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6845B1 - 공기 청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845B1
KR102486845B1 KR1020150129569A KR20150129569A KR102486845B1 KR 102486845 B1 KR102486845 B1 KR 102486845B1 KR 1020150129569 A KR1020150129569 A KR 1020150129569A KR 20150129569 A KR20150129569 A KR 20150129569A KR 102486845 B1 KR102486845 B1 KR 10248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air cleaning
sensor
cleaning devi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949A (ko
Inventor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기 청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공기 청정 시스템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시스템 {AIR PURIFYING SYSTEM}
본 출원은 공기 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본체 내에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공기 청정 기능뿐만 아니라 제습 기능, 가습 기능 등을 위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처럼 공기청정기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제품 단가가 올라가게 된다.
한편, 주거 공간 등과 같이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는 한 대의 공기청정기만으로 충분한 공기질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한 공간에서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공간의 공기질에 따라 효율적으로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면서도 이를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 청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센싱 및 제어장치로 통합하고,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줄이면서도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공기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를 센싱 및 제어장치에 의해 통합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센싱 및 제어 장치(100),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및 휴대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및 제어 장치(100)는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VOC 센서), 공기 중의 C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등과 같이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청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제습 기능 또는 가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 통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공기 청정 장치(200)로부터 동작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감지 결과 해당 공간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공기 청정 장치(20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이에 적합하게 해당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부(120)는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설치된 공간의 국부적인 공기질 및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통신부(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는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설치 위치, 공기 청정 장치의 기능 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사무실 층별, 제습/가습 기능 구비 등), 제어부(12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는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 센서부(110)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해당 공기 청정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휴대단말(300), 외부 서버(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13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각각 상이한 통신 기술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휴대단말(300)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130)는 휴대단말(300)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서버(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 제습 기능 및 가습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210), 송풍부(220) 및 청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습부(240), 가습부(250) 및 센서부(260)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2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송풍부(220)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팬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속도(즉, 분당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는 통신부(2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청정부(230)는 공기 청정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청정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방식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정부(230)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공기 청정 장치(200)의 흡기구에 위치하거나, 공기 청정 장치(200)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필터는 예를 들어 전처리 필터(prefilter),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탈취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와 같은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습부(240)는 송풍부(220)에 의해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제습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부(240)는 압축기, 응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매가스의 상변화를 유도하고 냉매가스의 상변화에 따른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며, 액화된 냉매가스는 열교환기에서 기화 및 팽창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물로 응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냉매가스는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가습부(250)는 송풍부(220)에 의해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가습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부(250)는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가습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자연기화식으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센서부(260)는 공기 청정 장치(200)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센싱 및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부(110)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60)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및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동작을 감지하여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260)에 의해 출력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는 통신부(2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은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310), 정보생성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제어입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센싱 및 제어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3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31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정보생성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정보생성부(32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 오염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직선 바, 원형 그래프, 색상 등)로 가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생성부(3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를 기초로, 소비 전력 정보, 소비 전력에 따른 예상 전기료 정보, 필터 청소(재생) 또는 교체 주기 알람 등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각종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것으로,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정보생성부(32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것이다. 제어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에는 센싱 및 제어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와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300)와 연동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해당 공간(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등)에 설치된 환기장치(400), 냉방장치(500) 및 난방장치(600) 중 하나 이상과 연동하여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센서부(110)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환기 필요 여부, 냉방 또는 난방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센싱 및 제어 장치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공기청정장치
210: 통신부
220: 송풍부
230: 청정부
240: 제습부
250: 가습부
260: 센서부
300: 휴대단말
310: 통신부
320: 정보생성부
330: 디스플레이부
340: 제어입력부
400: 환기장치
500: 냉방장치
600: 난방장치

Claims (17)

  1.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해진 기준 - 상기 기 정해진 기준은 설치 위치 및 공기 청정 장치의 기능을 포함함 - 에 따라 그룹핑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는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청정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포함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에 구비된 센서부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와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 공기 중의 C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및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부터 동작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감지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환기, 냉방 또는 난방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환기장치,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 전송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및 제어장치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단말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센싱 및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제어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기초로 소비 전력 정보, 소비 전력에 따른 예상 전기료 정보, 필터 청소 또는 교체 주기 알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0150129569A 2015-09-14 2015-09-14 공기 청정 시스템 Active KR10248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9A KR102486845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 청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9A KR102486845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 청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49A KR20170031949A (ko) 2017-03-22
KR102486845B1 true KR102486845B1 (ko) 2023-01-10

Family

ID=5849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69A Active KR102486845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 청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35B1 (ko) * 2017-09-05 2023-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9050154A1 (ko) * 2017-09-05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10013A (ko) * 2018-07-17 2020-01-30 주식회사 미로 센서가 내장된 리모컨과 가습기가 연동하는 지능형 가습 시스템
WO2020017741A1 (ko)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미로 센서가 내장된 리모컨과 가습기가 연동하는 지능형 가습 시스템
CN109539519A (zh) * 2018-11-21 2019-03-29 合肥林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质量智能检测控制系统
WO2020130192A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2287675B1 (ko) * 2019-10-24 2021-08-10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KR102311194B1 (ko) * 2019-10-29 2021-10-1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한 환기 시스템
KR102365503B1 (ko) * 2019-12-24 2022-02-21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를 포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6883B1 (ko) * 2020-01-23 2022-01-04 나기원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KR102346882B1 (ko) * 2020-01-23 2022-01-04 나기원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KR102352817B1 (ko) * 2021-06-23 2022-01-19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혼성 소재를 활용한 클린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1B1 (ko) * 2007-01-23 2008-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JP2009002601A (ja)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KR101238958B1 (ko) 2011-03-21 2013-03-04 최병희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JP5334706B2 (ja) 2009-06-25 2013-11-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61849B1 (ko)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512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0884644B1 (ko) * 2007-01-29 2009-0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동 운전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20140003760A (ko) * 2012-06-28 2014-01-10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1B1 (ko) * 2007-01-23 2008-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JP2009002601A (ja)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5334706B2 (ja) 2009-06-25 2013-11-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238958B1 (ko) 2011-03-21 2013-03-04 최병희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KR101461849B1 (ko)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49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84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572499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및 분석서버
KR20170086246A (ko) 이동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A2918085C (en) A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US20050277381A1 (en)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US20190056126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CN205860343U (zh) 一种新风净化系统
JP2018179496A (ja) 送風機器
KR102473894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기질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002459B2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air treatment apparatuses
JPWO2020255875A5 (ko)
CN107636392B (zh) 空气净化系统及方法
KR20210045738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JP718792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20170027917A (ko) 보조 송풍 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6423596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送風機
CN108019878A (zh) 一种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KR101866984B1 (ko) 필터 인식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및 이의 제어 설정 방법
CN206831721U (zh) 风机盘管式空气净化器
KR102494869B1 (ko) 환기 알림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및 환기 알림 서버
KR102473895B1 (ko) 제습장치
KR102502947B1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성능 표시 방법
JP2021196095A (ja) 空調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KR20210123082A (ko)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