명의 명칭 : 열교차단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실외기실 환기루버.Title of invention: Ventilation louver for outdoor unit room with improved thermal bridge blocking and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 선행 문헌에 의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종료 시 마다 상기 루버를 개방/ 폐쇄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the user has to open/close the louver each time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finished, which is inconvenient.
또한, 상기 루버가 사용자의 경험에 따른 임의 각도로 개방로 개방되거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어 운영되므로, 루버가 필요 이상으로 개방되어 이물질의 침투를 적절하게 방지할 수 없으며, 루버가 필요 이하로 개방되어 공기 조화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louver is opened at an arbitrary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experience, or is operated completely open or completely closed, the louver is opened more than necessary to proper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louver is less than necessary.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open and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루버는 개방에서 폐쇄까지 복수의 단계로 개방 정도가 상기 루버는 기설정된 특정 각도로만 개방할 수 있으므로, 루버의 세밀한 개방 각도 변경이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louver has a degree of opening in a plurality of steps from opening to closing, and the louver can be opened only at a predetermined specific angl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opening angle in detail of the louver.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황나 실외기실의 상태를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루버 장치가 요구되었다.Accordingly, a louver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or the condition of the outdoor unit room has been demand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운전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폐쇄되는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ver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 clos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driving.
또한, 실외기의 운전상황에 따라 개방 각도가 자동 제어되는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ver device in which an opening angl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ng condition of an outdoor unit.
또한, 실외기실의 상태에 따라 개방 각도가 자동 제어되는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ver device whose opening angl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utdoor unit roo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창;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루버와 제2루버;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운동을 상기 제1루버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를 연결하는 제2전달부가 포함하고,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를 포함한다.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first louver and a second louv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rotatably provided; An electric motor driving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A piston rod that moves linear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 firs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to the first louver; And a second transmiss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part includes a link that rotates in a se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또한, 상기 링크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가지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직선 운동할 때,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절개부 내에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cutout formed in the link; and a bracket hav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incision, wherein when the piston rod moves linearly, the fixing pin is moved in the incision.
또한,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제1루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2루버에 연동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동일한 기어 비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main gear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louver; a driven gear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louver; and a rack coupled to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gear to the driven gear, wherein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have the same gear ratio.
또한,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링크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전달부 본체; 및 상기 전달부 본체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동축이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mission unit body forming a rotational center of the link; and a drive shaft extending from the delivery unit body toward the first frame.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랙을 지지하는 랙가이드 및 상기 랙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랙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랙 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is disposed below the rack guide and the rack guide for supporting the rack, and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rack from leaving, and the rack is supported by the rack guide. ,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제어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is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결정한다.The outdoor unit may also include a fan motor for flowing air inside the outdoor unit,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from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motor.
또한, 상기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제어한다.In addition, a senso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air is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based on a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또한, 상기 센서에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킨다.The sensor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a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is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educes a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is increased.
또한, 상기 센서에는,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제1기준 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보다 높은 제2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sensor includes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and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humidity, and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f it is lower than 2 standard humidity,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is reduc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루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adjust the louver,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또한, 전동 실린더를 사용하여 루버를 제어하므로, 루버의 세밀한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다수의 루버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실린더로 다수의 루버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uver is controlled using an electric cylind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of the louver in detail, and even when a plurality of louvers are includ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of a plurality of louvers with one cylinder.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의 운전상황에 따라, 루버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루버가 최적의 개방 각도로 개방되어, 공기 조화기의 성능을 보장하고,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outdoor unit, the louver is opened at an optimal opening angle, thereby guarantee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minimizing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루버의 폐쇄여부를 결정하므로, 필요한 개방 시간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outdoor unit room to determine whether to close the louver, it is possible to open only the required opening tim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일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완전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일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a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tely closed state of a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lly clos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It is a view showing the drive unit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는, 실외기의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루버(21, 22, 23)포함한다.1 to 4,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프레임(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액자 프레임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개방된 상기 전면과 후면을 통해서 실외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프레임, 상기 상면프레임과 상하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프레임, 이격된 상기 상면프레임과 하면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양측프레임(11, 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양측프레임(11, 12)은 우프레임(11)과 좌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측프레임(11, 12)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11a, 12a)와 상기 루버의 일측을 지지하는 내측부(11b, 1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h sides of the
상기 외측부(11a, 12a)는 상기 내측부(11b, 12b)를 향하여 일면이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자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부(11b, 12b)는 상기 외측부(11a, 12a)의 개방된 상기 일면에 배치되며, 후술할 전달부(110, 15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외측부(11a, 12a)와 내측부(11b, 12b)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후술할 전달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An inn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본 실시예의 프레임(10)은 상기 실외기가 설치된 실외기실과 실외공간을 연통하는 ‘창’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을 이루는 상면프레임, 하면프레임 및 양측프레임은 상기 ‘창’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양측프레임(11, 12)에 전달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에도 전달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프레임(11)은 제1프레임으로, 상기 좌프레임(12)은 제2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expressed that the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in both
상기 루버(21, 22, 23)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좌프레임(12)의 내측부(12b)와 우프레임(11)의 내측부(11b)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루버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상기 루버(21, 22, 23)는 상기 루버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21a, 22a 23a)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확장되는 루버면부(21b, 22b, 23b)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전후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루버(21, 22, 23)는 상기 회전축(21a, 22a 23a)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얇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상기 회전축(21a, 22a 23a)을 따라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임를 폐쇄할 수 있다.The
상기 루버(21, 22, 23)는 루버면부(21b, 22b, 23b)의 양단부에서 돌출되는 돌기(21c, 22c, 2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1c, 22c, 22c)는 상기 회전축(21a, 22a 23a)을 따라서 양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The
상기 돌기(21c, 22c, 22c)는 상기 양측프레임(11, 12)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11d, 12d)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홈(11d, 12d)는 상기 내측부(11b, 12b)의 구비된 홀(11c, 12c)에서 상기 외측부(11a, 11a)를 항하여 소정의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버(21, 22, 23)는 상기 홀(11c, 12c) 또는 상기 홈(11d, 12d)에 체결될 수 있다.The
상기 루버(21, 22, 23)는 제1루버(21)와 제1루버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루버(22, 23)를 포함한다. The
일 예로, 상기 제1루버(21)와 상기 제2루버(22, 23)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로, 상기 제1루버(21)는 상기 프레임 내부공간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루버(22, 23)는 상기 제1루버(21)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공간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루버(21)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루버(22, 23)는 상기 제1루버(21)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제2루버(22)는 상기 제1루버(2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타 제2루버(22)는 상기 제1루버(21)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제2루버(22, 2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루버(21)와 제2루버(22, 23)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루버가 상기 제1루버의 상측에 한 개, 제1루버의 하측에 한 개 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2루버의 배치와 수에 대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루버가 상기 제1루버의 일측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루버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uver is expressed as one above the first louver and one below the first louver, but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second louvers are not limited. That is, the second louver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on one side of the first louver, and may be configured in plural on both sides of the first louver.
상기 회전축(21a, 22a, 23a)은 상기 제1루버(2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1회전축(21a)과 상기 제2루버(22, 23)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제2회전축(22a, 23a)을 포함한다.The
상기 제1회전축(21a)과 제2회전축(22a, 23a)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버(21, 22, 23)의 회전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210) 및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240)를 포함한다.The driving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전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220a), 상기 기어박스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220b) 및 상기 볼스크류에 체결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일단에 연결되는 볼너트(220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기어박스(220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스크류(220b)와 상기 볼너트(220c)가 수용되는 아웃튜브(2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상기 피스톤 로브(240)는 일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제1전달부(110)와 체결되는 브라켓(250)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전동모터(210)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박스(220a)를 통해서 상기 볼스크류(220b)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어박스(220a)의 기어비에 따라 전동모터(210)의 회전속도와 볼스크류(220b)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전동모터(210)의 회전방향과 볼스크류(220b)의 회전방향 또한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상기 볼너트(220c)는 상기 아웃튜브(230)의 내주면과의 간섭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볼스크류(220b)와 같이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볼스크류(220b)의 연장방향으로 직선 이동 하게 된다. 상기 볼너트(220c)가 상기 볼스크류(220b)의 연장방향으로 직선 이동 함에 따라 상기 볼너트(220c)에 체결된 상기 피스톤 로드(240)도 상기 볼스크큐(220b)의 연장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일예로, 상기 전동모터(2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볼스크류(220b)도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볼너트(220c)는 상기 기어박스(220a)에서 상기 아웃튜브(230)의 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240)는 아웃튜브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이 증가한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 피스톤 로드(240)가 아웃튜브(230)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타단이 상기 제1구동부(110)를 가압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피스톤 로드(240)의 타단에 구비된 브라켓(250)가 제1구동부의 링크(112)를 밀 수 있다.When the
반대로, 상기 전동모터(2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볼스크류(220b)도 동일한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볼너트(220c)는 상기 아웃튜브(230)에서 상기 기어박스(22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240)는 아웃튜브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이 감소한다.Conversely, when the
상기 피스톤 로드(240)가 아웃튜브(230)의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타단에 구비된 브라켓(250)가 제1구동부의 링크(112)를 당길 수 있다.When the
상기 구동부(200)는 전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상기 브라켓(250)은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며, 후술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고정핀(250c)을 포함한다.The
상기 전달부(110, 150)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1루버(21)를 회전시키는 제1전달부(110)와 상기 제1루버(21)와 제2루버(22, 23)에 연결되어, 제1루버(21)의 회전력으로 상기 제2루버(22, 23)를 회전시키는 제2전달부(150)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전달부(11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달부(15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일예로, 상기 제1전달부(110)는 상기 우프레임(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달부(150)은 상기 좌프레임(12)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전달부(110, 15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110, 15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부(110, 15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전달부는 전달부 본체(111)과 상기 전달부 본체(111)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링크(112)와 상기 전달부 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제1회전축(21a)에 체결되는 구동축(114)을 포함한다.The first transfer unit includes a
일예로, 상기 전달부 본체(111)는 대략 상기 제1회전축(21a)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114)는 상기 제1회전축(21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링크(112)는 원통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링크(112)의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250)이 체결되도록 절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3)은 상기 링크(1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3)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구동부의 원복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113)는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상기 링크(112)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A
상기 링크(112)는, 상기 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전달부 본체(111)가 상기 제1회전축(2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The
일예로, 상기 링크(112)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25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브라켓(25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50c)에 의해서 체결된다. For example, one end of the
즉, 상기 절개부(113)는 상기 브라켓(25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핀(250c)은 상기 브라켓(250)과 절개부(113)를 관통하며, 상기 절개부(113)와 상기 브라켓(250)은 관통된 고정핀(250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That is, the
이 때, 상기 링크(112)와 상기 피스톤 로드(240)는 일정 각도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달부(110)는 상기 구동부(200)의 직선운동을 구동축(114)의 회전운전으로 변환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구동축(114)은 상기 제1회전축(21a)에 회전력을 전달한다.The
일예로, 상기 구동축(114)은 상기 제1회전축(21a)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루버(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이 , 상기 구동축(114)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외측부(11a)에 형성된 홀(15)을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11)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115)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114)은 상기 제1회전축(21a)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루버(21)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114)이 제1루버(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회전축(21a)이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본체(111)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114)과 제1회전축(21a)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격된 상기 구동축(114)과 제1회전축(21a)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전달부(110)와 구동부(200)가 제1프레임(1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전달부(110)와 구동부(200)가 상기 제1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전달부(110)와 구동부(200)가 상기 제1프레임의 외측부(11a)와 내측부(11b)에 의해서 규정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2전달부(150)는 상기 제1회전축(21a)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축(22a, 23a)으로 전달한다.The
상기 제2전달부(150)는 상기 제1루버의 일측에 체결되는 주동기어(160), 상기 제2루버의 일측에 체결되는 종동기어(170) 및 상기 주동기어로부터 종동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랙(190)을 포함한다. The
상기 주동기어(160)와 종동기어(170)는 상기 돌기(21c, 22c, 22c)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주동기어(160)는 상기 제1회전축(21a)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170, 180)는 상기 제2회전축(22a, 23a)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루버(22, 2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종동기어(170) 또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주동기어(160)와 다수의 종동기어(170)는 동일한 기어 비로 형성될 수 있다. 주동기어와 동종기어가 동일한 기어 비를 가지므로, 상기 주동기어와 다수의 동종기어는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루버(21)와 제2루버(22, 23)는 동일한 개방 각도를 가진다. The
여기서 개방 각도(θ1; 도9 참고)란,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며, 개방 각도가 0도 인 경우에는 완전 개방된 것을 의미하며(도 5 및 도 8 참조), 개방 각도가 90도 인 경우에는 완전 폐쇄된 것을 의미한다(도7 및 도 10 참조).Here, the opening angle (θ1; see FIG. 9) means the angle formed by the
따라서, 개방 각도가 작을수록 상기 루버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많아지고, 개방 각도가 클수록 상기 루버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작아진다.Therefore, the smaller the opening angle, the larger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louver device, and the larger the opening angle, the smaller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louver device.
상기 랙(190)은 제2프레임(12)의 외측부(12a)와 내측부(12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외측부(12a)에는 상기 랙(19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랙 가이드(12d)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랙(190)은 상기 랙 가이드(12d)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A
상기 외측부(12a)에는 상기 랙 가이드(12d)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랙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루버 장치가 개방 각도가 증감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device will be described.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일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완전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일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가 완전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tely closed state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tely open state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th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ly open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tely closed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루버 장치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려면, 상기 구동부(200)가 동작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피스톤 로드(240)를 상기 아웃 튜브(230)로부터 인출시킨다. 5 to 10, to in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device, the driving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일측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링크(112)의 일단을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브라켓(250)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링크(112)의 일단이 상방으로 이동된다.When one side of the
상기 링크(112)는, 구동축(1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114)에 연결된 제1루버(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1회전축(21a)에서 연장되는 제1루버면(21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한편, 상기 제1회전축(21a)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21a) 일측에 체결된 상기 주동기어(1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주동기어(160)와 맞물리는 상기 랙(190)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190)을 통하여, 상기 랙(190)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7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170)에 체결된 제2루버(22, 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Meanwhile, as the first
제1루버(21) 및 제2루버(22, 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점차 폐쇄한다. 즉. 개방각도가 증가된다. The
이 , 상기 주동기어(160)와 종동기어(170)는 기어비가 동일하므로, 제1루버(21)의 루버면부(21b)와 제2루버(22, 23)의 루버면부(22b. 23b)는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일예로,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gear ratio of the
본 실시예는 제1루버(21)가 먼저 회전하고, 이후 제2루버(22, 23)가 나중에 회전하는 것처럼 표현하였으나, 제1루버(21)와 제2루버(22, 23)는 하나의 랙(190)에 체결되므로, 제1루버(21)와 제2루버(22, 23)는 동시에 회전되며, 제1루버(21)의 회전 각도와 제2루버(22, 23)는 회전 각도는 서로 동일하고, 제1루버(21)의 회전속도와 제2루버(22, 23)의 회전속도는 서로 동일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이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의 어느 하나의 상단과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의 다른 하나의 하단이 서로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루버 장치가 최대로 폐쇄된다.The
반대로, 상기 루버 장치의 개방각도가 감소되려면, 상기 구동부(200)가 동작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피스톤 로드(240)를 상기 아웃 튜브(230)로 인입시킨다. Conversely, to de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device, the driving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일측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링크(112)의 일단을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브라켓(250)이 하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링크(112)의 일단이 하방으로 이동된다.When one side of the
상기 링크(112)는, 구동축(1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114)에 연결된 제1루버(2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회전축(21a)에서 연장되는 제1루버면(21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한편, 상기 제1회전축(21a)에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21a) 일측에 체결된 상기 주동기어(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주동기어(160)와 맞물리는 상기 랙(190)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190)을 통하여, 상기 랙(190)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7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170)에 체결된 제2루버(22, 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Meanwhile, as the first
제1루버(21) 및 제2루버(22, 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점차 개방한다. 즉, 개방 각도가 감소한다.The
상기 루버면부(21b, 22b, 23b)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평을 이루면, 상기 루버 장치가 최대로 개방된다.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 장치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lou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루버 장치는 상기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루버(21, 22,23)을 제어할 수 있다.The louver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일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40)의 길이란, 피스톤 로드의 자체 길이가 아닌 아웃튜브(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40)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ength of the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길이가 변경되면 제1루버(21) 및 제2루버(22, 23)의 개방 각도가 변경되므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루버(21) 및 제2루버(22, 23)를 제어할 수 있다.Since the opening angles of the
다만, 본 실시예는 제어부가 루버 장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201)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케이블(201)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로부터 전력을 얻을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control unit being disposed in the louver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outdoor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의 속도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may include a fan motor that circulates air inside the outdoor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according to a speed of the fan motor.
일예로, 상기 팬모터가 고속 회전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켜, 상기 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팬모터가 저속 회전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켜, 상기 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an motor rotates at a high speed, the opening angle of the
또한, 루버 장치는 유동하는 공기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센서는 상기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uver device may include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flowing air. For example, the sensor may detec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ai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air sensed by the sensor unit.
일예로, 상기 공기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켜, 상기 제1, 제2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켜, 상기 제1, 제2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to reduce the opening angles of the first and
이 때, 상기 제 1 기준 온도는 제 2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 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이와 같이, 센싱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루버(21, 22, 23)를 제어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정상운전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기실의 온도를 일정범위(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 사이의 온도 범위)로 유지시키면서도, 최소 각도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 이상으로 루버가 개방되어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본 실시예는 루버 장치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실외기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uver device is expressed as including a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다른 예로, 유동하는 공기의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240)의 길이를 증가시켜 상기 제1, 제2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내기의 내부의 유동하는 공기의 습도가 기준 습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브(240)의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제1, 제2루버(21, 22, 23)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humidity of the flowing ai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humidity,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습도에 따라서 상기 루버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면,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 상기 개방각도를 증가시켜, 상기 실외기실로 눈 또는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humid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w or rainwater from entering the outdoor unit by increasing the opening angle when it snows or rain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습도가 기준 습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루버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모터를 제어하여, 팬모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lso,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inside the indoor un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humidity, the control unit may increase the speed of the fan motor by controlling the fan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is increased.
이와 같이 루버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고, 팬모터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상기 루버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기실로 물 또는 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louver is increased and the speed of the fan motor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louver can be kept constant,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prevented while preventing water or snow from entering the indoor unit. This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는 루버 장치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서가 상기 실외기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uver device is expressed as including a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Claims (19)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루버;
상기 제1루버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루버;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를 구동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운동을 상기 제1루버의 일측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1루버의 타측과 제2루버를 연결하는 제2전달부가 포함하고,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직선 운동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제1루버의 타측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2루버에 연동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로 전달하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 window disposed to face the outlet of the outdoor unit to discharge air, and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first louv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rotatably provided;
a second louve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uver and rotatably provided;
an electric motor provided on the first frame and driving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a piston rod provided on the first frame and linearly mov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 first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frame and transmitting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to one side of the first louver; and
It is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and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uver and the second louver,
The first deliver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tion of the piston rod, including a link that rotates in a set direction,
The second delivery unit
A main gea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uver;
a driven gear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louver; and
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rack coupled to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gear to the driven gear.
상기 링크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가지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utout formed in the link; and
The air conditioner louv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bracket coupled to the piston rod and hav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cutout.
상기 피스톤 로드가 직선 운동할 때,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절개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iston rod moves linearly, the fixing pin moves within the cutout.
상기 피스톤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절개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ston rod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out extends cross each other.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동일한 기어 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have the same gear ratio.
상기 제2루버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루버는 상기 복수 개의 제2루버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lou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uver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louvers.
상기 제2루버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제1프레임에 함몰되며,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louver; and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oove recessed in the first frame, to which the protrusion is coupled.
상기 제1전달부는
상기 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전달부 본체; 및
상기 전달부 본체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delivery unit
A delivery unit body coupled to the link and forming a rotational center of the link; and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ing shaft extending from the transmission unit body toward the first frame.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랙을 지지하는 랙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랙가이드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rame further includes a rack guide for supporting the rack,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ck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supported by the rack guide.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랙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랙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second frame is disposed under the rack guide and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rack from coming off.
상기 전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Includ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상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모터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fan motor for flowing air inside the outdoor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from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motor.
상기 전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ai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based on the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센서에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ouver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실외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보다 높은 제 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is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is reduced;
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that increases a withdrawal amount of the piston ro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door unit is lower than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센서에는,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or includes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제 1 기준 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가 상기 제 1 기준 습도보다 높은 제 2 기준 습도보다 낮으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unit,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humidity, increasing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When the humidity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humidity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humidity,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is reduced.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창의 일측면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창의 타측면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frame constitutes the exterior of one side of the window,
The second frame is a louver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0066A KR102487340B1 (en) | 2016-01-27 | 2016-01-27 | louver for air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0066A KR102487340B1 (en) | 2016-01-27 | 2016-01-27 | louver for air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9629A KR20170089629A (en) | 2017-08-04 |
KR102487340B1 true KR102487340B1 (en) | 2023-01-12 |
Family
ID=5965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0066A Active KR102487340B1 (en) | 2016-01-27 | 2016-01-27 | louver for air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73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8814B1 (en) * | 2017-11-14 | 2020-07-28 | 오영태 |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Nonpowered Cooling Structure |
KR101875516B1 (en) * | 2018-02-02 | 2018-07-06 | 양승민 | Distribution uni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nd temperature |
KR102068117B1 (en) * | 2019-06-14 | 2020-01-20 | 육용희 | Louver System |
CN110411003A (en) * | 2019-07-01 | 2019-11-05 | 东莞市建安集团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plate louver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
CN113803870A (en) * | 2021-09-28 | 2021-12-1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Flow guide device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KR102472197B1 (en) * | 2021-10-19 | 2022-11-28 | 조수영 | Louver system with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275Y1 (en) * | 2003-10-23 | 2004-01-24 | 주식회사 이지음 | Apparatus of system door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
KR200390377Y1 (en) * | 2005-05-02 | 2005-07-21 |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 Blade Automatic Opens and Shuts Device of Construction Louv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320B1 (en) * | 2003-05-15 | 2008-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ouver blade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
KR200454596Y1 (en) * | 2009-12-04 | 2011-07-14 | 김천호 | Damper wing switch |
KR101117076B1 (en) * | 2010-06-11 | 2012-02-22 | 황육익 | System louver |
KR101447481B1 (en) * | 2012-11-06 | 2014-10-06 | (주)포스코건설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uver of air-conditioning plant room |
-
2016
- 2016-01-27 KR KR1020160010066A patent/KR1024873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275Y1 (en) * | 2003-10-23 | 2004-01-24 | 주식회사 이지음 | Apparatus of system door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
KR200390377Y1 (en) * | 2005-05-02 | 2005-07-21 |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 Blade Automatic Opens and Shuts Device of Construction Lou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9629A (en) | 2017-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7340B1 (en) | louver for airconditioner | |
KR102458329B1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ying the same | |
JP4742321B2 (en) | Air conditioner | |
EP299731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5611694B2 (en) | Air conditioner | |
US20120171948A1 (en) | Air flow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evice | |
CN1311205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outdoor unit | |
CA2746405A1 (en) |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 |
KR102500804B1 (en) | louver for airconditioner | |
KR100256413B1 (en) |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er | |
US20200224889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1033870A (en) | Standard air-conditioning | |
KR101839874B1 (en) | Air Vent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in Outdoor Unit Room for Airconditioner | |
KR102228140B1 (en) |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for ventilation window according to state change of outdoor room | |
CN211119681U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KR102343464B1 (en) |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
KR100722276B1 (en) | Air conditioner and its noise control method | |
GB2381855A (en) | Self 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 | |
KR102130641B1 (en) |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for ventilation window according to state change of outdoor room | |
CN108151189B (en) | Rain and snow prevention devic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CN112178891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based on data mining | |
JP6823493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280424Y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n Outle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CN216346654U (en) | Human body sens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CN217817057U (en) |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